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5924B1 -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924B1
KR0185924B1 KR1019950029723A KR19950029723A KR0185924B1 KR 0185924 B1 KR0185924 B1 KR 0185924B1 KR 1019950029723 A KR1019950029723 A KR 1019950029723A KR 19950029723 A KR19950029723 A KR 19950029723A KR 0185924 B1 KR0185924 B1 KR 018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control signal
detecting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958A (ko
Inventor
전진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924B1/ko
Publication of KR97001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조된 디지탈데이타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NRZI방식을 이용하여 3치값으로 변조된 신호를 2치값으로 검출할 때 왜곡이 생겼던 종래방식의 디지탈데이타검출수단에 추가로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왜곡이 생겼던 부분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로 변환한 다음 스위칭부와 데이타홀드부를 제어하여 변환되기 전의 원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기기들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데이타홀드부 23 : 데이타왜곡검출부
25 : 제어신호발생부 27 : 스위칭부
100 : 데이타검출수단
본 발명은 변조된 디지탈데이타의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NRZI방식을 이용하여 3치값으로 변조된 신호를 2치값으로 검출할 때 왜곡없는 정확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를 기록하거나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신호의 특성에 최적이 될 수 있도록 신호를 변조한다. 그중 디지탈신호의 변조방식중 NRZI라는 방식이 있다. NRZI(None return to zero inverted)방식은 0, 1의 2치값을 -1, 0, 1의 3치값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재생 또는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본래의 신호인 0, 1의 2치값으로 다시 변환해야 한다. NRZI변환에서, -1, 1은 1로 0은 그대로 0으로 변환되며, 이를 신호검출이라 한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는 -1, 0, 1의 3치값을 1, 0의 2치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기준신호발생부(11,15)와 2개의 비교부(13,17) 및 논리합게이트(OR gate)(19)를 구비한다. 제1기준신호발생부(11) 및 제2기준신호발생부(15)는 증폭, 등화된 재생신호를 인가받는다. 이 신호는 서로간에 180˚의 위상차만을 가진 동일한 신호(S1,S2)이다. 제1, 제2기준신호발생부(11, 15)는 입력신호(S1, S2)의 레벨에 따라 소정 기준에 따라 가변적으로 기준신호(S3,S4)를 출력한다. 여기서, 기준신호(S3,S4)는 입력신호중에 포함되는 0값도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0보다는 최소한 커야 된다. 제1비교부(13)는 제1기준신호발생부(11)의 출력신호(S3)와 원래의 입력신호(S1)를 인가받아 비교하여 입력신호가 클 때는 디지탈 값 1dmf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지탈값 0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기준신호발생부(15)도 제2기준신호발생부(15)의 출력신호(S4)와 원래의 입력신호(S2)를 인가받아 비교하여 입력신호가 클 때는 디지탈값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지탈 값 0을 출력한다. 제1비교부(13) 및 제2비교부(17)의 출력값들(S5,S6)은 논리합게이트(19)를 통해 합쳐지면서, 결국 3치값의 입력신호(-1,0,1)가 2치값(1,0)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종래의 데이타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들은 제3a 내지 제3e도에서 보여졌다. 먼저,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보여진 입력신호(S1,S2)가 제1, 제2기준신호발생부(11,13)로 인가되면, 제1, 제2기준신호발생부(11,13)는 입력신호(S1,S2)의 입력레벨에 따라 가변조정된 제3a, b도에 보여진 기준신호(S3,S4)를 발생한다. 제3a, 제3b도에서 기준신호(S3,S4)와 일직선으로 표시된 점선부분은 입력신호중에 포함되는 0값을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0보다는 최소한 커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1, 제2기준신호발생부(11,13)에 의해 발생된 기준신호(S3,S4)가 제1, 제2비교부(13,17)로 인가되면, 각각의 비교부들(13,17)은 입력되는 원래의 신호(S1,S2)와 비교하여 입력신호가 클 때만 1신호를 출력하여 제3c, 제3d도와 같이 보여진다. 제1비교부(13) 및 제2비교부(17)의 출력값(S5,S6)은 논리합게이트(19)를 통해 제3e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두 신호가 합쳐지면서, 결국 3치값의 입력신호(-1,0,1)가 2치값(1,0)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타검출장치에 있어서, 제3a, b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입력신호들(S1,S2)이 1에서 -1로, -1에서 1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0점을 지나기 때문에 상술한 검출방식에서는 1과 1 사이에 0이라는 값이 반드시 존재하여 신호검출시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3e도에 보여진 바와 같은 출력이 나오게 되는데 이는 원래의 신호가 아닌 왜곡부분(a,b)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1도의 출력신호(S7)는 원래의 신호와는 다른 출력형태를 갖게 되므로, 제3a, 제 3b도의 입력신호로부터 전송된 원래의 데이타(제3i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의 후단에 에러보정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 데이타 왜곡부분의 변화량을 검출한 후 이를 제어신호로 이용하여 스위칭부를 조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출력값을 결정하여 왜곡없는 정확한 신호검출을 할 수 있는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변조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NRZI방식을 이용하여 3치값으로 변조된 디지탈데이타를 2치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검출수단, 상기 데이타검출수단으로부터 2치값으로 변환된 디지탈데이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데이타홀드수단, 상기 데이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2치값의 디지탈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부분을 이용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검출수단과 상기 데이타홀드 수단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최종 디지탈데이타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도로써, 제1도의 장치의 데이타검출수단(100)을 모두 포함하고, 추가로 제1도 장치의 출력을 에러보정하기 위한 에러보정수단(200)을 구비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인 데이타검출수단(100)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특징인 에러보정수단(200)은 제1도 장치에 나타난 데이타검출수단(100)의 출력을 소정 시간 저정하였다가 출력하는 데이타홀드부(21)와 데이타의 출력신호에 실린 에러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타왜곡검출부(23)를 구비한다. 아울러, 에러보정수단(200)은 데이타왜곡검출부(23)의 후단에 데이타 왜곡부분을 이용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25)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도장치의 데이타검출수단(100)의 출력과 데이타홀드부(21) 출력중 하나를 제어신호발생부(25)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7)를 구비한다.
