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5306B1 -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306B1
KR100265306B1 KR1019930005523A KR930005523A KR100265306B1 KR 100265306 B1 KR100265306 B1 KR 100265306B1 KR 1019930005523 A KR1019930005523 A KR 1019930005523A KR 930005523 A KR930005523 A KR 930005523A KR 100265306 B1 KR100265306 B1 KR 10026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level
digital
cor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893A (ko
Inventor
고이찌 나까무라
다까시 아사이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69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29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86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378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2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3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 H04N5/185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for the black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7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reinsertion of DC or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2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영상 픽업 디바이스에서, 적칼러, 노칼러 및 청칼러 칼러신호의 신호 레벨은 신호처리 회로내에서 대충 조정되어, 비디오 신호의 블랙 레벨은 디지탈 신호처리 회로내에서 미세하게 조정됨으로써, 블랙 레벨을 쉽게 조정하고, 블랙 레벨 조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칼러 비다오 카메라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촬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디지탈 신호처리 회로룰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데이타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게이트 신호발생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레벨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피크 레벨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블럭 레벨 조정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휘도 레벨이 첨예하게 상승하는 부분의 억제를 도시한 신호 파형도.
제9a도 및 9b도는 게이트 신호 발생을 도시한 신호 파형도.
제10도는 레벨 게이트 신호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신호 파형도.
제11도는 화이트 밸런스의 잘못된 조정을 도시한 개요도.
제12도는 부분적으로 고휘도를 갖는 부분이 존재할때 화이트 밸런스의 잘못된 조정을 도시한 개요도.
제13도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개요도.
제14도는 블랙 레벨 조정처리를 도시한 순서도.
제15도는 화이트 레벨 조정처리를 도시한 순서도.
제16도는 셰이팅 보정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체 촬상장치 10 : 중앙 처리장치
16 :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 18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20 :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 24 : 비디오 신호 처리회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어 텔레비젼 카메라에 사용될 수 있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이런 형의 촬상장치는 생성된 영상신호의 증폭 계수가 스위치될 때 조차 블랙 레벨이 조정되기 때문에 상기 블랙 레벨이 변화하지 않도록 설게되어 왔다. 특히, 이런 형의 촬상장치에서, 고체 영상 소자(solid-state image element)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칼러신호로 변환되고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증폭 계수가 생성된 영상이 어두울 때 이득 스위칭 동작 소자의 동작에 따라서 스위칭될 수 있도록 한다.
촬상장치는 사전에 메모리 회로에 기억된 보정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칼러신호들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 동작을 수행하고 이득 스위칭 동작 소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보정 데이타를 스위칭하므로써 서로 동일하게 되는 칼러신호들중에서 블랙 레벨을 만들도록 신호 레벨을 보정한다. 결과적으로, 블랙 레벨은 변화하지 않는다.
촬상장치는 각 칼러신호의 블랙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토대로 보정데이타를 설정한다. 조정 동작의 단순화 및 조정 정확도의 증대가 영상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롤 제조하는데 기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슬된 조건에 따라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랙레벨을 쉽게 조정하고 블랙 레벨 조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외의 목적 및 새로운 특징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1) 전체 구성
제1도는 고체 촬상장치(CCD)(2)를 구동하여 소망물체의 영상을 생성시키는 촬상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촬상장치(1)는 타이밍 발생기(TG)(4)에 의해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기준 신호에 따라서 고체 촬상장치(2)를 구동시킨다.
촬상장치(1)에서, 조리개(6) 및 줌렌즈(8)는 고체 촬상장치(2)의 전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물체의 영상은 소망의 확대 계수 및 휘도로 고체 촬상장치(2)의 영상 플레인상에 생성된다.
이때에 중앙처리장치(COU)(10)는 줌 위치 검출회로(12)에 의해 생성된 영상의 확대 계수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를 토대로 조리개(6)의 조절을 스위칭한다. 결과적으로, 확대 계수가 변화될 때 조차도, 사용자가 원하는 휘도 레벨을 갖는 물체의 영상이 생성된다.
더구나, 촬상장치(1)는 고체 촬상장치(2)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샘플홀드회로(S/H)(14)로 샘플홀드하는데, 상기 샘플홀드회로는 상관 이중 샘플링 기술(correlation double sampling technique)을 사용하고 이 기술결과로 얻어지는 영상신호 S1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에 출력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는 각각의 칼러신호가 영상신호 S1를 토대로 발생된 후에 소정 증폭계수로 각 칼라신호를 증폭하며, 각각의 칼러신호의 레벨을 보정하므로써 셰이딩 보정등을 수행하고 증폭계수가 변화된 후에 화이트밸런스 조정 및 이들 증대 조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A/D)(18)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로 부터 출력된 칼러신호 SR내지 SB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블랙레벨 조정, 블랙밸런스 조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조리개 조정 및 플레어(flare)조정에 사용되는 데이타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필요한 만큼 이 검출 결과를 중앙처리장치(10)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각 신호 처리회로가 상기 데이타 검출결과를 토대로 중앙 처리 장치(10)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화이트 밸런스 조정등은 촬상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데이타 검출결과를 토대로 각 칼러신호의 레벨을 보정하여 플레어 조정을 수행하고 셰이딩 보정의 보정신호 SH를 발생시키고 보정신호 SH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D/A)(22)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촬상장치(1)는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O)에 의해 발생되는 보정신호 SH를 이용하므로써 셰이딩 보정을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회로(24)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 보정된 칼러신호를 수신하고 페디스틀 레벨(pedestal leverl)을 설정한다. 감마처리는 설정된 페디스틀 레벨을 갖는 칼러신호로 수행된다. 비디오 처리회로(24) 옆예 위치한 엔코더 회로(26)는 각각의 칼러신호를 휘도신호 및 칼러 차 신호로 변환한 다음에 이들 신호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시키고나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촬상장치(1)는 소망물체의 영상을 생성하고 비디오 신호 SV를 출력한다.
(2)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테스트 신호 발생회로(30)에 의해 각종 테스트신호 TS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선택기(32R, 32G, 32B 및 34R, 34G, 34B)에 출력시키고 중앙처리장치(10)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토대로 이들 테스트 신호를 스위칭한다.
결과적으로, 조정모드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필요한 만큼 각종 테스트 신호 TS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등을 조정한다. 따라서, 자가진단(self-diagnostic)모드에서, 전체 동작이 확인(confirm)될 수 있다.
더구나,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디지탈 신호로 형성된 칼러신호 SR내지 SB를 클램프 레벨 검출회로(36)에 공급하므로써, 칼러신호 SR내지 SB각각의 신호 레벨이 소정 타이밍에서 검출되도록 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회로(20)는 또한 신호 레벨 검출결과를 클램프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하므로써, 각종 칼러신호 SR내지 SB의 클램프 레벨을 설정하도록 한다. 선택기(32R내지 32B)는 칼러신호(SR내지 SB)를 선택하여 상기 칼러신호롤 장상 동작 모드에서 결함 보정회로(38)에 출력하는 반면예, 자가진단 모드에서, 접촉점(contact point)이 소정 타이밍에서 스위칭되어, 테스트 신호가 수직 블랭킹 주기의 일 수평 주사 주기동안 칼러신호 SR내지 SB대신에 출력되도록 한다.
