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2693B1 -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693B1
KR100212693B1 KR1019960065726A KR19960065726A KR100212693B1 KR 100212693 B1 KR100212693 B1 KR 100212693B1 KR 1019960065726 A KR1019960065726 A KR 1019960065726A KR 19960065726 A KR19960065726 A KR 19960065726A KR 100212693 B1 KR100212693 B1 KR 10021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ilicon
film
drain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250A (ko
Inventor
염병렬
이수민
조덕호
한태현
Original Assignee
권혁준
기륭전자주식회사
강택용
삼진컴퓨터주식회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준, 기륭전자주식회사, 강택용, 삼진컴퓨터주식회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권혁준
Priority to KR101996006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693B1/ko
Priority to US08/891,013 priority patent/US5981345A/en
Publication of KR1998004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50A/ko
Priority to US09/233,329 priority patent/US6124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6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7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lateral single-gate IGFETs
    • H10D30/02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lateral single-gate IGFETs forming single crystalline channels on wafers after forming insulating device iso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751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having composition variations in the channel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3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3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sources, drains, anodes or cathodes
    • H10D64/25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25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lateral devices wherein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s are recessed in semiconductor 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2Electrodes ohmical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Landscapes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Metal-Oxide-Silicon Field Transistor; MOSFE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혹은 실리콘게르마늄 결정박막을 성장하여 채널로 사용하므로써 문턱전압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문턱전압의 균일도를 개선하며, 소스와 드레인을 절연막으로 격리하므로써 채널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항복전압의 감소, 펀치드루(punch-through)효과 및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와 같이 소자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속화 고주파화 고출력화를 동시에 이를 수 있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MOSFET)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Metal-Oxide-Silicon Field Transistor; MOSFE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콘 혹은 실리콘게르마늄 결정박막을 성장하여 채널로 사용하므로써 문턱전압의 조절을 용이하게하고 동시에 문턱전압의 균일도를 개선하며, 소스와 드레인을 절연막으로 격리하므로써 채널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른 항복전압의 감소, 펀치드루(punch-through)효과 및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와 같이 소자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이나 SOI(Silicon On Insulator)기판에 이온주입법으로 소스, 드레인 및 채널을 형성한다.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고주파화를 위해서는 게이트의 길이를 줄여야하는데, 게이트의 길이를 줄일 경우 소스-드레인 항복전압이 필연적으로 감소되고, 또한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현상과 펀치드루(punch-through)가 발생하여 성능의 열화가 발생하여 고주파 및 고항복전압간에는 필연적인 트레이드-오프(trade-off)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반도체 기판(1)에 열산화공정으로 필드 산화막(2)을 형성하여 활성 영역이 정의된다. 활성영역에 문턱전압 조절용 이온주입공정으로 채널영역(12)이 형성된다. 채널영역(12)위에 게이트 전극(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4)과 채널영역(12)사이에 게이트 산화막(3)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이 형성된 상태에서 저농도 불순물 이온주입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전극(4)양쪽의 반도체 기판(1)에 저농도 불순물 영역(5)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4)의 양측벽에 측벽 절연막(6)을 형성한 후에 고농도 불순물 이온주입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전극(4) 양쪽의 반도체 기판(1)에 고농도 불순물 영역(7)이 형성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4) 일측의 반도체 기판(1)에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7)과 저농도 불순물 영역(5)으로 된 LDD구조의 소스(8A)형성되고, 다른측에는 드레인(8B)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과 반도체 기판(1)의 노출된 부분에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9)이 형성되고,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9)이 형성된 전체구조상에 층간 절연막(10)이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으로 층간 절연막(10)을 식각하여 소스(8A) 및 드레인(8B) 각각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한 후 소스(8A)와 드레인(8B) 각각에 금속배선(11)이 형성된다.
