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7149B1 - 표백제 - Google Patents

표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149B1
KR100207149B1 KR1019970702119A KR19970702119A KR100207149B1 KR 100207149 B1 KR100207149 B1 KR 100207149B1 KR 1019970702119 A KR1019970702119 A KR 1019970702119A KR 19970702119 A KR19970702119 A KR 19970702119A KR 100207149 B1 KR100207149 B1 KR 10020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acid
particles
dicarboxylic aci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라그네모
모니카 지그스탐
세실리아 오드스티그
Original Assignee
자이드 스콜드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드 스콜드,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자이드 스콜드
Priority claimed from PCT/SE1995/00095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112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1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2Poly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6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37Stabilising agents
    • C11D3/394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과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을 15 중량%까지 포함하는 입자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입자의 용도에 관계한다.

Description

표백제
분말 세제 조성물은 종종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하는 표백제로서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많은 과산화 화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없다. 이들의 분해는 세제에 존재하는 물을 통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는 금속 양이온에 의해 가속되며 알카리 pH(보통 8내지 12)와 세제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들, 예컨대 제올라이트나 TAED(테트라아세틸에틸렌 디아민), TAGU(테트라아세틸글루콜유릴) 또는 PAG(펜타 아세틸 글루코스)와 같은 표백 활성제에 의해 촉진된다.
환경에 우호적인 세제를 만들기 위해서, 표백제로서 과탄산염으로 알려진 알카리 금속 탄산염 과산화수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세제에서 과탄산염의 활성은 세제가 보통의 습도 및 실온에서 저장된다면 분해를 통해 급속히 감소한다.
황산염, 탄산염, 붕산염, 규산염 또는 유기물질 등의 안정화화합물로 혼합 또는 코팅시킴으로써 과탄산염을 안정화시키려는 여러 시도가 행해졌다. 이러한 안정화방법은 GB 1446799, GB 1538893, GB 1575792, US 2975280 및 EP 573731 등의 특허문헌에 발표된다.
US 4075116은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및 여러 첨가제로부터 과탄산염의 제조방법을 발표한다.
CH 659082는 표백제와 수용성산의 혼합을 발표한다.
일본 공개특허출원(Kokai) Sho 5874508은 규산과 인산, 붕산, 시트르산, 타타르산, 또는 숙신산의 나트륨염을 혼합하여 용해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발표한다.
미국 특허 5340496은 무기염과 카르복실산, 특히 올레산같은 긴 사슬의 산의 조합을 사용한 과탄산염의 안정화를 발표한다.
본 발명은 과산화 화합물과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입자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도 관계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러한 코팅된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세제조성물에서 향상된다. 저장안정성을 가지며 과산화 화합물, 특히 알카리금속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지 환경에 우호적인 성분만을 함유한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 코어를 가진 입자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목적은 달성되었다. 상기 입자는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수용성 디카르복실산을 15중량%까지, 선호적으로는 10중량%까지, 가장 선호적으로는 5중량%까지 포함한다. 이 입자는 0.01중량%이상, 특히 0.05 중량% 이상의 디카르복실산이나 이의 염을 포함한다. 입자에서 과산화 화합물의 양은 10 내지 99 중량%, 선호적으로는 50 내지 95 중량%이다. 입자의 디카르복실산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코팅에 포함된다. 디카르복실산이 킬레이트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디카르복실산은 EDTA와 같은 종래의 킬레이트제 보다도 우월한 저장안정성을 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디카르복실산이나 이의 염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특히 고농도의 과산화 화합물에서 열안정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디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알카리 금속은 나트륨, 칼륨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며 알카리 토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나트륨염이 특히 선호된다. 다음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디카르복실산이란 용어는 이의 염을 말하기도 한다.
디카르복실산은 5 내지 8, 특히 5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선호적으로 카르복실산은 탄소사슬의 말단에 위치된다. 게다가 디카르복실산은 어떠한 수산기도 포함하지 않으며 가장 선호적으로는 카르복실산기를 제외한 어떠한 작용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가장 선호되는 디카르복실산은 식 COOH-R-COOH을 가진다. 여기서, R은 3 내지 8, 특히 3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이다. R은 가지없는 직쇄가 선호된다. 유용한 디카르복실산의 예는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및 이의 혼합물이 있으며 그중 글루타르산, 아디포산 및 피멜산이 특히 선호되며 글루타르산이 가장 선호된다.