대조적으로, 조정 모드에서, 선택기(32R내지 32R)는 중앙처리장치(1O)의 제어하에서 각 조정 아이템(item)에 따라 소정 타이밍에서 접촉점을 스위칭하여, 각종 테스트 신호가 각종 아이템을 손쉽게 조정하기 위하여 촬상장치(1)로 부터 나오는 칼러신호 SR내지 SB대신에 출력되도룩 한다.
자동 결함 보정회로(4O)는 각각의 칼러신호의 레벨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므로써 고체촬상장치(2)의 결함 픽셀을 검출하고 소정 메모리회로(도시되지 않음)에서 이들 결함 픽셀의 위치를 기억시킨다.
결함 보정회로(38)는 메모리 회로의 내용에 따라서 보간 계산 동작을 결함 픽셀의 위치에서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결함 보정회로(38)는 결함 픽셀에 인접한 픽셀을 토대로 보정한 칼러신호를 발생시키고 결함 픽셀의 칼러신호를 상기 발생된 칼러신호로 대체시킨다. 결과적으로, 결함 보정회로(38)는 결함이 고체촬상장치(2)에서 야기될때 조차도 영상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설계된다.
가산회로(42R내지 42B)는 플레어 보정회로(44)로 부터 각 출력되는 플레어 보정신호를 각각의 칼러신호에 가산하여, 형성된 형상의 플레어를 보정한다. 플레어 보정회로(44)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한 개산 결과를 토대로 플레어 보정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플레어 보정은 손쉬운 조정 동작을 요구하는 촬상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기(46R내지 46B)는 가산회로(42R내지 42B)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비디오 처리회로(24)에 출력하는데, 상기 비디오 처리회로(24)는 상기 가산회로 옆에 위치하여 선택신호 SEL1의 레벨이 스위칭될때 접촉점을 스위칭하므로써 출력신호 레벨을 "O" 레벨로 강하시킨다.
촬상장치(1)는 조정 모드 등에서 요구되는 바와같이 비디오 처리회로(24)의 입력 레벨을 "0"레벨로 강하시켜 비디오 처리회로(24)뒤에 위치한 회로 블럭의 전원을 세이브한다.
저역 필터(LPF)회로(48)는 고역 성분을 억제하므로써 결함 보정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칼러신호로 부터 잡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시킨다. 블랙 셰이딩 보정회로(50) 및 화이트 셰이딩 보정회로(52)는 저역필터(LPF)회로(48)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토대로 셰이딩 보정신호 SH1 및 SH2를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블랙 레벨 셰이딩 및 화이트 레벨 셰이딩은 셰이딩 보정신호 SH1 및 SH2 각각에 의위해 보정된다.
화이트 셰이딩 보정회로(52)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한 계산결과 D1를 토대로 각각의 칼러신호로 부터 셰이딩 보정하기 위한 셰이딩 보정신호 SH2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디지탈 신호처리회로(20)는 셰이딩 보정신호 SH1 및 SH2를 아날로그 신호처리회로(16)에 피드백하여, 화이트 셰이딩 보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블랙 셰이딩 보정회로(5O)는 선택기(34R 내지 34B)를 거쳐 셰이딩 보정신호 SH1를 출력하는데, 상기 선택기는 선택신호 SEL2가 상승시 보정신호 SH1 대신에 테스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촬상장치(1)는 셰이딩 보정신호 SH1 및 필요한 만큼 테스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므로써, 아날로그 신호처리회로의 조정 동작을 간단하게 되도룩 한다.
데이타 검출회로(54)는 저역필터회로(4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며, 플레어 보정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하는 데이타 등을 검출한다.
데이타 검출회로(54)는 결함 보정회로(38)의 메모리 회로에서 검출결과 만큼 얻어진 조리개 조정에 관한 데이타를 기억하여, 상기 메모리 회로의 내용이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리개가 손쉽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검출회로(54)는 레벨검출회로(90),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 계산회로(58), 피크레벨 검출회로(56), 비가산 혼합회로(NAM)(53), 조리개 검출회로(59)등으르 형성되어 있다.
데이타 검출회로(54)에 공급되는 칼러신호 SR내지 SB는 레벨 검출회로(90), 계산회로(58) 및 NAM회로(53) 각각에 공급된다. NAM회로(53)는 최고 레벨신호를 칼러신호 SR내지 SB중에서 선택하여 NAM신호 NMY를 출력한다. 상기 NAM신호 NMY는 조리개 검출회로(59) 및 피크 레벨 검출회로(56)에 공급된다. 조리개 검출회로(59)는 피크 검출 및 공급된 NAM신호를 토대로 동기 가산을 수행하고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리개를 조절한다. 계산회로(58)는 칼러신호 SR내지 SB의 신호레벨을 토대로(R+2G+B)의 계산을 수행하여,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 및 피크레벨 검출회로(56)에 공급되는 휘도신호 ADY를 발생시킨다.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휘도 ADY를 토대로 게이트 신호 GT1를 발생시켜 게이트 신호 GT1를 레벨검출회로(90)에 공급한다.
(3)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검출회로(54)는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에 의해 게이트 신호를 데이타 검출에 발생시킨다.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휘도신호 ADY의 레벨을 토대로 게이트 신호 GT1를 기준으로서 출력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에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을 설정하는 반면에 상기 회로(68)는 또한 자가진단모드 및 조정모드에서 테스트 신호검출의 타이밍을 설정한다. 즉,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는 휘도신호 DY를 비교회로(70 및 72)에 공급하므로써 비교 결과는 기준으로서 소정 비교기준 PK 및 LOW로 출력되도륵 한다. 비교기준 PK 및 LOW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설정된다. 제1비교 기준 레벨 PK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의 기준으로서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피크 레벨 검출회로(56)에 의해 검출된 피크 레벨로 설정되는 반면에, 제1비교기준 레벨 PK은 제1비교기준 레벨 PK보다 소정 레벨만큼 낮은 제2비교기준 레벨로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비교회로(70 및 72)는 제1비교기준 레벨로부터 제2비교기준 레벨까지의 영역 범위에서 휘도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레벨 게이트 신호 LVGT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제1 및 제2비교기준 PK 및 LOW를 스위칭하여, 휘도신호 ADY의 레벨을 갖는 각종 게이트 신호 LVGT를 기준으로서 발생시킨다. 게다가,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수직 동기신호 VD을 V카운터(74)에 공급하고 수평 동기신호 HD를 V카운터(74)및 H카운터(76)에 공급한다.
