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0958B1 - 댐퍼밸브 - Google Patents

댐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958B1
KR0180958B1 KR1019950017973A KR19950017973A KR0180958B1 KR 0180958 B1 KR0180958 B1 KR 0180958B1 KR 1019950017973 A KR1019950017973 A KR 1019950017973A KR 19950017973 A KR19950017973 A KR 19950017973A KR 0180958 B1 KR0180958 B1 KR 018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rrier
damper
hydraulic
connec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베 쥐르겐
아스브란드 울리취
Original Assignee
슈츠 외르크; 바우터 볼프강
다임러-벤츠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츠 외르크; 바우터 볼프강, 다임러-벤츠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슈츠 외르크; 바우터 볼프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Valve Housing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ervo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관들의 연결부들, 특히 서보제어기 유압이동조립품으로써 디자인된 서보모터를 서보밸브에 연결시키는 것들에 접한 댐퍼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완충효과를 갖는 모든 요소들은 연결부에 전속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댐퍼밸브
제1도는 유압서보모터를 포함하는 래크와 피니온구조의 조향장치 전체의 개략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유압서보밸브와 서보모터를 연결시키고 유압관들을 위해 나사구조를 가지며 중심이 비어 있는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부품(hollow-core screw-like connection part)에 대한 단면도.
제6도 내지 제7도는 플랜지구조를 가지는 연결부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크(rack) 3 : 피니온(pinion)
4 : 핸들 5 : 유압서보밸브
6,7 : 유압관 8 : 복동실린더
9 : 연결구멍 10 : 연결부품
10' : 구성부 10 : 구성부
12 : 링(ring) 13 : 원형요홈
14 : 씰링링(sealing ring) 15 : 플랜지(flange)
16 : 반경방향개구부 17 : 단부면개구부
18 : 밸브운반체 19 : 볼트
19' : 저널(journal) 20 : 밸브몸체
21 : 압축스프링 22 : 원판
23 : 밸브스프링판 24 : 축방향구멍
25 : 스프링클립(spring clip) 26 : 나사인서트
27 : 씰링링 28 : 씰링심(sealing shim)
본 발명은 서보제어(servo control)가 이루어지고 유압변위발생장치로서 설계되는 서보모터(servomotor)를 유압서보밸브에 연결시키는 유압관들의 연결부품상에 위치하며, 축방향구멍을 가진 원판모양의 밸브운반체를 가지고, 유압매체가 유동가능한 밸브운반체의 상기 축방향구멍들이 밸브운반체의 단면상에 볼트로 고정된 소형의 밸브스프링 판들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밸브몸체들에 의해서, 또는 상기 밸브스프링 판들과 함께 밸브몸체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댐퍼밸브(damper valve)에 관련된다.
운전자가 차량조향장치(Vehicle steering system)를 조작할 때 운전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량의 표준으로서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조향장치는 적어도 승용차의 경우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유압보조력에 의해 작동된다.
이런 점에서 문헌 제 DE-A 40 29 156 호에 따르면, 유압보조력을 발생시키는 복동실린더(dual-action piston-cylinder)와 서보밸브(servo valve)사이에 댐퍼요소(damper element)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동실린더가 조향댐퍼(steering damper)로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서보밸브에 의해, 상기 복동실린더는 유압원(hydraulic pressure source) 또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없는 유압탱크와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공개된 구조는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원리적으로 유사하고, 문헌 제 DE-A 41 06 310 호에 공개된 배열도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이전의 특허출원 제 P 43 23 179.9 호에 따르면, 유압매체(hydraulic medium)가 유동하는 구멍들이 작은 밸브판(valve plate)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밸브몸체에 의해 제어가능한 구멍을 가진 원판모양의 운반체(aperture disc-like carrier part)상에 댐퍼밸브(damper valve)가 배열되고, 상기 작은 밸브판은 볼트(bolt)에 의해 상기 밸브운반체의 단부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보밸브 또는 복동실린더의 하우징(housing)상에 배열된 연결요소의 지지면과, 연결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유압관의 연결부에 구성된 대응지지면사이에서 원판모양의 밸브운반체는 이격링(spacer ring) 또는 이격원판(spacer disc)에 의해 인장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서보밸브 또는 복동실린더는 단순화될 수 있다.
