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873B1 - 반도체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5873B1 KR100265873B1 KR1019970065954A KR19970065954A KR100265873B1 KR 100265873 B1 KR100265873 B1 KR 100265873B1 KR 1019970065954 A KR1019970065954 A KR 1019970065954A KR 19970065954 A KR19970065954 A KR 19970065954A KR 100265873 B1 KR100265873 B1 KR 100265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voltage
- output node
- semiconductor integrated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6)
- 외부 전압이 공급되는 외부 전압 공급 노드와 제1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외부 전압보다도 높은 제어 전압이 인가되는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갖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1 강압 전압이 동작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제1 회로와,상기 외부 전압 공급 노드와 제2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2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소스·드레인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와는 채널폭 구동 능력이 다른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가 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에서 분리된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2 강압 전압이 동작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전압 공급 노드와 제1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전압 공급 노드의 전압보다도 높은 제어 전압이 인가되는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1 강압 전압이 동작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제1 회로와,상기 전압 공급 노드와 제2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2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소스·드레인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와는 채널폭이 다른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갖는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2 강압 전압이 동작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 전압 노드의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압 노드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1 강압 전압을 제1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에 접속된 제1 회로와,상기 제1 강압 회로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제2 전압 노드의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전압 노드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2 강압 전압을 제2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에 접속된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전압 노드의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전압 노드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1 강압 전압을 제1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동작 전압이 공급되는 제1 회로와,상기 제1 강압 회로와는 다른 전류 출력 능력을 갖고, 상기 전압 노드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전압 노드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2 강압 전압을 제2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동작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1 회로와는 다른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보다도 작고,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보다도 작고,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각각 여러개의 단위 트랜지스터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단위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각각 여러개의 단위 트랜지스터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단위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전류 누설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전류 누설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과는 비동기의 일정 주기를 갖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과는 비동기의 일정 주기를 갖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기판 바이어스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판 바이어스 발생 회로에서 사용되는 클럭 신호가 분주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기판 바이어스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판 바이어스 발생 회로에서 사용되는 클럭 신호가 분주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의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특징이 다른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모드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특성이 다른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모드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특성이 다른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모드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특성이 다른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모드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4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4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3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4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4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택일적으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택일적으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택일적으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상기 외부 신호 입력 회로의 외부 신호 입력에 관련하여 택일적으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원 전압을 동작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내장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 노드와 제1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제어 전압이 인가되는 제1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갖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1 강압 전압이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되는 상기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 내의 제1 회로와,상기 전원 노드와 제2 강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2 강압 출력 노드 사이에 소스·드레인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구동 능력이 다른 제2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가 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에서 분리된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제2 강압 전압이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되는 상기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 내의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원 전압을 동작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내장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외부 전원 전압보다도 낮은 제1 강압 전압을 제1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제1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 내의 제1 회로와상기 제1 강압 회로와는 다른 전류 출력 능력을 갖고,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압 노드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2 강압 전압을 제2 강압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제2 강압 회로와,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회로와는 다른 상기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 내의 제2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9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강압 회로는 상기 제1 강압 회로보다도 구동 능력이 낮으며,상기 제2 회로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RAS가 입력되는 RAS 입력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0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강압 회로는 상기 제1 강압 회로보다도 구동 능력이 낮으며,상기 제2 회로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RAS가 입력되는 RAS 입력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39항에 있어서,상기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보다도 작고,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3항에 있어서,상기 제1 N 채널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N 채널 MOS 트랜지스터는 