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1059B1 - 래치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래치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059B1
KR100201059B1 KR1019950052926A KR19950052926A KR100201059B1 KR 100201059 B1 KR100201059 B1 KR 100201059B1 KR 1019950052926 A KR1019950052926 A KR 1019950052926A KR 19950052926 A KR19950052926 A KR 19950052926A KR 100201059 B1 KR100201059 B1 KR 10020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actuator
spring
ca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515A (ko
Inventor
아끼오 고스기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6003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0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문시 로크동작에 있어서, 저항력을 없애고 확실한 동작을 얻는 것과 아울러, 구조를 간략화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래치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걸림돌조부재(12)를 언로크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대측의 걸어맞춤훅부(5)의 접촉면(5a)까지 누르면, 일단측이 걸어맞춤훅부(5)의 접촉면(5a)에 접하여 액추에이터(14)가 제2스프링(15)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이 회전으로 액추에이터(14)의 오목부(21)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제1스프링(13)의 힘으로 걸림돌조부재(12)가 로크위치까지 이동되어 걸어맞춤훅부(5)의 훅면(5b)에 자동적으로 걸어맞춰져 로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래치로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로서 나타낸 래치로크장치의 작동상태도.
제2도는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로크장치를 표시한 작동상태도.
제3도는 상기 래치로크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에 따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에 따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6도는 상기 래치로크장치의 배면도.
제7도는 제5도의 C-C선에 따른 배면도.
제8도는 종래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로크부 3 : 피로크부
4 : 로크구멍 5 : 걸어맞춤훅부
5a : 접촉면 5b : 훅면
11 : 케이싱 12 : 걸림돌조부재
12a : 래치돌조 13 : 제1스프링
14 : 액추에이터 15 : 제2스프링
20 : 조작부 21 : 오목부(걸어맞춤로크부)
본 발명은, 예를들면 배전반박스에 있어서 개폐문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는데 적절한 래치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류가 배치된 배전반박스등은, 그 앞면을 편개(片開)형상의 개폐문으로 닫고, 이것을 래크로치장치를 개제하여 로크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 래치로크장치는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링(c)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조부재(b)를 구비하고, 폐문시에 걸림돌조부재(b)를 배전반박스(d)측의 걸어맞춤부(e)에 접촉시켜 누름으로써 걸림돌조부재(b)를 밀어넣게 되고, 밀어 넣은 후는 스프링(c)의 복귀에 의해 걸어맞춤이 행해지며, 이 걸어 맞춤으로 문(a)이 되돌아오는 동작을 저지하도록 한 구조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구조의 래치로크장치에서는, 걸림돌조부재(b)가 스프링(c)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경사진 경사캠면(b')으로 된 걸림돌조부재(b)가 슬라이딩되면서 문(a)이 닫히므로, 문(a) 닫히는 동작이 무겁게 느껴지고, 경사캠면(b')의 끝까지 미는 동작을 지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완전히 문이 닫혀진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불완전한 상태에서 닫혀지는 일도 흔히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마모에 의해 부품이 쉽게 손상되어 고장의 염려가 많다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닫힘로크동작시에 있어서 저항력을 없애고 확실한 동작이 얻어짐과 아울러, 구조를 간략화시켜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래치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한 내용중에 순차적으로 밝혀나가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대측 걸어맞춤훅면에 걸림돌조부재를 걸어맞추어 로크하는 래치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훅면과 걸어맞춤이 가능한 로크위치와, 걸어맞춤이 불가능한 언로크(Unlock)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케이싱과, 상기 걸림돌조부재에 일반적으로 설치된 걸어맞춤로크부와, 상기 걸림돌조부재를 항상 상기 로크위치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1스프링과, 일단측이 상기 케이싱보다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단축이 상기 걸어맞춤로크부와 해제가능하게 걸어맞춰져서 상기 걸림돌조부재를 언로크위치로 유지시켜 두기 위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타단측이 상기 걸어맞춤로크부와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2스프링과, 상기 걸림돌조부재에 이 걸림돌조부재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언로크위치까지 수동복귀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이 상대측 소정 위치까지 대략 배치되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단측이 상기 상대측의 소정면에 접촉되어, 타단측과 상기 걸어맞춤로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2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걸림돌조부재를 언로크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대측에 소정위치까지 누르면, 일단측이 상대측의 소정면에 접촉되어 액추에이터가 제2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이 회전으로 액추에이터의 걸어맞춤로크부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제1스프링의 힘으로 걸림돌조부재가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대측의 걸어맞춤훅면에 자동적으로 걸어맞춤로크된다.