문헌 제 DE 78 12 642 U1 호에, 공개된 논리턴 밸브(nonreturn valve)는 연료탱크(fuel tank)를 위한 공기유출입밸브로서 제공된다. 상기 밸브는 두 개의 구성부로 이루어진 하우징(housing)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두 개의 관부품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쪽 구성부가 한쪽 관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다른 한쪽 구성부가 다른 한쪽 관부품에 연결되며, 연결수단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의 구성부들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원형막(annular membrane)의 외측주변부가 하우징의 구성부들에 남아있는 내측주변요홈내에서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원형막이 상기 하우징의 구성부들사이에 삽입된다. 밸브씨트몸체(valve seat body)로서 설계되고 하우징의 한쪽구성부내에 확고하게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되는 인서트부품이 상기 원형막과 상호작용한다.
상기 공지구성의 단점을 보면, 하우징구성부들이 서로 조립될 때, 하우징구성부들사이의 원형막을 삽입하는 것을 빠뜨릴 수 있고, 또한 유압관부품들 사이에서 하우징이 부정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댐퍼밸브(damper valve)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운반체가 각각의 유압관에 구성된 유압관쪽 연결부품상에 고정되게 배열되고, 상기 밸브운반체상에 크기가 작은 밸브스프링판 또는 밸브몸체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스프링판과 함께 밸브몸체가 모두 고정되게 배열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댐퍼밸브들이 연결부품들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유압제품의 조립시 필수적으로 댐퍼밸브들이 정확하게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유압관들에 구성된 유압관쪽 연결부품들내에 댐퍼밸브들을 일체로 구성하는 사상에 기초를 두고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컵(cup)모양을 형성하며, 중심이 비어있고 외부나사를 가진 연결부품은 한쪽 단부면에서 단부면개구부를 가지며, 다른 한쪽 단부면에 배열된 플랜지와 외부나사 사이에 상기 단부면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반경방향개구부들이 배열되고, 상기 반경방향개구부들은 밸브운반체내의 축방향구멍들을 통해 단부면개구부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상기 형태의 연결부품들이 유압관들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압관들의 단부에서 상기 유압관들에 링(ring)들이 제공되며, 상기 링들은 연결부품들 위에서 축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며, 원형요홈을 가지고, 상기 원형요홈을 통해 연결부품내의 반경방향개구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상기 원형요홈은 상기 링의 내측원주면을 향해 개방되고 유압관과 상호작용한다 유압제품의 조립시, 상기 연결부품들은 상기 링들에 대해 고정나사로서 작용하며, 유압서보밸브 또는 서보모터와 같은 각각의 유압제품의 하우징 및 링사이에 형성된 간격과 연결부품의 플랜지 및 링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밀봉하기 위하여 씰링링(sealing ring)들이 상기 링의 양쪽단부측에 배열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품은 두 개의 구성부로부터 서로 끼워맞춤되고 용접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성부중에서 한 개가 축방향으로 폐쇄된 연결부품의 단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 개의 구성부가 구멍을 가진 원판모양의 밸브운반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에 대한 설명 및 청구범위가 주어지며, 상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제1도에 있어서, 치형구조의 래크(toothed rack)(1)가 피니온(pinion)(3)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래크(1)는 트랙로드(track rod) 또는 다른 조향링크(steering linkage)에 의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차량의 바퀴(2)들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온(3)은 운전과 관련하여 차량의 핸들(4)에 연결된다. 핸들(4)과 피니온(3)사이에 전달되는 토크(torque)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핸들(4)과 피니온(3)사이에 위치한 전달장치가 유압서보밸브(5)를 작동시킨다. 유압서보밸브(5)의 한쪽 면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압력을 가진 유압원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압력이 없는 오일탱크에 연결되고, 유압서보밸브(5)의 다른 한쪽 면은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된 복동실린더(8)의 작동챔버(operating champer)에 연결되며, 상기 복동실린더(8)는 서보모터(servomotor)로서 제공되고, 복동실린더의 로드(rod)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크(1)에 확고하게 또는 일체로 연결된다.
핸들(4) 및 피니온(3)사이에 전달되는 토크(torque)에 의존하는 압력차로 발생되는 보조유압력에 의해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핸들(4)의 조향하중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압력차가 복동실린더(8)에 구성된 두 개의 챔버(chamber)내에 형성된다.
추가로 상기 복동실린더(8)는 조향댐퍼(steering damper)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댐퍼밸브(damper valve)들이 유압관(7)의 복동실린더쪽 연결부 또는 유압서보밸브쪽 연결부에 구성되고, 댐퍼밸브의 배열 및 설계가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기에 설명된다.
