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7239A - 가변 라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라이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7239A KR20240177239A KR1020230078462A KR20230078462A KR20240177239A KR 20240177239 A KR20240177239 A KR 20240177239A KR 1020230078462 A KR1020230078462 A KR 1020230078462A KR 20230078462 A KR20230078462 A KR 20230078462A KR 20240177239 A KR20240177239 A KR 202401772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emitting member
- light emitting
- lighting device
- optical fi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17501 Lobo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films, filters or screens, being rolled up around a rol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8—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non-coherent light sources and/or radiation detectors, e.g. lamps, incandescent bulbs, scintilla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7—Light guides with a single light source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3—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gu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원판형의 광 출사부재의 위치 변동을 통해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복수의 광섬유에 선택적으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여 각각의 광섬유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빛의 출사 형태가 다양화된다. 또한, 광 출사부재만으로 요구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되는 가변 라이팅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빛의 출사 형태를 다양화하여 조명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가변 라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빌리티에는 광원을 활용한 조명장치가 적용되며, 각각의 조명장치는 설치 위치 및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특성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조명등이나,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 있다.
특히, 조명 장치를 통한 조명 디자인은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하기 때문에, 차량의 조명 디자인 및 조명 효과도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는 다양한 조명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광원이 요구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적용하나, DMD의 컨트롤을 위한 복잡한 제어가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빛의 출사 형태를 다양화하고 조명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가변 라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 복수의 광섬유가 구성되고, 각 광섬유의 일단은 광원 모듈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빛 전달 유닛; 광섬유의 일단과 광원 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각 영역에는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부와 빛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광조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광투과부와 광조절부가 복수 형성된 광 출사부재; 및 광 출사부재에 연결되어 광 출사부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동시킴으로써,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 중 어느 하나가 광원 모듈과 광섬유 사이에 매칭되도록 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광섬유의 일단에 집광되도록 하는 렌즈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출사부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 유닛은 동작 여부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회전축부가 광 출사부재의 회전 중심 또는 둘레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투과부와 광조절부는 광 출사부재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 별로 광 출사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출사부재는 광투과부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과, 광투과부와 광조절부가 각기 다르게 조합되어 서로 다른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턴 영역과, 광조절부로 이루어진 차단 영역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패턴 영역은 광투과부와 광조절부의 개수 또는 광투과부와 광조절부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각 패턴 영역 별로 빛이 출사되는 조명 이미지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광섬유는 일단이 멀티 패럴에 의해 밀집되고, 밀집된 광섬유의 너비가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별 광조절부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광섬유의 타단에는 싱글 패럴이 구비되어 다른 부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턴 영역은 일부 광투과부 또는 광조절부가 인접한 다른 패턴 영역의 광투과부 또는 광조절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조절부는 복수의 옵틱이 형성되어 광원 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산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조절부는 검정 도료의 코팅을 통해 광원 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광조절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가변 라이팅 장치는 원판형의 광 출사부재의 위치 변동을 통해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복수의 광섬유에 선택적으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여 각각의 광섬유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빛의 출사 형태가 다양화된다. 또한, 광 출사부재만으로 요구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 라이팅 장치의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 라이팅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광 출사부재의 투과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광 출사부재의 차단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광 출사부재의 패턴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광 출사부재의 패턴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광 출사부재의 광조절부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 라이팅 장치의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 라이팅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출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광 출사부재의 투과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광 출사부재의 차단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광 출사부재의 패턴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광 출사부재의 패턴 영역에 매칭된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광 출사부재의 광조절부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라이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100); 복수의 광섬유(210)가 구성되고, 각 광섬유(210)의 일단은 광원 모듈(100)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빛 전달 유닛(200); 광섬유(210)의 일단과 광원 모듈(100)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각 영역에는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부(310)와 빛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광조절부(320) 중 어느 하나 또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복수 형성된 광 출사부재(300); 및 광 출사부재(300)에 연결되어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동시킴으로써,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 중 어느 하나가 광원 모듈(100)과 광섬유(210) 사이에 매칭되도록 하는 구동 유닛(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이 광 출사부재(300)를 통과하여 빛 전달 유닛(200)의 광섬유(210)에 이동됨으로써, 광섬유(210)의 발광을 통해 조명 이미지가 형성된다.
여기서, 광 출사부재(300)에는 광원 모듈(100)과 빛 전달 유닛(200)의 광섬유(210) 사이에 마련되고,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다.
