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7974B1 - 코발트/산화코발트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코발트/산화코발트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974B1
KR100287974B1 KR1019940019801A KR19940019801A KR100287974B1 KR 100287974 B1 KR100287974 B1 KR 100287974B1 KR 1019940019801 A KR1019940019801 A KR 1019940019801A KR 19940019801 A KR19940019801 A KR 19940019801A KR 100287974 B1 KR100287974 B1 KR 10028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alt
cobalt oxide
oxide powder
electrode
co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50A (ko
Inventor
울리히크리니츠
디르크나우만
베른트멘데
아르민울브리히
게르하르트길레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슐츠, 페터 캘레르트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슐츠, 페터 캘레르트,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슐츠, 페터 캘레르트
Publication of KR95000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04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X(CoO)1-X의 조성 (여기서, x는 0.02 내지 0.5)을 갖는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차 전지용 수산화 니켈 전극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니켈 전극 및 대조용 전극의 용량을 사이클 회수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조성이 CoX(CoO)1-X인 신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니켈/카드뮴 또는 니켈/금속 수소화물 이차 전지용 니켈 전극의 주된 전기화학적 활성 성분은 수산화니켈 및 -그에 대한 첨가제로서- 코발트 금속 분말, 산화 제1코발트 및(또는) 수산화제1코발트 등과 같은 코발트 재료이다. 이 성분들은 다른 보조 성분과 함께 가공되어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그 다음 이 페이스트가 전기 전도성인 전극 지지체 내로 도입된다. 이렇게 얻어진 전극은 건조 및(또는) 소결과 같은 후속적인 처리 단계를 거쳐 여러 가지 디자인의 배터리용 전극 형태를 갖추게 된다.
구체적으로, 버튼형 전지의 제조를 위해서는 전기화학적 활성 전극 성분을 예를 들어 흑연 또는 니켈 분말과 같은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시켜 다양한 크기의 정제형 조각을 형성시킨다. 코발트 성분은 전형적으로 코발트 금속 분말과 산화 제1 코발트 또는 수산화제1코발트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극 재료에 2 내지 10 중량 %의 농도로 존재하는 코발트 재료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럽 특허 출원 제353,837호에서는 전극의 형성시, 즉 배터리의 최초 충전시에 코발트 금속이 포텐샬에 따라 먼저 산화되어 알칼리성 전해질에 용해되는 2가 코발트를 형성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코발트 금속에서 나온 Co2+이온 및 일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부터 나온 이미 존재하는 모든 Co2+이온은 수산화니켈의 표면 쪽으로 확산된다. 배터리의 충전이 계속되면서 이 Co2+이온은 수산화니켈 입자의 표면에 층으로 침착되는 CoO(OH) 형태의 Co3+으로 산화된다. 이 층은 후속적인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중에 필요한 전극 재료의 전기 전도도를 창출한다. 그 밖에도 Co2+이온은 수산화니켈층의 격자 내로 옮겨가서 전극 재료가 더 높은 충전 효율을 발휘하게 되도록 수산화니켈층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코발트 성분은 Co2+이온이 전기화학적으로 환원된 상태이고 수소의 제거가 방지된다는 점에서 과도한 방전이 일어날 경우 안전용 비축물로서 작용한다.
적당한 코발트 화합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5,032,475호 및 동 제5,053,292호 및 유럽 특허 출원 제523,28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기화학적 산화 과정에서 코발트 금속 분말은 전극 내의 충전 및 방전 과정에 50 % 정도만이 사용가능하게 되는데, 이것은 상당한 비율의 코발트 금속이 단단하게 고착되는 산화물 층으로 덮히게 되어 더 이상의 Co2+이온 형태 코발트가 전극 내로 확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은 약 50 %의 코발트 금속이 불용성의 치밀한 코발트 산화물로 전환된다. 종래에는 이 문제를 수산화코발트 또는 일산화 코발트와 같이 부분적으로 가용성인 코발트 화합물을 전극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극복해왔다. 전기화학적 형성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도 부분적으로 용해된 Co2+이온이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수산화니켈의 표면에 필요한 형태로 침착된다 (마쓰모(Matsumo) 등 : 제162차 전기화학회(ECS) 추계 회의 디트로이트, 18 (1982)).
