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9237B1 -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37B1
KR0179237B1 KR1019960014233A KR19960014223A KR0179237B1 KR 0179237 B1 KR0179237 B1 KR 0179237B1 KR 1019960014233 A KR1019960014233 A KR 1019960014233A KR 19960014223 A KR19960014223 A KR 19960014223A KR 0179237 B1 KR0179237 B1 KR 017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wheel
die
fastener
foil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228A (ko
Inventor
도어 웨슬즈 로저
조 필재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6004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9Hook and loop-typ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2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with feature facilitating, enhancing, or causing attachment of filament mounting surface to support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33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filaments formed from continuous element interwoven or knitted into distinct, mounting surface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7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heet or component perpendicular to plane of web or sheet
    • Y10T428/24182Inward from edge of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몰딩되는 면 파스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해된 수지(4)는 사출 다이(1) 또는 압출 노즐(11)로부터 사출되거나 압출되며, 동시에, 굵은 망사 코어 박판은 사출되는 용해된 수지(4)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 사이로 유입되며, 다수의 후크 요소 형성 원주 공동(5)을 갖는다. 코어 박판은, 코어 박판(S)의 포어를 통하여 용해된 수지(4)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을 채우기 위하여, 사출할 때에 압연 로울러의 압축력에 의하여 또는 용해된 수지(4) 압력 하에서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에 대항하여 힘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후크 요소(4b)는 몰딩되며, 동시에, 코어 박판(S)은 후크 요소 표면 측면에 편향되어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에 일체로서 매립된다.

Description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몰딩 면 파스너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면 파스너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몰딩 면 파스너 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면 파스너의 코어 박판이 오직 하나의 표면상에 냅을 갖는 몰딩 면 파스너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몰딩 면 파스너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코어 박판 1 : 사출 다이
2 : 다이 휘일 2a : 수냉 쟈켓
3 : 장력 조절기 4 : 용해 수지
4a : 기초 박판 4b : 후크 요소
5 : 후크 요소 형성 공동 6, 7 : 긴장 로울러
9 : 안내 로울러 10 : 냉각수 탱크
11 : 압출 노즐 13 : 압연 로울러
14 : 냉각용 공기 블로우어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로 몰딩되고 플레이트 기초 박판과 플레이트 기초 박판의 면 위에 세워진 다수의 결합 요소를 가진 면 파스너 및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연속적으로 면 파스너를 몽딩하는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 기초 박판에 굵은 망사 박판이 매립되는 면 파스너 및 면 파스너 제조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면 파스너를 제조할 때, 플레이트 기초 박판 및 압출 성형에 의해 플레이트 기초 박판의 일면위에 세운 다수의 결합 요소를 몰딩하고 몰딩시 코어 박판을 플레이트 기초 박판에 부착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260,01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미국 특허에 기술된 개념에 따르면, 몰딩된 열가소성 수지를 다수의 몰딩 디스크와 다수의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교대로 라미네이트된 회전 드럼형 다이 휘일과 압연 로울러 사이의 틈새로 압출되고 코어 박판은 압출 수지와 압연 로울러 사이로 안내된다. 코어 박판이 안내될 때, 수지의 일부는 기초 박판과 일체가 되도록 압연 로울러의 압연 압력에 의해 코어 박판에 침투되며, 동시에, 수지의 일부는 다수의 후크 요소를 몰드하기 위해 다이 휘일의 후크 요소 형성 주변 공동내로 채워진다. 코어 박판이 결합 면과 대향하는 후방 면에서 기초 박판과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면 파스너는 다이 휘일의 회전 다음에 다이 휘일의 주위 면을 따라 예정된 각을 지나 이동하면서 냉각되고, 몰딩된 후크 요소는 공동에서 나오며, 동시에, 기초 박판은 다이 휘일의 주위 면에서 연속적으로 벗겨진다.
