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3110B1 -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110B1
KR100193110B1 KR1019960052200A KR19960052200A KR100193110B1 KR 100193110 B1 KR100193110 B1 KR 100193110B1 KR 1019960052200 A KR1019960052200 A KR 1019960052200A KR 19960052200 A KR19960052200 A KR 19960052200A KR 100193110 B1 KR100193110 B1 KR 10019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drum
pulley
polyurethane yarn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395A (ko
Inventor
이부희
Original Assignee
이부희
주식회사금호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희, 주식회사금호섬유 filed Critical 이부희
Priority to KR101996005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110B1/ko
Publication of KR97002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110B1/ko

Link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사기(合絲機)에 장착되어 원사와 합사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 및 송출편차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발명된 합사기용 폴리우레탄원사 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브라케슬 구비하는 플레이트의 내측면상에 구동가능한 드럼을 축설하고, 상기 드럼의 상부에 거치판을 구비하는 클램프를 볼트체결하고, 플레이트의 외측면상에 ㄷ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종동 및 구동풀리와 회전비의 조절을 위한 텐션조절풀리 및 이들의 체결을 위한 벨트를 축설하여서 된것이며; 클램프의 거치판상에 거치된 폴리우레탄원사가 일정속도로 구동하는 드럼에 연접되어 드럼의 구동에 의해 같이 구동하며 송출되도록 하여 폴리우레탄원사 및 이에 합사되는 원사의 사절을 미연에 방지하여주고,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해 주어 폴리우레탄원사의 송출편차가 배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사기용 폴리우레탄원사 송출장치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원사의 송출(送出)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제작되어진 합사기(合絲機)에 장착하여 원사에 합사(合絲)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 및 송출편차를 조절하며 송출하여 줄 수 있도록 발명된 합사기용 폴리우레탄원사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복 및 양장지 등의 제직에 사용되는 원사는 제직완료된 복지의 구김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원사에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원사를 합연 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원사와 폴리우레탄원사의 합연작업이 카바링기에 의해 이루어 졌는데, 이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업과정을 보면 종래 카바링기에 의한 합연방식의 개요도인 제1도에 도시되어짐과 같이 스핀들(S)상에 원사(T2)가 권취된 보빈(203)을 거치하고, 스핀들(S)상부의 소정위치에 장착된 송출로라(R)상에 폴리우레탄원사(T1)가 권취된 보빈(201)을 거치시킨 후, 각각의 보빈(201,203)으로부터 송출되는 원사(T2)와 폴리우레탄원사(T1)를 합연시켜 합연된 원사(T3)가 권취치즈(202)에 권취되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 카바링기에 의한 원사와 폴리우레탄원사의 합연작업은 원사가 단사 또는 단섬유일 경우 원사의 사절에 빈번하여 불량 로스(Loss)의 발생이 많았고, 운전이 저속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떨어졌으며, 합연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송출장력에 따른 다양한 신축성을 갖는 제품의 생산이 불가능하였고, 카바링기의 추수만큼 폴리우레탄원사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필요이상의 원사 구매부담이 수반되는 등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가 송출로라상에 얹혀 있는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송출되므로 과부하로 인한 폴리우레탄원사의 사절이 많았고,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아 폴리우레탄원사 자체의 자중이 변화되는 전단과 중단 및 종단 등의 각단계에서 송출편차가 발생하여 합사가 완료된 원사의 신축성이 균일하지 않았으며, 위 원사를 이용하여 복지를 제직하였을 시에는 복지의 부분 부분이 우글쭈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ㅗ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합사기에 장착하여 합사와 연사공정을 분리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원사와 폴리우레탄원사의 합사작업시 사절을 방지하여 불량로스의 발생률을 극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장력의 단위별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이 일정하게 조절되도록하여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각 송출단계에서 발생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편차를 완전히 배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합사작업에 따른 필요외 원사의 구매부닥이 없도록 발명된 송출장치를 제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바링기에 의한 폴리우레탄원사의 합사작업시에 발생되었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출장치를 합사기에 지지고정시켜 주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폴리우레탄원사를 거치시키기 위한 클램프와, 상기 플레이트상에 축설되어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을 조절해주며 폴리우레탄원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풀리 및 벨트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합사기용 폴리우레탄원사 송출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기존의 카바링에 의한 합사방식의 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장치의 일부파절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출장치 2 : 플레이트
3 : 지지브라켓 4 : 종동풀리
5 : 구동풀리 6 : 드럼구동풀리
7 : 텐션조절풀리 8 : 조절가이드
8A : 장공 9 : 조절나사
10 : 드럼 11 : 클램프
12,12A : 암 13 : 지지봉
14 : 탄발하우징 15,15A : 거치판
16 : 탄발스프링 18 : 지지편
101 : 합사기 102 : 프레임
103 : 원사가이드 104 : 원동풀리
105 : 송출센서 106 : 송출가이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인 송출장치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송출장치의 일부파절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예시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송출장치(1)는 지지브라켓(3)을 구비하는 플레이트(2)의 외측면상에 구동풀리(5)가 동축상에 형성된 종동풀리(4)와 드럼구동풀리(6)를 구동가능케 축설한다.