상기한 응용처에 지금까지 사용된 산화제1코발트는 공업적으로는 탄산코발트, 수산화코발트 또는 고산화코발트의 열분해에 의해 생산되었다. 불행히도 이 방법은 -열역학적 평형에 따라- 과량의 산소를 함유하는 코발트 산화물의 형성을 야기한다 (그멜린 (Gmelin)의 문헌 : Co, Ergnzungsband(보충) 58, pp. 470-479). 하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산소의 초과량은 감소한다.
산화제1코발트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Co3+는 대기중의 산소 및 대기중의 수분의 영향 하에서 2가 코발트의 추가 산화를 촉진한다. 형성되는 3가 코발트는 전해질에 대한 그의 불용성 때문에 배터리 내 전극 재료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전기화학적 과정에 사용되는 코발트 화합물의 유효성을 없애버린다.
종종 사용되는 수산화코발트는 전해질에 대하여 산화제1코발트보다 더 낮은 용해도를 보이며 또한 대기중의 습기의 영향 하에서는 특히 대기중의 산소에 의한 추가적인 산화에 매우 민감하다. 전극 내에서 수산화제1코발트에서 유래한 코발트의 유효성은 산화제1코발트에서 유래한 코발트의 경우보다 더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이 겨냥하는 과제는 선행 기술의 단점을 전혀 갖지 않으면서 종래에 공지된 코발트 금속 분말과 산화제1코발트 혼합물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유용한 코발트 재료를 수산화니켈 이차 전지용 전극 재료의 활성 성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이 CoX(CoO)1-X(여기서, x =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이고 평균 입도가 20 ㎛ 미만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에 의해 이러한 요구가 만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은 산화제1코발트와 코발트 금속이 극히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암갈색 충실성 분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에는 Co3+가 없다. 코발트 금속의 존재는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에서 3가 코발트 산화물로의 원치 않는 산화를 막아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일차 입자의 평균 입도는 배터리 내 수산화니켈의 입도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분말의 평균 입도는 수산화니켈의 경우보다 작아야 하는데 이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고도로 균일한 혼합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코발트/산화코발트의 입도가 작고 BET 표면이 크면 전해질 내에 더 용이하고 더 신속하게 용해될 수 있다. 일차 입자의 평균 입도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 범위 내에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극 혼합물은 수산화니켈 외에도 코발트 금속 분말과 산화제1코발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산화제1코발트를 등량의, 본 발명에서 개시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로 대체하면 배터리 내의 전기화학적 충전 및 방전 과정에 사용되는 코발트의 유효성이 적어도 10 %는 높아질 수 있다.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중의 코발트 금속의 백분율 함량을 증가시키면 전극 내 코발트 금속 분말의 백분율 함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 재료에 사용되는 코발트를 절약할 수 있다. 코발트 금속 함량의 선택은 배터리의 유형 및 예상되는 활용분야에 의해 결정적으로 정해진다.
x의 값이 0.02 내지 0.2인 CoX(CoO)1-X의 조성을 갖는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이 특히 적당하다.
본 발명은 또한 코발트 산화물 및(또는) 열분해에 의해 코발트 산화물을 형성하는 코발트 화합물을 5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형성을 유도하는 조건하에서 환원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oO, Co2O3및(또는) Co3O4가 코발트 산화물로서 유익하게 사용되며 코발트의 수산화물, 옥살산염 및(또는) 탄산염은 코발트 산화물을 형성하는 코발트 화합물로 사용된다. 적당한 환원제는, 특정하자면 일산화탄소, 수소, 탄소, 천연 가스 및(또는) 탄화수소이다.