일례로, 광 출사부재(300)는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의 경우 광투과부(310)만으로 이루어져 빛이 그대로 통과되고, 일부 영역의 경우 광조절부(320)만으로 이루어져 빛의 이동이 차단되며, 나머지 영역의 경우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모두 형성됨으로써 빛이 일부만 투과된다. 특히, 광 출사부재(300)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모두 형성되는 영역의 경우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광섬유(210) 중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각각 상이함으로써,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별로 광섬유(210)에 의해 구현되는 조명 이미지가 다양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 출사부재(300)는 위치 변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구동 유닛(400)에 의해 위치가 변동된다. 즉, 구동 유닛(400)에 의한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한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원 모듈(100)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110)과, 광원(110)에서 발생된 빛이 광섬유(210)의 일단에 집광되도록 하는 렌즈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광원(110)과 렌즈부(120)로 구성되며, 광원(110)은 LED로 구성되고 렌즈부(120)는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이 집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20)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부가 형성되어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이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은 렌즈부(120)를 통과함에 따라 직진성을 가지고, 빛 전달 유닛(200)의 광섬유(210)에 입사될 수 있다.
한편, 광 출사부재(3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사부재(3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형성된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다. 즉,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각 영역에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광 출사부재(30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구동 유닛(400)에 연결되어 회전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광원(110)과 광섬유(210)에 매칭되는 영역에 따라 조명 이미지가 결정된다.
구동 유닛(400)은 동작 여부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410)가 구비된다. 즉, 구동 유닛(400)은 모터(420)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부(410)가 구비되며, 회전축부(410)가 광 출사부재(30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축부(41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사부재(300)의 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유닛(400)의 회전축부(410)가 광 출사부재(300)의 둘레면에 연결시, 기어 연결 구조를 적용하여 회전축부(410)의 회전에 따른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위치가 특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유닛(400)은 회전 모터(420) 외에 솔레노이드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는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 별로 광 출사부재(3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배치될 수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는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에서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위치 변동시 현재 빛이 입사되는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변동됨에 따른 광섬유(210)의 조명 이미지 변화의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회전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어 복수의 광섬유(210)를 사선으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광섬유(210) 중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가 상시 접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광 출사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배열을 다양화하기가 용이하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광 출사부재(300)는 광투과부(310)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A)과,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각기 다르게 조합되어 서로 다른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턴 영역(B)과, 광조절부(320)로 이루어진 차단 영역(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광 출사부재(300)는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각각의 영역은 투과 영역(A), 패턴 영역(B), 차단 영역(C)으로 분류될 수 있다.
투과 영역(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부(310)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빛이 통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A)은 광 출사부재(300)가 투과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광조절부(3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될 수 있다.
차단 영역(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절부(320)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빛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단 영역(C)은 빛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광섬유(210)가 차단 영역(C)에 매칭될 경우 광 출사부재(300)를 통과하는 빛 출사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영역(B)은 복수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패턴 영역(B)에 형성되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가 서로 다르게 배치됨으로써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조합을 통해 각 패턴 영역(B)별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광조절부(320)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되어 패턴 영역(B)에서 조명 이미지를 다양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절부(320)는 복수의 옵틱(321)이 형성되어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이 산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광조절부(320)는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옵틱(321)이 형성됨으로써, 빛이 각 옵틱(321)에 접촉시 전반사 및 굴절되어 산란된다. 이러한 옵틱(321)은 광조절부(320)를 통해 투과되는 요구 광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영역에서 광조절부(320)의 옵틱(321)은 서로 다른 형태 또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각 패턴 영역(B)의 광조절부(320)는 옵틱(321)이 점차 증대되거나 감소되도록 이루어져, 광 출사부재(300)가 회전됨에 따라 광원(110)에서 출사된 빛이 각각의 패턴 영역(B)에 입사시 광섬유(210)에 입사되는 광량이 서서히 감소되거나 증대됨에 따라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조절부(320)는 검정 도료의 코팅을 통해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광조절부(320)가 빛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될 경우 빛이 통과되는 광투과부(310)에 대비하여 광섬유(210)로 입사되는 빛이 명확히 구분되어, 이에 따른 조명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조절부(3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 패턴 영역(B)의 광조절부(320)는 일부 또는 모두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광조절부(320)를 통과함에 따른 광섬유의 발광시 색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은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색상이 변환된 후 광섬유(210)에 입사됨으로써, 광섬유(210)가 다양한 색상의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패턴 영역(B)은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개수 또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각 패턴 영역(B) 별로 빛이 출사되는 조명 이미지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패턴 영역(B)에는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를 통해 복수의 광섬유(210) 중 광투과부(310)와 매칭되는 광섬유(210)에 빛이 입사되는데, 각각의 패턴 영역(B) 별로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개수 또는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각 패턴 영역(B)을 통과하는 빛의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복수의 광섬유(210) 중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변화된다.
일례로, 특정 패턴 영역(B)이 다른 패턴 영역(B)에 대비하여 광투과부(310)의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될 경우 특정 패턴 영역(B)을 통과하여 광섬유(210)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각 패턴 영역(B)에서 광조절부(32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광섬유(210) 중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패턴 영역(B)별로 발광되는 광섬유(210)가 상이하게 결정된다.
