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9569B1 -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569B1
KR0179569B1 KR1019950045868A KR19950045868A KR0179569B1 KR 0179569 B1 KR0179569 B1 KR 0179569B1 KR 1019950045868 A KR1019950045868 A KR 1019950045868A KR 19950045868 A KR19950045868 A KR 19950045868A KR 0179569 B1 KR0179569 B1 KR 017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eld
minimum error
reference signal
v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825A (ko
Inventor
이창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569B1/ko
Publication of KR97003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1Ghost signal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모드 선택부(30)와;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 멀티플렉서(36); 제1감산기(38); 제1적분기(40);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 제1카운터(44);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6); 제2감산기(48); 제2적분기(50); 제2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52); 및 제2카운터(54)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VSB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와 NTSC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모두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칩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제1E는 GA HDTV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단위의 VSB 데이타 구조도.
제2도는 VSB에서의 필드 동기 신호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VSB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에 대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모드 선택부 32 :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
34 :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 36 : 멀티플렉서
38 : 제1감산기 40 : 제1적분기
42 : 제1최소오차 신호 검출기 44 : 제1카운터
46 :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 48 : 제2감산기
50 : 제2적분기 52 : 제2최소오차 신호 검출기
54 : 제2카운터
본 발명은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VSB 신호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Data field sync)를 발생하는 장치와 NTSC 신호의 고스트 제거 기준(GCR:Ghost Cancel Reference)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VSB 신호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와 NTSC 신호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모두 발생시키도록 되어진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는 가장 중요한 자원중의 하나이며 현대를 일컬어 정보화 사회라 하는데, 받아들이고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나날이 늘어나는 추세에서 기존의 전송 대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데이타 압축은 필수 불가결하다.
특히, 디지탈 영상 신호는 정보의 표현에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영상 정보 압축 기술은 정보의 저장과 검색, 전송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각 시스템들은 고화질 텔레비젼(High Definition Televison:이하, HDTV라 한다.)에서의 다양한 데이타 압축 기술을 제안하고 있는데, 그러한 데이타 압축 기술로는 움직임 추정(ME:Motion Estimation), 움직임 보상(MC:Motion Compensation), 이산 여현 변환(DCT:Discrete Cosine Transfrom), 양자화(Q;Quantization), 가변 길이 부호화(VLC:Variable Length Coding)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압축 기술은 현재 미국에서 제안된 HDTV 시스템에서 거의 모두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타 압축 기술을 토해 고도로 압축된 영상 데이타는 일정한 데이타 포맷을 형성하여 수신단으로 전송된다.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HDTV 전송 시스템에는 여러 가지 전송 방식이 있는데, 예를 들어 디지탈 방식인 DigiCipher, DSC-HDTV, ADTV, CCDC 방식이 있으며, 이들 4개의 전송 방식을 제안한 회사들이 그랜드 얼라이언스(Grand Alliance:이하, GA라 한다)를 결성하여 최종적인 전송 방식을 결정하였다.
상기에서 열거한 4개의 전송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GigiCipher 방식은 GI(General Instrument)사와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제안한 것으로, 이 시스템에서는 20Mbps의 신호를 6MHz의 대역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직각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하 QAM이라 한다.)를 사용한다. 16QAM은 3QAM 보다 방송 지역이 넓은 반면 화질은 32QAM 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32QAM이 기본 전송 모드로 정해져 있고 16QAM은 동일 채널 간섭이 심한 곳이나 방송 전력을 크게 할 수 없는 곳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32QAM 모드는 반송파대 잡음비(Carrier to Noise Ratio:이하 C/N이라 한다.)가 16.5dB 이상이 되는 경우에 16QAM 모드보다 월등한 화질로 전송할 수 있는 반면 16QAM 모드는 C/N 경계치가 12.5dB 이하로 낮은 경우 약간의 화질 저하가 있기는 하지만 더욱 넓은 지역에 대해 HDTV 방송을 가능케 하는 전송 방식이다.
