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0065B1 -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065B1
KR100280065B1 KR1019970705736A KR19970705736A KR100280065B1 KR 100280065 B1 KR100280065 B1 KR 100280065B1 KR 1019970705736 A KR1019970705736 A KR 1019970705736A KR 19970705736 A KR19970705736 A KR 19970705736A KR 100280065 B1 KR100280065 B1 KR 10028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ng piece
fuel
fuel supply
supply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339A (ko
Inventor
한스-페터 브라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8070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0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연료도관(16)에 의해 연료공급 장치의 부품이 서로 또는 내연기관(14)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 연료도관(16)은 파이프로서 형성되어 접속편(20)위에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16)는 접속편(20)의 근처에서 그것의 외주면에 지지 비드(36)를 갖추고 있다. 파이프(16)가 분리 되므로서 이 파이프(16)의 지지 비드(36)를 갖춘 접속편(20)위에 남겨진 잔류부(16a)가 새로운 접속편을 형성하고 이 접속편에 예를들자면 가용성 튜브 형상의 새로운 연료도관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파이프(16)에 지지 비드(36)를 설치하므로서 연료도관 또는 이 연료도관에 접속된 구성부분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공급 장치를 위한 연료도관
이와 같은 연료라인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 제 4224981호 명세서에 의해 공지이다. 이 공지의 것에서는 연료공급 장치의 구성부분은 서로 혹은 자동차의 내연기관에 이 연료도관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 연료도관은 연료공급 장치의 부품 상에 또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접속편 상에 고정이 가능하다. 연료도관은 일반적으로 가요성 튜브 또는 파이프로서 형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파이프는 내연료성의 튜브 보다도 비용면에서 유리하나 접속편에서의 고정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는 결함수단이 필요하거나 또는 접속편에 직접적인 고정 또는 해체가 특별한 조립 장치 혹은 교환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결점을 갖는다. 그 결과 연료공급 장치의 부품 또는 연료도관의 교환이 간단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상위 개념에 기재된 형식의 자동차의 연료공급 장치용 연료도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연료공급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 장치의 접속편 상에 설치된 연료도관으로서 작용하는 파이프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3 은 접속편과 이 접속편 상에 설치되어 분리되어진 파이프와 새로운 연료도관이 고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이점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춘 연료도관의 구성은 연료공급 장치의 구성부분 또는 연료도관의 교환이 간단하게 행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본원 발명의 연료도관에서는 간단하게 형성이 되는 새로운 접속편에 예를들자면 가요성 튜브의 형상의 새로운 연료도관이 고정 가능하다.
종속항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도관의 유리한 구성과 별도의 구성이 열거되고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의한 구성에 의해 파이프의 지지 비드가 간단하게 형성된다.
실시예의 설명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자동차의 연료공급 장치는 연료공급 유닛(10)을 갖추고 있다. 이 연료공급 유닛(10)은 연료를 저장탱크(12)에서 자동차의 내연기관(14)으로 압송한다. 연료공급 유닛(10)은 연료도관(16)을 거쳐서 내연기관(14)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도관(16)은 연료공급 유닛(10)의 접속편(20)에 고정되어 있다. 연료공급 장치에는 다시 예를들면 내연기관(14)에서 저장탱크(12)로 리턴 통로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리턴 통로를 통과해서 내연기관에서 소비되지아니한 잉여 연료가 저장 탱크(12)로 리턴 된다. 이 리턴 통로는 동일 연료도관(22)을 갖추고 있어서 이 연료도관(22)은 내연기관(14)의 접속편(24) 또는 저장탱크(12)의 접속편(24)에 고정되어 있다. 연료공급 장치의 일부로서 플랜지(26)가 추가로 설치 될 수 있다. 이 플랜지(26)에 의해 저장 탱크(12)에 설치된 개구(28)의 폐쇄가 가능하다. 이 플랜지(26)는 연료 라인(16 및 22)의 단면상에 접속편(30)을 가지며 이 접속편은 저장탱크(12)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며 고정되어 진다. 추가 부품이 또다른 연료공급 장치의 일부가 될수 있고, 상기 부품상에는 또한 연료 라인이 접속편상에 고정된다.