상기 플레이트(2)상에 축설된 종동풀리(4)와 드럼구동풀리(6)간에 소정위치에 나사공이 천공되는 지지편(18)을 볼트체결하고, 상기 지지편(18)에 장공(8A)을 구비한 조절가이드(8)를 착설시켜 조절나사(9)로 지지편(18)에 체결하고, 상기 조절가이드(8)의 일단에 텐션조절풀리(7)를 축설하여 조절가이드(8)에 축설된 텐션조절풀리(7)가 조절나사(9)에 의해 장공(8A)의 영역만큼 상.하로 조절가능토록 한다.
상기 구동풀리(5)와 드럼구동풀리(6)와 텐션조절풀리(7)를 종동벨트(B2)로 긴장되게 체결한다.
한편 상기한 종동풀리(4)와 구동풀리(5), 그리고 드럼구동풀리(6)에는 요험을 형성하고, 각각의 풀리(4.5.6)에 체결되는 종동벨트(B2)는 요철이 형성된 타임벨트로 선택하여 벨트 및 풀리에 의한 구동의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드럼구동풀리(6)가 축설된 축핀의 타단인 플레이트(2)의 내측면상에 원형의 드럼(10)을 구동가능하도록 축설하고, 상기 드럼(10)의 상단에 위치되는 클램프(11)를 구비하여 플레이트(2)상에 회동가능하도록 볼트체결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11)는 선단에 폴리우레탄원사가 권취된 보빈의 거치를 위한 거치판(15.15A)이 구동가능하도록 축설된 2조의 암(12.12A)과 탄발스프링(16)이 탄설된 탄발하우징(14)과 지지봉(13)으로 구성되는데, 일측의 암(12A)은 탄발하우징(14)에 형성된 개구(14A)에 힌지결합하여 탄발하우징(14)내에 탄설된 탄발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고, 탄발하우징(14)에 힌지결합되는 암(12A)의 선단 외측에는 손잡이(17)를 용착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인 송출장치(1)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제작되어진 합사기(101)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그 상세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송출장치(1)는 지지브라켓(3)을 이용하여 합사기(101)의 전측 프레임(102)상에 볼트체결한 후, 합사기(101)에 장착된 구동모터(M)에 축설된 원동풀리(104)와 송출장치(1)에 축설된 종동풀리(4)르 원동벨트(B1)로 체결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받은 종동풀리(4)의구동에 의해 드럼구동풀리(6)에 축설된 드럼(10)이 구동되도록 하는데, 합사하고자 하는 폴리우레탄원사(T1)의 거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탄발하우징(14)의 개구(14A)에 힌지 결합된 암(12A)에 용착된 손잡이(17)를 이용하여 클램프(11)를 상부로 회동.승강시킨 상태에서 암(12A)을 외측으로 벌려 폴리우레탄원사(T1)가 권취된 보빈(201)을 각각의 거치판(15.15A)사이로 인입시킨 다음 손잡이(17)를 놓게 되면 암(12A)이 탄발스프링(16)의 원복력에 의해 원복되어 거치판(15.15A)간에 보빈(201)이 클램핑되고, 폴리우레탄원사(T1)가 권취된 클램프(11)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강하여 폴리우레탄원사(T1)의 표면이 드럼(10)에 연접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원사(T1)를 거치시켜 폴리우레탄원사(T1)의 표면이 드럼(10)에 연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원사(T1)의 선단을 합사기(101)에 구비되는 송출가이드(106)에 형성된 송출센서(105)상으로 인입시키고, 원사보빈(203)에 권취된 원사(T2)는 원사가이드(103)를 통해서 송출가이드(106)에 형성된 송출센서(105)상으로 인입시킨다.
이상의 상태에서 합사기(101)를 가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드럼(10)이 구동되고, 드럼(10)에 연접디는 폴리우레탄원사(T1)가 권취된 보빈(201)또한 일정속도로 구동하여 폴리우레탄원사(T1)가 송출되어 원사(T2)와 합사된다.