섬유를 기초 박판에 매립한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연속 사출성형 방법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8/359,895 호에 전개되어 있다.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에 전개된 몰딩 방법은 사출 다이로부터 다이 휘일 원주면상의 예정된 폭으로 연속적으로 사출하는 용해 수지를 포함하며, 다이 휘일은 예정된 틈새를 가진 사출 다이와 마주보고 다수의 후크 요소 형성 주변 공동과 장착 냉각기를 가지며, 사출 다이는 다이 휘일의 용해 수지 출구를 지나 다이 휘일의 회전 방향으로 다수의 섬유 섬슈 및 다이 휘일 축에 평행하게 소정의 폭으로 가로지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섬유를 연속적으로 안내하고, 용해 수지 압출 방향으로 다이 휘일을 회전시킬 때, 플레이트 기초 박판의 면위로 다수의 후크 요소를 성형하기 위해 플레이트 기초 박판내에 섬유를 매립한 용해된 수지의 일부를 가진 후크 요소 형성 공동을 채우며, 다이 휘일의 회전에 이어서 다이 휘일의 원주면을 따라 예정된 각도를 지나 몰딩된 면 파스너를 회전시키고, 후크 요소를 제거시킴으로써 플레이트 기초 박판과 함께 후크 박판을 긴장시킨다.
종래의 몰딩된 면 파스너는 부드러운 평평한 후방 면을 가지고 있어서 후방 면이 특별한 표면 처리를 할 때까지 시멘트 등과 같은 접착제를 후방면에 바르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목적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된 미국 특허 에 전개되어 있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면 파스너에 있어서는, 후방면의 암형 결합 요소로서 다수의 파일 또는 루프를 형성하고 후방 면에 접착제를 용이하게 바를 수 있도록 코어 박판은 면 파스너의 후방 면과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에서 언급되어 있는 미국 특허에서 전개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코어 박판을 플레이트 기초 박판내에서 후방 면 옆으로 편심되게 매립된 면 파스너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을 따라 예정된 각도로 회전되고 예정된 장력으로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에서 벗겨진다. 기초-박판-자유 면 파스너의 경우에 있어서, 다이 휘일의 후크 요소 형성 주변 공동 내에서 몰딩된 후크 요소는 제거되므로, 후크 요소 변형과는 별개로 큰 인장력이 플레이트 기초 박판에 작용될 때 플레이트 기초 박판은 확장된다.
상기에서 언급되어 있는 미국 특허에서 전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 파스너에서, 코어 박판의 일부에 스며든 인조 수지를 가지는 후방 면과 기초 박판내에서 편심되게 매립되므로, 기초 박판의 후방 면은 견고성이 증가하고, 동시에, 인장력에 대항하여 덜 변형된다.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상에서 성형된 면 파스너가 종래와 같이 원주 표면에서 벗겨질 때, 기초 박판은 코어 박판이 있는 후방 면에서 덜 확장되며, 후크 요소가 있는 전방 면에서 더욱 확장된다. 따라서 성형이 끝난 후, 면 파스너는 앞 뒷면에서 길이가 다르므로 면 파스너는 후크-요소 측면에서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전방 면의 신장률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일정하지 않은 밀도를 가진 후크 요소가 생기게 된다. 보통, 그러한 면 파스너를 목적하는 상품에 부착할 때 이 것은 불편한 것만은 아니며, 생산의 질을 떨어뜨리면서 일정 결합 강도를 얻을 수는 없다. 반면에, 상기에 언급된 미국 특허 출원에 따라 성형된 면 파스너에서, 비록 섬유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상으로 직선 안내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하지만,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상으로 안내될 때 섬유를 가로지르기 위한 횡단 기구가 필요하며, 높은 정밀도로 섬유의 횡단 폭과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제작 장치를 만들게 한다.