이어서 실시예로서 연료공급 유닛(10)의 접속편(20)에 고정된 연료도관(16)의 구성을 기술한다. 이 구성은 연료공급 장치의 모든 다른 연료도관에도 꼭같이 적용된다. 연료도관(16)은 파이프형성에 있어서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파이프(16)는 적어도 단면에서 파상(波狀)으로, 말하자면 파형관(波形官)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이 파이프(16)는 그것의 연장에 있어서 가요성있게 그 상태의 설치 조건에 대해 파이프의 코스를 넘어서 적응할 수가 있다. 접속편(2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 개의 칼라(34)가 배치되어 있고 유리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된 복수의 칼라(3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칼라(34)는 접속편(20)의 자유 단으로 향한 면에 경사지게 모떼기 되어 있으므로 파이프(16)를 간단하게 덮어 끼울수가 있다. 칼라(34)의 대향면은 접속편(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데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편(20)은 선단이 접속편(20)의 자유 단을 향해 전나무 형상을 하고 있다. 파이프(16)는 접속편(20)에 고정시키기 위해 단부 영역에서 가열되고 이에 따라 확장되고 접속편(20) 위에 칼라(34)를 거쳐서 밀어서 끼워질 수가 있다. 파이프(16)는 냉각시에 다시 수축하여 이때 칼라(34)가 파이프 내부로 파고들어 접속편(20)상에 파이프(16)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이 파이프(16)는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선택적으로 이 파이프(16)는 가열하지 않고 조립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파이프(16)의 단부에 상응하는 힘을 걸어서 접속편(20)상에 밀어서 끼워진다. 파이프(16)에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최대의 가압 영역에서는 파이프(16)는 접속편(20)의 전나무형상 윤곽에 고착되어 이탈(pulled off)에 대항해서 보존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파이프(16)는 접속편(20)을 지나서 돌출되고 접속편의 외주면상의 영역내에 접속편(20) 근처에서 외향 돌출되는 지지 비드(36, bearing bead)를 가진다. 이 지지 비드(36)는 유리하게는 파이프(16)의 1 개의 파형 단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중 복수가 서로 줄지어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16)의 단면을 가요성의 변위가능한 파형관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파이프(16) 또는 연료공급 유닛(1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16)를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비드(36)를 갖춘 잔류편(16a)을 접속편(20) 상에 남기도록 해서 분리할 수가 있다. 파이프(16)의 잔류편(16a)은 새로운 접속편을 형성하고 이 접속편 위에는 플렉시블 한 호스의 형상의 새로운 연료도관(23)이 고정 가능하다. 이 파이프(16)는 유리하게는 지지 비드(36)의 바로 뒤에서 분리되므로 남겨진 잔류편(16a)이 자유단은 거의 원추형으로 감소되는 지름으로(tapered)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계속해서 행해지는 호스(23)의 덮어 끼움은 간단하게 행해진다. 지지 비드(36)가 접속편(20)을 넘어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파이프(16)의 분리때에 접속편(20)이 부분적으로 함께 분리되지 아니하는 것이 보증된다. 지지 비드(36)는 튜브(23)의 활주이탈을 방지하고 이 튜브(23)는 경우에 따라서는 부가적으로 접속편(20)위에 배치된 잔류편(16a)에 튜브 클램프(38)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지 비드(36)의 외주면, 접속편(20) 위에 남겨진 파이프(16)의 잔류편(16a)은 지지 비드(36)의 외주면상에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칼라(34)가 파이프(16)를 관통해서 가압하지 아니하므로 튜브(23)와 새로운 접속편과의 결합은 내구성이 있다.