제2도에 있어서, 연결구멍(9)이 유압서보밸브(5)의 하우징(housing)에 배열되거나 복동실린더(8)상에 배열되고(제1도를 참고) 유압판에 구성되고 중심이 비어있는 나사구조의 연결부품(10)에 구성된 외부나사(11)가 상기 연결구멍(9)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내부로 체결된다.
상기 나사구조의 연결부품(10)에 결합되는 유압관(7)의 단부에서 유압관(7)은 링(ring)(12)을 가지고, 원형요홈(13)에 의해 상기 나사구조의 연결부품(10)상에 상기 링(12)이 끼워맞춤되며, 상기 원형요홈은 내부의 원주 영역을 향해 개방되고, 링(12)내부의 개구부를 통해 유압관(7)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씰링링(sealing ring)(14)은 상기 링(12)의 단부면들에 배열되어, 연결구멍(9)의 하우징과 링(12)사이의 간격 및 나사구조의 연결부품(10)상에 배열된 플랜지(flange)(15)와 링(12)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들을 밀봉시킨다.
원형요홈(13) 및 반경방향개구부(16)를 통해서, 상기 유압관(7)이 상기 연결부품(10)의 내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그 결과 연결부품(10)의 단부면개구부(17)를 통해서 연결부품(10)의 내부와 연결된 연결구멍(9)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반경방향개구부(16)가 링(12)에 형성된 원형요홈(13)의 영역내부 및 연결부품(10)내부에 배열된다.
단부면개구부(17)와 반경방향개구부(16)사이에서 축 방향구멍(24)을 가진 원판구조의 밸브운반체(overture-disc-like valve carrier part)(18)가 예를 들어 압착끼워맞춤(pressure-fit)에 의해 연결부품(10)내에서 축방향으로 확고하게 고정된다.
밸브운반체(18)내부의 중심에 위치한 축방향구멍내부에 볼트(bolt)(19)가 배열되며, 상기 볼트(19)는 측면에서 반경방향개구부(16)를 향하는 저널(journal)(19')을 가지고, 플랜지모양의 볼트머리를 가지며, 상기 저널(19')의 직경은 밸브운반체(18)의 중심에 형성된 축방향구멍의 직경보다 크다.
원판모양을 가진 밸브몸체(20)의 내측원주면상에 형성된 원통구조의 원형웨브(cylindrical annular web)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가 상기 저널(19')위에서 미끄럼안내운동을 하고, 저널(19')에 형성된 플랜지모양의 볼트머리 및 밸브몸체(20)의 원판모양부분사이에서 장력을 받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21)에 의해, 밸브몸체(20)가 밸브운반체(18)의 상측단부에 힘을 가한다.
리벳모양의 플랜지에 의해 볼트(19)가 원판(22) 및 작은 밸브스프링 판(valve spring plate)(23)을 밸브운반체(18)의 한쪽 단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밸브스프링판(23)은 밸브운반체(18)의 마주보는 단부측과 원판(22)사이에서 인장력을 받는다.
밸브몸체(20) 및 밸브스프링 판(23)이 밸브운반체(18)내에 배열된 축방향구멍(24)과 상호작용하고, 비록 폐쇄상태에서 밸브운반체(18)위에 지지되더라도 압축된 유압유의 통과를 위해 밸브몸체(20) 및 밸브스프링판(23)이 밸브운반체(18)위에 지지되는 지지면 이외의 나머지 단면이 개방되도록, 밸브운반체(18)의 개구부가 설계 또는 배열된다.
유압유의 유동방향에 의존하고 유압유의 감쇠운동(damp movement)을 야기하는 교축저항(throttle resistance)이 형성되도록, 압축된 유압유의 유동방향에 의존하여, 밸브몸체(20) 또는 밸브스프링판(23)은 폐쇄위치를 형성한다.