V카운터(74)는 카운터값이 수직 동기신호 VD에 의해 리셋된 후 일씩 수평 동기신호 HD를 카운트하고 2에 따라서 수직 주사 방향으로 라스터 주사 위치를 표시하는 카운트값을 출력한다. 대조적으로, H카운터(76)는 카운트값이 수평 동기신호 HD에 의해 리셋된 후 일씩 소정 클럭 신호를 카운트한 후, 그에 따라서 수평 주사 방향으로 라스타 주사 위치를 표시하는 카운트값을 출력한다.
비교회로(78)는 두 비교 기준값 UP 및 DWN을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V카운터(74)의 카운트값이 이들 두 비교 기준값 UP 및 DWN칸의 범위로 입력될때 출력 신호레벨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레벨이 소정 라스터 주사 위치에서 상승되는 게이트 신호는 수직 주사 방향에서 발생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비교회로(80)는 두 비교 기준값 LFI 및 RGT를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H카운터(76)의 카운트값이 이들 두 비교 기준값간의 범위로 입력될때 출력신호의 레벨을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레벨이 소정 라스터 주사 위치에서 상승될 때 게이트 신호는 수평주사방향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레벨이 생성된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 상승되는 각종 게이트 신호 WHGT를 발생시킨다. 비교 기준값 UP 및 DWN 및 보정 회로(78 및 8O)의 LFT 및 RGT은 중앙처리장치(1O)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므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게이트 신호 LHGT의 타이밍을 스위칭할 수 있다.
선택기(82)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 ARE0내지 ARE2를 토대로 동작을 스위칭한다. 자가진단 모드에서, 선택기(82)는 보정회로(78 및 80)로 부터 출력된 게이트 신호 WHGT 또는 블랭킹 신호 BLK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반면에,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에서 선택기(82)는 레벨 게이트 신호 LVGT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제9a도 및 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신호 ADY(제9a도)의 레벨이 첨예하게 상승될 때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레벨 게이트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레벨이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첨예하게 상승한 부분 이외에서 상승하며, 레벨 게이트 신호 LVGT를 게이트 신호 GT1(제9b도)로서 선택하고 출력하므로써,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을 설정한다.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은 휘도 레벨이 첨예하게 상승하는 부분이외에서 설정되며, 조명이 반사되는 부분 이외에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손쉽고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선택기(8)로부터 게이트 회로(86)에 선택된 출력을 공급하며 상기 게이트 회로(86)에서, 제1게이트 신호 CLR 및 제2게이트 신호 LCH 중앙처리장치(1O)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MSLO내지 MSL2 를 스위칭하는 모드에 응답하여 선택된 출력을 토대로 발생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게이트 신호 CLR 및 LCH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조정 동작을 간단히 하고 동작 모드등을 확인할 수 있다.
(4) 레벨 검출회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검출회로(70)는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로 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 GT1를 기준으로서 각종 신호를 검출하고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이 검출결과로 적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간의 신호 레벨차 및 청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간의 신호 레벨자를 검출한다. 즉, 레벨검출회로(90)는 래치회로(94)를 통해 선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92)에 각종 칼러신호 SR내지 SB를 공급한다.
중앙처리장치(10)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토대로, 선택기(92)는 자신의 접촉점을 스위칭하여, 칼러신호 SR내지 SB의 레벨이 본 실시예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선택기(92)는 필드장치(field units)의 접촉점을 스위칭하고 또힌 필드장치에서 녹칼러 신호 SR 또는 청칼러 신호 SB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대조적으로 조정 및 자가진단 모드에서, 접촉점은 필드장치에서 교대로 스위칭되므로써, 칼러신호 SR내지 SB를 교대로 순환적으로 출력한다.
칼러신호 SR내지 SB에 추가하며, 선택기(92)는 카운터회로(95)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을 토대로 칼러신호 SR내지 SB대신에 3필스의 일사이클에서 상승하는 기준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게이트 회로(96)는 게이트 신호 GT1의 레벨이 상승되는 주기동안 선택기(92)로 부터 나오는 선택된 출력을 래치회로(98)에 출력하므로써,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영역에서 칼러신호 SR내지 SB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대조적으로, 자가진단 및 조정모드에서, 상기와 유사한 게이트 회로(96)는 게이트 신호 GT1의 레벨이 상승되는 시간 주기동안 래치회로(94)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송출하므로써, 수직 블랭킹 주기동안 칼러신호 SR내지 SB에 관계하는 수평 주사 주기 신호, 비디오 주기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게이트 회로(100)는 래치회로(102)를 통과하는 녹칼러 신호 SG를 수신하고 선택하여 게이트 신호 GT1의 레벨이 상승되는 주기동안 상기 녹칼러 신호 SG를 래치회로(104)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레벨 검출회로(90)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을 절단하고 칼러신호 SR내지 SB를 출력한다.
감산회로(106)는 선택기(108 및 110) 각각을 거쳐 래치회로(98 및 104)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이들 신호의 감산 출력의 가산회로(112)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라벨 검출회로(90)로 필드 사이클에서 교대로 녹칼러 신호를 적칼러 신호로부터 감산하므로써 얻어진 제1감산된 출력신호 및 녹칼러 신호를 청칼러 신호로부터 감산하므로써 얻어진 제2감산 신호를 출력한다.
대조적으로, 조정 및 자가선택 모드에서, 선택기(110)는 중앙처리장치(1O)로 부터 나오는 제어신호 SEL4를 토대로 출력신호의 레벨을 감소시키므로써, 예를들어 블랙 레벨을 조정하는 데이타가 검출될 수 있도록 감산회로(106)의 감산 동작을 중지시킨다.
레벨 검출회로(90)는 래치회로(9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 이외에도 선택기(108)에 소정의 감산출력을 입력하므로써, 감산출력의 신호레벨이 검출될 수 있도록 선택기(108)의 접촉점을 스위칭한다.
가산회로(112)는 AND회로(114)를 통해 출력신호를 래치회로(116)에 출력하고 래치회로(116)로 부터 나오는 출력 신호를 가산 입력으로서 피드백한다. AND회로(114)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수직 동기신호와 등기되는 클리어신호 CLR를 입력하므로써, 가산회로가 필드 사이클에서 선택기(108)로 부터 나오는 출력 신호를 수용(accommodate)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레벨 검출회로(90)에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영역에서의 적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간의 차 및 청칼러 신호 및 녹칼러신호간의 차는 필드 사이클에서 래치회로(116)를 통해 수용된다.
대조적으로, 자가진단 및 조정모드에서, 감산회로에 의한 감산동작이 중지되기 때문에, 신호 레벨 수용값은 게이트 신호 GT1 상승되는 주기에서 칼러신호 SR내지 SB에 관계하여 필드 장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선택기(118 및 120) 각각은 필드 사이클에서 접촉점을 스위칭하므로써, 래치 회로(122 및 124) 각각의 필드사이클에서 래치회로(116)의 수용값을 스위칭한다.
결과적으로, 레벨검출회로(90)는 래치회로(122 및 124)각각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영역에서 적칼러 신호 및 녹칼러신호간 및 청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간외 신호 레벨차 수용값을 래치하여 상기 수용값을 중앙처리장치(10)에 출력한다.