[발명의 요약]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어떤 디자인의 변화없이 간단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될 때 모양에 있어서 안정한 고 품질 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면 파스터의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의 충분한 경도의 후크 요소 측면을 고정시키고, 매우 정확한 밀도의 후크 요소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하기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언급된 동시 계류 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에서 서술되는 바와 같이, 편물 및 직물로 먼저 짜여진 옷감이 기초 박판 및 후크 요소를 성형하면서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내에 매립될 때, 면 파스너의 특징이 짜임새의 밀도에 의존한다는 것이 전제이다. 결과적으로, 다른 짜임 밀도를 갖는 여러 종류의 옷감이 제조되어야 한다. 몇몇 경우에, 사용자가 단지 늘어나는 것에 내성인 옷감을 원하고, 다른 경우에 그들이 단지 찢어지는 것에 내성인 옷감을 원하기 때문에, 편물 및 직물 방향 모두에서 옷감 경도를 항상 제공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옷감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관점에서 및 면 파스너의 특징을 손상시키기 않도록 하는데 해가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계속 생각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에서 공개된 압출 성형 방법에 따라, 또는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에서 공개된 연속 사출 성형 방법에 따라, 면 파스너의 성형과 동시에 기초 박판에 엮여진 또는 짜여진 옷감, 엮여지지 않은 옷감, 또는 순수한 와이어 같은 코어 박판을 매립하는 것이, 특정 성형 조건을 충족하는한,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실 가닥과 비교하여 코어 박판을 기초 박판에 매립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면에 따라,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 상기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의 한 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다수의 결합 요소; 및 압출 및 연속 사출에 의해 매립되고,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의 한 면을 편향적으로 향한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상에 상기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에 완전히 매립된 굵은 망사 박판으로 구성되는 합성 수지로 성형된 면 파스너가 제공된다. 굵은 망사 박판이 그의 표면에 솟은 냅을 갖는다면, 냅의 일부는 기초 박판내에 침투하여 후크 요소의 경도를 눈에 띄게 증가시켜, 면 파스너는 산업 용구용 파스너로서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코어 박판이 채색되거나 무늬가 만들어진다면, 상기 색 또는 패턴은 수지 층이 후크 요소 면 측면에 편향적으로 기초 박판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수지 층을 통해 보이기 쉬워서, 기교가 뛰어난 생산품이 매우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얻어질 수 있다.
코어 박판은 용융된 수지의 통과를 위해 충분한 공극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50 내지 150 kg/cm2의 용융된 수지 압력은 연속 사출중에 코어 박판상에 작용한다. 이 수지 압력하에 용융된 수지가 부드럽게 통과하게 하는 코어 박판내 공극의 크기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0.05mm이다. 원하는 망사 크기는 코어 박판이 짜여진 옷감이라면 짜임새 밀도 및/또는 짜여진 구조를 변화시키므로써 얻어질 수 있고, 그것이 니트 옷감이라면, 니트 밀도 및/또는 니트 구조를, 그것이 순수한 와이어라면 망사를, 및 그것이 짜여지지 않은 옷감이라면 섬유 밀도를 변화시키므로써 얻어질 수 있다. 코어 박판의 두께가 성형될 면 파스터의 기초 박판의 두께 및 그의 사용에 의해 결정되고; 그러나, 성형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코어 박판 두께는 바람직하게 기초 박판의 20 내지 60%이다. 따라서, 코어 박판의 실 가닥, 와이어 또는 섬유의 크기는 임의로 요구된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코어 박판이 섬유로 구성되고, 표면상에 다수의 단일 섬유의 냅을 갖는다면, 냅 일부는 기초 박판 표면상에 성형된 후크 요소에 침투되고; 이 경우에, 부분적으로 기초 박판의 충분한 경도가 고정되고, 부분적으로 후크 요소가 섬유에 의해 보강된 개선된 경도를 갖기 때문에, 면 파스너는 통상의 파스너보다 더 높은 경도를 요구하는 산업용 용구로서 사용될 때 특히 적합하다.
이리하여 구성된 면 파스너는 하기 방법에 의해 요율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면에 따라, 한 방향 회전으로 다이 휘일을 구동시키고; 연속하여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에 예비 결정된 너비에 의해 그사이에 예비 결정된 틈새와 다이 휘일을 마주보는 사출 다이의 용융된 수지 배출구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고; 연속하여 사출다이로 부터 사출된 용융된 수지내 굵은 망사 박판을 매립하고, 굵은 망사 박판을 통해 용융된 수지의 일부로 결합 요소 공동을 채워 성형된 면 파스너를 형성하기 위해 다이 휘일과 사출 다이의 용융된 수지 배출구 사이에 틈새로 굵은 망사 박판을 도입하고; 성형된 면 파스너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도구에 위해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을 확실히 냉각시키고; 결합 요소 형성 공동을 주변 표면상에 