반응은 회전 가마 또는 유동화 베드에서, 바람직하게는 580 내지 650℃의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익하다. 입도 분포는 하소 조건 및 반응 매개 변수의 선택을 통해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135,078호에 기재된 종류의 나선형 회전 가마에서 매우 균질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차 전지용 전극 재료의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3]
[회전 튜브로를 사용한 코발트/산화코발트 제조]
하기의 회전 튜브로에서 제조한 각종 코발트/산화코발트를 그들의 물리 화학적 성질 및 제조 조건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가열대역의 길이: 1600 mm
냉각대역 (냉각수): 1000 mm
전기 가열 용량: 36 kW
회전 속도: 1.5-7.5 r.p.m., 무한 변속 가능
회전 튜브의 경사: 최대 8°
튜브 직경: 154 mm
회전 튜브 재질: 크롬-몰리브데늄 강
* 질소 1점 방식으로 측정된 것임(DIN 66131)
[실시예 14]
일산화코발트를 함유한 전극(대조용)과 코발트/산화코발트를 함유한 전극(본 발명에 따른 것)의 비교.
정제형 수산화니켈 전극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일산화코발트 또는 코발트/산화코발트의 백분율 함량은 전극 내에 동량의 코발트가 존재하도록 조정하였다.
용량의 1/5로 30회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을 1 시간 동안 충전/방전시켰다. 1/5 C를 이 전극들로 측정하였다. 제1도에 실시예 14의 수산화니켈 전극의 용량을 사이클의 회수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코발트 금속 분말과 일산화코발트 또는 코발트/산화코발트 형태인 동량의 코발트에 대해, 코발트/산화코발트의 경우에 더 높은 용량 및 그에 따른 배터리 전극의 더 높은 활용도가 얻어졌다.

Claims (11)

  1. 조성이 CoX(CoO)1-X(여기서, x는 0.02 내지 0.5 범위 내임)이고, 일차 입자의 평균 입도가 20 ㎛ 미만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일차 입자의 평균 입도가 0.5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가 0.02 내지 0.2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
  4. 코발트 산화물 및(또는) 열분해에 의해 코발트 산화물을 형성하는 코발트 화합물을 5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형성을 유도하는 조건하에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코발트 산화물로 CoO, Co2O3및 Co3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코발트 산화물을 형성하는 코발트 화합물로 코발트의 수산화물, 옥살산염 및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환원제로 CO, H2, 탄소, 천연 가스, 탄화수소 및(또는) 포름산 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환원제가 불활성 기체로 희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반응을 회전 가마 또는 유동화 베드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반응을 580 내지 650℃의 온도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코발트/산화코발트 분말을 함유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재료.