도 4 에는 파이프(16)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 비드(36)가 접속편(20)상에 배치된 파이프(16)의 영역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파이프(16)는 접속편(20)을 지나서 연장되는 파이프의 영역상에 예를들면 노치 형상의 마킹(40, marking)을 가질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속편(20)의 단편(piece)이 절단 없이 분리된다. 지지 비드(36)는 이 경우 접속편(20)과 거의 같은 높이로 끝나거나 접속편(20) 위에서 이미 끝나 있고 파이프(16)의 잔류편(16a)의 평활한 단면을 위해 파이프(16)의 분리후에 접속편(20) 상에 남는다.

Claims (4)

  1. 자동차용 연료공급 수단으로서 하나이상의 연료 라인(16 pipe line)을 가지며, 이 연료 라인에 의해 연료공급 수단의 부품(10)이 서로간에 또는 자동차의 내연기관(14)에 접속가능하고 연료도관이 연료공급수단의 하나의 부품(10)의 접속편(20) 또는 내연기관(14)의 접속편(20)에 체결가능하며, 연료 라인(16)은 파이프 및 파이프의 외주면상의 하나이상의 칼라(34)를 가지는 접속편(20)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연료공급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6)는 접속편(20)의 근처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지지 비드(36 bearing bead)를 가지며, 파이프(16)의 분리로 상기 접속편(20)상에 잔존하는 잔류편(16a)과 지지 비드(36)를 가지므로서, 새로운 접속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 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6)의 적어도 소정 단면은 파형관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비드(36)는 파이프(16)의 파형 단면에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 수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비드(36)는 파이프(16)의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영역은 접속편(20)을 지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 수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비드(36)는 파이프(16)의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영역은 접속편(20)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 수단.
KR1019970705736A 1995-12-21 1996-08-02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Expired - Fee Related KR100280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7876.2 1995-12-21
DE19547876A DE19547876A1 (de) 1995-12-21 1995-12-21 Kraftstoffleitung für Kraftstofförder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PCT/DE1996/001447 WO1997023723A1 (de) 1995-12-21 1996-08-02 Kraftstoffleitung für kraftstofförder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339A KR19980702339A (ko) 1998-07-15
KR100280065B1 true KR100280065B1 (ko) 2001-10-27

Family

ID=778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7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0065B1 (ko) 1995-12-21 1996-08-02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84669A (ko)
EP (1) EP0843782B1 (ko)
JP (1) JPH11501103A (ko)
KR (1) KR100280065B1 (ko)
CN (1) CN1072769C (ko)
DE (2) DE19547876A1 (ko)
WO (1) WO1997023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7276A1 (de) * 1996-09-13 1998-03-19 Bosch Gmbh Robert Kraftstofförder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9907736A1 (de) * 1999-02-23 2000-08-24 Volkswagen Ag Dichtende Verbindung von Leitungen oder Rohren untereinander oder mit Behält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indung
FI112276B (fi) * 1999-04-01 2003-11-14 Uponor Innovation Ab Muhvilla varustettu muoviputki ja menetelmä muhvin muodostamiseksi muoviputkeen
DE19943260A1 (de) * 1999-09-10 2001-03-15 Mannesmann Vdo Ag Kraftstoffbehälter
DE10117969A1 (de) * 2001-01-19 2002-08-08 Siemens Ag Anschluss
JP4298357B2 (ja) * 2003-04-08 2009-07-15 三桜工業株式会社 管の接続構造
WO2007145779A2 (en) * 2006-06-14 2007-12-21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Tube seal components
US8070187B2 (en) 2006-08-21 2011-12-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Interface hose seal for low permeation flange of a fuel supply unit
US20090267307A1 (en) * 2008-04-28 2009-10-29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High Pressure Tube Seal
JP5132423B2 (ja) * 2008-05-22 2013-01-30 昭男 荒井 貫通ダクト部材とその部材を用いた中空壁のダクト構造
DE102008061575B4 (de) * 2008-12-11 2010-11-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Wellrohr einer Kraftstoffleitung
DE102013017499B4 (de) * 2013-10-17 2018-03-29 Kaco Gmbh + Co. Kg Brennraumabdichtung für Verbrennungsmotoren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US10788150B2 (en) 2018-03-22 2020-09-29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Tube seal
JP6886483B2 (ja) * 2019-03-15 2021-06-16 住友理工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9104494U1 (de) * 2019-08-15 2020-11-25 Rehau Ag + Co Verbindungselement sowie dieses umfassende Rohr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970A (en) * 1971-03-25 1975-04-08 Manostat Corp Tubing
US3838713A (en) * 1972-10-10 1974-10-01 Tu Co Inc Trailer tube and connection
DE2622269C3 (de) * 1976-05-19 1979-05-23 Technoform Caprano + Brunnhofer Kg, 3501 Fuldabrueck Anschlußeinrichtung zwischen einem Kunststoffrohr und einem stationären Anschlußstutzen
ES8100833A1 (es) * 1978-11-02 1980-12-16 Hoechst Ag Perfeccionamientos en tuberias de combustible hechas de un sistema compuesto de plasticos.
