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7232B1 - 호스 결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호스 결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232B1
KR102717232B1 KR1020240046942A KR20240046942A KR102717232B1 KR 102717232 B1 KR102717232 B1 KR 102717232B1 KR 1020240046942 A KR1020240046942 A KR 1020240046942A KR 20240046942 A KR20240046942 A KR 20240046942A KR 102717232 B1 KR102717232 B1 KR 10271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astening
coupling
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국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4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7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2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결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호스(200)에 삽입되고 선단 외주에 고정돌기(112)가 돌출형성된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 후방에 위치되고 호스(20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삽입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형 결속홈(122)이 형성된 결속부(120); 다른 호스(미도시)와 결합되는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와 결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몸체(140); 링형으로 형성되고 결합부(130)측 내주면에 나선형 결속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돌기(15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40)에 위치된 상태에서 결속홈(122)을 따라 결속부(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이 호스(200) 외주에서 상기 삽입부(110)의 고정돌기(112)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결속링(150); 으로 구성되어 호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별도의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호스를 견고하게 잡아줌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결속용 커넥터{Connectors for hose binding}
본 발명은 호스 결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별도의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호스를 견고하게 잡아줌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오일, 브레이크 오일,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는 그 이동을 위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이송경로가 요구되고, 상기 기밀이 유지되는 이송경로는 통상 합성수지, 고무 등의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된 호스를 사용하여 주변상황에 맞게 굽혀서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 예로, 자동차의 냉각수는 엔진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라디에이터에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엔진룸 상황에 따라 상기 호스를 굴곡시켜 배치함으로써,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냉각수가 호스를 따라 이동하면서 엔진과 열교환한 후 다시 라디에이터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와 호스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호스와 호스의 연결부 등 호스가 다른 부품과 유로를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부분에는 내부의 유체가 세어나가지 않도록 결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호스와 호스 또는 호스와 파이프는 커넥터(10)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10)와 호스(20)의 결합부에는 고정클립(30)을 더 설치하여 호스(20)와 커넥터(10)간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1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호스(20) 내주로 삽입되는 삽입부(14), 상기 몸체(12)의 삽입부(14) 반대측에 구비되어 다른 호스(미도시), 파이프(미도시) 등 상대 부품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6)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6)가 다른 호스 등과 빠르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커넥터를 통상 퀵커넥터(Quick Connector)라 한다.
즉, 상기 퀵커넥터는 다른 호스 등과 별도의 도구없이 빠르게 연결 혹은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고정클립(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철편을 밴딩하여 링형으로 성형한 후, 마주보는 양단부는 고정클립(30)의 원주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여 그립부(32)(34)를 형성하되, 일측 그립부(32)로부터 몸체까지 연장되는 부분에는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6)이 형성되고, 타측 그립부(34)는 상기 장공(36)내로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커넥터(10)와 고정클립(30)으로 구성된 호스 체결 구조는 상기 그립부(32)(34)가 돌출되어 있어서, 주변의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30)은 주변 부품 상황에 따라 특정방향으로만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클립(30)을 체결하여 납품하는 경우 해당 호스가 원활하게 설치될 수 없고, 제품 품질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자동차의 경우 각종 파이프와 호스에 고정클립을 체결하는 경우 서로 다른 부품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호스의 배치공간 내지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있고, 이 경우 고정클립의 그립부 형상의 차이, 즉 길이나 폭 등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설치공간상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고정클립의 체결방향은 이러한 조건에 맞게 특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 고정클립은 상기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립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자 측면에서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는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의 그립부에 의하여 다른 부품의 배치에도 제한이 발생되므로 제품의 설계에 제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호스(20)에 대한 고정클립(30)의 결속작업후 장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호스(20)에 대해 결속된 고정클립(30)의 결속력이 해이해지게 되고 이는 고정클립(30)이 이탈되는 현상을 유발시키며, 이 경우 호스(20)내 유체가 세어나가거나, 상기 고정클립(30)의 충돌 등에 의한 제품 고장 문제가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가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할 경우 인명사고의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232424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별도의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호스를 견고하게 잡아줌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호스에 