[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7853B1 -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853B1
KR100297853B1 KR1019980030228A KR19980030228A KR100297853B1 KR 100297853 B1 KR100297853 B1 KR 100297853B1 KR 1019980030228 A KR1019980030228 A KR 1019980030228A KR 19980030228 A KR19980030228 A KR 19980030228A KR 100297853 B1 KR100297853 B1 KR 10029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oltage
charged
discharge
external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666A (ko
Inventor
문성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853B1/ko
Priority to US09/358,767 priority patent/US6175192B1/en
Publication of KR2000000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스텝의 구등파형을 생성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도록 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다단계로 상승하고 하강하는 전압파형을 갖는 교류전압으로 이루어진 유지펄스에 의해서 표시방전을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에서; 패널의 유지방전시 전압파형의 상승시에는 방전이, 하강시에는 충전이 반복되도록 패널에 연결된 외부 캐패시터와;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시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칭부와, 외부 캐패시터의 충전시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칭부와;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 시, 방전되는 전하를 축적하는 인덕터와, 인덕터로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전하가 축적되도록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부와;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마다 패널에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패널에 공급하는 제 4 스위칭부와; 패널에 공급된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2개 이상의 전압원과; 전압원의 전압을 패널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2개 이상의 제 5 스위칭부와; 패널로 공급되는 전압을 0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패널을 그라운드에 접지시키는 제 6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
본 발명은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스텝의 구동파형을 생성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도록 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가스방전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로서 최근의 개발노력으로 대화면에서 영상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PDP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크게 대향방전을 하게 되는 직류(DC)방식과 면방전을 하게 되는 교류(AC)방식으로 대별된다. 교류방식의 PDP는 직류방식에 비하여 저소비전력과 라이프 타임이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는 구동방식이다. 교류 구동방식의 PDP는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교류전압을 인가시켜 그 반주기마다 방전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구동방식에 따라 서브필드(Sub-field) 방식과 서브프레임(Sub-frame)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256 계조를 표현할 때 서브필드 방식은 한 프레임을 8 개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각 서브필드는 다시 전화면을 초기화하는 리셋기간과 전화면을 선순차 방식으로 주사하면서 데이터를 기입하는 어드레스 기간 및 데이터가 기입된 셀들의 발광상태를 유지시키는 서스테인 기간으로 시분할된다. 여기서, 각 서브필드의 리셋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에서 동일한 반면에 각 서스테인 기간은 휘도 상대비에 따라 2n(n=0,1,2,3,4,5,6,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할당된다. 각 서브필드에서는 해당 서스테인 기간에 비례하는 계조를 구현하게 되고 각 서브필드에서 구현된 계조가 조합됨으로써 한 프레임에서 256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서브필드 방식에서, 유지방전시에 PDP 패널의 충전 및 방전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방전되는 전압을 다시 회수하여 패널의 충전에 사용하여 소비전력을 낮추게 된다. 에너지 회수장치는 제1도와 같이 Y전극(1)에 접속된 주사/유지 전극 단위구동셀(이하 “Y 전극 단위구동셀”이라 함)(10)과, Z전극(2)에 접속된 공통 전극 단위구동셀(이하 “Z 전극 단위구동셀”이라 함)(20)을 구비한다. Y전극(1)과 Z전극(2)은 패널 캐패시터(Cp)에 접속된다. Y 전극(1)과 Z 전극(2)은 유지전극쌍으로써 Y 전극 단위구동셀(10)과 Z 전극 단위구동셀(20)에 의해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어 면방전을 행함으로써 표시된 데이터의 밝기를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패널 캐패시터(Cp)는 표시 패널에서 Y 전극(1)과 Z 전극(2)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등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Y 전극 단위구동셀(10)은 기저 전압원에 접속된 외부 캐패시터(Cex)와, 외부 캐패시터(Cex)에 병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스위치(S1, S2)와, 서스테인 전압 공급원(Vs)과 기저 전압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스위치(S3, S4)와,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인덕터(L)를 구비한다. Z 전극 단위구동셀(20)은 패닐 캐패시터(Cp)를 중심으로 Y 전극 단위구동셀(10)에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인덕터의 출력 전류(IL)와 패널 캐패시터(Cp)의 출력 전압(Vc)을 나타낸다.