종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단결정실리콘으로된 반도체 기판(1)에 이온주입에 의한 소스(8A), 드레인(8B), 그리고 채널(12)을 형성하였으므로, 동작속도를 증가시키려면 게이트 전극(4)의 길이를 줄여야하나 이에 따라 소스(8A)와 드레인(8B)간격이 줄어들어 양단간 항복전압이 필연적으로 감소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소스(8A)와 드레인(8B)간의 공핍층내에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rain-induced barrier lowering)현상과 펀치드루(punch-through)가 발생하여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즉, 고주파 및 고항복전압간에는 필연적인 트레이드-오프(trade-off)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온주입으로 형성된 채널(12)내의 불순물 농도가 일정하고 균일하며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문턱전압의 균일도가 떨어지며, 실리콘과 실리콘게르마늄으로 구성된 채널을 사용하여 밸런스 밴드(valence band)상에 전위우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소스(8A)와 드레인(8B)을 단결정실리콘막에 불순물을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하므로 소스와 드레인내의 불순물 농도의 최대치가 낮아 기생저항이 클 수밖에 없다.
제2도는 종래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SOI 기판(21)은 하부 실리콘층(21A), 절연층(21B) 및 상부 실리콘층(21C)으로 구성된다. SOI 기판(21)의 상부 실리콘층(21C)에 제1 및 2불순물 이온주입공정으로 활성영역(22)과 비활성영역(23)을 정의한다. 제1불순물 이온이 N-타입이면 제2불순물 이온은 P-타입이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활성영역(22)이 N-타입(또는 P-타입)으로 이루어지면, 비활성영역(23)은 P-타입(또는 N-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활성영역(22)에 문턱전압 조절용 이온주입공정으로 채널영역(24)이 형성된다. 채널영역(24)위에 게이트 전극(26)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26)과 채널영역(24)사이에 게이트 산화막(2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6)이 형성된 상태에서 저농도 불순물 이온주입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전극(26) 양쪽의 활성영역(22)에 저농도 불순물 영역(27)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26)의 양측벽에 측벽 절연막(28)을 형성한 후에 고농도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전국(26) 양쪽의 활성영역(22)에 고농도 불순물 영역(29)이 형성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26)일측의 활성영역(22)에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29)과 저농도 불순물 영역(27)으로 된 LDD구조의 소스(30A)가 형성되고, 다른측에는 드레인(30B)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6)과 상부 실리콘층(21C)의 노출된 부분에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31)이 형성되고,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31)이 형성된 전체구조상에 층간 절연막(32)이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으로 층간 절연막(32)을 식각하여 소스(30A) 및 드레인(30B) 각각이 콘택홀을 형성한 후 소스(30A)와 드레인(30B)각각에 금속배선(33)이 형성된다.
종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단결정실리콘으로 된 상부 실리콘층(21C)에 이은 주입에 의한 소스(30A), 드레인(30B), 그리고 채널(24)을 형성하였으므로, 동작속도를 증가시키려면 게이트 전극(26)의 길이를 줄여야하나 이에 따라 소스(30A)와 드레인(30B)간격이 줄어들어 양단간 항복전압이 필연적으로 감소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소스(30A)와 드레인(30B)간의 공핍층내에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rain-induced barrier lowering)현상과 펀치드루(punch-through)가 발생하여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즉, 고주파 및 고항복전압간에는 필연적인 트레이드-오프(trade-off)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온주입으로 형성된 채널(24)내의 불순물 농도가 일정하고 균일하며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문턱전압의 균일도가 떨어지며, 실리콘과 실리콘게르마늄으로 구성된 채널을 사용하여 밸런스 밴드(valence band)상에 전위우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소스(30A)와 드레인(30B)을 단결정실리콘막에 불순물을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하므로 소스와 드레인내의 불순물 농도의 최대치가 낮아 기생저항이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콘 혹은 실리콘게르마늄 결정박막을 성장하여 채널로 사용하므로써 문턱전압의 조절을 용이하게하고 동시에 문턱전압의 균일도를 개선하며, 소스와 드레인을 절연막으로 격리하므로써 채널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른 항복전압의 감소, 펀치드루(punch-through)효과 및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와 같이 소자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에 정의된 소자영역외의 부분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소자영역위에 산화막과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식각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의 측벽에 제1측벽 절연막이 형성되어 정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측벽절연막과 패터닝된 상기 산화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활성영역내에는 형성된 활성영역반도체박막; 상기 활성영역반도체박막을 포함한 전체구조상에 형성된 채널용 반도체 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박막은 