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5129B1 -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129B1
KR0185129B1 KR1019960034811A KR19960034811A KR0185129B1 KR 0185129 B1 KR0185129 B1 KR 0185129B1 KR 1019960034811 A KR1019960034811 A KR 1019960034811A KR 19960034811 A KR19960034811 A KR 19960034811A KR 0185129 B1 KR0185129 B1 KR 018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ehicle
pressure
lighting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487A (ko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129B1/ko
Priority to US08/710,468 priority patent/US6008725A/en
Publication of KR1998001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킬 때에 사용하는 브레이크(Brake)와 연동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Brake lamp)을 다수개 설치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브레이크등 점등장치는 단 하나의 브레이크등만을 상기 스위치구조를 통해 단순히 온, 오프할 뿐이었기 때문에 브레이크등이 점등 되더라도 그것이 단순하게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동차를 급정지시키기 위한 것인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어서 보다 많은 사고가 유발되는 실정이었던 바, 자동차(10)의 후방에 다수의 브레이크등(11~13)을 설치하고, 마스터실린더(50)의 내부에 다이아프램(51)의 압력을 받는 압력센서(40)를 설치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등(11~13)을 브레이크의 작동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는 것인지 급정지하는 것인지를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되므로 자동차의 안전운행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본 발명은 운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킬 때에 사용하는 브레이크(Brake)와 연동하는 다수의 자동차의 브레이크등(Brake lamp)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수의 브레이크등을 설치하고 각 브레이크등이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등(Brake lamp)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을 밟았을 경우에 점등되어 후속 자동차에게 자동차를 감속했다는 뜻이나 정지하겠다는 뜻을 알려주게 된다.
이 브레이크등의 스위치구조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접점이 스프링에 의해 당겨져 닫히게 되는 스냅식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오일이 충전된 마스터실린더(50) 내부의 유압이 상승하면 다이아프램(51)이 유압으로 밀려 접점(52)이 닫히는 유압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등 점등장치는 단 하나의 브레이크등만 상기 스위치구조를 통해 단순히 온, 오프할 뿐이었기 때문에 브레이크등이 점등되더라도 그것이 단순하게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동차를 급정지시키기 위한 것인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점등된 브레이크등을 통해서 전방 자동차의 급정지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사고가 유발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브레이크등을 통해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자동차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유압식 브레이크등 스위치구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 회로도.
제3a,b,c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장착된 자동차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 : 브레이크 등 20 : 가동편
21~23 : 스위치접점 31 : 제1열선
32 : 제2열선 40 : 압력센서
41 : 차동앰프 42 : 직류옵셋조정회로
43 : 전류전압컨버터 50 : 마스터실린더
51 : 다이아프램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의 후면에 다수의 브레이크등을 설치하고, 마스터실린더 내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각 브레이크등이 브레이크의 작동압력에 의해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제2도에서 제4도까지와 같이 자동차(10)의 후방에 다수의 브레이크등(11~13)을 설치하고, 마스터실린더(50)의 내부에 다이아프램(51)의 압력을 받는 압력센서(40)를 설치하여 상기 각 브레이크등(11~13)을 브레이크의 작동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51)을 통해 가압되는 압력센서(40)는 압력신호를 증폭하는 차동앰프(41)와, 증폭된 압력신호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DC)옵셋조정회로(42), 그리고 전압을 전류로 바꾸는 전류전압컨버터(43; I-V Converter)를 포함하며, 이 압력센서(40)에 제1열선(31)과 제2열선(32)을 연결하고, 제2열선(32)에 상기 각 브레이크등(11~13)을 점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위치점접(21~23)을 갖는 가동편(20)을 접속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최종 브레이크등(13)에는 그를 점멸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셔유닛(13a)을 접속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페달을 밟게 되면 마스터실린더(50) 내부에 충전된 브레이크오일의 유압에 의해 다이아프램(51)이 밀리게 되고, 이 유압이 압력센서(40)의 차동앰프(41)로 전달되어 그 압력신호가 증폭된다.
상기에서 증폭된 압력신호는 직류옵셋조정회로(42)에서 직류 전압으로 바뀌게 되며, 이 전압은 직류전압컨버터(43)에서 다시 전류로 바뀌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40)에서 제공되는 전류는 제1열선(31)을 통해 제2열선(32)으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제2열선(32)은 선팽창하게 되고, 그에 접속된 가동편(20)이 이동하게 된다.