제2도를 참조하여 Y 전극 단위구동셀(10)을 중심으로 에너지 회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스테인 펄스가 여러번 충·방전하게 되면 외부 캐패시터(Cex)에 전압이 충전된다. t1 기간에 제1 스위치(S1)를 닫으면 외부 캐패시터(Cex)에 충전된 전압이 제1 스위치(S1)와 인덕터(L)를 경유하여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후 LC 공진파형의 공진점에서 제3 스위치(S3)를 닫아 서스테인 전압(Vs)을 패널 캐패시터에 공급함으로써 패널 캐패시터(Cp)를 충전하게 된다. 방전시에는 t3기간에 제2 스위치(S2)를 닫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이 인덕터(L)와 제2 스위치(S2)를 경유하여 외부 캐패시터(Cex)에 공급됨으로써 외부 캐패시터(C)를 충전시킨 다음, 제2 스위치(S2)를 열고 제4 스위치(S4)를 닫게 되면 방전이 완료된다. Z 전극 단위구동셀(20)은 Y 전극 단위구동셀(10)과 교번적으로 패널 캐패시터(Cp)를 충방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압원인 외부 캐패시터(Cex)를 이용하여 패널 캐패시터(Cp)를 충방전하게 된다.
한편, 서브프레임 구동방식은 전화면의 어드레싱기간을 서스테인펄스의 매주기마다 일부분씩 분산시켜 수행함으로써 한 프레임에 걸쳐 서스테인 과정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되어 진행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256 계조를 표현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방식에서는 전화면을 수평방향으로 8개의 시구간(T, T/2, T/4, T/8, T/l6, T/32, T/64, T/128)으로 분할하고 각 시구간마다 방전 가중치를 서브필드 방식과 비슷하게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시점에서 전화면에는 각각 다른 밝기레벨을 갖는, 즉 각각 다른 서브필드 상태에 있는 8개의 화면블록들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8개 블록의 분할 경계, 즉 한 서스테인펄스 주기에서 선택된 8개의 주사라인은 그 서스테인 펄스 주기마다 한 주사라인씩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의 주사라인 수(예컨대, 512개)에 해당하는 서스테인기간이 끝나면 한 프레임의 256 계조가 표현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구동방식에서 서스테인 펄스는 매주기마다 라이트 펄스의 기준레벨과 소거펄스의 기준레벨을 포함하도록 3 스텝(Step) 이상의 레벨을 포함하게 된다. 제1도와 같은 에너지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3스텝 이상의 레벨을 갖는 서스테인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스텝수 만큼 종속적으로 접속시켜야 하지만 구동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PDP는 전류에 의해서 효율 및 밝기가 좌우되므로 외부 캐패시터(Cex)와 같은 전압원을 이용하게 되면 PDP의 효율 및 밝기를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방전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도록 한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멀티스텝의 구동 파형에 대한 에너지 회수에 적합하도록 한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에너지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장치의 출력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장치의 출력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장치의 출력 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Y전극 2, 41 : Z전극
10, 30 : Y 전극 단위구동셀 20, 40 : Z 전극 단위구동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다단계로 상승하고 하강하는 전압파형을 갖는 교류전압으로 이루어진 유지펄스에 의해서 표시방전을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에서; 패널의 유지방전시 전압파형의 상승시에는 방전이, 하강시에는 충전이 반복되도록 패널에 연결된 외부 캐패시터와;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시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칭부와, 외부 캐패시터의 충전시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칭부와;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 시, 방전되는 전하를 축적하는 인덕터와, 인덕터로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전하가 축적되도록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부와;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마다 패널에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패널에 공급하는 제 4 스위칭부와; 패널에 공급된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2개 이상의 전압원과; 전압원의 전압을 패널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2개 이상의 제 5 스위칭부와; 패널로 공급되는 전압을 0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패널을 그라운드에 접지시키는 제 6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인덕터의 출력 전류(IL)와 패널 캐패시터(Cp)의 출력 전압(Vc)을 나타낸다.