활성영역반도체 박막 위에서는 단결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및 제1측벽 절연막위에서는 다결정성으로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활성영역위쪽의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위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 상기 게이트 산화막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형성된 제2측벽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전극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위쪽의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의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금속성실리사이드박막; 상기 금속실리사이드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순차적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및 층간 절연막 형성공정 및 금속배선 형성공정으로 상기 소스 및 드레인 각각에 접속된 금속배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정의된 소자영역이외의 부분에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기판 위에 제1절연막,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및 제2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영역내에의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자의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소스/드레인 전도성 박막의 측벽에 제1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노출된 상기 제1측벽 절연막 및 노출된 상기 제2절연막의 측벽에 제2측벽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내에 노출된 상기 제1절연막을 제거하고, 이때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제2측벽 절연막도 일부 식각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내에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에만 선택적으로 활성영역반도체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반도체 박막위에 열산화공정으로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 제거공정 후에 남아있는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제2측벽 절연막을 상기 열산화막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식각하고, 이후 상기 열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열산화막이 제거된 전체구조상에 채널용 반도체 박막,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은 상기 활성영역반도체 박막위에서는 단결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과 제1 및 2측벽 절연막위에서는 다결정성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벽에 제3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전극과 노출된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상에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의 일부분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층간 절연막 형성공정 및 금속배선 형성공정으로 상기 소스 및 드레인 각각에 접속되는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제3(a)∼(f)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1 : 반도체 기판 2, 42 : 필드 산화막
3, 25, 53 : 게이트 산화막 4, 26, 540 : 게이트 전극
5, 27 : 저농도 불순물 영역 6, 28, 46, 47, 55 : 측벽 절연막
7, 29 : 고농도 불순물 영역 8A, 30A, 440A : 소스
8B, 30B, 440B : 드레인 9, 31, 56 :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
10, 32, 57 : 층간 절연막 11, 33, 58 : 금속배선
12, 24, 520 : 채널영역 21 : SOI기판
21A : 하부 실리콘 21B : 절연층
21C : 상부 실리콘 22 : 활성영역
23 : 비활성영역 43, 45 : 절연막
44 :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48 : 활성영역 반도체 박막
49 : 열산화막 52 : 채널용 반도체 박막
54 :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a)∼(f)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의 공정 단면도이다.
제3(a)도는 반도체 기판(41)에 열산화공정으로 소자영역이외의 부분에 필드 산화막(42)을 형성한 후, 필드 산화막(4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41) 위에 제1절연막(43),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 및 제2절연막(4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에서, 제1 및 2절연막(43 및 45)은 산화물 및 질화물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고,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은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 게르마늄, 다결정게르마늄 및 기타 금속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되, 인-시튜(in-situ) 혹은 이온주입으로 불순물 농도가 1021cm-3정도로 높게 도핑시킨다.
제3(b)도는 소자영역내에서 건식식각으로 제2절연막(45) 및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자의 활성영역을 정의한 다음, 노출된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의 측벽에 제1측벽 절연막(46)을 형성하고, 노출된 제1측벽 절연막(46) 및 노출된 제2절연막(45)의 측벽에 제2측벽 절연막(47)을 형성한 것이 도시 된다.
상기에서, 제1측벽 절연막(46)은 노출된 소스/드레인 전도성 박막(44)을 열산화공정으로 일부 산화시켜 형성되고, 제2측벽 절연막(47)은 질화물 증착 및 이방성식각으로 형성된다.