입자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자는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한 안정화제나 불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는 규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규산염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규산염의 일부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는 것이 좋다. 규산염은 알카리금속 규산염이며, 나트륨, 칼륨 또는 이의 혼합물, 특히 나트륨염이 선호된다. SiO2: M2O(M은 알카리 금속) 몰비는 1 내지 3, 특히 1 내지 2.5이다. 입자는 0.1 내지 20중량%, 특히 1 내지 2.5이다. 입자는 0.1 내지 20 중량%, 특히 0.2 내지 15 중량%, 더더욱 0.5 내지 10 중량%의 규산나트륨으로 표현되는 규산염을 포함한다.
입자가 수용성 마그네슘 화합물, 특히 황산 마그네슘을 포함한다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마그네슘 혼합물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마그네슘은 특히 알카리 금속 규산염과 조합으로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된다. 입자는 0.01 내지 5 중량%, 특히 0.1 내지 3 중량%의 황산 마그네슘으로 나타난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입자가 식 R'CnHm(OH)nCOOH 기를 가지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에서 선택된 칼레이트제를 포함한다면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여기서, R'는 CH2OH 또는 COOH 이며 n은 2-6, m은 0-n이다.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알카리 금속은 나트륨, 칼륨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며 알카리 토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나트륨염이 특히 선호되며 다음 본 발명의 기술에서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란 용어는 이의 염도 나타낸다.
입자는 0,01 내지 15 중량%, 특히 0.01내지 10 중량%, 더더욱 0.05 내지 5 중량%의 상기식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에 대한 디카르복실산의 중량비는 0.05.1 내지 4.1, 특히 0.01:1 내지 1:1이다.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R'는 CH2OH가 선호된다. 또한 n은 4 또는 5이고 m은 n과 같거나 n-2가 선호된다. 탄소 사슬은 포화되거나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한다. 특히 선호되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염은 글루코헵톤산 알카리 금속염이다(R'는 CH2OH, n은 4, m은 2). 다른 선호되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염은 글루콘산 알카리 금속염(R'는 CH2OH, n은 4, m은 2)이다. 다른 유용한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은 트리히드록시 글루타르산, 타타르산 또는 사카르산이다. 입자는 상기식의 두 개 이상 상이한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코팅되지 않을지라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나 최고의 안정성은 입자가 코팅된 경우에 획득된다. 이러한 코팅은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알카리 금속 규산염, 황산 마그네슘 같은 수용성 마그네슘 화합물, 알카리금속 탄산염, 알카리금속 중탄산염 또는 황산염, 또는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하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며, 상이한 성분은 하나 또는 여러 층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디카르복실산이 과산화 화합물과 단지 혼합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은 단지 코팅에 나타나는 것으로 기술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디카르복실산과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둘 다가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입자는 50 내지 300㎛, 특히 100 내지 160㎛의 평균직경을 가진다. 선호되는 밀도는 600 내지 1500g/l, 특히 800 내지 1,100g/l이다. 큰 평균 입자크기와 고밀도는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킴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과산화 화합물이 알카리 금속 과탄산염이라면 특히 이득이 되며 과붕산, 과황산, 과인산 또는 과규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디아실화디-과산화카르복실산과 같은 과산화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 등의 다른 과산화 화합물도 안정화될 수 있다. (WO 91/1714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될 성분은 과립화 단계에서 첨가되는 것이 좋지만 예컨대, 알카리금속 탄산염과 과산화수소로부터 알카리금속 과탄산염이 제조될 때는 직접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알카리 금속 규산염이 포함된다면 수용액 형태로 첨가되는 것이 좋으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과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이 과산화 화합물 첨가전에 혼합된다. 