또한, 촬상장치(1)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수용 결과가 "0" 레벨에 도달되도록 한다.
대조적으로, 조정모드에서, 레벨 검출회로(90)는 신호레벨의 수용값이 게이트 신호 G1의 레벨이 상승되는 주기동안 칼러신호에 관계하여 래치회로(122 및 124)에서 순차적으로 그리고 순환적으로 기억되도룩 한다. 촬상장치(1)는 상기 수용값을 토대로 각 회로 블럭을 조정한다.
자가 진단모드에서, AND회로(114)에 입력되는 클리어 신호 CLR는 수직 블랭킹 주기에서 보간되는 테스트 신호 TS의 상승시에 그리고 비디오 주기의 상승시에 상승되도록 한다. 이에 응답하여, 각 클리어 신호 CLR의 상승 타이밍을 기준으로서 신호레벨의 수용값은 래치회로(122 및 124)에서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촬상장치(1)는 래치회로(122)에 기억된 수용값을 토대로 수직 블랭킹 주기에서 보간되는 테스트 신호를 모니터하고 래치회로(124)에 기억된 수용값을 토대로 비디오 주기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회로블럭에서 비정상이 예를들어 조리개(6) 조정동안 검출되도룩 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레벨 검출회로(90)는 래치회로(9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플립-플롭(FF)회로(126)에 공급하여, 검출된 출력이 발생되어, 그로 인해 신호레벨이 예를들어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플립-플롭회로(126)을 거쳐 화이트 밸런스 조정 영역내에서 고체촬상장치(2)의 픽셀단위로 상승한다.
카운터(130)는 선택기(128)를 거쳐 플립-플롭회로(126)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필드사이클에서 출력신호를 카운트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 GT1가 상승되는 주기동안 픽셀수는 검출된다.
결과적으로, 촬상장치(1)에서, 래치회로(122 및 124)의 수용값은 카운터(130)의 카운트값에 의해 분할되며, 일픽셀 단위로 신호레벨을 손쉽게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기(128)는 소정제어신호 CSL을 토대로 접촉점을 스위칭하여, 레벨 검출회로(90)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이외의 동작모드에서 필요한 만큼의 각종 카운트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기(128) 동작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선택기(128)는 비교회로(132)를 거쳐 래치회로(9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비교회로(132)는 래치회로(9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설정된 비교 기준값 PRK과 비교한 결과를 기준으로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레벨검출회로가 기준레벨을 초과하는 각종 칼러신호의 픽셀수를 검출할 수 있다.
(5) 피크레벨 검출회로
데이타 검출회로(54)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모드에서 제6도에 도시된 피크레벨 검출회로(56)에 의한 피크 레벨을 검출하고 피크레벨의 이 검출결과를 토대로 화이트 조정영역을 설정한다.
선택기(60)는 소정기준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 윈도우 신호 WHEN을 갖는 휘도신호 ADY를 기준으로서 출력하고 그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의 주변부을 제외한(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AR로 표시된 영역에 대응)소정의 효과적인 검출영역에 관계하는 저역 필터(LPF) 회로(61)에 휘도신호 ADT를 출력한다.
저역 필터 회로(61)는 휘도신호의 고역 성분을 억제하여, 휘도레벨이 수평 주사방향으로 첨예하게 상승하는 일부 휘도 라벨을 억제하도록 하고 출력하도록 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레벨은 조명이 반사되는 부분 K2(제12도)과 같은 부분에 관계하는 수평주사 방향에서 첨예하게 상승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 레벨은 휘도레벨이 상술된 바와 같이 첨예하게 상승하는 부분에 관계하는 빗금친 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저역 필터회로에 의해 손쉽게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피크레벨 검출회로(56)는 휘도레벨이 상기와 같이 첨예하게 상승하는 부분을 제외한 피크레벨을 검출하며,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손쉽고 신뢰할 수 있게 수행할 수 있다.
저역필터회로(61)는 중앙처리장치(10)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NDR를 토대로 동작을 스위칭하여, 주파수 특성이 스위칭되고 동작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이외의 동작모스에서 필요한 만큼 중지되도록 한다.
피크검출회로(62)는 저역필터회로(61)를 거쳐 입력된 휘도신호 ADY를 토대로 레벨을 검출하고 선택기(64)를 거쳐 래치회로(66)에서 이 방향의 결과를 래치한다. 결과적으로, 피크레벨 검출회로(56)는 효과적인 검출 영역내에서 휘도신호의 피크레벨을 검출하고 래치회로(66)에서 이 방향의 결과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크레벨 검출회로는 다른 조정모드에서 칼러산호의 피크레벨을 검출한다. 그러므로, 선택기(60)는 필요한 만큼 계산회로(58)로 부터 나오는 출력신호 대신에 NMY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대조적으로, 래치회로(66)는 선택기(64)를 거쳐 출력신호를 피드백하여, 선택기(64)가 필요한 만큼 선택되어 래치된 데이타가 갱신되도륵 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촬상장치(1)의 어셈블리 유지(assembly maintenance)동안 소정의 지그(jig)를 거쳐 입력된 직렬 데이타를 토대로 동작을 스위칭하므로써, 조정모드로 스위칭징되도록 한다.
이 조건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음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토대로 조정 아이템에 따라서 프로그램 처리를 실행하므로써, 자동적으로 상기 조정 아이템을 조정한다.
제14도를 참조하며, 중앙처리장치(10)의 블랙레벨 조정에서, 상기 공정은 조리개(6)가 닫혀지는 단계 SP11로 부터 단계 SP12까지 진행되고 상기 공정은 단계 SP13로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제어신호를 게이트신호 발생회로(68)에 출력하여, 비교기준 LFL RGT, UP 및 DWN이 설정되어 선택기(82)의 접촉점이 스위칭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중앙처리장치(10)는 신호레벨이 생성된 영상의 효과적인 영여에서 상승되는 게이트 신호 GT1를 발생시키고나서, 상기 공정이 단계 SP14로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레벨 검출회로(90)의 래치회로(122 및 124)에서 래치된 수용값을 입력하고나서, 상기 수용값은 카운터(130)의 카운트값에 의해 각각 나누어진다.
즉, 촬상장치(1)에서, 조리개(6)는 완전히 닫혀지기 때문에, 래치회로(122 및 124)의 수용값은 카운터(130)의 카운트값에 의해 나누어져, 블랙레벨이 일픽셀 단위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필드장치에서 래치회로(122 및 124)에서 수용값을 래치하므로써, 기수 및 우수 필드에서 칼러신호외 블랙 레벨을 검출한다. 즉, 고체 촬상소자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의 블랙레벨이 필드로부터 필드까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필드에 대한 블랙레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이유로, 중앙처리장치(10)는 우수 및 기수 필드에서 블랙레벨을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를 토대로 블랙레벨을 보정한다.