축방향구멍(24)의 단면적, 축방향구멍의 개구부설계형태, 스프링특성, 밸브스프링판(23)의 갯수 및 나선형 압축스프링(21)의 강도에 의해 소요 감쇠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밸브스프링판(23)의 스프링특성 또는 굽힘특성은 원판(22)의 직경에 영향을 받고, 만약 제2도에서 볼트(19)의 하단부가 밸브스프링판(23)에 직접고정된다면 상기 원판(22)의 구성이 생략 될 수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클립(spring clip)(25)에 의해 볼트(19)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클립(25)은 볼트(19)의 하단부에 위치한 원형의 요흠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볼트(19)의 축방향에서 볼 때 필수적으로 C자 모양을 가진다. 판스프링(plate spring)과 같이 상기 스프링클립(25)은 밸브스프링(23)위에서 볼트(19)의 축 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도록 설계된다.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품(10)은 두 개의 구성부로부터 서로 끼워맞춤되고, 두 개의 구성부들은 제4도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제5도에서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다. 두개의 구성부들은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밸브운반체(18)는 외부나사(11)를 포함한 연결부품(10)의 구성부(10')와 일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성부(10')가 분말야금법(powder metallurgy method)으로 제조가능하고, 또 다른 구성부(10)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연결부품(10) 및 밸브운반체(18)가 또한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관(6, 7)(제1도 참고)들이 유압서보밸브(5)의 하우징(housing)위에서 이음매를 가지고 고정되도록, 연결부품(10)이 플랜지로서 설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플랜지형태의 연결부품(10)은 서로 평행하고 2스텝구조(two stepped)를 가지는 구멍들로 구성되며, 제3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관련 밸브구성요소들을 가진 밸브운반체(18)가 구멍들 중 지름이 더 큰 구멍을 가진 각각의 단면에 수용된다. 각각의 경우 나사구조를 가진 구멍에 의해 구멍들 중 지름이 더 작은 단면이 우측으로 인접하게되고, 유압관(6, 7)에 형성된 플랜지모양의 비드(bead) 및 씰링링(sealing ring)(27) 그리고 나사인서트(screw insert)(26)에 의해 유압관(6, 7)이 나사구조를 가진 상기 구멍내부로 나사체결되며, 각각의 경우에서 씰링링(27)은 나사구조를 가진 구멍들 및 인접구멍들 사이의 전이영역에서 그리고 나사인서트(26)와 원형스텝(annular step)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금속판재 또는 중합체로서 설계된 씰링심(sealing shim)(28)은 유압서보밸브(5)의 하우징상에서 플랜지모양의 연결부품(10)을 밀봉시킨다.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품(10)이 유압서보밸브(5)와 같은 유압제품의 하우징위에 몰딩(moulding)되고, 밸브구성요소들을 가진 밸브운반체(18)를 고정되게 수용한다. 유압관(6) 또는 유압관(7)이 나사인서트(screw insert)(26)에 의해 상기 연결부품(10)내에 고정되고, 유압관(6) 또는 유압관(7)에 형성된 플랜지모양의 원형비드(bead)가 나사인서트(26)와 연결부품(10)의 원형스텝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강한 하중을 받는다.

Claims (13)

  1. 서보제어(servo control)가 이루어지고 유압변위발생장치로서 설계되는 서보모터(servomotor)를 유압서보밸브에 연결시키는 유압관들의 연결부품상에 위치하며, 축방향구멍을 가진 원판모양의 밸브운반체를 가지고, 유압매체가 유동가능한 밸브운반체의 상기 축방향구멍들이 밸브운반체의 단면상에 볼트로 고정된 소형의 밸브스프링판들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밸브몸체들에 의해서 제어가능하거나 상기 밸브스프링 판들과 함께 밸브몸체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댐퍼밸브에 있어서, 밸브운반체(18)가 각각의 유압관(7)에 구성된 유압관쪽 연결부품(10)상에 고정되게 배열되고, 크기가 작은 밸브스프링판(23) 또는 밸브몸체(20)가 상기 밸브운반체(18)상에 확고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스프링판(23)과 함께 밸브몸체(20)가 상기 밸브운반체(18)상에 확고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의 컵(cub)모양을 형성하며, 중심이 비어있고 외부나사(11)를 가진 연결부품(10)은 한쪽단부면에서 단부면개구부(17)를 가지며, 다른 한쪽단부면에 배열된 플랜지(15)와 외부나사(11)사이에 상기 단부면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반경방향개구부(16)들이 배열되고, 상기 반경방향개구부(16)들은 밸브운반체(18)내의 축방향구멍(24)들을 통해 단부면개극부(17)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품(10)의 중심에 위치한 축방향의 볼트(19)가 밸브운반체(18)상에 배열되고, 연결부품(10)의 중심위치에서 상기 볼트(19)가 밸브운반체(18)내부의 축 방향구멍(24)과 상호작용하는 한 개이상의 밸브스프링판(23)들을 밸브운반체(18)의 한쪽단면에 고정시키며, 밸브운반체(18)의 다른 한쪽단면에서 축방향의 저널(journal)(19')을 형성하고, 밸브운반체(18)내부의 축 방향구멍(24)과 상호작용하는 원형판구조의 밸브몸체(20)가 상기 저널(19')위에서 안내되며, 밸브몸체(20)를 밸브운반체(18)위에 가압하고 저널(19')의 플랜지위에 지지되는 나선형의 압축스프링(21)이 상기 저널(19')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밸브운반체(18)내부의 중심구멍내부로 수용되는 볼트(19)의 구성부분의 직경보다 저널(19')의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밸브스프링판(23)을 고정시키는 리벳(rivet)으로 상기 볼트(19)의 한쪽단부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밸브운반체(18)의 중심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스프링판(23)에 축방향인장력을 가하는 원판(22)이 리벳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7. 