과립화는 드럼 또는 디스크, 유동 베드 과립화 프릴 또는 다른 형태의 믹서에서 압축, 압출, 응집과 같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조적인 코팅단계가 드럼 또는 유체 베드에 적용될 수용액과 함께 입자를 분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물세탁이나 식기세척에 있어서 표백제로서 과산화 화합물과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입자의 용도에도 관계한다. 세척수에 세제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표백분말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입자가 공급될 수 있다. 선호적으로, 세척수에 예컨대 0.01 내지 6 그램의 과탄산나트륨에 해당하는 1 리터당 0.001 내지 1 그램의 활성 산소를 획득할 수 있는 양으로 입자가 공급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불활성 충진재 및/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세척시 활성인 물질을 포함한 조성물에 관계하며, 킬레이트제를 1 내지 100 중량% 포함하는 입자를 포함한다. 이 조성물은 다른 종류의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시 활성인 물질은 세제증강제, 계면활성제, 알카리생성물질, 표백활성제, 또는 세제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증강제는 알카리_금속이나 암모늄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피로인산염 또는 오르산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염, 제올라이트 A(예, 제올라이트 4A), 제올라이트 B, 제올라이트 p, 제올라이트 X 또는 제올라이트 HS, 제올라이트 MAP과 같은 제올라이트, 결정성 층상구조 디실리케이트와 같은 규산염(예, NaMSIχ+1'yH2O, M은 나트륨 또는 수소, X는 19 내지 4 이고 y는 0 내지 20), 비정질 디실리케이트(예, Britesil(상표명)),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트르산염, 카보네이트, 중탄산염, 세스퀴카보네이트, 황산염, 붕산염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턱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열 활성제, 비누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선형 알킬벤젠술포네이트, 2차 알칸술포네이트, 알코올-에톡시술페이트 또는 알파-올레피니 술포네이트, 알카리금속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알킬에스테르술포네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코올, 알킬페놀 및 알킬아민 등의 알콕시화 화합물 또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또는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누는 기름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에서 선택될 수 있다. 4차 암모늄 화합물이나 이미드 아졸리늄염과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다. 알카리 생성 물질은 탄산염, 규산염 , 인산염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표백활성제는 TAED, TAGU, SNOBS(노닐벤젠술폰산나트륨), PAG(펜타아세틸 글루코스) 또는 디아실화 디퍼옥시 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될 수 있다(WO 91/17143 참조) 충진재는 황산나트륨같은 불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완전한 세제를 구성하거나 세척시 별도로 첨가되는 표백분말을 구성할 수 있다. 효소는 아밀라아제, 중성 및 알카리성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에스테르아제, 셀룰라아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직물세탁용 완전한 세제는 1 내지 40중량%, 특히 10 내지 30 중량%의 본 발명에 따른 입자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 세제는 5 내지 50 중량%의 세제 증강제, 5 내지 35 중량%의 계면활성제, 5 내지 20 중량%의 알카리 생성물질을 포함한다. 선호적으로, 세제는 5 내지 20 중량%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2 내지 15 중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5 중량%의 비누를 포함한다. 세제는 또한 1 내지 10 중량%의 표백활성제, 0.5 내지 2.5 중량%의 효소, 5 내지 50 중량%의 황산나트륨과 같은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적인 면에서 선호되지는 않을지라도 인산염 , EDTA, NTA(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유도체 또는 EDDS(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과 같은 킬레이트제를 0.1 내지 1 중량% 양으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세제는 물유리,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르복실산 단일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분산제, 거품조절제, 향료, 착색제, 광택제 및 물(3 내지 15 중량%)과 같은 종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건식 혼합, 응집 또는 분무건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만약 분무건조로 제조가 된다면 과산화 화합물, 효소 및 향료와 같은 열민감성 성분이 건조된 물질에 첨가되어야 한다.