가동편(20)이 유동하게 되면 그에 마련된 각 스위치접점(21~23)이 닫히게 되어 각 브레이크등(11~13)을 점등시키게 되느데, 각 스위치접점(21~23)은 가동편(30)의 이동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
즉, 제3a도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의 답력 및 유압이 비교적 작아 가동편(20)의 이동량이 적게 되면 제1스위치접점(21)만이 닫히게 되어 제1브레이크등(11)만이 점등하게 되며, 브레이크페달을 다소 강하게 밟게 되면 다이아프램(51) 및 압력센서(40)에 작용하는 유압이 다소 크게 되어 각 열선(31)(32)의 팽창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제3b도와 같이 가동편(20)의 이동량이 많게 되어 제1스위치접점(21)은 물론 제2스위치접점(22)이 닫히게 되고, 그에 따라 제1브레이크등(11)과 제2브레이크등(12)이 함께 점등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페달을 최대한 강한 압력으로 밟아 다이아프램(51) 및 압력센서(40)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대로 되면 각 열선(31)(32)의 팽창량 및 가동편(20)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므로 제3c도와 같이 모든 스위치접점(21~23)이 닫히게 되어 모든 브레이크등(11~13)이 점등되며, 그중 플래셔유닛(13a)이 장착된 최종 브레이크등(13)은 점멸하면서 후방 자동차에게 급재동주임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다이아프램(51) 및 압력센서(4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므로 각 열선(31)(3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팽창되었던 가동편(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각 스위치접점(21~23)이 열기게 되어 각 브레이크등(11~13)이 소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트페달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수의 브레이크등(11~13)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는 것인지 급정지하는 것인지를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자동차의 브레이크상태를 확실하게 전달하여 후속 자동차의 운전자가 그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자동차는 물론 후속 자동차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 자동차의 안전운행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자동차(10)의 후방에 다수의 브렝크등(11~13)을 설치하고, 마스터실린더(50)의 내부의 다이아프램(51)을 통해 압력을 받아 전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압력신호를 증폭하는 차동앰프(41)와 증폭된 압력신호를 전압으로 변한시키는 직류옵셋조정회로(42) 그리고 전압을 전류로 바꾸는 전류전압컨버(43)를 구비한 압력센서(40)를 설치하고, 이 압력센서(40)의 출력단에 제1열선(31)과 제2열선(32)을 연결하고, 상기 각 브레이크등(11~13)을 브레이크의 작동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21~23)을 갖는 가동편(20)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브레이크등(11~13)중에서 최종 브레이크등(13)에 플래셔유닛(13a)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KR1019960034811A 1996-08-22 1996-08-22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KR018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811A KR0185129B1 (ko) 1996-08-22 1996-08-22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US08/710,468 US6008725A (en) 1996-08-22 1996-09-18 Device for sequentially turning on brake lamps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811A KR0185129B1 (ko) 1996-08-22 1996-08-22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487A KR19980015487A (ko) 1998-05-25
KR0185129B1 true KR0185129B1 (ko) 1999-04-01

Family

ID=1947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811A KR0185129B1 (ko) 1996-08-22 1996-08-22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08725A (ko)
KR (1) KR0185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5162A (en) * 2001-05-05 2002-11-06 Mark John James Vehicle brake lamps indicating the magnitude of braking
GB2427019A (en) * 2005-06-10 2006-12-13 Katie Davies Brake light
KR20210109708A (ko) 2020-02-27 202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의 순차 점등 장치
KR20210154292A (ko) 2020-06-11 2021-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차점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54042A (ko) 2020-10-23 2022-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KR20230055226A (ko) 2021-10-18 2023-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차점등 조명 장치
KR20240068418A (ko) 2022-11-10 202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광학 램프 장치
KR20240177239A (ko) 2023-06-19 2024-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라이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9415A (en) * 1959-02-24 1962-01-30 Sr William W Marion Automobile traffic signal
DE1430750A1 (de) * 1962-04-07 1968-11-28 Daimler Benz Ag Kraftfahrzeug mit Zweitaktmotor
US4072362A (en) * 1976-06-14 1978-02-07 Lambert Brake Corporation Trailer brake system
US4575706A (en) * 1984-02-17 1986-03-11 Heidman Jr William A Combined magnetic and thermal relay and circuits for timed alarms and lamps of vehicles
US5150098A (en) * 1990-11-13 1992-09-22 Robert Rakow Brake signaling system and process
US5390987A (en) * 1993-03-08 1995-02-21 Kelsey-Hayes Company Brake system metering valve with a pressure actuated brake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8725A (en) 1999-12-28
KR19980015487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12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KR0170859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작동 시스템
KR920002898Y1 (ko) 자동차용 압력 감지식 2중 브레이크 스위치장치
KR0117293Y1 (ko) 자동차의 미등장치
KR200233217Y1 (ko) 자동차 브레이크 램프 조절장치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0139931B1 (ko) 차량의 비상점등장치
KR200205657Y1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200205656Y1 (ko) 차량 속도 감속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970006292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100471800B1 (ko) 자동차용비상램프점멸장치
KR0140307Y1 (ko) 자동차 비상등 자동 점등제어장치
KR100324663B1 (ko) 다단브레이크램프장치
KR200205655Y1 (ko) 급브레이크시 해저드램프 자동점등장치
KR19980033211U (ko) 급브레이크용 비상램프
KR19980043599U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15085U (ko)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JPH08216780A (ja) 自動車表示灯の表示制御装置
KR19980037595U (ko) 급브레이크시 비상등 자동작동장치
KR19990005519U (ko) 차량용 비상등 장치
KR970040574A (ko) 차량용 비상 브레이크장치
KR19980013260U (ko) 차량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19980035363A (ko) 제동등 시스템
KR980008793A (ko) 브레이트 램프이 자동 점멸장치
KR19980027655A (ko) 자동차의 급제동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