갖는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상에, 기초 박판의 표면상에 세워진 다수의 결합 요소 및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으로 구성되는, 성형된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으로부터 냉각된 성형된 면 파스너를 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연속 사출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냉각 도구는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을 냉각시키기 위해 다이 휘일에 장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법은 냉각수 탱크를 통해 다이 휘일 및 성형된 면 파스너를 동시에 통과시키므로써 냉각수 탱크내 다이 휘일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성형된 면 파스너 및 다이 휘일의 부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면에 따라, 다이 휘일과 압력 로울러사이에 예비 결정된 틈새와 다이 휘일에 접하는 다이 휘일 및 압력 로울러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압출 노즐로부터 다이 휘일과 압력 로울러사이에 틈새까지 용융된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시키고; 연속하여 용융된 수지내 굵은 망사 박판을 매립하고, 굵은 망사 박판을 통해 용융된 수지의 일부로 결합-요소 공동을 채워 성형된 면 파스너를 형성하기 위해, 다이 휘일과 압출 노즐로부터 압출된 용융된 수지 사이에 틈새로 굵은 망사 박판을 도입하고; 성형된 면 파스너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도구에 위해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을 확실히 냉각시키고;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면 파스너를 성형하기 위해,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으로부터 냉각된 성형된 면 파스너를 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냉각 도구는 다이 휘일을 냉각시키기 위해 다이 휘일에 장착되고,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상에 성형된 면 파스너는 다이 휘일에 장착된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다. 게다가, 성형된 면 파스너는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상에 냉각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 파스너를 제조하기 위한 주요한 점은 용융된 수지의 통과를 위한 공극을 갖는 코어 박판이 사출 다이로 부터 연속적으로 사출되거나 압출 노즐로부터 압출된 용융된 수지와 다이 휘일사이에 도입된다. 즉, 코어 박판이 도입되면서, 용융된 수지가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용융된 수지의 일부는 도입 바로 후에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에 도달하기 위해 압출중에 압연 로울러의 압연력에 의해 또는 수지 압력하에, 코어 박판의 공극을 통해 통과된다. 그때, 코어 박판은 수지 압력하에 또는 압연 로울러의 압연력에 의해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코어 박판은 반드시 편향적으로 다이 휘일 측면에, 사출 다이 또는 압연 로울러와 다이 휘일 사이에 성형된 기초 박판에 매립된다.
코어 박판을 통해 통과된 용융된 수지의 일부는 다이 휘일의 후크 요소 형성 공동에 채워져서 후크 요소를 형성하고, 코어 박판을 통해 통과된 용융된 수지의 일부는 다이 휘일의 주변 표면과 코어 박판사이에 틈새를 채워서 이면 또는 후크 요소-자유 측면상에 용융된 수지 및 코어 박판의 성분과 융합되어 기초 박판을 형성한다. 이리하여 성형된 기초 박판의 두께는 연속 사출 성형의 경우에 사출 다이와 다이 휘일사이에 틈새에 의해, 또는 압출 성형의 경우에 다이 휘일과 압력 로울러사이의 틈새에 의해 결정된다.
후크 요소-표면 측면에 편향적으로 기초 박판에 매립된 코어 박판은 다이 휘일로 부터 성형된 면 파스너를 벗기는 것을 돕는다. 즉, 코어 박판은 후크 요소-표면 측면을 향해 편향적으로 기초 박판에 존재하기 때문에, 기초 박판의 다이 휘일 측면은 이면 또는 후크 요소-자유 측면 보다 덜 연장가능하고, 인장에 대해 매우 내구적이다. 그러므로, 인장력은 성형된 후크 요소가 어려움 없이 공동으로부터 인장될 수 있도록 다이 휘일의 주변 공동에서 성형된 후크 요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기초 박판의 후크 요소 측면 표면이 많이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면 파스너가 성형후에 한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고, 후크 요소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결합 강도에 있어서 균일하고 품질 면 파스너가 생성되도록 기초 박판의 정면과 이면사이에 연장에 있어서 차이는 일어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는 몰딩 면 파스너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 사출 몰딩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위에 몰딩되는 결합요소는 후크 요소이다.
제1도에서, 참조 부호(1)는 사출 다이를 지시한다. 사출 다이의 말단부의 상부의 절반 표면은 곡률에 있어 하기 기술되는 다이 휘일(2)과 실제적으로 같은 원호형 표면(1a)이고, 하부의 절반 표면은 다이 휘일(2)의 곡면에 대한 소정의 틈새를 정의하기 위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 표면(1b)이다. 사출 다이(1)는, 상부 및 하부 원호형 표면(1a, 1b)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그로부터 용해된 수지 압력하에서 박판 형태로 용해된 수지(4)가 압출되는 수지 압출 출구(1d)를 갖는 T 형상 다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출 다이(1)는 중앙에서 단일 용해 수지 러너(1c)를 갖는다.