그리고 로크조작을 행할 때, 걸림돌조부재가 걸어맞춤부의 배면측에 배치될 때 까지 언로크위치에 걸림돌조부재를 배치해 두고, 그후 로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로크조작에 의한 걸림돌조부재의 걸어맞춤에 대한 마찰저항등을 없애고, 문을 닫을 때 매끄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문을 닫으면, 이것에 연동하여 로크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로크하는 것을 잊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래치로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것이고, 제1도 및 제2도는 그 장치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그 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에 따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6도는 그장치의 배면도, 제7도는 제5도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제1도 및 제2도는 제6도의 D-D선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단면하여 각 동작별로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이 래크로치장치는, 배전반박스(1)의 앞면을 편개형상의 개폐문(50)으로 하여, 그것을 닫을 때에 사용되는 로크장치를 일례로 하고, 크게는 상호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로크부(2)측과 피로크부(3)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로크부(2)측은, 로크구멍(4)을 가지는 배전반박스(1)의 앞면(1a)의 배면측에서, 이 배전반박스(1)에 고정되어 있는 걸어맞춤훅부(5)를 가진다. 이 걸어맞춤훅부(5)는, 피로크부(3)에 대향한 면측에 접촉면(5a)을 가지는 것과 아울러, 로크구멍(4)의 구멍주변부근까지 돌출된 훅면(5b)을 가지고 있다.
한편 피로크부(3)는, 케이싱(11)과, 걸림돌조부재(12)와, 제1스프링(13)과, 액추에이터(14)와, 제2스프링(1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케이싱(11)은 예를 폴리아세탈(POM) 수지등으로 성형되어 있고, 제1케이스 반체(半體)(11a)와 제2케이스 반체(11b)를 상호 조합하여,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된 케이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1)의 정면에는 트인구멍(16)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상측면과 배면측에는 각각 트인구멍(17), (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케이싱(11)을 문(50)의 부착구멍에 끼워넣었을 때, 이것을 돌출고정시키기 위한 탄성걸어멈춤돌조(1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부재(12)는, 같은 폴리 아세탈(POM) 수지등으로, 대략 각기둥형상을 한 블록체로서 성형되어 있다.