별도의 표백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를 10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은 5 내지 90 중량%가 선호된다. 표백분말은 단지 하나의 과산화 화합물이나 여러 종류의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10 내지 75 중량%의 TAED나 TAGU와 같은 표백활성제와 조합으로 사용된다면 이득이 된다. 디아실화 디퍼옥시카르복실산과 같은 다른 표백 활성제도 2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백분말은 5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백분말은 5 내지 90중량%의 세제증강제, 10 중량%까지의 계면활성제, 2 중량%까지의 효소, 또는 5 내지 90 중량%의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되는 표백분말은 표백활성제의 10 내지 25 중량%의 과탄산염 함유 입자 30 내지 75 중량%와 세제증강제, 충진재, 계면활성제, 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식기세척용 세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를 포함하는 2 내지 15 중량%의 표백제, 5 내지 50 중량%의 알카리 금속 디실리케이트, 0 내지 40 중량%의 알카리금속 탄산염, 시트르산 나트륨 및 폴리카르복실산 나트륨 또는 트리 폴리포스네이트 나트륨(STPP)와 같은 15 내지 50 중량%의 증강제, 0.5 내지 5 중량%의 저거품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의 효소 및 1 내지 6 중량%의 TAED와 같은 표백활성제를 포함하는 저알카리성 세제(세척수의 pH는 10-11) 형태이다. 식기세척 세제는 저알카리성 세제와 유사한 조성을 가지지만 디실리케이트가 20 내지 80 중량%의 알카리 금속 메타실리케이트로 대체되며 증강제가 STPP로 주로 구성된 고 알카리성(세척수의 pH가 11-12)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4A와 같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세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과산화 화합물, 특히 과탄산염을 포함한 안정한 표백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 덜 적당한 형태인 EDTA나 인산염과 같은 킬레이트제를 세제에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
315-1250㎛의 직경과 900g/l의 밀도를 가진 과탄산 나트륨 입자가 회전하는 Eirich 드럼에서 1 수용액으로 적용된 다른 첨가제와 함께 과탄산염 미립자를 분무하고 유동화 베드에서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과탄산염의 저장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제조된 입자와 순수한 과탄산염 기준입자가 9.7% 선형 알킬벤젠 술포네이트(C평균11.5), 5.2% 에톡실화 C12-18알코올(EO7), 3.6% 나트륨 비누, 32.5% 제올라이트 4A, 11.8% 탄산나트륨, 5.2%의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의 나트륨염(CP5), 3.4% 나트륨 물유리(비 3.3), 1,3%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0.3% EDTA, 0.3% 광택제(스틸벤 형태), 7.4% 황산나트륨, 12.2% 물 및 6.5% 거품방지제(SIK), 0.5% 효소 프릴프로테(활성 300.00)로 구성된 표준세제 IEC-Z(Henkel)에 포함된다. 64그램의 IEC-2, 12그램의 과탄산염 입자와 4그램의 TAED로 샘플을 제조한다.
각 샘플에 대해서 40℃에서 24시간 저장동안 형성된 산소의 양을 측정해서 발생된 산소의 양을 원래 과탄산염 내의 활성산소의 상대적 함량(%)으로 나눔으로써 신속한 안정도 지수(QSI)가 결정된다. 따라서 QSI 값이 낮으면 안정도는 높다. 여러 코팅조성을 가진 입자에 대한 QSI값이 표 1 에 도시되는데 여러 성분의 함량은 전체 입자에 대한 중량%이다. 다음 약어가 사용된다 : SPC = 과탄산나트륨; GA = 글루타르산나트륨; GH = 글루코헵톤산나트륨; AA = 아디프산나트륨; PA = 피멜산나트륨; SDS = 이규산나트륨; AO = 활성산소; QSI = 신속한 안정성 지수
Figure kpo00001
[실시예 2]
과탄산나트륨이 제조되고 실시예 1 과 같이 시험된다. 결과는 표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3]
315-125㎛의 직경과 900g/l의 밀도를 가진 과탄산나트릅입자가 과탄산염 미립자과 수용액으로 공급된 글루타르산나트륨, 이규산나트륨 및 황산마그네슘을 과립화하여 제조된다. 과립화는 성분 혼합물을 압출하고 형성된 것을 분쇄하고 획득된 입자를 회전 드럼상에 둥글게 하여 건조하고 둥근 입자를 걸름으로써 수행된다. 비교 목적으로, 글루타르산이 없는 샘플과 글루타르산 대신에 EDTA를 사용한 샘플이 제조된다. 입자의 안정성이 실시예 1 과 같은 표준 IEC-Z 세제에서 시험되고 결과는 표 3 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4]
315-1250㎛의 직경을 가진 과탄산나트륨입자가 유동화 베드에서 수용액으로 적용된 글루타르산나트륨 또는 글루코렙톤산나트륨으로 분무하여 코팅된다. 비교 목적으로 입자를 벤조산과 카프로산으로 코팅한다 입자의 안정성은 실시예 1 과 같은 방식으로 표준 IEC-Z 세제에서 시험되며 결과는 표 4 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실시예 5]
315-1250㎛의 직경을 가진 과탄산나트륨입자가 유동화 베드에서 규산나트륨(SiO: NaO 비는 1), 글루코렙톤산나트륨 또는 글루타르산나트륨으로 된 제 1 수용액과 황산마그네슘 및 보조적인 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된 제 2 용액으로 분무하여 코팅된다. 한 실험에서, 제 3 탄산나트륨 용액이 적용된다. 입자의 안정성은 실시예 1 과 같은 방식으로 표준 IEC-Z 세제에서 시험되고 결과는 표 5 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6]
98.8% 과탄산나트륨, 0.12% MaSO, 0.63% 이규산나트륨, 0.5% 글루타르산(나트륨염으로)을 포함하며 14.2%의 활성산소 함량을 가진 과탄산나트륨입자가 실시예 3 과 같은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다. 이 입자는 1.4% MaSO, 2% 이규산나트륨, 10% NaCO, 1% 글루타르산(나트륨염으로)으로 실시예 5와 같이 코팅된다. 코팅된 입자는 12.6%의 활성산소를 포함한다. 입자의 안정성을 실시예 1 과 같은 방식으로 IEC-Z 세제에서 시험해보니 비코팅된 입자의 QSI 2.20이며 비코팅된 입자의 QSI 는 0.04가 됨이 발견되었다.