다이 휘일(2)은 일부가 사출 다이(1)의 상부 원호형 표면(1a)에 인접한 원주 표면을 가지며, 그 축이 사출 다이(1)의 압출 출구(1d)에 평행한 상태로 소정의 틈새에 의하여 하부 원호형 표면(1b)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예에 따라서, 다수의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위에 형성된다. 다이 휘일(2)의 구조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75,310 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본 원에서는 간단히 기술된다. 다이 휘일(2)은 수냉 쟈켓(2a)을 갖는 속이 빈 드럼의 형태이며, 상기 속이 빈 드럼을 따라서 다수의 몰드 디스크와 다수의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번갈아서 라미네이트 된다. 각각의 몰드 디스크는 그 기저부가 몰드 디스크의 원주 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 측 원주 엣지에 다수의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을 갖는다. 각각의 스페이서 플레이트는 전방 및 후방 측 모두에 편평한 표면을 갖는다. 다이 휘일(2)은 도시되지 않은 주지의 동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울로부터 인발되는 코어 박판(S)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의 일부와 접촉한 후에 장력 조절기를 거쳐 사출 다이(1)의 상부 원호형 표면(1a)과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 사이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물 탱크(10)는 그 하부가 냉각 물 탱크에 잠기는 다이 휘일(2)의 아래에 위치한다. 안내 로울러(9)는 냉각 물 탱크(10)의 전방에서 대각선 상방향으로 위차하며, 다이 휘일(2)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한 세트의 상부 및 하부 긴장 로울러(take-up roller)(6, 7)는 안내 로울러(9)의 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어 박판(S)은 굵은 망사로 짜여진 섬유 직물, 굵은 망사로 짜여진 섬유 직물, 큰 기공을 갖는 짜여지지 않은 직물, 또는 소정의 망사를 갖는 와이어 네트, 소정의 무늬로서 다수의 포어를 갖는 인조 수지 필름이 가능하다. 섬유 코어 박판의 경우에 있어,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 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면 파스너용 열 가소성 인조 수지와 섬유 재료는 바람직하게 같지만, 그것들은 다를 수도 있다. 코어 박판의 섬유, 섬유 실 또는 금속 와이어의 크기는 코어 박판의 요구되는 두께에 의하여 결정된다. 면 파스너의 기초 박판(4a)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코어 박판의 두께는 보통 바람직하게 기초 박판(4a)의 두께의 20 내지 60 퍼센트이다.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서, 용해된 수지 온도, 다이 휘일 온도, 및 다이 휘일의 회전 속도는 몰론 조정된다. 요구되는 용해 수지 압력은 보통 50-150 km/cm2이고, 바람직하게 80-110 kg/cm2이다.
장치에서 본 발명의 면 파스너를 몰딩하기 위하여, 소정의 용해된 수지 압력에서 사출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사출되는 용해된 수지(4)는 사출 다이(1)와 회전하는 다이 휘일(2)사이의 틈새로 강제 유입된다. 동시에 용해된 수지의 일부는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따라 상기 언급된 틈새로 유입되는 코어 박판(S)의 포어를 통하여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에 압출되어, 용해된 수지(4)는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 위로 균일하게 연장할 때 후크 요소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에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사출 다이(1)의 사출 출구(1d)에 남아 있는 용해된 수지와 팽창하는 용해된 수지(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기초 박판(4a)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 박판(S)의 요소 재료와 융합된다.