삽입되고 선단 외주에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 후방에 위치되고 호스와 단부가 맞물리고 외주면에 나선형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부, 다른 호스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결속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 링형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측 내주면에 나선형 결속홈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위치된 상태에서 나선형 결속홈을 따라 결속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단이 호스 외주에서 상기 삽입부의 고정돌기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결속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나선형 결속홈과 결속돌기는 복수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링의 호스측 선단에는 결속링의 확관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금속링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링의 호스측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호스측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링이 커넥터에 일체로 구비되고, 결속링은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호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제품설계가 자유롭고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속링은 호스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사용중에도 결속링의 지지력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호스와 커넥터간 연결불량이 발생하지 않게되고, 이로 인하여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지 않아 제품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고정클립 체결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호스와 커넥터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결속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결속용 커넥터와 호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결속용 커넥터와 호스의 결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결속용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결속용 커넥터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200)에 삽입되고 선단 외주에 고정돌기(112)가 돌출형성된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 후방에 위치되고 호스(20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삽입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형 결속홈(122)이 형성된 결속부(120), 다른 호스(미도시)와 결합되는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와 결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몸체(140), 링형으로 형성되고 결합부(130)측 내주면에 나선형 결속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돌기(152)가 돌출형성되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40)에 위치된 상태에서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형 결속홈(122)을 따라 결속부(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호스(200) 외주에서 상기 삽입부(110)의 고정돌기(112)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결속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10)는 호스(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고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호스(200)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선단 후방에는 외측으로 고정돌기(112)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112)는 그 외경이 호스(200)의 내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110)가 호스(20)내로 삽입된 후 호스(200)의 고정돌기(112)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이는 호스(200)가 고무, 합성수지 등 신장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속부(120)는 삽입부(110)보다 외부로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부(110)와 연결되는 결속부(120)의 단부가 호스(20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호스(20)의 외주면과 결속부(120)의 외주면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결속부(12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속홈(122)은 입구측은 결속돌기(152)의 치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내측 종단은 축방향을 따라 호스 (200)측으로 꺽여진 고정부(122a)가 형성되어 결속링(150)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120)의 외주에는 결속링(15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속돌기(15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축방향으로 결속돌기(152)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직선형으로 가이드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40)는 결속링(150)의 결속돌기(15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경보다 작거나 이와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결속링(150)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속링(150)의 내경은 결속부(120) 외경 즉 호스(200)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결속홈(12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결속돌기(152)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결속돌기(152)는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즉 축에 수직방향 단부가 삼각형 모양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링(15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200)측 선단(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즉 호스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고 몸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호스측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속링(150)의 호스측 선단에는 결속링(150)이 확관(신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금속링(154)이 구비되며, 상기 금속링(154)은 결속링(150)의 성형시에 인서트성형되고, 상기 상기 금속링(154)이 결속링(150)의 선단에 위치될 경우 금속링(154)의 선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금속링(154)이 결속링(15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내측 종단에는 외측으로 스토퍼(154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54a)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간격을 두고 간혈적으로 형성되어 결속링(150) 내부에서 금속링(154)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12)와 결속링(150)이 접하는 부분에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속링(150)의 내주면(금속링의 내주면 포함)에는 다수의 요철(154b)을 형성하여 요철(154b)과 호스가 견고하게 맞물려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홈(122)과 이에 안내되는 결속돌기(152)는 다수개로 형성하여, 호스와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호스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삽입부(110)를 호스 내로 끼워넣은 후, 상기 결속링(150)의 결속돌기(152)를 결속부(120)의 결속홈(122)을 따라서 나선운동시키면, 상기 결속링(150)이 호스(200)측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결속링(150)의 내주가 상기 삽입부(110)의 고정돌기(112)부분에 위치되면서 호스(200)를 압착하여 호스와 커넥터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스와 커넥터 결합과정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어디든 적용이 가능하고, 종래 고정클립과 같이 별도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110 : 삽입부 112 : 고정돌기