타단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제1스프링(13)의 일단측을 받아 들이기 위한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1)의 정면측에 있는 트인구멍(16)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측면에는, 그 트인구멍(16)을 통하여 케이싱(11)의 외부에 돌출배치되는 조작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케이싱(11)의 배면측에 있는 트인구멍(18)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측면에는, 걸어맞춤로크부로서의 오목부(21)와 이 오목부(21)보다 얕은 홈으로, 또한 오목부(21)에서 후단측을 향하는 상태로 하여 가이드홈(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돌조부재(12)는, 조작부(20)를 트인구멍(16)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케이싱(11)내에 배치되고, 이 케이싱(11)내에서 래치돌조(12a)가 케이싱(11)내에 숨겨진 상태의 언로크위치(제2도 참조)와, 래치돌조(12a)가 케이싱(11)내 보다 돌출된 상태의로크위치(제1도 참조)로 슬라이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걸림돌조부재(12)를 케이싱(11)내에 배치할 때, 오목부(19)내에 제1스프링(13)의 일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걸림돌조부재(12)와 케이싱(11) 사이에 상기 제1스프링(13)이 압축되어 배치되고, 이 제1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조부재(12)가 로크위치방향으로 탄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4)는, 폴리아세탈(POM) 수지등으로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부분에는 축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14a)를 걸림돌조부재(12)의 배면측에 있어서 케이싱(1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멍(23)(제5도 참조)에 회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져 부착되고, 이 축부(14a)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11)보다 돌출되어 있는 일단측에는 대략 구면형상을 한 접촉자(14b)가 형성되고, 걸림돌조부재(12)와 대향하고 있는 타단측에는 걸어멈춤돌조(1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멈춤돌조(14c)는 걸림돌조부재(12)의 오목부(21)와 걸어맞춤이 가능하고, 또 오목부(2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후는 가이드홈(22)내를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제2스프링(15)은, 액추에이터(14)의 축부(14a)에 감겨있는 스프링으로, 일단(15a)을 케이싱(11)의 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4)(제5도 참조)에 걸어 고정하고, 타단(15b)을 액추에이터(14)의 일단측에 걸어 고정하며, 이 액추에이터(14)를 제1도중에 화살표(25)로 표시한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항상 탄지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4)는, 제2스프링(15)의 탄지력으로, 걸어멈춤돌조(14c)가 걸림돌조부재(12)에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25)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결정이 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 래치로크장치의 동작을 제1도, 제2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제1도는 문(50)이 닫혀 로크된 상태의 도면이고, 제2도는 문(50)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먼저, 문(5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문(50)이 닫혀 로크될 때까지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 장치에서는 문을 닫는데 앞서, 조작부(20)를 밀어내려 제2도에 나타낸 화살표(26) 방향으로 걸림돌조부재(12)를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걸어멈춤부재(12)의 래치돌조(12a)가 케이싱(11)내에 퇴피된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킨다. 그러면 오목부(21)와 걸어멈춤돌조(14c)가 대응하고, 걸어멈춤돌조(14c)가 오목부(21)내에 빠져들어 걸어맞춰지고, 걸림돌조부재(12)는 케이싱(11)내의 언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걸어멈춤돌조(14c)가 오목부(21)내에 빠져들어감에 따라 액추에이터(14) 전체가 제2도중 시계도는 방향[제1도중 화살표(25)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접촉자(14b)가 케이싱(11)의 배면측보다 크게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문(50)이 닫히면, 이 문(50)과 함께 피로크부(3)가 로크부(2)측으로 이동되고, 로크구멍(4)를 통하여 배전반박스(1)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문이 완전하게 닫혀지기 직전이 되면, 그 반력으로 액추에이터(14)가 시계도는 방향, 즉 제1도중의 화살표(27)방향으로 회동되어, 걸어멈춤돌조(14c)가 오목부(21)내에서 빠져나와, 액추에이터(14)에 의한 걸림돌조부재(12)의 걸어맞춤로크가 해제된다. 그러면 걸림돌조부재(12)가 제1스프링(13)의 탄지력에 의해 제1도중의 화살표(28) 방향으로, 조작부(20)가 로크구멍(4)의 상단에 접촉될 때까지, 즉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걸림돌조부재(12)의 래치돌조(12a)가 훅면(5b)에 걸어맞춰진다.
