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8717B1 -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717B1
KR100218717B1 KR1019950056145A KR19950056145A KR100218717B1 KR 100218717 B1 KR100218717 B1 KR 100218717B1 KR 1019950056145 A KR1019950056145 A KR 1019950056145A KR 19950056145 A KR19950056145 A KR 19950056145A KR 100218717 B1 KR100218717 B1 KR 10021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ylind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584A (ko
Inventor
윤영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717B1/ko
Publication of KR97004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행정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별도 분사되는 연료가 강한 텀블 유동과 스월 유동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피스톤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도 텀블은 물론 강력한 스월 유동이 깨지지 않음으로써, 희박 연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연소실의 상면 중앙으로 점화 플러그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흡,배기 포트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경사면이 피스톤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의 돌기부 경사면에 피스톤의 원주방향에 따른 호형의 반원형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의 상단부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궤적상의 실린더 상측부에 연료 인젝터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스톤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내연기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 3 : 점화플러그
5, 7 : 흡,배기포트 9 : 실린더
11 : 피스톤 13 : 돌기부
15 : 안내홈 17 : 연료 인젝터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기행정으로 유입되는 혼합기가 피스톤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도 텀블(Tumble)은 물론 강력한 스월(Swirl)유동으로 희박 연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 엔진에 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실로 유입시켜 이를 압축 폭발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상하 왕복운동시키고, 이 피스톤의 상하 왕복운동을 크랭크 기구로서 회전운동을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기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동역을 얻는 엔진의 출력은 혼합기의 유동상태에 따라 연소상태가 결정되어 내연기간의 출력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내연기관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4도에서와 같이, 연소실(101)의 상면 중앙으로 점화 플러그(103)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흡,배기 포트(105)(107)가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109)의 상면에는 흡기밸브(111)의 열림시 피스톤(109)의 상면과 흡기밸브(111)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혼합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요입부(113)가 형성된다.
이에따라 흡기 행정시 흡기포트(105)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와 인젝터(115)로부터 분사되는 연료는 흡기포트(105)와 피스톤(109)의 상면 형상에 의하여 연소실 내에서 텀블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소실 구조에 의하면 혼합기의 압축을 위하여 피스톤(109)이 상승할 때 혼합기의 텀블 유동이 피스톤(109)의 상승으로 깨지게 됨으로써, 혼합기가 정체 앞축된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그 연소상태가 이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희박연소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흡기행정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별도 분사되는 연료가 강한 텀블유동과 스월 유동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피스톤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도 텀블은 물론 강력한 스월유동이 깨지지 않음으로써, 희박연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소실의 상면 중앙으로 점화 플러그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흡,배기 포트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경사면이 피스톤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의 돌기부 경사면에 피스톤의 원주방향에 따른 호형의 반원형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의 상단부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궤적상의 실린더 상측부에 연료 인젝터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구성도로서, 연소실(1)으 상면 중앙으로 점화 플러그(3)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흡,배기 포트(5)(7)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9)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11)의 상면에 제2도에서와 같이 경사면이 피스톤(11)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돌기부(13)를 형성하고, 이의 돌기부(13) 경사면에는 피스톤(11)의 원주방향에 따른 호형의 반원형 안내홈(15)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15)의 상단부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궤적상의 실린더(9) 상측부에 연료 인젝터(17)를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 인젝터(17)는 제3도에서와 같이 실린더(9)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연기관에 의하면 흡기 행정시 흡기포트(5)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는 흡기포트(5)의 형상에 따라 텀블 유동이 이루어지면서 흡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료의 분사 과정에서는 실린더(9)의 일측으로 편심된 연료 인젝터(17)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데, 이의 연료가 돌기부(13)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안내홈(15)으로 분사되는 바, 연료는 안내홈(15)을 따라 강하게 스월을 일으키면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기의 텀블 유동과 연료의 스월 유동에 따라 연료는 공기에 골고루 분산 혼합되어지며, 피스톤(11)이 상승되더라도, 피스톤의 상부 형상에 의하여 텀블 유동과 스월 유동이 깨지지 않으면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기의 텀블과 스월 유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짐으로써, 화염전파가 이상적으로 이루어져 희박 연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흡기행정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별도 분사되는 연료가 강한 텀블 유동과 스월 유동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피스톤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도 텀블은 물론 강력한 스월 유동이 깨지지 않음으로써, 희박 연소를 구현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연소실(1)의 상면 중앙으로 점화 플러그(3)가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흡,배기 포트(5)(7)가 형성되며, 실린더(9)의 내부에 피스톤(11)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1)의 상면에 경사면이 피스톤(11)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돌기부(13)를 형성하고, 이의 돌기부(13) 경사면에는 피스톤(11)의 원주방향에 따른 호형의 반원형 안내홈(15)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15)의 상단부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궤적상읠 실린더(9) 상측부에 연료 인젝터(17)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 인젝터(17)는 실린더(9)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19950056145A 1995-12-26 1995-12-26 내연기관 KR10021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145A KR100218717B1 (ko) 1995-12-26 1995-12-26 내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145A KR100218717B1 (ko) 1995-12-26 1995-12-26 내연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84A KR970044584A (ko) 1997-07-26
KR100218717B1 true KR100218717B1 (ko) 1999-09-01

Family

ID=1944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145A KR100218717B1 (ko) 1995-12-26 1995-12-26 내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307A (ko) * 2001-09-05 200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소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84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764A (en) Piston and combustion chamber with improved fuel circulation
KR100218717B1 (ko) 내연기관
KR960706603A (ko) 제어형 2 행정 내연기관(gesteuerte zweitakt-brennkraftmaschine)
JP3493296B2 (ja) エンジン
US3916864A (en) Compression-ignition engine
US4036187A (en) Clean spark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75585Y1 (ko) 직접 분사실식 엔진의 피스톤
KR100365113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RU2038493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533650A (ja) 2サイクル内燃機関
JPH0658150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100365114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KR100229382B1 (ko) 자동차의 피스톤
KR200174491Y1 (ko) 자동차 엔진의 연소실 구조
KR0184165B1 (ko) 스쿼시피스톤을 갖는 자동차용 직분식 가솔린엔진
KR970008662B1 (ko) 디젤엔진에서의 공기흡입장치
KR200154376Y1 (ko) 자동차용 엔진
KR200198870Y1 (ko) 직접 분사식 엔진의 두얼 스파크 플러그 시스템
KR100475809B1 (ko) 실린더 내 스월 발생장치
KR0124058Y1 (ko) 디이젤 엔진의 연소실 구조
KR100230867B1 (ko)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KR19980049701A (ko) 와류 발생부를 구비한 직접 분사식 가솔린 엔진
BR9206525A (pt) Motor de combustão interna de dois tempos
KR19980060427A (ko) 직접 분사식 엔진의 피스톤 형상
KR19980035884U (ko) 텀블형성을 위한 연소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