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6710Y1 - 프레임의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의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710Y1
KR200216710Y1 KR2019950057746U KR19950057746U KR200216710Y1 KR 200216710 Y1 KR200216710 Y1 KR 200216710Y1 KR 2019950057746 U KR2019950057746 U KR 2019950057746U KR 19950057746 U KR19950057746 U KR 19950057746U KR 200216710 Y1 KR200216710 Y1 KR 200216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rame
frame
guide groove
body floo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7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317U (ko
Inventor
허준무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57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710Y1/ko
Publication of KR970038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710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립공수 및 제조코스트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큰 강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프레임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접합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1)에는 체결공(21b) 및 가이드홈(21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21a)과 어울리도록 오목홈(23a)이 형성된 보강부재(23)가 나합되고, 상기 가이드홈(21a)과 오목홈(23a)이 접촉되어 형성된 중공홈에는 보강파이프(25)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임의 보강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차체 플로어에 설치될 때, 리어 프레임의 설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리어 프레임의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의 중요 부분을 이루는 새시와, 새시 위에 설치되어 운전석이나 객실 등을 구성하는 바디로 구성되고, 바디와 프레임을 분리한 프레임식 바디와, 바디와 프레임이 일체로 된 일체 구조식 바디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승용차는 일체 구조식 바디를 사용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이동 수단이므로, 항상 교통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 흡수하도록 자동차의 각각의 부분에 완충 장치 및 흡수 장치가 장착된다.
한편, 자동차의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은 상기된 바와 같은 층격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부재와 함께 차체 플로어의 하부에 접합된다.
차체 플로어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합되는 종래의 구조는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특히 리어 프레임(3)의 양측부가 차체 플로어(F)의 하부에 접합된 상태에서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보다 큰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프레임(3)의 내에서 리어 프레임(3)의 양측부에 보강 부재(5)의 양측부가 접합되어 용접된 상태에서, 차체 플로어(F)의 하부에 보강 부재(5)의 양측부가 접합되어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의 보강 구조는 용접 작업에 의한 공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기대한 바와 같이 강성이 보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능한 용접 작업에 의한 작업을 피하는 것으로, 조립 공수가 적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한편,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의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a)도는 종래의 차체 플로어에 리어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제1(b)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구조에 의하여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리어 프레임 21a : 가이드홈
21b : 나사공 23 : 보강 부재
23a : 오목홈 23b : 관통공
25 : 보강파이프 F : 차체 플로어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차체 플로어의 하부에 용접 설치되는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하부 부분이 상기 차체 플로어로부터 떨어지도록 양 단부 부분이 상기 차체 플로어에 용접되고, 그 양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또한 중앙 부분에 반원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리어 프레임과;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며, 싱기 리어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 홈과 원형을 이루도록 반원형의 오목홈을 가지는 보강부재와; 상기 리어 프레임과 상기 보강 부재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홈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홈에 삽입되는 보강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 보강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의 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제2(b)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체 플로어 강성 구조는 제2(a)도,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플로어(F)의 하부면에 리어 프레임(21)이 용접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리어 프레임(21)은 중앙 부분이 차체 플로어(F)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양측면에 다수의 나사공(21b)이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21)은 차체 플로어(F)의 하부에 용접되었을 때 차체 플로어(F)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되는 하부 부분의 중앙 부분에 반원형의 가이드 홈(21a)이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21)은 그 하부에 다수의 볼트(27)에 의하여 보강 부재(23)가 결합되며, 보강 부재(23)는 리어 프레임(21)의 가이드 홈(21a)과 대응하는 부분에 리어 프레임(21)의 가이드 홈(21a)과 원형을 이루도록 반원형의 오목홈(23b)이 제공되며, 리어 프레임(21)의 나사공(21b)에 대응하는 양측면 부분에는 다수의 관통공(23b)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리어 프레임(21)이 차체 플로어(F)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 부재(23)가 리어 프레임(21)에 결합되고, 이 때, 볼트(27)들이 보강 부재(23)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3b)을 통하여 리어 프레임(21)의 양측면에 형성된 나사공(21b)에 체결된다.
한편, 리어 프레임(21)과 보강 부재(23)가 결합될 때, 리어 프레임(21)의 가이드 홈(21a)과 보강 부재(23)의 오목홈(23a)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홈에 원통 형상의 보강 파이프(25)가 삽입된다. 따라서, 차체 플로어(F)에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21)의 강도는 보강 부재(23) 및 보강 파이프(25)에 의하여 한층 더 보강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의 보강 구조에 의하면, 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한편, 리어 프레임과 보강 부재 사이에 보강 파이프가 제공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차체 플로어에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의 강도를 확실하게 보강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

  1. 차체 플로어의 하부에 용접 설치되는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하부 부분이 상기 차체 플로어로부터 떨어지도록 양 단부 부분이 상기 차체 플로어에 용접되고, 그 양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또한 중앙 부분에 반원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리어 프레임과;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며, 싱기 리어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 홈과 원형을 이루도록 반원형의 오목홈을 가지는 보강 부재와; 상기 리어 프레임과 상기 보강 부재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홈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홈에 삽입되는 보강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프레임 보강 구조.
KR2019950057746U 1995-12-30 1995-12-30 프레임의 보강 구조 KR200216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7746U KR200216710Y1 (ko) 1995-12-30 1995-12-30 프레임의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7746U KR200216710Y1 (ko) 1995-12-30 1995-12-30 프레임의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17U KR970038317U (ko) 1997-07-29
KR200216710Y1 true KR200216710Y1 (ko) 2001-04-02

Family

ID=6087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7746U KR200216710Y1 (ko) 1995-12-30 1995-12-30 프레임의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7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1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892B1 (ko)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조립체
KR200216710Y1 (ko) 프레임의 보강 구조
KR19990020719A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KR200152922Y1 (ko) 상용차의 플로어패널
KR0139455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맴버의 구조
KR950004091Y1 (ko) 자동차의 차체 하부보강구조
KR970003679Y1 (ko) 자동차의 하부구조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KR100198117B1 (ko) 화물자동차의 캐빈프론트패널
KR200149592Y1 (ko) 자동차 대쉬판넬 보강구조
KR0160042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결합구조
KR200156990Y1 (ko)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19980032416U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0124878Y1 (ko) 차량용 대쉬 패널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9990040984A (ko) 강성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리어 플로워 패널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0150168B1 (ko) 자동차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19990026413U (ko)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20000041766A (ko) 차량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구조
KR19980037224A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
KR19980045285U (ko) 차량프론트 플로어패널의 보강패널
KR19990006674U (ko) 자동차의 프론트 크로스 멤버 체결구조
KR19980050843A (ko) 4륜차용 그립 핸들 장착구조
KR19980041483U (ko) 차량 현가의 트레일 링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5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1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