제3(c)도는 활성영역내에 노출된 제1절연막(43)을 제거하고, 노출된 반도체 기판(41)표면상에만 선택적으로 활성영역반도체박막(48)을 형성한 후 열산화공정으로 활성영역반도체박막(48)위에 열산화막(49)을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에서, 제1절연막(43) 제거공정동안 제2절연막(45) 및 제2측벽 절연막(47)도 일부 식각된다. 활성영역반도체박막(48)은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은 단결정실리콘, 단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단결정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인-시튜 혹은 이온주입으로 불순물을 첨가한 단결정실리콘, 단결정규소게르마늄 및 단결정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하며, 그 높이는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과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한다.
제3(d)도는 제1절연막(43) 제거공정후에 남아있는 제2절연막(45) 및 제2측벽 절연막(47)을 열산화막(49)을 식각공정으로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식각하고, 전체구조상에 채널용 반도체 박막(52), 게이트 산화막(53) 및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5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에서, 채널용 반도체 박막(52)은 단층 또는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단층일 경우,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이중층일 경우 제1박막(50)으로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및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며, 제2박막(51)으로 실리콘 및 실리콘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채널용 반도체 박막(52)을 증착할 때, 단결정 박막을 갖는 활성영역반도체박막(48)상에는 단결정 박막(50-1 및 51-1)으로 형성되며, 다결정 박막을 갖는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과 제1 및 2측벽 절연막(46 및 47)상에는 다결정 박막(50-2 및 51-2)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54)은 인-시튜 혹은 이온주입으로 불순물을 첨가한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다결정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제3(e)도는 게이트를 정의하는 마스크로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54)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540)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540)의 양측벽에 제3측벽 절연막(55)을 형성하고, 노출된 게이트 전극(540)과 노출된 채널용 반도체 박막(52)상에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56)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에서, 제3측벽 절연막(55)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 및 이방성식각으로 형성된다. 제3(f)도는 소스와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마스크로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56), 채널용 반도체 박막(52) 및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고, 전체구조상에 층간 절연막(57)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으로 층간 절연막(57)을 식각하여 소스(440A) 및 드레인(440B) 각각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한 후 소스(440A)와 드레인(440B)각각에 금속배선(58)을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에서, 소스 및 드레인(440A 및 440B)은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44)과 채널용 반도체 박막(52)중 전도성 박막(50-2 및 51-2)으로 이루어지며, 채널(520)은 채널용 반도체 박막(52)중 전도성 박막(50-1 및 5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는 전도성다결정성 박막으로 형성된 소스(440A)와 드레인(440B)이 절연막(43, 46 및 47)으로 격리되어, 소자의 동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게이트의 채널(520)길이가 감소하여도, 소스(440A)와 드레인(440B)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펀치드루(punch-through)현상이 발생하여 소스(440A)와 드레인(440B)간의 항복전압이 감소하며 또한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로 인해 전류가 채널아래의 벌프(bulk)영역으로 도통되는 종래 소자가 갖고 있는 단점이 제거된다. 따라서 소자의 고속화에 따라 항복전압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소스(440A) 및 드레인(440B) 아래영역이 절연막(43)로 격리되어 기생접합캐패시턴스가 제거되므로써 더욱 소자의 동작속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채널이 형성되는 실리콘/실리콘게르마늄 다층구조 박막(52)을 증착시 소자영역인 단결정실리콘(48)상에는 단결정성 실리콘/실리콘게르마늄 다층구조 박막(50-1 및 51-1)이 그리고 소스/드레인용 다결정성박막(44) 및 측벽절연막(46 및 47)상에는 다결정성 실리콘/실리콘저매늄 다층구조박막(50-2 및 51-2)이 증착되어 인-시튜로 불순물의 농도가 1021cm-3정도로 높게 도핑되어진 박막(44)에 있는 불순물이 다층구조 박막(50-2 및 51-2)에 확산되어, 단결정실리콘막에 이온주입으로 소스와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여 소스와 드레인내의 불순물농도최대치가 1021cm-3보다 훨씬 낮은 종래기술에 비해 소스와 드레인의 기생저항이 더욱 감소되어 동작속도가 증가되며, 종래기술과 같이 이온주입으로 형성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불순물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것에 비해 인-시튜로 도핑하면서 증착되는 결정박막을 채널영역에 사용하므로 불순물의 농도가 균일하게 조절되기 때문에 문턱전압의 균일도가 개선되어 고집적회로의 공정안정도를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실리콘보다 에너지밴드갭이 작은 실리콘게르마늄을 사용하므로 실리콘/실리콘게르마늄/실리콘으로 되는 채널영역의 에너지밴드의 밸런스 밴드(valence band)상에 전위우물(potential well)이 실리콘게르마늄박막내에 형성되어 홀(hole)을 그 안에 제한적으로 존재시켜 실리콘게르마늄내에서 홀의 이동도가 실리콘내에서보다 2배정도 빠르므로 홀이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이동하는 이동도를 2배 증가시킨다. 