제1도는 로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다시 문 열 경우에는, 조작부(20)를 밀어내려 제2도중의 화살표(26) 방향으로 걸림돌조부재(12)를 제1스프링(1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걸림돌조부재(12)의 래치돌조(12c)를 넣어 걸어맞추면, 걸림돌조부재(12)가 케이싱(11)내에 언로크위치로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걸어맞춤훅부(5)의 훅면(5b)에 대한 래치돌조(12a)의 로크가 풀려, 문(50)을 개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돌조부재(12)를 언로크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문(50)을 닫고, 일단측의 접촉자(14b)가 상대측의 걸어맞춤훅부(5)의 접촉면(5a)에 맞닿으면, 액추에이터(14)가 제2스프링(15)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되고, 이 회전으로 액추에이터(14)의 걸어맞춤로크부로서의 오목부(21)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제1스프링(13)의 힘으로 걸림돌조부재(12)가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대측 걸어맞춤훅부(5)의 훅면(5b)에 자동적으로 걸어맞춰 로크되게 된다. 따라서 로크조작시 걸림돌조부재(12)의 걸어맞춤부측에 대한 마찰저항등을 없애고, 문을 닫을 때 매끄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문을 닫으면, 이것에 연동하여 로크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로크하는 것을 잊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문으로 닫는 배전반박스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래치로크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의 래치로크장치에 있어서는, 로크조작을 행할 때, 걸림돌조부재가 걸어맞춤부의 배면측에 배치될때까지 언로크위치에 걸림돌조부재를 배치시켜 놓고, 배치된 후에 로크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로크조작시에 걸림돌조부재의 걸어맞춤부에 대한 마찰저항등을 없애고, 문을 닫을 때 매끄럽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 무겁지가 않다. 또 문을 닫으며, 이것에 연동하여 로크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로크하는 것을 잊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대측 걸어맞춤훅면에 걸림돌조부재를 걸어맞춰 로크하는 래치로크장치로써,상기 걸림돌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훅면과 걸어맞춤이 가능한 로크위치와 걸어 맞춤이 불가능한 언로크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걸림돌조부제에 일체로 형성된 걸어맞춤로크부와; 상기 걸림돌조부재를 항상 상기 로크위치방향으로 유지해 두기 위한 제1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일단측이 상기 케이싱에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이 상기 걸어맞춤 로크부와 해제가능하게 걸어맞춰져서 상기 걸림돌조부재를 언로크위치까지 유치하기위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타단측이 상기 걸어맞춤로크부와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지하기 위한 제2스프링와; 상기 걸림돌조부재에 이 걸림돌조부재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언로크위치까가 수동복귀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이 상대측의 소정위치까지 대략 배치되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단측이 상기 상대측의 소정면에 접촉되어, 타단측과 상기 걸어멈춤로크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2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로크장치.
KR1019950052926A 1995-04-27 1995-12-20 래치로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01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25619A JPH08303087A (ja) 1995-04-27 1995-04-27 ラッチロック装置
JP95-125619 199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515A KR960039515A (ko) 1996-11-25
KR100201059B1 true KR100201059B1 (ko) 1999-06-15

Family

ID=1491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9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1059B1 (ko) 1995-04-27 1995-12-20 래치로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303087A (ko)
KR (1) KR100201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061A (ja) * 2001-07-24 2003-02-07 Nakanishi Eng:Kk 窓障子の施錠装置
TWI705751B (zh) * 2019-10-16 2020-09-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殼體結構及鎖定模組
CN111917045A (zh) * 2020-08-07 2020-11-10 叶振磊 一种高低压环网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03087A (ja) 1996-11-19
KR960039515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212A (en) Anti-panic vehicle door latch device
US11555337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4690439A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home electric equipment, particularly a electronic range
US5046341A (en) Car locking device
GB2325271A (en) Automotive door latch
US598438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KR19990066954A (ko) 차량문 체결쇠 조립체
GB2325270A (en) Automotive door latch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US6742818B2 (en) Box lock with safety device
KR100535053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JP7057136B2 (ja) 宅配ボックス用ラッチ錠
EP1179108B1 (en) Latch
JP3737655B2 (ja)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JPH0928007A (ja) ラッチロック装置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GB2297799A (en) Handle assembly
JPS5830917Y2 (ja) 自動車用リッドロック装置
KR0118598Y1 (ko) 차량용 글루브박스 개폐장치
KR900007635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S5834940Y2 (ja) ドアロツクの施解錠操作装置
JPH0860922A (ja) 解錠位置拘束型ラッチ装置
KR0130498Y1 (ko) 회전래치식 평면핸들장치
JPH04503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