이 검출결과가 얻어질때, 중앙처리장치(10)는 검출결과에 비례하는 보정값이 프리셋 셰이딩 보정값에 가산되는 다음 단계 SP15로 진행되어 보정 데이타 DP를 발생시키고 보정 테이타 DP는 셰이딩 보정회로(50)에 출력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레벨 셰이딩 보정신호 SH1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16)에서 가산회로(132)에 의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31)를 거쳐 칼러신호 SR내지 SB는 가산된다. 그 후에, 칼러신호 SR내지 SB는 미득 증폭기(134)에 의해 증폭되고 칼러신호 SR내지 SB는 다음 위치화된 증배회로(136)에 의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33)를 거쳐 화이트 레벨 셰이딩 보정신호에 의해 증배된다.
게다가, 칼러신호 SR내지 SB가 다음 위치화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18)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판된 후, 플레어 보정신호 DF는 가산회로(42R내지 42B)에 의해 가산되므로써, 플레어롤 보정한다. 다음에, 페니스를 비교회로(150)로부터 출력되는 비교신호는 비디오 처리회로(24)의 가산회로(140)에 의해 가산되며, 그에 따라서 페다스트 레벨을 설정한다.
이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블랙레벨의 검출결과를 토대로 셰이딩 보정 신호 SH의 직류레벨을 보정한다. 셰이딩 보정신호 SH1는 가산회로(132)에 의해 칼러신호에 가산되어, 블랙레벨 셰이딩을 보정하고 블랙레벨을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블랙레벨은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다음에, 중앙처리장치(1O)는 셰이딩 보정신호 SH1가 메모리 회로에서 보정되는 직류레벨을 보정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공정은 래치회로(122 및 124)의 수용 결과가 다시 입력되는 단계 SP16로 진행하고 나서 상기 수용결과가 카운터(130)의 카운트값에 의해 나누어지므로써 일픽셀 단위에서 블랙레밸을 검출한다.
즉, 아날로그 형태의 칼러신호의 직류레벨이 보정될때, 잡음등의 영향으로 인해 높은 정확도를 갖는 레벨을 설정하기 어렵다. 더구나, 셰이딩 보정신호 SH1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31)를 거쳐 출력되기 때문에, 정확도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31)의 해상보다 높게 개선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칼러신호 SR내지 SB는 음영(shading) 교정후 에 이득 증폭기(134)에 의해 증폭되므로, 이득 증폭기(134)의 이득이 증가될 경우, 블랙레벨의 매우 작은 오프셋은 증폭되어, 그런 범위(extent)로 출력되며, 연속단에서 비디오 처리회로(24)등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직류전류레벨이 칼러신호에 관하여 아날로그 신호형으로 고정될시에, 레벨이 고정치로 수렴하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리는 결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 레밸의 재검출의 결과에 의해 교정 데이타 DP를 비디오 처리회로(24)로 출력시킨다. 아나로그 신호처리회로(16)는 교정데이타 DP에 따라 블랙레벨을 대충 조정하여, 블랙레벨은 디지탈 신호처리시스템에 의해 미세하제 조정된다.
연속단계 SP17에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레벨의 재검출에 의해 페데스탈(pedestal)레벨을 세트하는 교정데이타 DP의 값을 교정함으로써, 비교 데이타는 예정된 값에서의 페데스탈 레벨과 블랙레벨을 세트하도록 가산회로(140)에 의해 가산된다.
환언하면,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레벨의 검출결과에 의해 블랙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이때에, 아나로그 시스템에 의해 대충 조정된 후에 디지탈 시스템에 의해 미세조정은 수행되어, 블랙레벨을 쉽고 신뢰할 수 있게 조정하고, 조정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더우기, 조정의 정확도는 감마 교정전에 페데스탈 레벨을 세트하는 단계에서 이런 미세조정의 범위까지 개선될 수 있다.
이때에, 중앙처리유니트(10)는 각 짝수 및 홀수 필드동안 블랙 레벨검출의 결과를 성취시켜, 그런 검출에 의해 짝수 및 홀수필드내의 교정데이타 DP를 스위치 시킨다. 블랙레벨은 고체상태 영상 픽업소자로부터 출력신호로 필드에서 필드로 변할 수 있다. 그런 경우, 각 필드에 대한 블랙 레벨조정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가 필드유니트내에서 반복되므로, 변화는 아나로그 신호 처리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교정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레벨의 변화를 교정하도록 짝수 및 홀수필드내의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교정 데이타 DP를 스위치시킨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O)는 교정데이타 DP를 스위치시킨다. 따라서, 중앙처리 유니트(1O)는 교정데이타 DP의 내용물(contents)과 음영 교정신호의 교정값을 메모리 회로내에 저장시킨다. 그 후, 중앙처리유니트(10)가 블랙레벨이 모든 칼러 신호에 대해 세트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 SP18로 진행한다. 부결과치가 이런 경우에 성취되므로, 채널은 스위치되고, 프로세스는 단계 SP14로 복귀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단계 SP14-SP15-SP16-SP17-SP18-SP19-SP14의 처리 루프를 반복한다. 불랙레벨이 모든 칼러신호에 대해 완전히 교정되었을시에, 긍정적인 결과치가 단계 SP18에서 성취되기 때문에 프로세스는 단계 SP20로 진행한다. 단계 SP20에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레벨이 모든 이득에 대해 세트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부결과치가 이런 경우에 성취되므로, 이득 증폭기(134)의 이득이 스위치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 SP21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픽업 디바이스(1)에서, 칼러신호의 증폭 인수는 예정된 동작 소자를 동작시켜, 전체 영상면 브라이터(brighter)를 밝게 할 수 있음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콘트라스트되는 바와 같이 6[dB] 유니트내의 두 단계에서 스위치될 수 있다. 그래서, 가산회로(132)등 내에 오프셋 전압이 있을시에, 블랙레벨은 이런 이득 스위칭에 응답하여 변한다.
이런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각 이득에 대한 블랙레벨을 조정하며, 메모리회로내에 내용물을 저장시킨다. 그 후, 이런 동작 절차가 종료될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 SP22로 진행한다. 따라서, 각 칼러신호의 블랙레벨은 블랙레벨을 조정하도록 교정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O)는 음영교정신호 SH1의 직류 전류 레벨을 교정하고, 메모리 회로내에 저장된 직류레벨예 의해 동작상태로 가진 각각에 대한 페데스탈 레벨을 교정하는 교정데이타 DP를 교정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블랙레벨을 조정하고, 또한 칼러신호의 음영을 교정하는 동작 및, 페데스탈 레벨을 세팅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블랙레벨을 교정한다.