DSC(Digital Spectrum Compatible)-HDTV 방식은 Zenith 사와 ATT사가 제안한 방식으로, 강력한 비디오 압축 기법과 동시 방송 시스템을 결합하여 넓은 대역폭을 6MHz 대역폭으로 압축한 후에도 고화질을 제공하는 완전 디지탈 기법이다. 이 시스템은 NTSC 채널과 최소의 상호 간섭을 갖는 금기 채널을 이용해 압축된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시스템은 787.5라인 순행 주사 방식을 이용하여 비월 주사 방식의 아티팩트(Artifacts)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DSC-HDTV 시스템의 또다른 특징은 4레벨 잔류 측 대역(Vestigial Side Band:이하, VSB라 한다.)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잡음과 방해 신호의 간섭을 없애므로 서비스 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이다. 4-VSB 코팅은 서비스 영역을 넓힐 수 있는 2-VSB 시스템에 의해서 보충된다. 이 변조 방식은 데이타의 중요도에 따라 2레벨 데이타 또는 4레벨 데이타로 분류하여 각각 잡음에 대한 면역성을 달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중요한 정보는 2레벨의 데이타로 전송시킴으로써 송신기로부터 먼 지역에서 잡음과 다른 방해 신호가 존재할 때도 일정 수준 이상의 화질 및 음질을 보장할 수 있게 하며 완전한 HDTV급 고화질을 얻기 위해 필요한 여분의 정보는 전송 효율을 극대화한 4레벨 데이타로 전송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리프 효과(cliff effect)를 제거할 수 있다.
ADTV 방식은 Philips 사와 Thomson 사 등의 ATRC(Advanced Television Research Consortium)에서 제안한 것으로서, ADTV 전송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NTSC 신호의 동일 채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펙트럼이 형성된 QAM(Spectrally Shaped QAM:이하, SS-QAM이라 한다.)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다. SS-QAM이란 HP(High Priority)를 가지는 데이타와 SP)(Standard Priority)를 가지는 데이타로 이루어진 2개의 분리된 채널을 각각 독립적으로 QAM 변조하는 방식이다.
CCDC(Channel Compatible DigiCipher) 방식은 MIT와 GI 사에서 제안한 것으로, 이 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살펴 보면 먼저 데이타 전송률은 16QAM의 경우 21.5Mbits/sec이고, 32QAM의 경우 26.43Mibts/sec이다. 3dB 대역폭은 5.28MHz이며, C/N 임계값은 16QAM의 경우 11.7dB, 32QAM의 경우 15.7dB이다.
한편, 현재의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식이 갖고 있는 열악한 화질 및 음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탈 방식의 텔레비젼 방송이 시험 방송될 예정인데 디지탈 방식의 텔레비젼에 대한 보급율을 고려하면 현재의 아날로그 방송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다.
미국은 HDTV 지상 방송 및 유선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 VSB 변조를 표준으로 정하였으나, 유선 방송의 경우 현재 QAM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VSB와 함께 그 전송 방식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구현하더라도 각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경제성이 있는 하드웨어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특히,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탈 전송 방식인 VSB와 QAM 방식은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나 아날로그 방식인 NTSC에서는 다중 경로(Multiphath)로 인한 고스트로 인해 화질이 많이 열화되는데, 이러한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송신 신호에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이 고스트 제거 신호를 가지고 고스트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동기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동기하는데 앞서 고스트 제거 방법을 좀더 자세히 설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스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좋은 방법은 고스트 제거 기준(GCR) 신호를 보내고, 수신단에서 다중 경로 등으로 인해 왜곡된 기준 신호를 왜곡되지 않은 원래의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채널의 왜곡 정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스트를 제거한다.
고스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왜곡되지 않은 원래의 고스트 제거 신호와 비교하려면 먼저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의 동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제1도는 GA HDTV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단위의 VSB 데이타 구조도로서, GA HDTV 전송 시스템에서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전송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Frame)은 두 개의 필드(Field)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필드는 313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필드의 첫번째 세그먼트에는 필드 동기 신호(Field Sync)가 할당되어 있고, 각 세그먼트는 836개의 심볼(Symbol)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단 4개의 심볼은 세그먼트 동기 신호(Segment Sync)가 할당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데이타가 수신단으로 전송되면, 수신단에서는 세그먼트 동기 신호 및 필드 동기 신호에 의해 심한 잡음과 간섭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신호 추적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필드 동기 신호는 두 개의 레벨을 가지나, 그 외의 다른 신호는 여러개의 레벨을 갖는다.