이 몰딩 중에, 코어 박판(S)은 용해된 수지 압력하에서 힘이 가해질 때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의 주위에서 계속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입되는 동안에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에 대항하여 코어 박판(S)에 의도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즉, 슬랙(slack)을 피하기에 충분한 장력을 가지고 상기 언급된 틈새로 코어 박판(S)을 유입함으로써, 코어 박판(S)은 필수적으로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에 대항하여 힘이 가해져 제2도에 도시된 후크 요소 표면 측이나 전방 표면측에 편향되어 몰딩 면 파스너의 기초 박판(4a)에 매립된다. 따라서, 동시계류 중인 미합중국 특허 제 08/359,895 호에서 사용되는, 정확한 제어나 횡단 너비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복잡한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장력 조절 섹션(3)으로서는, 코어 박판에 슬랙이 없게 하는 댄서 로울러와 같은 단순 장력 제어기로서 충분하다. 사실, 정확한 장력 조정은 필요한 경우 코어 박판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 위에서 면 파스너내로 형성되는 용해 수지(4)는 안내 로울러(9)에 의해 안내될 때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의 실제적으로 절반 둘레에서 이동한다. 그 동안에, 용해 수지(4)는 다이 휘일(2)의 내측으로부터 냉각되며 또한 냉각 물 탱크(10)를 통하는 동안에 또한 냉각되어, 그 안에 코어 박판(S)이 매립된 기초 박판(4a) 및 후크 요소는 점차 경화된다. 기초 박판(4a)이 상기 경화시에 긴장 로울러(6, 7)에 의하여 수평으로 긴장되어 질 때, 코어 박판(S)이 후크 요소 표면 측에 편향되어 기초 박판(4a)에 매립되면, 기초 박판(4a)의 코어 박판이 매립된 측의 표면은 그것이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부터 당겨지더라도 연장하지 않으며, 기초 박판(4a)의 전방 및 후방 표면은 따라서 연장에 있어서 차이가 없어서, 다이 휘일(2)로부터 분리될 때 면 파스너가 한 방향으로 굽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균일한 결합 강도를 가져오는 균일한 후크 요소 밀도가 면 파스너의 전 표면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후크 요소(4b)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때 공동(5)으로부터 유연하게 당겨져 나올 수 있다. 다이 휘일(2)로부터 분리된 바로 후에, 후크 요소(4b)는 그 원형을 회복하여 완전히 경화되고, 그 결과 제3도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면 파스너가 몰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몰딩된 수지 제품(즉, 기초 박판에 매립된 코어 박판을 갖는 면 파스너)를 다이 휘일(2)로부터 벗기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상부 및 하부 긴장 로울러(6, 7)가 사용된다. 이러한 긴장 로울러(6, 7)의 원주 표면은 매끄러울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손상이 없이 후크 요소(4b)를 수용하기 위한 원주 홈을 가질 수도 있다. 긴장 로울러(6, 7)의 회전 속도는 다이 휘일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빨라서, 후크 요소(4b)는 유연하게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면 파스너에 있어서, 코어 박판(S)은 후크 요소 표면 측에 편향되어 기초 박판(4a)에 매립되므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균질의 제품이 얻어질 수 있도록 기초 박판(4a)에 종방향 및 횡방향에 충분한 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로서 나타나는 면 파스너에서는, 장력하에서 절단될 때 스트레치가 발생하지 않으며, 재봉시에 바늘이 부러지지 않는다.
코어 박판(S)이 섬유로 만들어지고 그 표면에서 상승된 냅(n)을 가지는 경우에, 냅(n)의 일부는 현저하게 후크 요소의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후크 요소를 관통하여, 본 발명의 면 파스너는 산업용 재료용 파스너로서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코어 박판(S)이 색을 가지거나 무늬를 가지면, 후크 요소 표면 측에 편향되어 기초 박판에 매립될 때 그러한 색이나 무늬는 수지 층을 통하여 쉽게 볼 수 있어서, 고 투명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심미적인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코어 박판이 와이어 네트로 이루어지면, 와이어 네트가 후크 요소 측 표면에 가까이 기초 박판(4a)에 매립될 때 정전 방전 효과(static discharge effect)가 기대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동반 결합 요소가 자성 물질로 만들어지면, 자성 인력이 또한 증가한다. 또한, 와이어 네트가 기초 박판(4a)에 매립된 상태로, 전자기파가 방해될 수 있으며, 더욱이, 면 파스너를 변형하고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는 압출 몰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면 파스너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압출 노즐(11)은 사출 다이(1)를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압연 로울러(13)는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다이 휘일(2)의 아래에 위치한다. 압출 노즐(11)의 용해 수지 압출 출구(11a)는 다이 휘일(2)과 압연 로울러(13) 사이의 틈새와 마주보기 위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세 걔의 부재는 구조에 있어서 미합중국 특허 제 5,260,015 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며, 그 상세한 기술은 본 원에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코어 박판(S)이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과 압출 노즐(11)로부터 압출되는 용해 수지(4)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다는 점이다. 즉, 도시된 예에서, 로울(8)로부터 뽑아 내어진 코어 박판(S)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과 용해 수지(4)의 사이로 유입되며,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과 일부 접촉한 후에 장력 조절 섹션(3)을 통하여, 압출 노즐(11)의 용해 수지 압출 출구(11a)로부터 압출된다. 또한, 내부로부터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재킷(2a)이 다이 휘일(2)내에 위치하고, 냉각 공기 불로우어(14)는 냉각 공기를 압연기(13)의 압축면을 지나는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 송풍하기 위하여 위치한다. 다이 휘일(2)과 압연 로울러(1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어, 제5도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기 회전한다.