제3항에 있어서, 밸브운반체(18)의 중심구멍내에서 상기 볼트(19)가 스프링클립(2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구성부(10', 10)로부터 연결부품(10)이 서로 끼워맞춤되고 서로 용접되며, 한 개의 구성부(10)가 축방향으로 폐쇄된 연결부품(10)의 단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 개의 구성부(10')가 밸브운반체(18)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밸브운반체(1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품(10)이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되거나, 연결부품(10) 또는 밸브운반체(18)를 형성하는 한 개 이상의 구성부(10', 10)가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10)이 플랜지(flange)로서 설계되고, 상기 플랜지위에 한 개의 유압관 또는 여러 개의 유압관들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10)내에서 또 다른 댐퍼밸브가 이미 설치된 댐퍼밸브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연결부품(10)이 유압제품의 고정요소로서 작용하는 플랜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구성된 동력조향장치의 유압서보밸브(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밸브.
KR1019950017973A 1994-07-06 1995-06-29 댐퍼밸브 KR018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23658A DE4423658C2 (de) 1994-07-06 1994-07-06 Hydraulische Servolenkung
DEP4423658.1 1994-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0958B1 true KR0180958B1 (ko) 1999-03-20

Family

ID=652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973A KR0180958B1 (ko) 1994-07-06 1995-06-29 댐퍼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03391A (ko)
JP (1) JP2729982B2 (ko)
KR (1) KR0180958B1 (ko)
DE (1) DE4423658C2 (ko)
FR (1) FR2722264B1 (ko)
GB (1) GB2291159B (ko)
IT (1) IT1278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0975B4 (de) * 1996-05-24 2006-08-31 Zf Friedrichshafen Ag Hilfskraftlenkung mit Dämpfungsventilen für Kraftfahrzeuge
DE19647130C1 (de) * 1996-11-14 1998-04-09 Daimler Benz Ag Dämpferventilanordnung
DE19650476C1 (de) * 1996-12-05 1998-05-07 Daimler Benz Ag Hydraulische Servolenkung
DE19651500C1 (de) * 1996-12-11 1998-04-09 Daimler Benz Ag Dämpferventilanordnung
DE19754011C1 (de) * 1997-12-05 1999-04-22 Daimler Chrysler Ag Hydraulische Servolenkung
JP2000072011A (ja) * 1998-09-04 2000-03-07 Showa Corp 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ダンパーバルブ
DE19851678C2 (de) * 1998-11-10 2001-05-17 Daimler Chrysler Ag Hydraulische Servolenkung
JP3963600B2 (ja) * 1998-12-02 2007-08-22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ダンパーバルブ
US6138596A (en) * 1999-09-22 2000-10-31 Brunswick Corporation Damped steering mechanism for a watercraft
JP4663867B2 (ja) * 1999-11-09 2011-04-06 ティッセンクルップ プレスタ シュテアーテク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油圧サ─ボ操向装置用の操向ダンパ─
JP2001158369A (ja) 1999-12-01 2001-06-12 Showa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1055617A1 (en) * 2000-01-31 2001-08-02 Delphi Technologies, Inc. Tuneable steering damper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US7080659B2 (en) * 2002-09-17 2006-07-25 Koyo Seiko Co., Ltd. Damper valve and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475434B2 (ja) * 2007-03-12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05306A1 (de) * 1969-02-04 1970-08-06 Stabilus Ind Und Handelsgmbh In das Lenkgestaenge einbezogener Lenkungs-Stossdaempfer
DE2002112A1 (de) * 1970-01-19 1971-07-29 Langen & Co Drosselelement zum Erzeugen kleiner Durchflussstroeme
DE2039316A1 (de) * 1970-08-07 1972-02-10 Baan Johannes Jasper De Ventilkolben