Claims (29)

  1.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 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염을 15중량%까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입자가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을 10중량%까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 입자가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의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이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5. 제4항에 있어서, 과산화 화합물과 디카르복실산이 함께 과립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이 코팅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식 COOH-R-COOH를 가지며 R은 3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8. 제7항에 있어서, R이 가지가 없는 직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9. 제8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0. 제9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글루타르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1. 제1항에 있어서, 입자가 규산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입자가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3.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규산염이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4.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규산염이 코팅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입자가 수용성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입자가 식 R'CnHm(OH)nCOOH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며 R'는 CH2OH 또는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o-n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7. 제16항에 있어서, R'가 CH2OH이며 H은 4 또는 5이고 H은 R과 같거나 n-2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8. 제17항에 있어서,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 글루코헵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16항 내지 18항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이 과산화 화합물과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16항 내지 18항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이 코팅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1.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과 제16항 내지 18항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 과산화 화합물과 둘 다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2.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5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카르복실산과 제16항 내지 18항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 둘다 코팅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과산화 화합물이 알카리금속 과탄산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벌크 밀도가 800 내지 1500g/l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5. 제24항에 있어서, 벌크 밀도가 800 내지 1100g/l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6. 세제에서 표백제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25항의 입자.
  27. 불활성 충진제, 세제증강제, 계면활성제, 알카리발생물질, 표백활성제 또는 효소를 포함하며 제1항 내지 25항의 입자를 더욱 포함하는 조성물.
  28. 제1항 내지 25항의 입자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 세제가 증강제로서 제올라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KR1019970702119A 1994-11-03 1995-08-24 표백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403778-5 1994-11-03
SE9403778A SE9403778D0 (sv) 1994-11-03 1994-11-03 Bleaching agent
PCT/SE1995/000959 WO1996011252A1 (en) 1994-10-07 1995-08-24 Bleaching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7149B1 true KR100207149B1 (ko) 1999-07-15

Family

ID=2039584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48B1 (ko) 1994-10-07 1995-08-24 표백제
KR10199707021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49B1 (ko) 1994-11-03 1995-08-24 표백제