KR1019940019801A 1993-08-12 1994-08-11 코발트/산화코발트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100287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27023.9 1993-08-12
DE4327023 199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50A KR950005750A (ko) 1995-03-20
KR100287974B1 true KR100287974B1 (ko) 2001-05-02

Family

ID=64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8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7974B1 (ko) 1993-08-12 1994-08-11 코발트/산화코발트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18844A (ko)
EP (1) EP0638520B1 (ko)
JP (1) JP3361194B2 (ko)
KR (1) KR100287974B1 (ko)
CN (1) CN1040972C (ko)
AT (1) ATE143920T1 (ko)
CA (1) CA2130213C (ko)
DE (1) DE59400813D1 (ko)
ES (1) ES2092367T3 (ko)
FI (1) FI106115B (ko)
NO (1) NO309261B1 (ko)
RU (1) RU2135416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69A1 (ko) * 2015-05-26 2016-12-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코발트 산화물로부터 코발트 분말의 회수 방법
KR101770513B1 (ko) * 2015-05-26 2017-08-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코발트 산화물로부터 코발트 분말의 회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320C1 (de) * 1995-02-10 1996-07-25 Starck H C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baltmetall-haltigem Kobalt(II)-Oxid sowie dessen Verwendung
DE19504319C2 (de) * 1995-02-10 1998-01-15 Starck H C Gmbh Co Kg Feinverteiltes metallisches Kobalt enthaltendes Kobalt(II)-Oxi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DE19519328C1 (de) * 1995-05-26 1997-01-23 Starck H C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basischer Kobalt(II)carbonate, d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n Kobalt(II)carbonate sowie deren Verwendung
AU779645C (en) * 1999-12-01 2005-12-01 Sasol Technology (Proprietary) Limited Cobalt catalysts
AU2001229361A1 (en) * 2000-01-14 2001-07-24 Stx Llc. Golf club having replaceable striking surface attachments and method for replacing same
KR100360559B1 (ko) * 2000-02-29 2002-11-14 박청식 초미립 코발트 분말 제조방법
JP4691241B2 (ja) * 2000-09-29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高純度コバ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塩化コバルトの精製方法
US6896846B1 (en) * 2001-11-02 2005-05-24 University Of Notre Dame Synthesis of orthopaedic implant materials
US6660123B2 (en) * 2002-01-16 2003-12-09 Willis A. Murphy Method of laminating a document in a plastic film
KR100485093B1 (ko) * 2002-10-28 2005-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GB2414729A (en) * 2004-06-01 2005-12-07 Atraverda Ltd Method of producing sub-oxides with a substantially moisture free gas
RU2418830C1 (ru) * 2009-10-05 2011-05-20 Альберт Львович Щипицын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стойких неорганических пигменто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стойких неорганических пигмен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DE102011057015A1 (de) * 2011-12-23 2013-06-27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baltoxid-Kohlenstoff-Komposit
CN111072073A (zh) * 2019-12-20 2020-04-28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Ni单原子掺杂四氧化三钴纳米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966A (en) * 1964-05-18 1968-09-03 Trurumi Soda Company Ltd Novel cobalt oxide and an electrode having the cobalt oxide coating
US4072501A (en) * 1977-04-13 1978-02-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of producing homogeneous mixed metal oxides and metal-metal oxide mixtures
GB2068925B (en) * 1980-02-11 1984-02-01 Hibbert D B Electrocatalyst
DE3328709A1 (de) * 1983-08-09 1985-02-28 Bayer Ag, 5090 Leverkusen Drehrohrofen und dessen verwendung
SU1518306A1 (ru) * 1987-10-06 1989-10-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55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елкодисперсного смешанного оксида кобальта ( @ ) и ( @ )
JPH01279563A (ja) * 1988-05-02 1989-11-09 Toshiba Battery Co Ltd ペースト式ニッケル極
EP0353837B1 (en) * 1988-07-19 1994-07-27 Yuasa Corporation A nickel electrode for an alkaline battery
JPH02144850A (ja) * 1988-11-26 1990-06-04 Yuasa Battery Co Ltd ニッケル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カリ蓄電池
SU1623964A1 (ru) * 1989-02-13 1991-01-30 Ленинград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Ленсовет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ксида кобальта С @ О @
JPH02216763A (ja) * 1989-02-16 1990-08-29 Yuasa Battery Co Ltd アルカリ蓄電池及びその製造法
JPH02234357A (ja) * 1989-03-06 1990-09-17 Yuasa Battery Co Ltd ニッケル電極用活物質及びこれを用いたニッケル―水素電池の製造法
SU1699931A1 (ru) * 1989-05-05 1991-12-23 Ура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С.М.Киров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закиси кобальта С @ О
JP2663644B2 (ja) * 1989-08-22 1997-10-15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電極
DE69014185T2 (de) * 1989-09-18 1995-03-30 Toshiba Battery Sekundäre Nickel-Metallhydrid-Zelle.