제3a 내지 제3i도는 제2도 장치의 기기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각각 보여준다. 제3a 내지 제3e도에 대한 동작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겠다.
데이타홀드부(21)는 데이타검출수단(100)으로부터의 출력신호(S7)를 소정시간 저장하였다가 스위칭부(27)로 출력한다. 데이타왜곡검출부(23)는 데이타검출수단(100)으로부터의 출력신호(S7)가 0점을 지나는 곳(a,b)에서 신호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제3f도에 보여진 바와 같은 왜곡신호(S8)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발생부(25)는 왜곡신호(S8)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일 때만을 선택한다. 그 다음 스위칭부(27)를 제어하기 위해 제3g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변화량이 큰 부분만을 펄스신호로 변환한 다음 스위칭부(27)로 제어신호(S9)를 출력한다. 스위칭부(27)는 제3h도에 보여진 바와같이 데이타홀드부(21)로부터의 홀딩된 신호(S10)와 상술한 데이타검출수단(100)으로부터의 출력신호(S7)를 제어신호발생부(25)의 스위칭제어신호(S9)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스위칭제어신호(S9)가 하이(H)인 부분은 데이타에러부분이 검출된 부분이므로 홀딩된 신호(S10)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데이타검출수단(100)의 출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3i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왜곡없는 정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RZI방식을 이용하여 3치값으로 변조된 신호를 2치값으로 검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타 왜곡부분을 보정하여 정확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된 데이타 왜곡부분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해내어 스위칭부를 조정함으로써 원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변조된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NRZI방식을 이용하여 3치값으로 변조된 디지탈데이타를 2치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검출수단; 상기 데이타검출수단으로부터 2치값으로 변환된 디지탈데이타를 기설정된 시간동항 저장하는 데이타홀드수단; 상기 데이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2치값의 디지탈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부분을 이용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검출수단과 상기 데이타홀드수단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최종 디지탈데이타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은 상기 데이타검출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데이타에 왜곡신호가 포함되었는지 검출하고, 검출된 왜곡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이상일 때만을 선택하는 데이타왜곡검출부; 상기 데이타왜곡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데이타 왜곡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왜곡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타에러가 검출된 부분은 상기 데이타홀드부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데이타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라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KR1019950029723A 1995-09-12 1995-09-12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KR018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23A KR0185924B1 (ko) 1995-09-12 1995-09-12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23A KR0185924B1 (ko) 1995-09-12 1995-09-12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958A KR970016958A (ko) 1997-04-28
KR0185924B1 true KR0185924B1 (ko) 1999-05-15

Family

ID=1942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723A KR0185924B1 (ko) 1995-09-12 1995-09-12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9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958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199A (en) Multilevel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4410878A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JPH06164652A (ja) 適応スレショルド装置
US5659586A (en) Digital timing recovery circuit including a loop filter having a varying band width
JP2003078575A (ja) 受信波形整形機能を有する光受信装置
US6173019B1 (en) Control loop for data signal baseline correction
KR100366672B1 (ko) 자기저항성헤드의비선형특성을보상하기위한장치
US5959563A (en) Analogue to digital converter with adaptive sample timing based on statistics of sample values
US6363111B1 (en) Control loop for adaptive multilevel detection of a data signal
KR0185924B1 (ko) 디지탈데이타 검출장치
US5576842A (en) Data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or use in a digital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US6374035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3486914B2 (ja) パルス幅変調装置
JPH0520028Y2 (ko)
US5438558A (en) Image signal apparatus including clamping processing of image signal
CA2058387C (en) Method and circuit for regenerating the binary bit stream from a ternary signal
KR0157530B1 (ko) 심볼 클럭 복구회로
KR19990011234A (ko) Pam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JP3140298B2 (ja) チャージポンプ型d/aコンバータ
KR100265325B1 (ko) 컨버전스 데이터간의 차분을 이용한 디지털 컨버전스 장치
KR100189902B1 (ko) 광자기 디스크 기록장치의 디지탈 썸 밸류 제어회로
KR930000721B1 (ko) 버스트 타입 캐리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시스템
SU1067611A2 (ru) Видеорегенератор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ой усилени
JP3286025B2 (ja) ディジタル信号検出回路
JPS62172821A (ja) A/dコンバ−タ入力レベルコントロ−ル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