KR10199707021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50B1 (ko) 1994-11-03 1995-08-24 표백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48B1 (ko) 1994-10-07 1995-08-24 표백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1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150B1 (ko) 1994-11-03 1995-08-24 표백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5929015A (ko)
EP (3) EP0784667B1 (ko)
JP (1) JP2963769B2 (ko)
KR (3) KR100207148B1 (ko)
AT (3) ATE191744T1 (ko)
AU (2) AU3689895A (ko)
BR (3) BR9509491A (ko)
CA (2) CA2199133C (ko)
CZ (3) CZ285638B6 (ko)
DE (2) DE69503254T2 (ko)
DK (1) DK0789748T3 (ko)
ES (2) ES2145302T3 (ko)
FI (2) FI971808A7 (ko)
HU (1) HUT77714A (ko)
NO (2) NO971490L (ko)
PL (2) PL180924B1 (ko)
RU (2) RU2137822C1 (ko)
SE (1) SE9403778D0 (ko)
SK (2) SK281838B6 (ko)
WO (1) WO1996014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3368B (en) * 1996-02-29 2000-06-14 Oriental Chem Ind Process for manufacturing granular sodium percarbonate
JP3642922B2 (ja) * 1997-06-24 2005-04-27 花王株式会社 食器用液体洗浄剤組成物
EP0962424A1 (en) 1998-06-05 1999-12-08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in detergent compositions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U4641699A (en) * 1998-07-29 2000-02-2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a plasma-induced, water-soluble coating and processfor making same
CN1310753A (zh) * 1998-07-29 2001-08-29 宝洁公司 含等离子体诱导的、接枝聚合的、水溶性涂层的颗粒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6428814B1 (en) 1999-10-08 2002-08-06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Bioadhesive nanoparticulate compositions having cationic surface stabilizers
US20040141925A1 (en) * 1998-11-12 2004-07-22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Novel triamcinolone compositions
KR100366556B1 (ko) 2000-04-26 2003-01-09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세제용 입상 코티드 과탄산나트륨과 이의 제조방법
WO2004058931A1 (de) * 2002-12-20 2004-07-15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Bleichmittelhalt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EP1612186A1 (en)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612185A1 (en)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728762A1 (en) * 2005-06-01 2006-12-06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7556696B2 (en) * 2007-02-15 2009-07-07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Removal of niobium second phase particle deposits from pickled zirconium-niobium alloys
AR068867A1 (es) 2007-10-15 2009-12-09 Kemira Chemicals Inc Composiciones de fluido para tratamianto de pozos que incluyen una formulacion de percarbonato de liberacion retardada y metodos para usarlas
EP2390408B1 (en) 2010-05-31 2013-03-27 Kemira Oyj Control of enzymes in the production of pulp
DE102013211093A1 (de) * 2013-06-14 2014-12-18 Evonik Treibacher Gmbh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GB201402257D0 (en) 2014-02-10 2014-03-26 Revolymer Ltd Novel Peracid - containing particle
US11078450B2 (en) * 2016-04-22 2021-08-03 Shikoku Chemicals Corporation Material containing solid bleaching agent, and deter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6460B1 (ko) * 1973-04-20 1976-12-17 Interox
DE2413561A1 (de) * 1974-03-21 1975-10-02 Henkel & Cie Gmbh Lagerbestaendiger, leichtloeslicher waschmittelzusatz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LU72575A1 (ko) * 1975-05-23 1977-02-10
FR2323631A1 (fr) * 1975-09-15 1977-04-08 Ugine Kuhlmann Persels mixtes stables en melange lixiviel
JPS608040B2 (ja) * 1977-11-25 1985-02-28 花王株式会社 色,柄物の変,褪色を起さない漂白剤組成物
GB1575792A (en) * 1978-01-10 1980-10-01 Interox Peroxygen compounds
JPS58217599A (ja) * 1982-06-10 1983-12-17 花王株式会社 漂白洗浄剤組成物
CH659082A5 (en) * 1984-04-09 1986-12-31 Ciba Geigy Ag Detergent powder additives in the form of speckles