제3도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패널 캐패시터(Cp)에 접속되어 외부 전압이 공급되기전에 인덕터(L)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패널 캐패시터(Cp)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극 단위구동셀(30)을 구비한다. 전극 단위구동셀(30)은 기저 전압원에 접속된 외부 캐패시터(Cex)와, 외부 캐패시터(Cex)에 병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스위치(S1,S2)와, 제1 및 제2 스위치(S1,S2)에 공통으로 접속된 인덕터(L)와, 인덕터(L)에 병렬접속된 제3 및 제4 스위치(S3,S4)와, 제4 스위치(S4)에 병렬접속된 제5 및 제7 스위치(S5,S7)와, 패널 캐패시터(Cp)에 접속된 제6 스위치(S6)를 구비한다. 제5 스위치(S5)에는 제1 서스테인 전압(VSI)이 공급되고 제6 스위치(S6)에는 제2 서스테인 전압(VS2)이 공급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충/방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널 캐패시터(Cp)는 t1에서 t5 기간까지 3 스텝으로 전압이 충전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t1 기간에서는 제1 및 제3 스위치(S1,S3)를 닫아 초기 충전되어 있는 외부 캐패시터(Cex)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인덕터(L)에 전류를 충전시킨다. t2 기간에서 제3 스위치(S3)를 열고 제4 스위치를 닫게 되면 인덕터(L)에 충전된 전류가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다. 그러면 t2 기간에서 패널 캐패시터(Cp)에는 중간레벨의 전압(Vm)까지 충전된다. t3 기간에서 제5 스위치(S5)를 닫게 되면 외부 전압인 제1 서스테인 전압(VS1)이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를 경유하여 패널 캐패시터(Cp)에 인가되어 중간레벨의 전압(Vm)이 유지되고, 이 때 제4 스위치(S4)를 열고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를 닫게 되면 인덕터(L)에 전류가 충전된다. t4 기간에서 제3 스위치(S3)를 열고 제4 스위치(S4)를 닫으면 인덕터(L)에 충전된 전류가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되어 패널 캐패시터(Cp)에는 상위레벨의 전압(Vs)까지 충전된다. t5 기간에서 제6 스위치(S6)를 닫으면 제2 서스테인 전압(VS2)이 패널 캐패시터(Cp)에 인가되어 상위레벨의 전압(Vs)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인덕터(L)는 외부전압이 패널에 공급되기 전에 전류를 충전하게 되고 충전된 전류를 패널에 공급함으로써 전류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패널 캐패시터(Cp)의 방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t6 기간에서 제2 및 제4 스위치(S2,S4)를 닫게 되면 외부 캐패시터(Cex)에 전압이 충전된다. 이때,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의 전압(Vm)까지 방전을 하게 된다. t7 기간에서 제5 스위치(S5)를 닫고 제4 스위치(S4)를 열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서 중간레벨의 전압이 유지된다. t8 기간에서 제2 및 제 4 스위치(S2,S4)를 닫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으로 외부 캐패시터(Cex)에 충전된다. 이 때,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의 전압(Vm)에서 “0”레벨까지 방전된다.
제3도에 도시된 전극 단위구동셀(30)이 Y전극에 접속된 Y전극 단위 구동셀이라면 패널 캐패시터(Cp)를 중심으로 Z전극에 접속된 Z전극 단위 구동셀을 포함한 본 발명의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5도에 도시한다.