안내 로울러(9)는 냉각 공기 블로우어(14)의 대각선 상방향에 위치하고, 다이 휘일(2)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고속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긴장 로울러(6, 7)는 안내 로울러 (9)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장치에 따라서, 압출 노즐(11)로부터 압출되는 용해 수지(4)는 압연 로울러(13)와 코어 박판(S)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며,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따라서 유입되어, 압연 로울러(13)의 압축력에 의하여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 코어 박판(13)의 포어를 통하여 강제된다. 압출된 용해 수지(4)의 일부는 후크 요소(4b)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이 휘일(2)의 원주표면의 후크 요소 형성 공동(5)에 채워지며, 동시에, 압출된 용해 수지(4)의 일부는 다이 휘일(2)과 코어 박판(S) 사이에 분산되어, 코어 박판(S)의 후크 요소 표면 측의 용해 수지(4)와 후방 표면 측의 용해 수지(4)는 기초 박판(4a)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 영역 위에서 함께 융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이 몰딩된 면 파스너는 다이 휘일의 실제적으로 사분의 일을 따라서 이동하고, 안내 로울러(9)를 통하여, 긴장 로울러(6, 7)에 의하여 확실히 긴장될 때 다음으로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는 동안에, 몰딩된 면 파스너는 다이 휘일 내에서 냉각수 재킷(2a)에 의하여 점차 냉각되고, 냉각 공기 블로우어(14)로부터 송풍된 공기에 의하여 또한 냉각되어 경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 휘일(2)과 압연 로울러(13)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코어 박판(S)은 반용해된 고온 기초 박판(4a)으로부터 온도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예열되어 그 융합은 더욱 신뢰성이 있게 된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각각의 후크 요소(4b)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향하는 면에 보강 리브(4c)를 갖는다. 각각의 후크 요소는 같은 열에서 공통된 방향으로 향하고, 인접한 열에서 반대방향으로 향한다. 보강 리브(4c)는 생략될 수도 있으나 후크 요소(4b)가 옆으로 떨어져 나가지 않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동일한 열의 인접한 후크(4b)는 교번하여 반대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로써, 결합력에 있어 방향성이 없는 면 파스너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결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점을 떠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다수의 주의를 요하는 단계가 필요없이 단일의 몰딩 단계에서 기초 박관 내에서 후크 요소 표면 측에 편향되어 코어 박판(S)이 매립되는 몰딩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얻어진 면 파스너는 종 방향과 횡방향으로 모두 충분한 인성을 갖는다. 또한, 몰딩 중에, 면 파스너가 다이 휘일(2)의 원주 펴면으로부터 벗겨질 때 기초 박판(4a)의 전방 및 후방 표면 사이에는 연장의 차이가 없으며, 따라서 후크 요소(4b)의 밀도는 전 영역 위에서 균일하여, 크기가 매우 정확하고 균일한 결합 강도를 갖는 고품질 제품이 성취될 수 있다.
코어 박판(S)이 색을 갖거나 무늬를 가지면, 몰딩 수지(4)로서 고투명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방 표면 측에 편향되어 기초 박판(4a)에 존재하므로 명백하게 보인다. 코어 박판(S)이 최소한 전방 표면에 상승된 냅(n)을 가지면, 냅(n)의 일부가 후크 요소(4b)를 관통하여 그 곳에 융합되어 후크 요소(4b)의 인성은 현저하게 증가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산업용 재료 파스너용으로 가장 적합한 면 파스너를 만든다.