즉,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유니트(1O)는 동작상태에서 BSET에 대응하는 량만큼 음영 교정신호의 직류레벨을 시프트하고, 블랙 레벨검출의 결과에 의해 이런 시프팅량을 교정하며, 각 칼러신호의 블랙레벨을 대충 조정한다. 더우기, 중앙처리유니트(10)는 메모리 회로의 내용에 따라 교정데이타 DP의 값을 스위치하여, 각 칼러신호의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그래서, 영상 픽업 다바이스(1)는 블랙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그런 범위까지 어셈블리 및 유지보수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게 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수평 블랭킹 주기동안 예정된 타이밍에서 음영교정신호 SH1내로 검사신호 TS를 보간하고,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16)에서 디지탈 신호처리회로(20)까지 회로블럭의 동작상태를 모니터한다. 즉, 중앙처리유니트(10)는 예정된 레벨에서 유지된 검사신호 TS는 출력되도록 동작상태에서 검사신호 발생회로(30)를 세트시켜 수평 블랭킹 주기동안 예정된 타이밍에서 선택기(34R내지 34B)의 접촉점을 검사신호 TS측으로 스위치시킨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수평 블랭킹 주기동안, 예정된 타이밍에서 블랭킹 레벨 BLK에서 예정된 신호 레벨로 음영교정신호 SH1의 신호 레벨을 상승시키고, 음영교정신호 SH1를 가산회로(130)로 출력시킨다.
그래서, 음영 교정은 비디오 주기동안 음영교정신호 SH1에 의해 아나로그 신호처리회로(16)로 부터 칼러신호 출력상에서 수행되는 반면에, 신호는 검사신호 TS가 보간되는 주기동안 검사신호 TS에 대응하는 산호 레벨로 상승시킨다.
중앙처리유니트(1O)는 검사신호 TS의 상승과 비디오 주기의 상승에 따라 삭제(c1ear)신호 CLR의 레벨을 상승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데이타 검출회로(54)로 그런 조건에서 출력시킴으로써 비디오 주기의 검사신호 및 칼라신호의 신호레벨의 누산값은 검출된다. 그 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는 래치회로(122 및 124)내에 누산값을 저장하고, 래치회로(122)내에 저장된 검사신호의 누산값을 입력시키며, 신호레벨이 예정된 값인지롤 결정한다.
이득 증폭기(134)등이 불능(fail)일 시에, 데이타 검출회로(54)로 입력된 검사신호 TS의 신호레벨은 불능의 내용에 따라 변하고, 검사신호의 신호 레벨검출의 결과에 의해 아나로그 신호 처리회로(16)로 부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회로(18)까지 회로 블럭의 불능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신호레벨이 예정된 값과 다를시에, 중앙처리유니트(10)는 경보를 카메라맨에게 소리를 내도록 관찰 발견자(view finder)내에서 모니터 영상면상에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불능은 영상 픽업 디바이스(1)내의 초기단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고, 사용의 용이함(ease of use)이 그런 버무이까지 개선될 수 있다.
이때에, 검사신호 TS가 음영교정신호 SH1의 수평 블랭킹 주기내로 보간되고, 아나로그 신호 처리회로(16)로 출력되며, 전체 구성은 검사신호 TS가 단독으로 피드백되는 경우와 비교로 간소화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으로, 블랙레벨이 블랙레벨의 검출의 결과에 의해 예정된 값에서 세트되므로, 블랙 레벨은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 조정되어, 그런 범위까지 어셈블리 및 유지보수 동작을 간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이때에 블랙레벨을 대충 조정하도록 음영교정신호의 신호레벨을 교정하고,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페데스탈 레벨의 교정데이타 DP를 고정함으로써, 블랙레벨은 고 정확도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페데스탈 레벨을 세팅하는 교정데이타 DP가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교정되는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플레어(flare) 교정데이타 DF는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교정될 수 있다.
즉, 플레어 교정 데이타에서, 플레어 교정 데이타 DF의 값이 입사광랑에 따라 변하므로, 플레어 교정 데이타 DF의 값은 블랙 레벨의 검출의 결과에 의해 오프셋되어, 예정된 레벨에서 블랙레벨을 세트시킨다. 블랙 레벨은 또한 전술된 식으로 고정확도로 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음영을 교정하기 위한 가산회로는 블랙레벨을 대충 조정하는 대신에 이용되는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공급된 가산회로는 블랙레벨이 이런 가산회로의 가산신호를 스위치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제각기 제공 수 있다.
게다가, 블랙레벨이 자동으로 조정된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로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들어 교정 데이타등이 수동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블랙레벨이 영상면의 유효 영역내에서 검출되어, 자동으로 조정된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에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들어 블랙레벨이 검출되어 비디오 주기에 관해서 조정되는 경우나, 예정된 영역이 유효영역내에서 세트되고, 블랙레벨이 이런 영역내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엔코더의 블랙레벨이 기준레벨로 조정되는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로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들어 적칼러 및 청칼러 칼러신호의 블랙레벨은 블랙바란스(balance)를 조정하도룩 기준으로서 녹칼러 칼러로 이런 블랙레벨에서 세트될 수 있다.
게다가, 검사신호가 회로 블럭의 동작을 모니터하도록 수평 블랭킹 주기에 보간되는 경우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로 제한되지 않지만, 그러나 예를들어 검사신호는 생략되고, 모니터링/동작도 생략될 수 있다.
그 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는 화이트 바란스 조정모드에서 제15도에 도시된 동작과정을 실행시킨다.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이 세트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수행될 시에, 사실상 전체 영상면의 대락 10%의 영역은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확실히 수행시키도록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으로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피크레벨이 검출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이 세트될시에,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성 램프 K1가 영상면 M의 유효영역 AR내에 제공될 경우, 형광성 램프 K1는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내에 잘못 세트되는 위험이 있다.
게다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위해 예비된 화이트 페이퍼등에 광이 반사되고, 고레벨의 명도를 가진 부분 K2이 부분적으로 일어날지라도, 이런 부분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내에 잘못 세트되는 위험이 있다.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이 상기와 같이 좁을 시, 더우기 매우 높은 레벨의 명도를 가진 부분이 제공될 시에,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명확하게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은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이 검출될시에, 음영 패턴은 이런 영역내에 디스플레이되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맨의 주의를 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에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은 단지 디스플레이 된다. 결국, 카메라맨은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래에 기술된 동작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된다.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동작패널상에 제공된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개시하는 동작 소자가 턴온될 시에, 프로세스는 단졔 SP21에서 단계 SP22로 진행한다. 전체 영상 픽업 디바이스(1)의 동작 모드가 화이트 바란스 조정 모드에서 세트된 후, 피크레벨의 검출결과는 피크레벨 검출회로(56)로부터 입력된다.
그 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의 비교기준 레벨로 PK및 LOW이 세트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 SP23로 진행한다. 특히, 중앙처리유니트(1O)가 제1비교기준 레벨 PK에서 피크레벨 검출회로(56)에 의해 검출된 피크레벨을 세트시킨 후, 제1기준레벨 PK1 보다 예정된 레벨 만큼 낮은 레벨을 제2기준 레벨 LOW1에서 세트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O)는 피크레벨의 검출의 결과에 의해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을 세트시킨다.
그 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카운터(130)의 카운트값이 입력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단계 SP24로 진행하며, 여기서, 고체상태 영상 픽업 디바이스 영역이 카운트값에 의해 유화 영역의 1O%이상인지가 결정된다.