따라서 실리콘채널을 사용하고 전위우물이 없는 종래의 소자에 비해 소자의 동작속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실리콘게르마늄의 에너지밴드갭이 게르마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므로 전위우물이 더욱 깊어지며 이에 따라 홀을 전위우물내에서만 이동시키는 제한도가 증가되므로 소자의 동작속도 및 문턱전압을 게르마늄의 함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 혹은 실리콘게르마늄 결정박막을 성장하여 채널로 사용하므로써 문턱전압의 조절을 용이하게하고 동시에 문턱전압의 균일도를 개선하며, 소스와 드레인을 절연막으로 격리하므로써 채널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른 항복전압의 감소, 펀치드루(punch-through)효과 및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저하(DIBL: drain-induced barrier lowering)와 같이 소자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반도체 기판에 정의된 소자영역외의 부분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소자영역위에 산화막과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식각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의 측벽에 제1측벽 절연막이 형성되어 정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측벽절연막과 패터닝된 상기 산화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활성영역내에는 형성된 활성영역반도체박막; 상기 활성영역반도체박막을 포함한 전체구조상에 형성된 채널용 반도체 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박막은 활성영역반도체 박막 위에서는 단결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및 제1측벽 절연막위에서는 다결정성으로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활성영역위쪽의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위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 상기 게이트 산화막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형성된 제2측벽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전극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위쪽의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의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금속성실리사이드박막; 상기 금속실리사이드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순차적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및 층간 절연막 형성공정 및 금속배선 형성공정으로 상기 소스 및 드레인 각각에 접속된 금속배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은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다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과 실리콘질화막의 2중 측벽 절연먁으로 된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 반도체박막은 단결정실리콘, 단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단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용 반도체박막은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게르마늄, 실리콘/실리콘게르마늄 및 실리콘/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은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다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7.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에 정의된 소자영역이외의 부분에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제1절연막,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 및 제2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영역내에의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자의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소스/드레인 전도성 박막의 측벽에 제1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노출된 상기 제1측벽 절연막 및 노출된 상기 제2절연막의 측벽에 제2측벽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내에 노출된 상기 제1절연막을 제거하고, 이때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제2측벽 절연막도 일부 식각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내에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에만 선택적으로 활성영역반도체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반도체 박막위에 열산화공정으로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 제거공정 후에 남아있는 상기 제2절연막 및 상기 제2측벽 절연막을 상기 열산화막을 식각공정으로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식각하는단계; 상기 열산화막이 제거된 전체구조상에 채널용 반도체 박막,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은 상기 활성영역반도체 박막위에서는 단결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과 제1 및 2측벽 절연막위에서는 다결정성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 박막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벽에 제3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전극과 노출된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상에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성 실리사이드 박막, 상기 채널용 반도체 박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의 일부분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층간 절연막 형성공정 및 금속배선 형성공정으로 상기 소스 및 드레인 각각에 접속되는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용 전도성 박막은 불순물을 첨가한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다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 반도체박막은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은 단결정실리콘, 단결정실리콘게르마늄 및 단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 반도체박막은 불순물을 첨가한 단결정실리콘, 단결정실리콘게르마늄, 혹은 단결정게르마늄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용 반도체박막은 불순물을 첨가한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게르마늄, 실리콘/실리콘게르마늄 및 실리콘/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용 전도성 박막은 불순물을 첨갛나 다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 게르마늄, 혹은 다결정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절연막은 산화물 및 질화물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절연막은 상기 노출된 소스/드레인 전도성 박막을 열산화공정으로 일부 산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 절연막은 질화물 증착 및 이방성식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벽 절연막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 및 이방성식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19960065726A 1996-12-14 1996-12-14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1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26A KR100212693B1 (ko) 1996-12-14 1996-12-14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08/891,013 US5981345A (en) 1996-12-14 1997-07-10 Si/SiGe MOSF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09/233,329 US6124614A (en) 1996-12-14 1999-01-20 Si/SiGe MOSF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26A KR100212693B1 (ko) 1996-12-14 1996-12-14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50A KR19980047250A (ko) 1998-09-15