DE3712329A1 (de) * 1987-04-11 1988-10-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rin-n,n-diessigsaeure und derivaten, ihre verwendung insbesondere als komplexbildner und diese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GB8803113D0 (en) * 1988-02-11 1988-03-09 Bp Chem Int Ltd Anhydrides in detergent compositions
DE3829847A1 (de) * 1988-09-02 1990-03-15 Basf Ag Wasch- und reinigungsmittel
DE3914980A1 (de) * 1989-05-06 1990-12-06 Basf Ag 2-methyl- und 2-hydroxymethyl-serin-n,n-diessigsaeure und ihre derivate
JP2841211B2 (ja) * 1989-07-06 1998-12-24 東海電化工業株式会社 過炭酸ナトリウムの安定化方法
JP2969794B2 (ja) * 1990-05-25 1999-11-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過炭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US5362412A (en) * 1991-04-17 1994-11-08 Hampshire Chemical Corp. Biodegradable bleach stabilizers for detergents
GB9126296D0 (en) * 1991-12-11 1992-02-12 Unilever Plc Sodium percarbonate
US5332518A (en) * 1992-04-23 1994-07-26 Kao Corporation Stable slurry-coated sodium percarbon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bleach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5336433A (en) * 1992-06-08 1994-08-09 Eka Nobel Ab Bleaching agent
KR100289001B1 (ko) * 1993-05-06 2001-05-02 오오히라 아키라 안정화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ATE185838T1 (de) * 1993-07-14 1999-11-15 Procter & Gamble Stabilisierte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en
DE4324104C2 (de) * 1993-07-17 1997-03-20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GB9326522D0 (en) * 1993-12-29 1994-03-02 Solvay Interox Ltd Process for stabilising particulate alkali metal percarbonate
DE4439069A1 (de) * 1994-11-02 1996-05-09 Degussa Percarbonathaltige Wasch-, Bleich- und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382A (ko) 1997-11-03
SK281838B6 (sk) 2001-08-06
NO971490L (no) 1997-05-07
EP0784667B1 (en) 1998-11-11
BR9509491A (pt) 1997-10-14
EP0785982B1 (en) 1998-07-01
EP0784667A1 (en) 1997-07-23
FI971808L (fi) 1997-04-28
ES2125663T3 (es) 1999-03-01
EP0789748B1 (en) 2000-04-12
DK0789748T3 (da) 2000-10-09
CZ135697A3 (en) 1997-08-13
BR9509231A (pt) 1998-01-27
NO972044L (no) 1997-05-02
HUT77714A (hu) 1998-07-28
JPH10508629A (ja) 1998-08-25
FI971350L (fi) 1997-04-02
CA2199133A1 (en) 1996-04-18
KR970706380A (ko) 1997-11-03
PL319952A1 (en) 1997-09-01
AU3689895A (en) 1996-05-31
FI971808A0 (fi) 1997-04-28
PL180924B1 (pl) 2001-05-31
ATE191744T1 (de) 2000-04-15
NO971490D0 (no) 1997-04-02
ES2145302T3 (es) 2000-07-01
CZ92097A3 (en) 1997-07-16
DE69516299T2 (de) 2000-09-14
KR100207150B1 (ko) 1999-07-15
AU3689995A (en) 1996-05-02
CA2199133C (en) 2000-07-18
BR9509230A (pt) 1998-01-27
WO1996014389A1 (en) 1996-05-17
DE69503254T2 (de) 1999-01-21
FI971350A7 (fi) 1997-04-02
CZ286651B6 (cs) 2000-05-17
SE9403778D0 (sv) 1994-11-03
SK54497A3 (en) 1997-09-10
CZ285638B6 (cs) 1999-10-13
CA2199132A1 (en) 1996-05-17
DE69516299D1 (de) 2000-05-18
NO972044D0 (no) 1997-05-02
PL319431A1 (en) 1997-08-04
ATE173293T1 (de) 1998-11-15
PL181515B1 (en) 2001-08-31
CZ288003B6 (cs) 2001-03-14
RU2137822C1 (ru) 1999-09-20
ATE167895T1 (de) 1998-07-15
JP2963769B2 (ja) 1999-10-18
US6255272B1 (en) 2001-07-03
FI971350A0 (fi) 1997-04-02
US5929015A (en) 1999-07-27
SK41097A3 (en) 1997-08-06
FI971808A7 (fi) 1997-04-28
DE69503254D1 (de) 1998-08-06
SK282053B6 (sk) 2001-10-08
EP0785982A1 (en) 1997-07-30
EP0789748A1 (en) 1997-08-20
RU2142982C1 (ru) 1999-12-20
CA2199132C (en) 2000-11-28
KR100207148B1 (ko) 1999-07-15
CZ105397A3 (en) 199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7149B1 (ko) 표백제
KR100203891B1 (ko) 표백제
KR100207151B1 (ko) 표백제
JP2983062B2 (ja) 漂白剤
JP2983063B2 (ja) 漂白剤
EP0992575A1 (en) Bleach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4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4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