지상 방송의 경우에는 8레벨 신호로 구성되며, 이는 단위 심볼당 3개의 비트가 배정됨을 의미하고, 이것을 8-VSB라고 한다.
또한, 유선 방송의 경우에는 16레벨의 신호가 되어 단위 심볼당 4개의 비트가 전송되며 이것을 16-VSB라고 한다.
제2도는 VSB에서의 필드 동기 신호의 구성도로서,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는 4심볼(Symbol)을 사용하고, 이 신호는 +5, -5의 2가지 레벨을 갖으며 77.695μS의 주기로 발생한다.
그리고, 각 필드의 전단에는 필드 동기 신호가 할당되어 하나의 세그먼트를 이루며, 이러한 필드 동기 신호는 길이 511 심볼의 PN(pseudo random noise) 시퀀스와 길이 63심볼의 PN 시퀀스 및 제어 심볼 등으로 구성되는데, 길이 63심볼의 PN 시퀀스는 세 번 반복되고, 두 번째 PN 시퀀스의 부호는 필드마다 그 부호가 반전된다.
상기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는 필드 동기의 목적으로 이용되지만 등화기 및 페이즈 트랙커(Phase tracker)의 훈련 신호로도 사용되며, 또한 이 신호는 NTSC 간섭 제거 필터의 사용 여부 결정에도 사용된다.
제3도는 종래의 VSB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에 대한 블럭도로서, 종래의 VSB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는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Data segment sync)를 입력받아 제1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입력된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10)로부터의 제1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12); 상기 제1감산기(12)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1적분기(14); 상기 제1적분기(14)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타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제1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6); 상기 제1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16)로부터의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타 세그먼트가 규칙적으로 발생하면 필드 동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하는 제1카운터(18);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제2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20); 입력된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20)로부터의 제2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22); 상기 제2감산기(22)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2적분기(24); 상기 제2적분기(24)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타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제2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26); 및 상기 제2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26)로부터의 최소 오차를 갖는 데이타 세그먼트가 규칙적으로 발생하면 필드 동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하는 제2카운터(28)로 구성된다.
제3도를 참조하여 동기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입력된 데이타 세그먼트와 필드 기준 신호와의 차를 각각의 세그먼트 단위(832 Symbol)로 적분하고, 그 적분한 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세그먼트를 필드 동기 신호가 위한 세그먼트로 선정하는 것이다.
NTSC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VSB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와 유사성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유용한 텔레비젼 수상기를 제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VSB 신호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와 NTSC 신호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VSB 신호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와 NTSC 신호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모두 발생하도록 되어진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는,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NTSC의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제1필드 기준 신호와 상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중에서 한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입력된 VSB 신호나 NTSC 신호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 상기 제1감산기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1적분기; 상기 제1적분기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 상기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로부터의 최소 오차를 입력받아 제1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 상기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 입력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제2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 상기 제2감산기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2적분기; 상기 제2적분기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2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 및 상기 제2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로부터의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제2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의 블럭도로서,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NTSC의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30)와;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로부터의 제1필드 기준 신호와 상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로부터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중에서 한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36); 입력된 VSB 신호나 NTSC 신호에서 상기 멀티플렉서(36)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38); 상기 제1감산기(38)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1적분기(40); 상기 제1적분기(40)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 상기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로부터의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제1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44);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6); 입력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8)로부터의 제2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48; 상기 제2감산기(48)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2적분기(50); 상기 제2적분기(50)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2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52); 및 상기 제2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52)로부터의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제2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54)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VSB 신호가 입력될때와 NTSC 신호가 입력될때를 분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VSB 신호 입력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가 모드 선택부(30)로 입력되면 상기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가 출력되며, 그 제어 신호가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와 멀티플렉서(36)로 입력되면,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에서는 제1필드 기준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1필드 기준 신호는 멀티플렉서(36)에 의해 선택된다.
제1감산기(38)에서는 입력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멀티플렉서(36)에서 선택된 제1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며, 그 차신호는 제1적분기(40)에서 적분되어 적분값으로 출력된다.
상기 적분값이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로 입력되면 최소 오차 세그먼트가 검출되고, 제1카운터(44)에서는 상기 최소 오차 세그먼트가 규칙적(626 세그먼트 마다)으로 발생하면 필드 동기가 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부(3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6)로 입력되면 제2필드 기준 신호가 발생되고, 제2감산기(48)에서는 입력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2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며, 그 차신호는 제2적분기(50)에서 적분된다.
