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654B1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1654B1 KR100221654B1 KR1019960062631A KR19960062631A KR100221654B1 KR 100221654 B1 KR100221654 B1 KR 100221654B1 KR 1019960062631 A KR1019960062631 A KR 1019960062631A KR 19960062631 A KR19960062631 A KR 19960062631A KR 100221654 B1 KR100221654 B1 KR 100221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opening
- metal
- electrode pad
- metal p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a) 복수의 전극 패드와 그 전극 패드가 개방되도록 덮여 있는 보호막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에 상기 전극 패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를 전극 패드와 마스크의 개구부가 일치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b)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에 들어차도록 상기 마스크 상면에 금속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c)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가압 수단과 체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푸쉬 툴로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 들어차 있는 금속 페이스트를 가압하여 밀어 넣는 단계; 및(d) 상기 푸쉬 툴 및 마스크를 제거하고 전극 패드 부분에만 형성된 금속 페이스트를 리플로우시켜 금속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접촉되는 푸쉬 툴의 일면에 돌출된 부분들은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툴의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이 형성된 면이비습윤성 재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툴의 요철 형상의 돌출된 철(凸) 부분이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a) 복수의 전극 패드와 그 전극 패드가 개방되도록 덮여 있는 보호막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에 상기 전극 패드와 보호막을 덮도록 하여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절연막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전극 패드 부분을 노출시키는 단계;(c) 상기 절연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면에 상기 전극 패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를 전극 패드와 마스크의 개구부가 일치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d) 상기 마스크 상면에 금속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상기 개구부에 금속 페이스트를 채우고,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가압 수단과 체결되어 수직 운동하는 푸쉬 툴로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 들어차 있는 금속 페이스트를 가압하여 밀어 넣는 단계; 및(e)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고 전극 패드 부분에만 형성된 금속 페이스트를 리플로우시켜 금속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폴리이미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접촉되는 푸쉬 툴의 일면에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그 돌출된 부분이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툴의 요철 형성면에 비가용성 재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2631A KR100221654B1 (ko) | 1996-12-06 | 1996-12-06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2631A KR100221654B1 (ko) | 1996-12-06 | 1996-12-06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4538A KR19980044538A (ko) | 1998-09-05 |
KR100221654B1 true KR100221654B1 (ko) | 1999-09-15 |
Family
ID=1948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26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1654B1 (ko) | 1996-12-06 | 1996-12-06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16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0128B1 (ko) | 2002-11-21 | 2012-02-22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9561B1 (ko) * | 1999-12-30 | 2003-04-10 |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의 범프 제조 공정용 스텐실 구조 및 이를이용한 범프 형성방법 |
EP1376205A1 (fr) * | 2002-06-21 | 2004-01-02 | Asulab S.A. | Moyens de connexion destinés à établir une liaison électrique entre une cellule, notamment à cristaux liquides, et un circuit d'alimentation ou de commande |
-
1996
- 1996-12-06 KR KR1019960062631A patent/KR10022165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0128B1 (ko) | 2002-11-21 | 2012-02-22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4538A (ko) | 1998-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949490B2 (ja) |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 |
TWI534915B (zh) | 引線上凸塊之倒裝晶片互連 | |
US7674362B2 (en) | Method for fabrication of a conductive bump structure of a circuit board | |
US7102230B2 (en) | Circuit c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US6887778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20200251436A1 (en) |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with improved die pad and solder mask design | |
US6946601B1 (en) | Electronic package with passive components | |
JP2907188B2 (ja) |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3364266B2 (ja) | バンプの形成法 | |
US7719853B2 (en) |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48039B1 (ko) | 솔더 볼 형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및 구조 | |
US7169641B2 (en) | Semiconductor package with selective underfi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for | |
KR100221654B1 (ko)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
CN101360388A (zh) | 电路板的电性连接端结构及其制法 | |
JP2001230537A (ja) | ハンダバンプの形成方法 | |
KR100437278B1 (ko) | 반도체 플립칩 패키지 제조방법 | |
KR100426391B1 (ko) |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
JP3563170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0726242B1 (ko) | 플립칩 실장용 기판의 제조방법 | |
JP2001085558A (ja)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実装方法 | |
KR100196286B1 (ko) | 반도체 금속 범프의 제조 방법 | |
KR20110035176A (ko) | 파인 피치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030095036A (ko) | 플립 칩 패키지의 솔더 범프 연결방법 | |
JPH09326412A (ja) | ハンダボールの取り付け方法 | |
KR100475338B1 (ko) | 와이어본더를이용한칩스케일패키지및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