명도 레벨이 급히 상승하는 부분이 저역통과 필터회로(61)를 이용함으로써 억압될 지라도, 예를들어 수평 주사방향의 긴 부분을 가진 형광성 램프에 관해 명도레벨을 억압하기가 어렵다. 이런 상황은 제11도를 참조로 설명된다.
상기 경우에, 고역통과 성분을 수직으로 억압하는 고역통과필터 회로를 수직으로 억압하는 2차원 저역통과 필터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형광램프내에서와 같이 수평길이부에 관해 피크레벨을 억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전체 구성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의 사이즈는 초기에 세트된 제1기준레벨 PK1 및 제2기준 레벨 LOW1에 따라 검출된다. 검출된 영역이 예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시에, 제1기준레벨 PK2 및 제2기준 레벨 LOW2은 교대로 갱생(update)됨으로써, 형광램프에서와 같은 고레벨의 명도를 가진 부분은 제거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은 세트된다. 즉, 화이트 바란스 조정동안 기준 역할을 하는 화이트 보드등의 영상을 발생시키고, 이런 부분이 화이트 이도록 조정함으로써, 형광램프와 같은 부분이 비교적 큰 영역에서 영상내로 형성될지라도, 이런 영역은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위한 기준부와 비교될 만큼 작다. 그래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이 유효 영역의 10%이상인지의 그 여부의 결정은 형과 램프내에서와 같은 부분이 쉽게 검출되게 한다.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부결과가 단계 SP24에서 성취될 경우, 프로세스는 제1기준레벨 PK2이 제2기준레벨 LOW1로 갱생되는 단계 SP23로 복귀하며, 상기 레벨 LOW1은 그때에 설정되어, 제1기준레벨 PK 보다 예정된 레벨만큼 더욱 낮은 제2기준레벨 LOW2에서 세트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단계 SP23-SP24-SP23의 동작 루프 Loop1를 반복하여, 제1 및 2 기준 레벨을 갱생시킨다. 화이트 바란스 영역일 경우,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 SP24에서 성취되어, 중앙처리유니트(10)의 프로세스가 단계 SP25로 진행하게 한다.
그 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는 제어신호를 레벨 검출회로(90)로 출력시켜, 화이트 바란스 조정 모드에서 선택기(108)등을 세트시킨다. 그때, 프로세스는 단계 SP26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래치회로(122 및 124)내에 저장된 누산값은 카운터(130)의 카운트값과 함께 적재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위한 교정 데이타 DW는 누산값이 "0" 레벨에서 세트되도록 만들어진다.
그다음,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 SP27로 진행하며, 여기서, 교정 데이타 DW는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16)로 출력됨으로써, 적칼러 및 청칼러 신호의 증폭 인수는 스위치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은 수행된다.
따라서, 적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의 레벨차와, 청칼러 신호 및 녹칼러 신호의 레벨차가 감마(gamma)교정전에 검출되므로, 화이트 바란스의 변화상태는 고정확도로 검출될 수 있다.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이런 검출결과에 의해 수행되므로, 화이트 바란스 조정은 고정확도로 수행될 수 있다.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이런식으로 수행될 시에, 중앙처리유니트(10)는 아나로그 신호처리회로(16)로 출력된 교정 데이타 DW를 메모리 회로내에 저장된다. 이때에, 중앙처리유니트(1O)는 팩토리(factory)로 부터의 선적(shipment)동안 먼저 세트되는 표준칼러 온도에서의 교정 데이타 DW를 제1메모리 스페이스내에 저장된다. 제1메모리 스페이스 이외에, 제2 및 3메모리 스페이스는 또한 예비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l0)는 화이트 바란스 조정동안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제2 및 3메모리 스페이스내에 교정 데이타 DW를 저장시킨다.
따라서, 영상 픽업 디바이스(1)는 이들 제2 및 3메모리 스페이스내의 교정 데이타 DW를 스위치시켜,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16)로 출력시키고, 제1 및 2화이트 바란스 조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형상 서브젝트(subject)를 폴로우(follow)할 동안 화이트 바란스 조정 모드가 스위치되고, 영상-수신자리 (image-taking site)가 외부분(outdoors)으로 부터 내부분(indoors)으로 이동될시에도, 영상 픽업 디바이스(1)는 이런 이동의 결과로서 칼러 온도의 변화에 뒤따를 동안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쉽게 수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중앙처리유니트(1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 SP28로 진행하며, 이때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위한 교정 데이타 DW는 성취되고, 여기서 블랙레벨동안 단계 교정 데이타 DP는 정 데이타 DW에 의해 결정되는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16)의 이득에 의해 검출된다.
이런 검출동작은 기준으로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으로 성취된 각 이득의 교정 데이타로, 계산 동작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중앙처리유니트(U))는 화이트 바란스 조정을 위한 교정 데이타 DW에 따라 제2 및 3메모리 스페이스내에 상기 계산동작의 결과를 저장시키며, 프로세스는 이런 동작 과정이 종료되는 단계 SP29로 진행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유니트(10)는 제1 및 2화이트 바란스 조정모드에 따라 블랙 레벨동안 제1 및 2교정 데이타 DP를 선택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화이트 바란스 조정의 이득의 스위칭의 결과로서 블랙 디바이스(1)에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모드가 스위치될 시에도, 블랙레벨의 변화가 방지되어, 발생된 영상의 질이 그런 범위까지 개선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타 검출회로(54)의 동작이 피크 레벨 및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을 검출하도록 스위치되고, 피크레벨 및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은 예기된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는 경우가 기술되었다.
게다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 영역이 전체 유효 영역의 1O% 이상일 시에 화이트 바란스 조정은 정확히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며, 이런 결정 기준은 필요한 만큼 다수값으로 세트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기준으로서 녹칼러 신호의 레벨로 수행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며, 여기서, 각 칼러신호는 예정된 기준레벨에서 세트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은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칼러신호의 레벨차가 감마 교정전에 검출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이 이런 신호 레벨차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며, 여기서, 컬러신호의 레벨차는 감마 교정 후에 교정되고, 화이트 바란스 조정은 신호 레벨차의 결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명도 레벨의 가파른 상승이 저역통과 필터회로에 의해 억압되고, 동시에 화이트 바란스 조정영역을 세팅하기 위한 제1 및 2기준 레벨을 갱생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며, 여기서 저역통과 필터회로는, 필요한 만큼 생략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실시예에서, 그때까지의 제2기준레벨이 제1기준레벨에서 신규 세트되고, 제2기준레벨이 제1기준레벨 보다 예정된 레벨만큼 낮아지는 레벨에서 세트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며, 여기서 제1 및 2기준레벨은 필요한 만큼 뜻대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서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내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주로 포함된 다양한 수정 및 등가장치를 커버할 수 있다. 후행하는 청구범위는 가장 광범위하게 해석되어, 모든 그런 수정 및 등가구조 및 기능을 포함한다.