이를 통해, 광 출사부재(3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광원 모듈(100)과 광섬유(210) 사이에 매칭되는 패턴 영역(B) 별로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상이함으로써, 각 패턴 영역(B)별로 광섬유(210)를 통한 조명 이미지가 변화되어 다양한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섬유(210)는 일단이 멀티 패럴(220)에 의해 밀집되고, 밀집된 광섬유(210)의 너비가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별 광조절부(32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멀티 패럴(220)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이며, 내부에 복수의 광섬유(210) 일단이 삽입됨에 따라 광섬유(210)가 밀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광섬유(210)를 7가닥으로 구성하였으나, 광섬유(210)는 조명 디자인 또는 요구 광량에 따라 그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광섬유(210)는 멀티 패럴(220)에 의해 밀집된 상태에서 광원 모듈(100)의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밀집된 광섬유(210)의 전체 너비는 광 출사부재(300)의 각 영역별 광조절부(32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광 출사부재(300)는 광조절부(320)에 의해 각 광섬유(210)로 이동되는 빛의 통과 및 차단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한다. 또한, 광 출사부재(300)에서 빛의 이동을 최대한 제한시키는 영역에서도 광원 모듈(100)에서 조사된 빛이 일부 광섬유(210)에 입사됨에 따라 광섬유(210)의 미세 발광을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광섬유(210)의 타단에는 싱글 패럴(230)이 구비되어 다른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싱글 패럴(2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고, 광섬유(21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싱글 패럴(230)을 통해 광섬유(210)의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고정 작업에 의한 광섬유(2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확보된 싱글 패럴(230)을 다른 부품에 결합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확보되고 광섬유(210)의 손상도 회피되어 광섬유(210)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패턴 영역(B)은 일부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가 인접한 다른 패턴 영역(B)의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패턴 영역(B)은 광투과부(310)와 광조절부(320)의 배치를 상이하게 하여 복수의 광섬유(210) 중 빛이 입사되는 광섬유(210)가 상이하다. 또한, 구동 유닛(400)에 의해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복수의 패턴 영역(B)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된다.
여기서, 복수의 패턴 영역(B)은 일부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의 경우 인접한 다른 패턴 영역(B)의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와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패턴 영역(B)의 경우 동일한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광섬유(210)와 매칭되는 패턴 영역(B)이 다른 패턴 영역(B)으로 변화될 경우 동일한 광투과부(310) 또는 광조절부(320)를 갖는 부분에서 동일한 광섬유(210)에 빛이 입사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이에 따라,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 변동에 의해 패턴 영역(B)이 변화되더라도, 복수의 광섬유(210) 중 특정 광섬유(210)의 경우 발광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패턴 영역(B)의 변화에 따른 이질감이 해소된다. 이와 더불어,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광섬유(210)에 매칭되는 패턴 영역(B)의 변화시 각각의 광섬유(210)가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광 출사부재(300)는 투과 영역(A), 복수의 패턴 영역(B), 차단 영역(C)으로 구획되고, 광조절부(320)를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함에 따라 각각의 패턴 영역(B)에서 서로 다른 조명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유닛(400)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 광 출사부재(300)를 이용하여 빛 전달 유닛(200)의 각 광섬유(210)가 선택적으로 발광됨으로써 다양한 조명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 및 빛 전달 유닛(200)을 복수 구성하고, 하나의 광 출사부재(300)에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광섬유(210)를 추가 확보하여 다양한 위치에 디자인 요소로서 광섬유(2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등 또는 헤드램프 등 모빌리티의 다양한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섬유(210)가 광 출사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되고, 다이나믹한 조명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조명 기능의 고급화에 따른 상품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광원 모듈 110:광원
120:렌즈부 200:빛 전달 유닛
210:광섬유 220:멀티 패럴
230:싱글 패럴 300:광 출사부재
310:광투과부 320:광조절부
321:옵틱 400:구동 유닛
410:회전축부 420:모터
A:투과 영역 B:패턴 영역
C:차단 영역
120:렌즈부 200:빛 전달 유닛
210:광섬유 220:멀티 패럴
230:싱글 패럴 300:광 출사부재
310:광투과부 320:광조절부
321:옵틱 400:구동 유닛
410:회전축부 420:모터
A:투과 영역 B:패턴 영역
C:차단 영역
Claims (13)
- 빛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
복수의 광섬유가 구성되고, 각 광섬유의 일단은 광원 모듈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빛 전달 유닛;
광섬유의 일단과 광원 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며, 각 영역에는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부와 빛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광조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광투과부와 광조절부가 복수 형성된 광 출사부재; 및