위 합사된 원사(T3)는 그의 권취를 위한 권취치즈(202)에 권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출장치(1)는 인버터수단(미도시됨)을 구비시켜 구동모터(M)의 구동이 서서히 이루어 지도록 구성하므로서 송출장치(1)의 급구동에 의한 폴리우레탄원사의 사절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14A)는 개구이고, (17)은 손잡이이며, (201)은 폴리우레탄원사가 권취된 보빈이고, (202)는 폴리우레탄원사가 합사된 원사를 권취시키기 위한 권취치즈이며, (203)은 원사가 권취된 원사보빈이고, (3A)는 체결공이며, (M)은 구동모터이고, (R)은 송출로라이며, (S)는 스핀들이고, (T1)은 폴리우레탄원사이며, (T2)는 원사이고, (T3)은 폴리우레탄원사와 원사가 합사된 원사이며, (B1)은 원동벨트이고,(B2)는 종동벨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송출장치는 거치판에 거치된 폴리우레탄원사가 드럼에 연접되어 드럼과같이 구동하며 송출되므로 과부하에 따른 원사 및 폴리우레탄원사의 사절이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이고,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조적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전단과 중단 및 종단의 송출편차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어 합사된 원사에 균일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구동풀리와 드럼구동풀리간에 간격조절이 가능한 텐션조절풀리가 축설되어 있어 드럼구동풀리의 규격을 선택적으로 축설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드럼의 회전비를 자유롭게 조절하며 폴리우레탄원사의 송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신축성이 다른 원사를 자유롭게 생산할 수 있는 등의 다채로운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송출장치(1)의 지지고정을 위한 지지브라켓(3)을 구비하는 플레이트(2)상에 드럼구동풀리(6)와, 동축핀상에 구동풀리(5)가 형성되는 종동풀리(4)를 축설하고; 상기 플레이트(2)상에 축설된 구동풀리(5)와 드럼구동풀리(6)간의 소정위치에 지지편(18)을 볼트체결하고; 상기 지지편(18)에 장공(8A)이 천공된 조절가이드(8)를 거치시킨 후, 조절나사(9)를 이용하여 조절가이드(8)을 지지편(18)에 체결하고; 상기 조절가이드(8)의 일단에 텐션조절풀리(7)를 축설하여 텐션조절풀리(7)가 조절가이드(8)에 의해 장공(8A)의 영역만큼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풀리(5) 및 드럼구동풀리(6)과 텐션조절풀리(7)간에 종동벨트(B2)를 긴장되게 체결하여 종동풀리(4)의 구동에 의해 드럼구동풀리(6)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구동풀리(6)가 축설되는 축핀의 타단인 플레이트(2)내측에 드럼(10)을 축설하여 드럼구동풀리(6)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탄발스프링(16)이 탄설된 탄발하우징(14)에 힌지결합되어 탄발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되도록 한 암(12)과, 탄발하우징(14)에 용착되는 지지봉(13)에 장착되도록한 2조의 암(12A)을 구비한 클램프(11)를 드럼(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플레이트(2)상에 볼트체결하고; 상기 클램프(11)에 구비된 각각의 암(12.12A)의 선단에 폴리우레탄원사의 거치를 위한 거치판(15.15A)을 축설하여 드럼구동풀리(6)에 연접되며 구동되도록 하므로서 클램프(11)의 거치판(15.15A)상에 거치되는 폴리우레탄원사가 드럼(10)과 같이 구동하여 송출되는 폴리우레탄원사의 장력과 송출편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송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합사기용 폴리우레탄원사 송출장치.
KR1019960052200A 1996-11-01 1996-11-01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KR10019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00A KR100193110B1 (ko) 1996-11-01 1996-11-01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00A KR100193110B1 (ko) 1996-11-01 1996-11-01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395A KR970021395A (ko) 1997-05-28
KR100193110B1 true KR100193110B1 (ko) 1999-06-15

Family

ID=6651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200A KR100193110B1 (ko) 1996-11-01 1996-11-01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1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395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762B1 (en) Winding device
JP3706946B2 (ja) ストランドの送り出し引き込み速度調節装置
US6283397B1 (en) Variable and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JPH0585521A (ja) 製袋充填包装装置
US6270032B1 (en) Variable or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KR100193110B1 (ko) 합사기용 폴리우레탄 원사 송출 장치
KR20000054245A (ko) 분섬사기의 구동장치
JPH06322647A (ja) 高速編み機のヤーン供給方法と装置
GB2065723A (en) Self actuating yarn feed and drive belt arrangemen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944144A (en) Spindle driving device of covering machine
US3956907A (en) Take up
JP2004002028A (ja) 糸撚り継ぎ装置
US2211434A (en) Feeding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strand wrapping machines
KR200299443Y1 (ko) 밍크담요 제직기의 원사공급용 장력 자동조절장치
KR100641681B1 (ko)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KR20180000208U (ko) 분사 정경시스템용 장력조절장치
MXPA02012498A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torcido, punto de sujecion giratorio y sistema de suministro axial.
CN113718540B (zh) 一种包芯三股绳扭绳一体机
US47855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looping of yarn
JPH11217755A (ja) ホージャリー編機へ伸縮性のある弾性糸を供給する送糸装置
KR20000020735U (ko) 수세미 편직기의 금속사 공급량 자동 조절장치
US4297095A (en) Filament winding apparatus
CN220300980U (zh) 一种蕾丝经编机的放线装置
JPH0197226A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げ時の粗糸巻尻の切断方法
KR100562713B1 (ko)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20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