상기 제2적분기(50)로부터의 적분값이 제2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52)로 입력되면 최소 오차 세그먼트가 검출되고, 제2카운터(54)에서는 상기 최소 오차 세그먼트가 규칙적으로 발생하면 데이타 필드 동기가 된 것으로 판정한다.
2) NTSC 신호 입력시
NTSC의 수평 동기 신호가 모드 선택부(30)로 입력되면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그 제어 신호가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와 멀티플렉서(36)로 입력되면,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에서는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발생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는 멀티플렉서(36)에 의해 선택되고, 이때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로 사용되는 것은 PN 시퀀스, 컴플리멘터리 시퀀스(complementary sequence), sin x/x 등이 있다.
제1감산기(38)에서는 입력된 NTSC의 신호와 상기 멀티플렉서(36)에서 선택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며, 그 차신호는 제1적분기(40)에서 적분되어 적분값으로 출력된다.
상기 적분값이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로 입력되면 최소 오차 신호가 검출되고, 제1카운터(44)에서는 상기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SB의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발생 장치와 NTSC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모두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칩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QAM 신호, VSB 신호 및 NTSC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NTSC의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30)와;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32)로부터의 제1필드 기준 신호와 상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 발생부(34)로부터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중에서 한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36); 입력된 VSB 신호나 NTSC 신호에서 상기 멀티플렉서(36)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38); 상기 제1감산기(38)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1적분기(40); 상기 제1적분기(40)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 상기 제1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42)로부터의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제1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나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44); 상기 모드 선택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필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6); 입력된 VSB의 데이타 세그먼트와 상기 제2필드 기준 신호 발생부(48)로부터의 제2필드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48); 상기 제2감산기(48)로부터의 차신호를 적분하여 적분값을 출력하는 제2적분기(50); 상기 제2적분기(50)로부터의 적분값에 따라 최소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제2최소 오차 세그먼트 검출기(52); 및 상기 제2최소 오차 신호 검출기(52)로부터의 최소 오차 신호를 입력받아 제2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필드 동기 신호 및 고스트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KR1019950045868A 1995-11-30 1995-11-30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KR017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868A KR0179569B1 (ko) 1995-11-30 1995-11-30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868A KR0179569B1 (ko) 1995-11-30 1995-11-30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825A KR970031825A (ko) 1997-02-26
KR0179569B1 true KR0179569B1 (ko) 1999-05-01

Family

ID=1943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868A KR0179569B1 (ko) 1995-11-30 1995-11-30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58B1 (ko) * 2001-02-28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825A (ko)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97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peration mode of hdtv
KR910002634B1 (ko) 다중신호 처리장치
US546142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odified NTSC television signals, with digital signals buried therewithin
CA205997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ulticarrier digital television signal
KR100313890B1 (ko) 디지털/아날로그 겸용 티브이 수상기
US6433835B1 (en) Expanded information capacity for exist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s
US52820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ulticarrier digital television signal
JP3299396B2 (ja) 直角位相映像搬送波にディジタル信号を有するntsctv信号処理装置
JPH02237280A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5040062A (en) Television signal arrangement where selected signals are encoded digitally
JPH087964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CA2107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emporal video signal processing using motion vectors transmitted with the video signal
US5083206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arrangement including noise immunity means
US5995135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557122B1 (ko) 동일채널간섭을 받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용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A2276767C (en) Hdtv video frame synchronizer that provides clean digital video without variable delay
JP3264896B2 (ja) 相異なる形態のテレビジョン信号を受信する同一ゴースト除去回路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0179569B1 (ko) 데이타 필드 동기신호 및 고스트 제거 기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KR940006735B1 (ko) 지상동시방송방식 고품위 텔레비젼의 인코딩장치 및 방법
US5148274A (en) PAM signals modulation with mappings to improve utilization of available transmission capacity
KR0169676B1 (ko)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검출 장치
JPH0432627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と処理装置
Fockens et al. The digital spectrum-compatible HDTV system
Mandal et al. Analog and Digital Television
Netravali Digital HDTV: A technical challe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