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5657Y1 -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57Y1
KR200205657Y1 KR2019960052200U KR19960052200U KR200205657Y1 KR 200205657 Y1 KR200205657 Y1 KR 200205657Y1 KR 2019960052200 U KR2019960052200 U KR 2019960052200U KR 19960052200 U KR19960052200 U KR 19960052200U KR 200205657 Y1 KR200205657 Y1 KR 200205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rminal
terminal
emergency light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130U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2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9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 B60Q1/4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the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전방측 내벽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절연체(2)가 형성된 고정단자(3)와, 상기 하우징(1)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가이드(4)가 형성된 세트 스크류(5)와, 상기 세트 스크류(5)의 가이드(4)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단자(6)와, 상기 고정단자(3) 및 가동단자(6)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가동단자(6)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7)와, 상기 가이드(4)와 가동단자(6)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단자(6)를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부재(8)로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긴급 상황에 의한 급제동시 별도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비상등(12)을 점멸시켜 급제동에 따른 후방 추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본 고안은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긴급 상황에 의한 급제동시 별도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켜 급제동에 따른 후방 추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킬 경우에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풋 브레이크와, 주행을 완료하고 장시간 동안 정차시킬 경우에 운전자가 주차 레버를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행 도중이라도 신호 대기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풋 브레이크는 기계식 브레이크, 유압식 브레이크 및 에어 브레이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상기 기계식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로드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각 바퀴에 전달하는 특징을 가지며,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 실린더,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제동력이 모등 바위에 균등하게 전달됨으로써 마찰 손실이 적고, 조작력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브레이크는 모든 바퀴의 브레이크 슈를 압축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드럼에 밀어 붙여서 제동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은 밸브의 개폐를 하며 압축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 뿐이므로 조작력이 극히 적고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긴급 상황에 따른 급제동시 후방 차량에 전방의 긴급 상황을 알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주행중 긴급 상황에 의한 급제동시 운전자가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여 비상등을 점등시킴으로써 후방 차량에 긴급 상황을 알리게 되지만 너무 긴박한 상황인 경우에는 미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는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후방 차량의 추돌 사고 등, 또 다른 긴급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긴급 상황에 의한 급제동시 별도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켜 급제동에 다른 후방 추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제1도는 정상적인 주행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급제동시의 비상등 자동 점멸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절연체
3 : 고정단자 3a, 6a : 접점
4 : 가이드 5 : 세트 스크류
6 : 가동단자 7 : 제1 탄성부재
8 : 제2 탄성부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내벽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절연체가 형성된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세트 스크류와, 상기 세트 스크류의 가이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가이드 가동단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 스크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정상적인 주행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급제동시의 비상등 자동 점멸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전방측 내벽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절연체(2)가 형성된 고정단자(3)와, 상기 하우징(1)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가이드(4)가 형성된 세트 스크류(5)와, 상기 세트 스크류(5)의 가이드(4)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가동단자(6)와, 상기 고정단자(3) 및 가동단자(6)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가동단자(6)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7)와, 상기 가이드(4)와 가동단자(6)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단자(6)를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트 스크류(5)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가동단자(6)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자(3) 및 가동단자(6)의 대향 부위에는 접점(3a), (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가동단자(6)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10은 제2 탄성부재(8)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11은 전원, 12는 비상등, 13은 록크 너트를 각각 보인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의 회로도로서, 도면중 14는 수동 스위치, 15는 고정단자(3)와 가동단자(6)의 접점(3a), (6a)에 의한 접점 스위치를 보인 것이며, 16은 릴레이, 도 1,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정상적인 주행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동단자(6)가 제1 탄성부재(7) 및 제2 탄성부재(8)의 탄성력에 의하여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때 고정단자(3) 및 가동단자(6)의 접점(3a), (6a)은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비상등(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즉, 고정단자(3)의 외주면에 절연체(2)가 형성되어 있어, 제2 탄성부재(8)와 고정단자(3)의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한편, 자동차가 전방으로 주행하다가 전방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급제동을 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6)가 자체 중량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탄성부재(7)가 압축되는 동시에 고정단자(3)와 가동단자(6)의 접점(3a), (6a)이 접촉됨으로써 비상등(12)이 점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급제동에 의하여 비상등이 점멸되면, 후방 차량에게 충분한 제동시간을 제공하여 후방 추돌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내벽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절연체가 형성된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세트 스크류와, 상기 세트 스크류의 가이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가이드 가동단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긴급 상황에 의한 급제동시 별도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켜 급제동에 따른 후방 추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내벽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절연체가 형성된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세트 스크류와, 상기 세트 스크류의 가이드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가이드 가동단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단자를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스크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2019960052200U 1996-12-20 1996-12-20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205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200U KR200205657Y1 (ko) 1996-12-20 1996-12-20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200U KR200205657Y1 (ko) 1996-12-20 1996-12-20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130U KR19980039130U (ko) 1998-09-15
KR200205657Y1 true KR200205657Y1 (ko) 2001-02-01

Family

ID=5399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200U Expired - Lifetime KR200205657Y1 (ko) 1996-12-20 1996-12-20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13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3012A (en) Deceleration warning indicator
KR200205657Y1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018512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KR19980045129A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100284949B1 (ko) 차량의 급제동시 비상등을 자동 점멸동작시키는 장치
KR0184582B1 (ko) 멈춤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KR200197071Y1 (ko)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0184824B1 (ko) 푸트브레이크 오작동시의 안전장치
KR100269965B1 (ko) 급 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0152624B1 (ko) 자동차 급제동시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100471887B1 (ko) 상용차량의 브레이크등 작동수단
KR200205656Y1 (ko) 차량 속도 감속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100235019B1 (ko) 차량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00254219B1 (ko) 자동차용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20720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제동장치
KR970001099Y1 (ko) 급제동시경고등점등회로
KR19980037602U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19980017775A (ko) 차량의 브레이크등 제어장치
KR19990005519U (ko) 차량용 비상등 장치
JPH11245717A (ja) 二段式制動灯スイッチ
KR19990024930U (ko) 위급상황시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37595U (ko) 급브레이크시 비상등 자동작동장치
KR19990056867A (ko) 차량용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및 방법
KR19980043599U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13260U (ko) 차량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9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