DE3311377A1 (de) * 1983-03-29 1984-10-04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Fluessigkeitsbehaelter, insbesondere kraftstoffbehaelter fuer kraftfahrzeuge
JPS63185987U (ko) * 1987-05-23 1988-11-29
US4768563A (en) * 1987-10-29 1988-09-06 Flexfab, Inc. Quick-disconnect hose
US5037143A (en) * 1989-09-15 1991-08-06 Dayco Products, Inc. Hose construction, coupling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143122A (en) * 1990-09-11 1992-09-01 Bundy Corporation Composite flexible conduit assembly
US5259843A (en) * 1991-11-14 1993-11-09 Kawasumi Laboratories Inc. Medical connector for attaching to liquid introducing tube
ITTO920281A1 (it) * 1992-03-27 1993-09-27 Siceb Spa Sopporto per il condotto d'aspirazione di una pompa d'alimentazione del combustibile, particolarment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DE4224981C2 (de) * 1992-07-29 2003-06-2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4402224A1 (de) * 1994-01-26 1995-07-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769C (zh) 2001-10-10
KR19980702339A (ko) 1998-07-15
US5884669A (en) 1999-03-23
WO1997023723A1 (de) 1997-07-03
JPH11501103A (ja) 1999-01-26
DE59604550D1 (de) 2000-04-06
DE19547876A1 (de) 1997-06-26
EP0843782B1 (de) 2000-03-01
CN1173909A (zh) 1998-02-18
EP0843782A1 (de) 199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065B1 (ko)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US6155302A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ing a fuel line to a connecting piece
US5797377A (en) Fuel feed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4753459A (en) Joint for connecting an elastically-deformable hose to a rigid tube
US3889984A (en) Integral key-clamp for exhaust pipes
US6453941B1 (en) Pipe tubular element comprising a rigid longitudinal portion and a flexible longitudinal part in one single piece
US5662089A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from supply container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US5875820A (en) Fuel feeding device for vehicles
WO2018142285A1 (en) A fuel line assembly and system for conveying hydrogen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3840732B2 (ja) エンジンの燃料配管構造
US5755189A (en) Interconnection frame for an engine having rigid elongate conduits
JP2605232B2 (ja) 規格化された自動車の自動生産ラインの中途で自動車内に組付けるために整えられる、予め工場で製作される流体配管系
US11592132B2 (en) Fluid coupling with tolerance compensation for the flexible connection of two media-conducting elements
CA2706248C (en) Joint through a vehicle frame
US6398265B1 (en) Fluids conduction integrated system
EP1907743B1 (en) Clamp-connection hose for a fluid feed circuit in a motorvehicle
US20020135180A1 (en) Connector and pipe connecting assembly
KR102717232B1 (ko) 호스 결속용 커넥터
JPH03107692A (ja) 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US20070095840A1 (en) Fastening device
JPH0749004Y2 (ja) 燃料供給装置におけるジョイントホースの連結装置
KR970035627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주입파이프
KR820001571B1 (ko) 배관이 구비된 가스켓
JPH0868486A (ja) 配管接続構造
JPH0636931U (ja) グロメットによるコネクタ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