제5도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Y전극(31)에 접속된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Z전극(41)에 접속된 Z전극 단위구동셀(40)을 구비한다. Y전극 단위구동셀(30)은 제3도에 도시된 단위구동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Z전극 단위구동셀(40)은 패널 캐패시터(Cp)를 중심으로 Y전극 단위구동셀(30)에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즉, Z전극 단위구동셀(40)은 외부 캐패시터(Cex2)에 병렬로 접속된 제8 및 제9 스위치(S8,S9)와, 제8 및 제9 스위치(S8,S9)에 공통으로 접속된 인덕터(L2)와, 인덕터(L2)에 병렬접속된 제10 및 제11 스위치(S10,S11)와, 제11 스위치(S11)에 병렬접속된 제12 및 제14 스위치(S12,S14)와, 패널 캐패시터(Cp)에 접속된 제13 스위치(S13)를 구비한다. 제12 스위치(S12)에는 제1 서스테인 전압(VS1)이 공급되고 제13 스위치(S13)에는 제2 서스테인 전압(VS2)이 공급된다.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Z전극 단위구동셀(40)은 교번적으로 구동되어 패널 캐패시터(Cp)를 충방전함으로써 패널 캐패시터(Cp)는 유지방전 하게 된다. Y전극 단위구동셀(30)은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Z전극 단위구동셀(40)은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교번적으로 구동되어 패널 캐패시터(Cp)를 충방전하게 된다.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Z전극 단위구동셀(40)의 구동을 제5도 및 제6도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에 있어서, IL은 제1 및 제2 인덕터(L1,L2)에 충방전되는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Vy와 Vz는 각각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Z전극 단위구동셀(40)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Vyz는 Y전극 단위구동셀(30)과 Z전극 단위구동셀(40)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펄스를 나타낸다.
t1 기간에서 제1, 제3, 제7 및 제14 스위치(S1,S3,S7,S14)가 닫히게 되어 제1 외부 캐패시터(Cex1)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인덕터(L1)에 전류가 충전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치(S1)는 t1 내지 t4 기간동안, 제14 스위치(S14)는 t1 내지 t10기간 동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2 기간에서 제3 스위치(S3) 및 제 7 스위치(S7)가 열려지고 제4 스위치(S4)가 닫히게 되어 제1 인덕터(L1)에 충전된 전류가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다. 이 때, 패널 캐패시터(Cp)에는 중간레벨의 전압(Vm)까지 충전된다. t3 기간에서 제5 스위치(S5)는 닫혀 Y전극 단위구동셀(30)에서 제1 서스테인 전압(VS1)이 제1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패널 캐패시터(Cp)에 인가되고 제4 스위치(S4)가 열리고 제3 스위치는 닫히게 된다. 그러면 패널 캐패시터(Cp)에서는 중간레벨의 전압(Vm)이 유지되고 제1 인덕터(L1)에 전류가 충전된다. t4 기간에서 제3스위치(S3)와 제5 스위치(S5)는 열려지고 제4스위치(S4)가 닫혀지게 되면 제1 인덕터(L1)에 충전된 전류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에는 상위레벨의 전압(Vs)까지 충전된다. t5 기간에서 제6 스위치(S6)는 닫히게 되고 제4 스위치(S4)는 열리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은 제2 서스테인 전압(VS2)에 의해 상위 레벨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t1 내지 t5 기간에서 Y전극 단위구동셀(30)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는 “0”레벨, 중간레벨(Vm) 및 상위레벨(Vs)의 3스텝으로 충전된다. t6 기간에서 제2 및 제4 스위치(S2,S4)는 닫히고 제6 스위치(S6)는 열리게 되어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의 전압(Vm)까지 방전을 하게 되고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으로 제1 외부 캐패시터(Cex1)에는 전압이 충전된다. t7 기간에서 제5 스위치(S5)는 닫히고 제2 및 제4 스위치(S2,S4)가 열리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은 중간레벨(Vm)을 유지하게 된다. t8 기간에서 제2 및 제4 스위치(S2,S4)는 닫히고 제5 스위치(S5)는 열려지게 되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으로 제1 외부 캐패시터(Cex1)에 전압이 충전되고 패널 캐패시터(Cp)는 “0”레벨까지 방전된다. 이와 같이 t6 내지 t8 기간에서 Y전극 단위구동셀(30)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는 상위레벨(Vs), 중간레벨(Vm) 및 “0”레벨의 3스텝으로 방전된다. t9 기간에서 제2 및 제4 스위치(S2,S4)는 열리고 제3 및 제 7 스위치(S3,S7)는 닫히게 되어 패널 캐패시터(Cp)는 기저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7스위치(S7)는 t9 기간에서 t19 기간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10 기간에서 제3 스위치(S3)는 열리고 제8 및 제10 스위치(S8,S10)가 닫히게 되어 제2 인덕터(L2)는 제2외부 캐패시터(Cex2)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여기서, 제8 스위치(S8)는 t13기간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t11 기간에서 제10스위치(S3)는 열리고 제11 스위치(S11)는 닫히게 되어 제2 인덕터(L2)에 충전된 전류로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Vm)까지 충전된다. 