Claims (5)

  1. (정정)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입사광에 응답하여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픽업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아나로그 교정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가산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블랙레벨을 제어하는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와, 상기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출력을 디지탈 신호로 헝성된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회로와,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의 블랙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회로, 상기 제1아나로그 교정신호에 따라서 제1디지탈 교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교정신호 발생회로, 디지탈 신호로 형성된 제2디지탈 교정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교정하는 제2교정신호 발생회로, 디지탈 신호로 형성된 제2디지탈 교정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디지탈 영상 신호의 블랙 레벨을 교정하는 제2교정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제2디지탈 교정신호를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에 가산하는 가산회로를 구비하는 디지탈신호 처리기와,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회로 및 상기 아나로그 신호 처리회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디지탈 교정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형성된 제1아나로그 교정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 회로와, 상기 제1디지탈 교정신호의 교정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아나로그신호 처리회로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출력의 블랙레벨을 대충 조정하고나서 상기 레벨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디지탈 영상신호의 블랙레벨에 따라 상기 제2디지탈 교정신호의 교정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지탈 영상 신호의 블랙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정신호 발생회로는 블랙음영 교정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비디오 카메라 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정신호 발생회로는 페데스탈 레벨 교정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비디오 카메라 장치.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정신호 발생회로는 플레이어(flare) 교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비디오 카메라 장치.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회로는 필드 유니트내에서 상기 디지탈 신호의 블랙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필드 유니트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교정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비디오 장치.
KR1019930005523A 1992-04-02 1993-03-31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65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9692A JP3252979B2 (ja) 1992-04-02 1992-04-02 撮像装置
JP92-110696 1992-04-02
JP11686492A JP3263789B2 (ja) 1992-04-08 1992-04-08 撮像装置
JP92-116864 1992-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93A KR930022893A (ko) 1993-11-24
KR100265306B1 true KR100265306B1 (ko) 2000-09-15

Family

ID=2645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523A Expired - Lifetime KR100265306B1 (ko) 1992-04-02 1993-03-31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10365A (ko)
EP (1) EP0564305B1 (ko)
KR (1) KR100265306B1 (ko)
DE (1) DE693191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2352A1 (en) * 1997-05-13 1998-11-19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pickup signal, and video camera
EP0926887A3 (en) * 1997-12-22 2001-03-21 Texas Instruments Inc. Automatic gain and offset control of a video decoder analog front end
US6518998B1 (en) * 1998-06-09 2003-02-11 Integra Medical Image quality 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black level of a video signal
US6359662B1 (en) * 1999-11-05 2002-03-1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defects in a multi-light valve display system
US7064785B2 (en) * 2002-02-07 2006-06-20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correcting for dark current in a solid state image sensor
US7084911B1 (en) * 2002-11-08 2006-08-01 Eastman Kodak Company Black level calibration method for imager with hysteresis comparison and adaptive step size
JP4333290B2 (ja) * 2003-09-04 2009-09-16 株式会社ニコン 黒レベル補正装置、及び電子カメラ
JP4345004B2 (ja) 2004-04-23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的黒レベル調整回路
JP4487751B2 (ja) * 2004-12-06 2010-06-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およびテレビジョンの調整方法
US20110216065A1 (en) * 2009-12-31 2011-09-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Multi-View Image
TWI387934B (zh) * 2009-12-31 2013-03-01 Ind Tech Res Inst 多視角影像之建構方法及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9473B2 (de) * 1971-12-01 1976-10-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treulichtkompensation
EP0074081B1 (en) * 1981-09-01 1986-12-03 Nec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unit
US4481535A (en) * 1982-08-09 1984-11-06 Xedar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for chopper type pyroelectric camera
US4599640A (en) * 1984-02-29 1986-07-08 Rca Corporation Television camera with multiplexed A-D converter
FR2570236B1 (fr) * 1984-09-07 1986-11-21 Thomson Csf Dispositif de correction des defauts d'uniformite induits dans les signaux issus d'une camera de television par les variations de vitesse d'analyse
JPH0346632Y2 (ko) * 1985-03-30 1991-10-02
NL8501635A (nl) * 1985-06-06 1987-01-02 Philips Nv Kamera voor televisie-, foto- respektievelijk filmopname.
US4694334A (en) * 1985-12-24 1987-09-15 Xedar Corporation Pyroelectric camera signal processing having pedestal signal level compensation
JPH0797830B2 (ja) * 1986-04-08 1995-10-18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の黒レベル補正回路
JPH074002B2 (ja) * 1986-08-20 1995-0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信号クランプ装置
JPS6437174U (ko) * 1987-08-28 1989-03-06
DE68921818T2 (de) * 1988-08-31 1995-09-07 Canon Kk Farbbildlesegerät.
JPH02119381A (ja) * 1988-10-28 1990-05-07 Toshiba Corp 黒レベル補正回路
EP0396746B1 (en) * 1988-11-17 1995-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cture receiver controller
GB2228643B (en) * 1989-02-28 1993-05-19 Sony Corp Video signal clamping
GB2230915B (en) * 1989-04-21 1993-09-15 Sony Corp Digital colour correction
JPH03128576A (ja) * 1989-07-07 1991-05-31 Konica Corp 画像読取装置
JP2519804B2 (ja) * 1989-09-07 1996-07-31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遅延回路
JP3033587B2 (ja) * 1989-11-10 2000-04-17 ソニー株式会社 自動画質調整装置
JPH0771290B2 (ja) * 1989-12-27 1995-07-31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KR930006900B1 (ko) * 1989-12-31 1993-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US5105276A (en) * 1990-11-15 1992-04-14 Eastman Kodak Company DC restoration of sampled imagery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4305B1 (en) 1998-06-17
DE69319164D1 (de) 1998-07-23
EP0564305A3 (en) 1993-11-03
KR930022893A (ko) 1993-11-24
EP0564305A2 (en) 1993-10-06
DE69319164T2 (de) 1998-10-15
US5410365A (en) 199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788078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KR100265306B1 (ko) 칼러 비디오 카메라 장치
US5767900A (en) Digital apparatus for contour enhancement of video signal
EP0467602B1 (en) Contrast corrector for video signal
JPH0534875B2 (ko)
US4635101A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JPH0254487B2 (ko)
JP3250676B2 (ja) 撮像装置
JP3263789B2 (ja) 撮像装置
JP3252978B2 (ja) 撮像装置
JP3252977B2 (ja) 撮像装置
JP3413776B2 (ja) 撮像装置
JP3252979B2 (ja) 撮像装置
JP3230693B2 (ja) 撮像装置
KR100571220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오토 컨버전스 조정장치
JP3348311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3417576B2 (ja) 撮像装置
JPH05284418A (ja) 撮像装置
JPH05292389A (ja) 撮像装置
KR100465562B1 (ko) 영상신호처리방법및영상신호처리장치
JPH0865689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5292529A (ja) 撮像装置
JPH066673A (ja) 撮像装置
JPH0220970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10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