DE7238312U (de) * 1972-10-19 1973-02-15 Bitzer Kuehlmaschinenbau Kg Ruckschlagventil, insbesondere fur Kältemaschinen
US3889787A (en) * 1973-10-05 1975-06-17 Gen Motors Corp Hydraulic shock absorber unit
JPS5523111Y2 (ko) * 1974-12-04 1980-06-02
BR7604856A (pt) * 1975-11-03 1977-08-09 Acf Ind Inc Aperfeicoamento em bomba de combustivel de diafragma para um veiculo a motor
DE7725888U1 (de) * 1977-08-20 1977-12-22 Boge Gmbh, 5208 Eitorf Kolben eines Schwingungsdämpfers mit Kolbenri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7812642U1 (de) * 1978-04-26 1978-08-31 Walter Alfmeier Gmbh + Co, 8830 Treuchtlingen Rueckschlagventil
DE2927039A1 (de) * 1979-07-04 1981-01-1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Hydraulische hilfskraftlenkung
JPS57191165A (en) * 1981-05-15 1982-11-24 Nissan Motor Co Ltd Cylinder mounting construction for rack and pinion type power steering gear
JPH0231615Y2 (ko) * 1985-12-26 1990-08-27
FR2609130B1 (fr) * 1986-12-26 1989-12-08 Applic Mach Motrices Clapet d'ecretage double sens a ouverture rapide pour element de suspension hydropneumatique de vehicule, notamment vehicule lourd et dispositif d'amortissement et d'ecretage comprenant ce clapet
DE4029156A1 (de) * 1989-10-09 1991-04-11 Volkswagen Ag Hydraulisch unterstuetztes lenkungssystem
EP0523065A1 (de) * 1990-02-28 1993-01-20 ZF FRIEDRICHSHAFEN Aktiengesellschaft Hilfskraftlenk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9103740U1 (de) * 1991-03-27 1991-06-20 Ringsdorff-Werke GmbH, 5300 Bonn Stoßdämpferkolben aus ungleichen, gefügten Teilen
AT398743B (de) * 1993-02-09 1995-01-25 Hoerbiger Ventilwerke Ag Servolenk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motorboot
DE4323179C1 (de) * 1993-07-10 1994-11-17 Daimler Benz Ag Hydraulisch unterstützte Servolen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13610D0 (en) 1995-09-06
ITRM950444A1 (it) 1996-12-30
ITRM950444A0 (it) 1995-06-30
GB2291159B (en) 1996-06-12
JPH0858609A (ja) 1996-03-05
DE4423658C2 (de) 2000-06-21
IT1278121B1 (it) 1997-11-17
US5603391A (en) 1997-02-18
GB2291159A (en) 1996-01-17
FR2722264B1 (fr) 1998-04-03
DE4423658A1 (de) 1996-01-18
FR2722264A1 (fr) 1996-01-12
JP2729982B2 (ja)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958B1 (ko) 댐퍼밸브
US6283259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050133319A1 (en) Shock absorber for a motor vehicle
DE69121226T2 (de) Hydraulischer torsionaler Schwingungsdämpfer
US10683906B2 (en) Hydraulic damper with a compression stop
US5584226A (en) Hydraulically supported power steering system
JPH0626545A (ja) 終端位置ダンパ
JP6973696B1 (ja) 懸架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6206421B1 (en) Control cylinder for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US7048099B2 (e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6540051B2 (en) Damping force device with adjustable damping force
US5797469A (en) Steering valve
US5480129A (en) Shock absorber with air shock module, air shock module for a shock absorber and process for installation of the air shock module and shock absorber
CN104755286A (zh) 具有集成的控制阀的空气弹簧装置
US7240776B2 (e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EP0744330B1 (en) Power steering assembly
CN112119239B (zh) 具有可调阻尼阀的振动阻尼器
WO2024142702A1 (ja) 緩衝器
JP3583361B2 (ja) 調整され得る減衰力をもつ振動減衰器
JP7320481B2 (ja) 緩衝器
EP4180690B1 (en) Variable stiffness hydraulic damper
CN119222281A (zh) 减振器上支撑的液压总成、减振器上支撑及其安装结构
JP2006070991A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
JP4529107B2 (ja) 油圧緩衝器
JP683642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808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