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2672B1 -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72B1
KR0182672B1 KR1019960015888A KR19960015888A KR0182672B1 KR 0182672 B1 KR0182672 B1 KR 0182672B1 KR 1019960015888 A KR1019960015888 A KR 1019960015888A KR 19960015888 A KR19960015888 A KR 19960015888A KR 0182672 B1 KR0182672 B1 KR 018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support
bracket
presen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536A (ko
Inventor
박두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72B1/ko
Publication of KR97007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에 타이어가 펑크가 난 경우 등의 비상시에 손상된 타이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휴대하는 화물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구조는 소요부품이 많을 뿐 아니라 그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별도의 스톱퍼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양 사이드멤버(20)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지지멤버(30)를 통해 스페어타이어에 대한 모든 지지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감소에 따른 부품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립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화물자동차의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스페어타이어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화물자동차의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구조의 평면도.
제2도는 종래구조의 스페어타이어 장착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스페어타이어 20 : 사이드멤버
30 : 지지멤버 40 : 고정브라켓트
41 : 지지로울러 50 : 지지체인
60 : 고정볼트 61 : 너트
70 : 지지브라켓트 71 : 끼움편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톱퍼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양 사이드멤버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지지멤버를 통해 스페어타이어에 대한 모든 지지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자동차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사이드멤버(20)의 사이를 가로질러 스페어타이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멤버(3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멤버(30)의 내하단 중앙에는 고정브라켓트(40)가 설치되고, 고정브라켓트(4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41)에 지지체인(50)이 휘감겨 설치되며, 지지체인(50)의 일단부에는 고정볼트(60)가 설치된다.
한편 지지멤버(30)의 하단에는 스페어타이어(10)의 휠공에 투입되는 끼움편(71)이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트(70)가 설치되며, 지지브라켓트(70)의 하단에는 받침브라켓트(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체인(5)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볼트(60)가 지지브라켓트(70)의 중앙부와 받침브라켓트(80)의 중앙부 및 스페어타이어(10)의 휠중심공에 관통되고, 그 하단에 너트(61)가 결합되며, 휠의 상면과 받침브라켓트(80)의 사이에 스프링(9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멤버(30)의 하부로부터 스페어타이어(10)를 상부로 밀어올려 지지브라켓트(70)의 끼움편(71)과 고정볼트(60)를 휠에 결합한 다음 고정볼트(60)에 너트(61)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스페어타이어(1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스페어타이어(10)가 일단 고정된 상태에서는 지지체인(50)과 연결된 고정볼트(60)와 끼움편(71)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멤버(30)와 그에 부속되는 몇 개의 부품만으로 간편하게 스페어타이어(1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감소에 따른 부품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으로 조립에 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화물자동차의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주행주에 타이어가 펑크가 난 경우 등의 비상시에 손상된 타이어를 교환하여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화물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화물자동차에 항시 휴대하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스페어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side member)및 그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멤버(cross member)를 이용하여 스페어타이어(spare tire)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제 1도 및 제2도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멤버(20')및 크로스멤버(90')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페어타이어(10')를 양 사이드멤버(20')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멤버(30')는 물론 양 사이드멤버(20')와 크로스멤버(90')에 설치되는 스톱퍼(21')(91'),그리고 지지멤버(30')에 설치되는 록킹부재(31')등을 통해 지지하였기 때문에 그 소요부품이 많을 뿐 아니라 그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구조는 소요부품이 많아 그 부품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에 따른 조립시간과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조립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화물자동차의 원가상승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20)의 사이를 가로질러 스페어타이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멤버(30)를 설치하되, 지지멤버(30)의 내하단 중앙에 고정브라켓트(40)를 설치하고, 고정브라켓트(4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41)에 지지체인(50)을 휘감아 설치하며, 지지체인(50)의 일단부에 고정볼트(60)를 연결하는 동시에 스페어타이어(10)의 휠공에 투입되는 끼움편(71)이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트(70)와 받침브라켓트(80)를 지지멤버(30)의 하단에 설치하고, 지지브라켓트(70)와 받침브라켓트(80)의 중앙부, 그리고 스페어타이어(10)의 휠중심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0)에 너트(61)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019960015888A 1996-05-14 1996-05-14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018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88A KR0182672B1 (ko) 1996-05-14 1996-05-14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88A KR0182672B1 (ko) 1996-05-14 1996-05-14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536A KR970074536A (ko) 1997-12-10
KR0182672B1 true KR0182672B1 (ko) 1999-04-01

Family

ID=1945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888A KR0182672B1 (ko) 1996-05-14 1996-05-14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536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9760A (en) Grill and brush guard and utility rack for a vehicle
US6962369B2 (en) Spare wheel assembly
KR0182672B1 (ko)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US20020180170A1 (en) Shock controlled ladder bar system
KR100644464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서포트 빔 구조
KR890005281Y1 (ko) 화물트럭의 보조 흙받이 결착구
CN222271761U (zh) 全地形车的包装结构
US1965735A (en) Spare wheel carrier for tractors
KR100353196B1 (ko) 자동차용 비상보조휠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JPS62265001A (ja) 走行時のハブボルト折損による脱輪防止器
KR200216710Y1 (ko) 프레임의 보강 구조
EP0883505B1 (en) Wheel suspension device
KR19980037133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 결합구조
KR0114533Y1 (ko) 트레일러용 보조타이어 보관구조
KR200147667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클랙 방지용 지지판
KR0134674Y1 (ko) 자동차용 타이다운훅의 장착구조
KR100507000B1 (ko) 차량의 샤시프레임 보강구조
KR19980064146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 구조
KR19980048600U (ko) 자동차의 잭 고정 구조
KR980007847U (ko) 보강구조를 갖춘 트렁크 플로어 패널
KR19980085537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래터럴 로드 고정 구조
KR19980012914U (ko) 자동차용 뒤차축 현가장치
KR19980021620A (ko) 중형화물차용 새시스프링 조립체
KR19980046903A (ko) 자동차의 잭 포인트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