KR100212693B1 true KR100212693B1 (ko) 1999-08-02

Family

ID=194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2693B1 (ko) 1996-12-14 1996-12-14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5981345A (ko)
KR (1) KR100212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95069A1 (en) 1997-06-24 1998-12-30 Eugene A. Fitzgerald Controlling threading dislocation densities in ge on si using graded gesi layers and planarization
KR100275540B1 (ko) * 1997-09-23 2000-12-15 정선종 초자기정렬 쌍극자 트랜지스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143617A (en) * 1998-02-23 2000-11-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capacitor electrode for a DRAM cell
US6617648B1 (en) * 1998-02-25 2003-09-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rojection TV
US6156589A (en) * 1998-09-03 2000-12-05 Micron Technology, Inc. Compact SOI body contact link
US6143593A (en) * 1998-09-29 2000-11-07 Conexant Systems, Inc. Elevated channel MOSFET
US6734498B2 (en) * 1998-10-02 2004-05-11 Intel Corporation Insulated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an electric field terminal region
US6303962B1 (en) * 1999-01-06 2001-10-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electrically-isolated transistor with low-resistance metal source and drain formed using sacrificial source and drain structures
US6437403B1 (en) * 1999-01-18 2002-08-20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KR100695047B1 (ko) * 1999-06-23 2007-03-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235560B1 (en) * 1999-08-16 2001-05-22 Agere Systems Guardian Corp. Silicon-germanium transistor and associated methods
US6633066B1 (en) * 2000-01-07 2003-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MOS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substrates having unstrained silicon active layers
US6518644B2 (en) 2000-01-20 2003-02-11 Amberwave Systems Corporation Low threading dislocation density relaxed mismatched epilayers without high temperature growth
WO2001055824A2 (en) * 2000-01-27 2001-08-02 Primarion, Inc. Apparatus suitable for providing synchronized clock signals to a microelectronic device
US6461945B1 (en) 2000-06-22 2002-10-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olid phase epitaxy process for manufacturing transistors having silicon/germanium channel regions
US6743680B1 (en) 2000-06-22 2004-06-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ransistors having silicon/germanium channel regions
JP2002043566A (ja) 2000-07-27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403981B1 (en) 2000-08-07 2002-06-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uble gate transistor having a silicon/germanium channel region
US6521502B1 (en) 2000-08-07 2003-02-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olid phase epitaxy activation process for source/drain junction extensions and halo regions
US6391695B1 (en) 2000-08-07 2002-05-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uble-gate transistor formed in a thermal process
US6429484B1 (en) 2000-08-07 2002-08-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Multiple active layer structur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e
US6261913B1 (en) 2000-08-23 2001-07-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using thin spacers and oxidation in gate oxides
JP2002100762A (ja) * 2000-09-22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75869B1 (en) * 2001-02-26 2002-11-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forming a double gate transistor having an epitaxial silicon/germanium channel region
US6709935B1 (en) 2001-03-26 2004-03-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locally forming a silicon/geranium channel layer
US6596597B2 (en) * 2001-06-12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dual gate logic devices
CN1395316A (zh) * 2001-07-04 2003-02-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6703271B2 (en) * 2001-11-30 2004-03-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technology using selective epitaxy of a strained silicon germanium layer
KR100437856B1 (ko) * 2002-08-05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스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방법.