이 때, 제14 스위치(S14)는 열려지게 된다. t12 기간에서 제10 및 제12 스위치(S10,S12)는 닫히고 제11 스위치(S11)는 열리게 되어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Vm)이 유지되고 제2 인덕터(L2)에 전류가 충전된다. t13 기간에서 제10 및 제12 스위치(S10,S12)는 열려지고 제11 스위치(S11)가 닫히게 되어 제2 인덕터(L2)에 충전된 전류에 의해 패널 캐패시터(Cp)는 상위레벨(Vs)까지 충전된다. t14 기간에서 제13 스위치(S6)는 닫히고 제8 및 제11 스위치(S8,S11)가 열리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제2 서스테인 전압(VS2)이 인가되어 패널 캐패시터(Cp)는 상위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Z전극 단위구동셀(40)은 t10에서 t14 기간까지 패널 캐패시터(Cp)를 충전하게 된다. t15 기간에서 제9 및 제11 스위치(S9,S11)는 닫히고 제13 스위치(S13)는 열리게 되어 패널 캐패시터(Cp)는 중간레벨(Vm)까지 방전을 하게 되고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으로 제2 외부 캐패시터(Cex2)에는 전압이 충전된다. t16 기간에서 제12 스위치(S12)는 닫히고 제9 및 제11 스위치(S9,S11)가 열리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은 제1 서스테인 전압(VS1)에 의해 중간레벨(Vm)을 유지하게 된다. t17 기간에서 제9 및 제 11 스위치(S9,S11)는 닫히고 제10 스위치(S10)가 열리게 되면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으로 제2 외부 캐패시터(Cex1)에 전압이 충전되고 패널 캐패시터(Cp)는 “0”레벨까지 방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인덕터(L1,L2)에 미리 전류를 충전시키고 이 충전된 전류를 패널 캐패시터(Cp)에 충전한 후 낮은 레벨의 외부전압(VSI,VS2)을 공급함으로써 낮은 레벨의 전압으로도 패널에 높은 피크(peak)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전력소모를 줄이고 방전효율과 밝기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제7도는 n스텝 서스테인 펄스를 발생하기 단위 구동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n스텝으로 서스테인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각 레벨에 대응하는 n 개의 외부 전압(VS1 내지 VSn)과 인덕터(L)에 충전된 전류가 패널 캐패시터(Cp)에 공급된 후 외부 전압(VS1 내지 VSn)을 패널 캐패시터(Cp)에 공급하기 위한 n 개의 스위치들(S5 내지 Sn)을 구비하게 된다. n 개의 스위치들(S5 내지 Sn)은 패널 캐패시터(Cp)에 병렬접속된다. 종래와 대비할 때, 각 유지전극쌍에 접속된 제1도와 같은 단위구동셀(LC 공진파형을 이용하는 에너지 회수회로 포함)이 n 스텝 서스테인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n개의 단위구동셀들이 종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단위구동셀을 이용하여 n스텝 서스테인 펄스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은 서브프레임 방식에 적합한 에너지 회수회로를 제공할 뿐 아니라 서브 필드방식에 적용되면 3 스텝 이상의 펄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에너지 회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방전이 발생하기 전에 스위치 소자와 인덕터를 이용해서 미리 충전시킨 후 패널에 높은 전류를 공급해서 유지 방전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는 멀티스텝의 구동파형을 하나의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멀티스텝의 구동파형을 생성하기에 적합하게 되고 구동회로가 단순하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다단계로 상승하고 하강하는 전압파형을 갖는 교류전압으로 이루어진 유지펄스에 의해서 표시방전을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에서; 상기 패널의 유지방전시 상기 전압파형의 상승시에는 방전이, 하강시에는 충전이 반복되도록 상기 패널에 연결된 외부 캐패시터와; 상기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이 상기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외부 캐패시터의 충전시 상기 패널과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 시, 방전되는 전하를 축적하는 인덕터와, 상기 인턱터로 상기 외부 캐패시터의 방전전하가 축적되도록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부와; 상기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마다 패널에 상기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패널에 공급하는 제 4 스위칭부와; 상기 패널에 공급된 상기 유지펄스 전압파형의 각 단계별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2개 이상의 전압원과; 상기 전압원의 전압을 상기 패널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2개 이상의 제 5 스위칭부와; 상기 패널로 공급되는 전압을 0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패널을 그라운드에 접지시키는 제 6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 및 제 5 스위칭부의 수는 상기 전압파형의 스텝이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장치.
KR1019980030228A 1998-07-27 1998-07-27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KR10029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28A KR100297853B1 (ko) 1998-07-27 1998-07-27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US09/358,767 US6175192B1 (en) 1998-07-27 1999-07-22 Multi-step type energy re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28A KR100297853B1 (ko) 1998-07-27 1998-07-27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66A KR20000009666A (ko) 2000-02-15
KR100297853B1 true KR100297853B1 (ko) 2001-10-26

Family