각각 복수개의 단위 트랜지스터로 분할되어 있고, 각 단위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RAS가 입력되는 RAS 입력 버퍼이고,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RAS 입력 버퍼의 입력 신호에 관련하여 전류 누설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3 N 채널 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RAS 입력 버퍼의 입력 신호에 관련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는 리프레시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RAS 입력 버퍼의 입력 신호와는 비동기의 일정 주기를 갖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9항에 있어서,상기 클럭 신호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기판 바이어스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판 바이어스 발생 회로에서 사용되는 클럭 신호가 분주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RAS가 입력되는 RAS 입력 버퍼이고, 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전류 누설 특성이 다른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모드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누설 회로는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3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강압 출력 노드와 접지 전위 사이에 드레인·소스 경로가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트가 구동되는 제4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상기 RAS 입력 버퍼의 입력 신호에 관련하여 택일적으로 공급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제5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 신호는 리프레시계 신호이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RAS 입력 버퍼의 입력 신호의 액티브 기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다이내믹형 메모리 셀이 행렬형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외부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단자와,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신호 발생 회로와,상기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기판 바이어스 전위를 발생시키는 기판 바이어스 발생 회로와,외부로부터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RAS가 입력되는 RAS 입력 버퍼와,외부로부터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가 입력되는 CAS 입력 버퍼와,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리프레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프레시 제어 회로와,리프레시용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프레시 카운터와,행 어드레스 신호 또는 상기 리프레시 카운터의 출력 신호를 디코드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행을 선택하는 행 디코더와,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의 판독 전위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와,열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는 열 디코더와,상기 열 디코더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을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와,상기 열 선택 회로에 의해 선택되는 열과의 사이에서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 버퍼와,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강압하여 내부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강압 회로를 구비하는 다이내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형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상기 강압 회로는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하여 제1 강압 전압을 생성시켜, 상기 RAS 입력 버퍼 이외의 소정 회로의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제1 강압 회로와,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하여 제2 강압 전압을 생성시켜, 상기 RAS 입력 버퍼의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제2 강압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325267 | 1996-12-05 | ||
JP32526796A JP3410914B2 (ja) | 1996-12-05 | 1996-12-05 | 半導体集積回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3800A KR19980063800A (ko) | 1998-10-07 |
KR100265873B1 true KR100265873B1 (ko) | 2000-10-02 |
Family
ID=1817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59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5873B1 (ko) | 1996-12-05 | 1997-12-04 | 반도체 집적 회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990729A (ko) |
JP (1) | JP3410914B2 (ko) |
KR (1) | KR1002658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04609B2 (ja) * | 2000-02-16 | 2011-11-02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セルアレイ電源の上昇を防止したメモリ回路 |
JP2002084145A (ja) * | 2000-09-08 | 2002-03-22 | Nec Corp | Mos線形トランスコンダクタンスアンプ |
US6466497B1 (en) * | 2001-04-17 | 2002-10-15 | Sun Microsystems, Inc. | Secondary precharge mechanism for high speed multi-ported register files |
JP3786608B2 (ja) * | 2002-01-28 | 2006-06-14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US7253678B2 (en) * | 2005-03-07 | 2007-08-07 | Analog Devices, Inc. | Accurate cascode bias networks |
JP2007081654A (ja) * | 2005-09-13 | 2007-03-29 | Elpida Memory Inc | 半導体装置 |
JP4829034B2 (ja) * | 2006-08-09 | 2011-11-30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集積回路 |
KR100900784B1 (ko) * | 2007-01-03 | 2009-06-0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메모리소자 |
-
1996
- 1996-12-05 JP JP32526796A patent/JP3410914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
- 1997-10-29 US US08/959,774 patent/US599072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2-04 KR KR1019970065954A patent/KR10026587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410914B2 (ja) | 2003-05-26 |
JPH10172280A (ja) | 1998-06-26 |
KR19980063800A (ko) | 1998-10-07 |
US5990729A (en) | 1999-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15191A (en)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variable supply voltages to the memory cell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 |
KR100201723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US6489796B2 (en) | Semiconductor device provided with boost circuit consuming less current | |
KR100518399B1 (ko) | 내부 전압 레벨 제어 회로 및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들의제어 방법 | |
US6753720B2 (en) | Internal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capable of stably generating internal high voltage and circuit element therefor | |
KR0183413B1 (ko) | 차지-펌프형 부스터 회로 | |
KR100275394B1 (ko) | 반도체 집적 회로 | |
KR100714897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어레이 내부 전원 전압발생 방법 | |
KR100643620B1 (ko) | 메모리 장치 | |
JP2004139594A (ja) | 内部供給電圧のパワーアップ傾きを制御するための内部電圧変換器構造 | |
KR20010052050A (ko) | 데이터 유지 상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또한 안정된동작을 실현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
KR100328331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0265873B1 (ko) | 반도체 집적 회로 | |
KR100224959B1 (ko) |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 |
US6661734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5276651A (en) | Voltage generating device generating a voltage at a constant lev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0286183B1 (ko) | 반도체집적회로 | |
JP5045294B2 (ja) | カスコードカレントミラー回路を有する内部電源回路 | |
JP3110257B2 (ja) | 半導体集積回路 | |
JP2002124084A (ja) | 内部電圧レベル制御回路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 |
KR19990014107A (ko) | 스텝업 전압을 버스트 액세스용 출력회로에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부스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
US5946229A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evice supplying voltage higher than power supply voltage | |
KR100317101B1 (ko) | 전원전압보다더높은전압을공급하는회로를구비한반도체회로 | |
KR100299192B1 (ko) | 반도체집적회로 | |
JP3306048B2 (ja) |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