120 : 결속부 122 : 결속홈
126 : 가이드홈 130 : 결합부
150 : 결속링 152 : 결속돌기
200 : 호스

Claims (7)

  1. 호스(200)에 삽입되고 선단 외주에 고정돌기(112)가 돌출형성된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 후방에 위치되고 호스(20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삽입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형 결속홈(122)이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가이드홈(126)이 형성된 결속부(120);
    다른 호스(미도시)와 결합되는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와 결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몸체(140);
    링형으로 형성되고 결합부(130)측 내주면에 가이드홈(126) 및 나선형 결속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돌기(152)가 돌출형성되어 조립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126)을 따라 몸체(140)의 외주로 위치된 후 몸체(140)의 외주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결속홈(122)을 따라 결속부(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이 호스(200) 외주에서 상기 삽입부(110)의 고정돌기(112)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결속링(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110)를 호스(200) 내로 끼워넣은 후, 상기 결속링(150)의 결속돌기(152)를 결속부(120)의 결속홈(122)을 따라서 나선운동시키면, 상기 결속링(150)이 몸체(140) 외주에서 호스(200)측으로 이동하여 결속링(150)의 내주가 상기 삽입부(110)의 고정돌기(112)부분에 위치되면서 호스(200)를 압착하여 호스와 커넥터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속홈(122)은 입구측은 결속돌기(152)의 치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내측 종단은 축방향을 따라 호스(200) 측으로 꺽여진 고정부(122a)가 형성되어 결속링(15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링(150)은 호스(200)측 선단(A)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링(150)의 선단에는 금속링(154)이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링(15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요철(154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122)과 이에 안내되는 결속돌기(152)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122)의 내측 종단은 축방향을 따라 호스 (200)측으로 꺽여진 고정부(122a)가 형성되어 결속링(15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커넥터.
KR1020240046942A 2024-04-05 2024-04-05 호스 결속용 커넥터 Active KR10271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6942A KR102717232B1 (ko) 2024-04-05 2024-04-05 호스 결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6942A KR102717232B1 (ko) 2024-04-05 2024-04-05 호스 결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7232B1 true KR102717232B1 (ko) 2024-10-16

Family

ID=9328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6942A Active KR102717232B1 (ko) 2024-04-05 2024-04-05 호스 결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72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600Y1 (ko) * 2001-02-23 2001-07-19 임재희 파이프용 연결구
KR20140029719A (ko) * 2012-08-29 2014-03-11 코웨이 주식회사 유로 연결구조
KR2015007906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2324244B1 (ko) 2021-05-03 2021-11-10 평화산업주식회사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600Y1 (ko) * 2001-02-23 2001-07-19 임재희 파이프용 연결구
KR20140029719A (ko) * 2012-08-29 2014-03-11 코웨이 주식회사 유로 연결구조
KR2015007906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2324244B1 (ko) 2021-05-03 2021-11-10 평화산업주식회사 방향성이 없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848B2 (en) Pipe joint and pipe joint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374561B2 (ja) ホース用のクリップ結合具
JP2959565B2 (ja) 2つの流体ダクトを接続する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RU234259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патрубки соединяем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прием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арианты)
US5765877A (en) Pipe joint
KR0162154B1 (ko)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US5865474A (en) Cluster hose-pipe connector device capable of concurrent connection of hoses and pipes by single relative movement of connector holder and pipe holder
KR920006404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 커넥터
US7837234B2 (en) Pipe join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501216C (zh) 用于流体管线的插头式连接
KR20050054866A (ko) 파이프 조인트
WO2002055918A1 (fr) Pate d'etancheite pour joint
KR100403524B1 (ko) 두 개의 관형 커플링부분을 갖는 조립식 커플링
CN110382939A (zh) 排气夹具及方法
KR100556080B1 (ko) 배관용 이음쇠
EP2463569A1 (en) Duct connector
US6106028A (en) Snap-fastening coupling for a fluid duc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2717232B1 (ko) 호스 결속용 커넥터
JP5385495B2 (ja) 2つの管体を同軸的に連結する管体連結装置
CN107448683B (zh) 管道固定装置
US6991270B2 (en) Hose coupling assembly
CN108071886B (zh) 用于介质传导管线的联接装置
JP2008507245A (ja) 波形管用の連結接続部材
JP3700851B2 (ja)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JP2000055271A (ja) 配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