ID=1954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228A KR100297853B1 (ko) 1998-07-27 1998-07-27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75192B1 (ko)
KR (1) KR100297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217B2 (en) * 2000-02-24 2006-05-16 Lg Electronics Inc. Energy recovery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US7053869B2 (en) 2000-02-24 2006-05-30 Lg Electronics Inc. PDP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and high spee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6483490B1 (en) * 2000-03-22 2002-11-19 Acer Display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staining waveform for plasma display panel
JP4660026B2 (ja) * 2000-09-08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TW482991B (en) * 2000-09-13 2002-04-11 Acer Display Tech Inc Power-saving driving circuit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515745B1 (ko) * 2000-11-09 2005-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승압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회수회로와 이를 이용한 에너지효율화 방법
JP4093295B2 (ja) * 2001-07-17 2008-06-04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Pdp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428625B1 (ko) * 2001-08-06 2004-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캔 전극 구동 장치 및그 구동 방법
KR100421014B1 (ko) * 2001-08-28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스템의 자기 결합인덕터를 이용한 전력 회수 장치 및 설계 방법
KR100450218B1 (ko) * 2001-10-16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0369082C (zh) * 2001-10-16 2008-02-13 三星Sdi株式会社 驱动等离子显示屏的设备及其方法
KR100477985B1 (ko) * 2001-10-29 200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의 구동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538324B1 (ko) * 2001-11-2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동회로
KR100425314B1 (ko) * 2001-12-11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스트레스를 개선한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 장치 및 방법
TW540026B (en) * 2001-12-28 2003-07-01 Au Optronics Corp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KR100467450B1 (ko) * 2002-03-18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6924779B2 (en) * 2002-03-18 2005-08-02 Samsung Sdi Co., Ltd. PDP driving device and method
KR100463187B1 (ko) * 2002-04-15 2004-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장치와 구동 방법
US7009823B2 (en) * 2002-06-28 2006-03-07 Lg Electronics Inc. Energy recovery circuit and energy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KR100497230B1 (ko) * 2002-07-23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2004133406A (ja) * 2002-10-11 2004-04-30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KR100467458B1 (ko) * 2002-10-22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2004151348A (ja) * 2002-10-30 2004-05-2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KR100484175B1 (ko) * 2002-11-08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04071321A2 (en) * 2003-02-05 2004-08-26 Fmc Corporation Toothpaste compositions with reduced abrasivity
JP4619014B2 (ja) * 2003-03-28 2011-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503606B1 (ko) * 2003-04-23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0499374B1 (ko) * 2003-06-12 2005-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FR2857145A1 (fr) * 2003-07-02 2005-01-07 Thomson Plasma Procede de generation d'impulsions breves sur une pluralite de colonnes ou lignes d'un panneau plasma et dispositif pour mettre en oeuvre ledit procede
GB2405270B (en) 2003-08-22 2007-04-11 Pelikon Ltd Charge recovery for enhanced transistor drive
JP4399638B2 (ja) 2003-10-02 2010-01-20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647220B2 (ja) * 2004-03-24 2011-03-09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EP1589515A3 (en) * 2004-04-21 2007-10-03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60033680A1 (en) * 2004-08-11 2006-02-1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energy recovery circuit