광 출사부재에 연결되어 광 출사부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동시킴으로써,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 중 어느 하나가 광원 모듈과 광섬유 사이에 매칭되도록 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광섬유의 일단에 집광되도록 하는 렌즈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 출사부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동작 여부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회전축부가 광 출사부재의 회전 중심 또는 둘레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투과부와 광조절부는 광 출사부재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 별로 광 출사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광 출사부재는 광투과부로 이루어진 투과 영역과, 광투과부와 광조절부가 각기 다르게 조합되어 서로 다른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턴 영역과, 광조절부로 이루어진 차단 영역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의 패턴 영역은 광투과부와 광조절부의 개수 또는 광투과부와 광조절부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각 패턴 영역 별로 빛이 출사되는 조명 이미지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는 일단이 멀티 패럴에 의해 밀집되고, 밀집된 광섬유의 너비가 광 출사부재의 각 영역별 광조절부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광섬유의 타단에는 싱글 패럴이 구비되어 다른 부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패턴 영역은 일부 광투과부 또는 광조절부가 인접한 다른 패턴 영역의 광투과부 또는 광조절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조절부는 복수의 옵틱이 형성되어 광원 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산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조절부는 검정 도료의 코팅을 통해 광원 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광조절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라이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462A KR20240177239A (ko) | 2023-06-19 | 2023-06-19 | 가변 라이팅 장치 |
US18/517,632 US20240418950A1 (en) | 2023-06-19 | 2023-11-22 | Variable lighting apparatus |
CN202311663837.XA CN119163916A (zh) | 2023-06-19 | 2023-12-06 | 可变照明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462A KR20240177239A (ko) | 2023-06-19 | 2023-06-19 | 가변 라이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7239A true KR20240177239A (ko) | 2024-12-27 |
Family
ID=9384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8462A Pending KR20240177239A (ko) | 2023-06-19 | 2023-06-19 | 가변 라이팅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418950A1 (ko) |
KR (1) | KR20240177239A (ko) |
CN (1) | CN11916391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5487A (ko) | 1996-08-22 | 1998-05-25 | 김영귀 |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6709A (en) * | 1992-07-22 | 1993-07-13 | Labranche Gerard A | Lighting arrangement for Christmas trees |
US5558421A (en) * | 1995-05-16 | 1996-09-24 | Guastella; Michael V. | Decorative fiber optic lamp |
US7329028B2 (en) * | 2006-06-21 | 2008-02-12 | Youngtek Electronics Corporation | Uniform light generating system for adjusting output brightnes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DE102007022730A1 (de) * | 2007-05-11 | 2008-09-25 | Schott Ag | Kabineninnenbeleuchtungssystem |
JP2016100286A (ja) * | 2014-11-25 | 2016-05-30 |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 車両用灯具、照明装置、および発光装置 |
CN209373341U (zh) * | 2018-07-18 | 2019-09-10 |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 滤光模块以及投影装置 |
US11789349B2 (en) * | 2021-06-08 | 2023-10-17 | Delta Electronics, Inc. | Light source module |
-
2023
- 2023-06-19 KR KR1020230078462A patent/KR20240177239A/ko active Pending
- 2023-11-22 US US18/517,632 patent/US20240418950A1/en active Pending
- 2023-12-06 CN CN202311663837.XA patent/CN11916391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5487A (ko) | 1996-08-22 | 1998-05-25 | 김영귀 |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9163916A (zh) | 2024-12-20 |
US20240418950A1 (en) | 2024-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5516B1 (ko) | 차량용 램프 | |
US20180073700A1 (en) |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mproved matrix beam uniformity | |
KR20210108553A (ko) | 복수의 빔패턴 이미지를 갖는 광원 장치 | |
CN107709872B (zh) | 照明装置 | |
KR102727539B1 (ko) | 차량용 램프 | |
CN104344314A (zh) | 具有改进的漫射辐射成形的照明和/或信号指示系统 | |
KR20200018976A (ko) | 차량용 조명 장치 | |
KR20190096214A (ko) | 자동차의 리어 램프 모듈 및 이를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
US8172428B2 (en) | Optical system with non-circular aperture | |
KR20240177239A (ko) | 가변 라이팅 장치 | |
KR20170076183A (ko) |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 |
KR20220091243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70080972A (ko) | 차량용 리어 램프 | |
KR20170080210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70081018A (ko) | 차량용 램프 | |
JP4239766B2 (ja) | 照明装置 | |
US11629832B2 (en) | Homogenous lit line image vehicle lamp assembly | |
JP7506575B2 (ja) | 車両用灯具及びレンズ体 | |
KR102784598B1 (ko) | 차량용 램프 | |
CN114326279B (zh) | 反射式投影系统及其制造方法 | |
KR102784590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714189B1 (ko) | 차량용 퍼들 램프 | |
KR20240068418A (ko) | 가변 광학 램프 장치 | |
KR20250011267A (ko) | 조명 장치 | |
JP4683104B2 (ja) | 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