WO2004019391A2 (en) 2002-08-23 2004-03-04 Amberwave Systems Corporation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s having reduced dislocation pile-ups and related methods
US7594967B2 (en) 2002-08-30 2009-09-29 Amberwave Systems Corporation Reduction of dislocation pile-up formation during relaxed lattice-mismatched epitaxy
KR100543472B1 (ko) * 2004-02-11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디플리션 방지막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20040209437A1 (en) * 2003-04-16 2004-10-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Method of form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region in strained silicon layer and in an underlying on silicon - germanium layer
CN100414357C (zh) * 2004-11-26 2008-08-27 三洋电机株式会社 光传感器及显示装置
KR100724560B1 (ko) * 2005-11-1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정질 반도체층을 갖는 반도체소자, 그의 제조방법 및그의 구동방법
US7554110B2 (en) 2006-09-15 2009-06-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OS devices with partial stressor channel
US7795089B2 (en) 2007-02-28 2010-09-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pitaxially grown source and drain regions
US7700452B2 (en) * 2007-08-29 2010-04-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ained channel transistor
US8294222B2 (en) 2008-12-23 2012-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nd edge engineered Vt offset device
KR102460862B1 (ko) * 2016-08-04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880B2 (ja) * 1990-10-09 1999-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58879A (en) * 1993-04-30 1994-10-25 Loral Federal Systems Company Method of making gate overlapped lightly doped drain for buried channel devices
US5792679A (en) * 1993-08-30 1998-08-11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silicon-germanium/Si/silicon dioxide heterostructure using germanium implant
US5360749A (en) * 1993-12-10 1994-11-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king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germanium implant for reducing short channel effects and subthreshold current near the substrate surface
KR0135804B1 (ko) * 1994-06-13 1998-04-24 김광호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oi) 트랜지스터
JPH08153880A (ja) * 1994-09-29 1996-06-1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50A (ko) 1998-09-15
US6124614A (en) 2000-09-26
US5981345A (en)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693B1 (ko) 규소/규소게르마늄 모스 전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237279B1 (ko) Misfet, 상보형misfet 및 그 제조방법
US5087581A (en) Method of forming vertical FET device with low gate to source overlap capacitance
JPH06204469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61048A (en) Method of making a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US5903013A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45949A1 (en) Ultra-thin body transistor with recessed silicide contacts
KR100259593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85163B1 (ko)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909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197656B1 (ko) 반도체 에스.오.아이.소자의 제조방법
US6720224B2 (en) Method for forming transistor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649822B1 (ko) Bc pmosfet 및 그 제조방법
KR100269633B1 (ko) 모스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A method of fabricating MOSFET)
KR940004415B1 (ko) Mos fet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405450B1 (ko) 포켓형 접합층 구조를 가지는 dmos 트랜지스터 및그 제조 방법
KR100223916B1 (ko)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960013945B1 (ko) 에스오아이(soi)트랜지스터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305205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575612B1 (ko)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0130626B1 (ko) 측면 소스/드레인 구조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0170513B1 (ko)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0125299B1 (ko)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673101B1 (ko) Bc pmosfet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29362A (ko)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