EP0419220B1 (en) * 1989-09-18 1994-11-17 Toshiba Battery Co., Ltd. Nickel-metal hydride secondary cell
US5057299A (en) * 1989-12-08 1991-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beta cobaltous hydroxide
US5700596A (en) * 1991-07-08 1997-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ickel hydroxide active material powder and nickel positive electrode and alkali storage battery using them
US5395712A (en) * 1992-07-28 1995-03-07 Furukawa Denchi Kabushiki Kaisha Paste-type nickel electrode for an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an alkaline storage battery containing the electrode
US5451475A (en) * 1993-04-28 1995-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ickel positive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sealed nickel-hydrogen storage battery using nickel positive electrode
JP3738052B2 (ja) * 1994-09-20 2006-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ニッケル電極用活物質とこれを用いたニッケル電極及びニッケルアルカリ蓄電池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69A1 (ko) * 2015-05-26 2016-12-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코발트 산화물로부터 코발트 분말의 회수 방법
KR101770513B1 (ko) * 2015-05-26 2017-08-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코발트 산화물로부터 코발트 분말의 회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09261B1 (no) 2001-01-08
ES2092367T3 (es) 1996-11-16
EP0638520B1 (de) 1996-10-09
RU94028708A (ru) 1996-07-10
EP0638520A1 (de) 1995-02-15
NO942974L (no) 1995-02-13
US5718844A (en) 1998-02-17
DE59400813D1 (de) 1996-11-14
CA2130213A1 (en) 1995-02-13
CA2130213C (en) 2002-05-07
JPH0769644A (ja) 1995-03-14
ATE143920T1 (de) 1996-10-15
KR950005750A (ko) 1995-03-20
NO942974D0 (no) 1994-08-11
FI943701A0 (fi) 1994-08-10
RU2135416C1 (ru) 1999-08-27
CN1040972C (zh) 1998-12-02
CN1102401A (zh) 1995-05-10
FI106115B (fi) 2000-11-30
JP3361194B2 (ja) 2003-01-07
FI943701L (fi) 199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974B1 (ko) 코발트/산화코발트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Nishijima et a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studies of a new anode material, Li3− xCoxN
EP2277828B1 (en) Lithium iron phosphate powder manufacturing method, olivine structured lithium iron phosphate powder, cathode sheet using said lithium iron phosphate powder, and non-aqueous solvent secondary battery
KR10198010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US6818347B1 (en) Performance enhancing additives for electrochemical cells
CN112447948A (zh) 一种硫化物包覆的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Yang et al. Tin‐Containing Anode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Li2. 6Co0. 4 N for Irreversibility Compensation
JP7604248B2 (ja) フッ化物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備えるフッ化物イオン二次電池
Stenina et al. Synthesis and ionic conductivity of Li4Ti5O12
US4356101A (en) Iron active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Saıdi et al. Thermodynamic and kinetic investigation of lithium insertion in the Li1− xMn2O4Spinel phase
US4564567A (en) Electronically conductive ceramics for high temperature oxidizing environments
EP1194965A1 (en) Performance enhancing additive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02216752A (ja) コバルト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板およびアルカリ蓄電池
JP4343618B2 (ja) ポリアニオン型リチウム鉄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H1079250A (ja) 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溶媒系二次電池
JP3578503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FR3143209A1 (fr) Matériau de cathode de phosphate de lithium-manganèse-fer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JP2728448B2 (ja) 二次電池
EP2973804B1 (en) High energy materials for a battery
WO2002019449A1 (fr) Materiau actif positif pour cellule secondaire a electrolyte non aqueux, procede d'elaboration, et cellule secondaire a electrolyte non aqueux
JP2000128540A (ja) マンガン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マンガン酸化物を用いた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GB2283743A (en) Alumina solid electrolyte
Mateyshina et al.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Fe0. 5Mn1. 5O4 spinel synthesized by different methods
TWI413292B (zh) 作為電極活性物質之材料及其製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2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