TWI319558B (en) * 2004-11-19 2010-01-11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6154828A (ja) * 2004-12-01 2006-06-15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60202917A1 (en) * 2005-03-08 2006-09-1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355569B2 (en) * 2005-05-26 2008-04-08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ing circuit of a plasma display panel
US7358932B2 (en) * 2005-05-26 2008-04-15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ing circuit of a plasma display panel
CN100476916C (zh) * 2005-08-26 2009-04-08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设定等离子体显示器的写入电压的方法
JP2007065179A (ja) * 2005-08-30 2007-03-15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3471B1 (ko) 2005-09-2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와 구동방법
KR100684856B1 (ko) * 2005-10-11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와 구동 방법
TWI299153B (en) * 2005-10-24 2008-07-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Circuit and method for resett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830992B1 (ko) * 2006-12-18 2008-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5133752A (zh) * 2021-03-25 2022-09-30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驱动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884A (en) * 1985-10-15 1988-09-20 University Patents, Inc. Independent sustain and address plasma display panel
US4866349A (en) * 1986-09-25 1989-09-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wer efficient sustain drivers and address drivers for plasma panel
US5081400A (en) * 1986-09-25 1992-01-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wer efficient sustain drivers and address drivers for plasma panel
US5387844A (en) * 1993-06-15 1995-02-07 Micron Display Technology, Inc. Flat panel display drive circuit with switched drive current
JP3241577B2 (ja) * 1995-11-24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回路
US5642018A (en) * 1995-11-29 1997-06-24 Plasmaco, Inc. Display panel sustain circuit enabling precise control of energy re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66A (ko) 2000-02-15
US6175192B1 (en) 200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853B1 (ko) 멀티스텝형에너지회수장치
KR1004878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US6806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CN100487766C (zh) 驱动等离子体显示面板的设备
KR1005712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000152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방법
KR1004884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US7852292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300711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하 제어 구동 회로
KR1004216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59011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0492454C (zh) 等离子体显示设备及其驱动装置和驱动方法
KR100548240B1 (ko) 멀티스텝형 에너지 회수회로
KR20000009131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전력 회수장치
KR1007489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57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670183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1609639B (zh) 等离子体显示器
KR1007103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7621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0649193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874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공통 전극을 구동하는 x 드라이버
KR1007417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KR1007266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839387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