Claims (11)

  1. 인조 수지로 몰딩되는 면 파스너에 있어서,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 및 상기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의 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 요소(4b)를 포함하고, 압출 및 연속적인 사출에 의하여 몰딩되고, 상기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의 일면을 향하여 편향되어 향하는 실제적으로 전체 영역위에서 상기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에 일체로서 매립되는 굵은 망사 박판(S)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는 몰딩 면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망사 박판(S)은 편물과 직물로 짜여진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망사 박판(S)은 직물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망사 박판(S)은 와이어 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박판은 그 표면에 냅(n)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결합 요소(4b)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망사 박판(S)은 색을 갖거나/갖고 무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7. 그 원주 표면상에 다수의 결합 요소(4b) 형성 공동(5)을 가지는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위에,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 및 기초 박판의 표면위에서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 요소로 구성되는 몰딩된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일 방향 회전을 위하여 다이 휘일(2)을 구동하는 단계;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에 소정의 너비에 의하여, 소정의 틈새를 갖는 다이 휘일(2)과 대면하는, 사출 다이(1)의 용해된 수지(4) 출구로부터 용해된 수지(4)를 연속적으로 사출하는 단계; 몰딩 면 파스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굵은 망사 박판(S)을 통하여 용해된 수지(4)의 일부로 결합 요소(4b) 형성 공동(5)을 채우기 위하여 또한 사출 다이(11)로부터 사출되는 용해된 수지(4)에 굵은 망사 박판(S)을 매립하기 위하여 다이 휘일(2)과 사출 다이(11)의 수지 출구(1d)사이의 틈새로 굵은 망사 박판(S)을 유입하는 단계; 몰딩 면 파스너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에 의하여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적극적으로 냉각하는 단계; 및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부터 냉각된 몰딩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다이 휘일(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다이 휘일(2)과 면 파스너가 동시에 물 탱크(10)를 통하여 지나갈 때, 다이 휘일(2)의 일부와 냉각 물 탱크(10)안에서 다이 휘일(2)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는 면파스너를 냉각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제조 방법.
  10. 그 원주 표면상에 다수의 결합 요소(4b) 형성 공동(5)을 가지는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위에,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 박판(4a) 및 기초 박판(4a)의 표면 위에서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 요소로 구성되는 몰딩된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이 휘일(2)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는 다이 휘일(2)과 마주보는 압연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압출 노즐(11)로부터 다이 휘일(2)과 압연 로울러사이의 틈새로 용해된 수지(4)를 압출하는 단계; 용해된 수지(4)내에 굵은 망사 박판(S)을 매립하고 또한 몰딩되는 면 파스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굵은 망사 박판(S)을 통하여 결합 요소(4b) 형성 공동(5)을 용해된 수지(4)의 일부로 채우기 위하여, 다이 휘일(2)과, 압출 노즐(11)로부터 압출되는 용해된 수지(4)사이의 틈새로 굵은 망사 박판(S)을 연속적으로 유입하는 단계; 몰딩 면 파스너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에 의하여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적극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단계;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으로부터 냉각된 몰딩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다이 휘일(2)의 원주 표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다이 휘일(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면 파스너 제조 방법.
KR1019960014233A 1995-05-02 1996-05-02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KR0179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3200 1995-05-02
US08/433,200 US5620769A (en) 1995-05-02 1995-05-02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228A KR960040228A (ko) 1996-12-17
KR0179237B1 true KR0179237B1 (ko) 1999-02-01

Family

ID=2371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233A KR0179237B1 (ko) 1995-05-02 1996-05-02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20769A (ko)
EP (1) EP0740910B1 (ko)
JP (1) JP3505030B2 (ko)
KR (1) KR0179237B1 (ko)
CN (1) CN1074712C (ko)
BR (1) BR9601628A (ko)
CA (1) CA2175180C (ko)
DE (1) DE69622221T2 (ko)
ES (1) ES2176372T3 (ko)
HK (1) HK1010657A1 (ko)
TW (1) TW32565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US5260015A (en) * 1991-08-16 1993-11-09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hook fastener
JP2731106B2 (ja) * 1993-12-28 1998-03-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H08322609A (ja) * 1995-06-02 1996-12-10 Ykk Kk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15A (ja) * 1995-06-20 1997-01-07 Ykk Kk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3502B2 (ja) * 1995-09-25 2003-07-0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係着連結部材の連続成形方法及び装置
US5945193A (en) * 1995-12-06 1999-08-31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 with porous metal containing layer
JP3609207B2 (ja) * 1996-05-31 2005-01-12 Ykk株式会社 生分解性面ファスナー
JP3461662B2 (ja) * 1996-06-06 2003-10-27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6035498A (en) * 1997-01-27 2000-03-14 Velcro Industties B.V. Stretched fasteners
US5887320A (en) * 1997-03-21 1999-03-3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component with flexible fastener members
US6393673B1 (en) 1997-07-31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fastening element
JPH1146811A (ja) * 1997-08-05 1999-02-23 Ykk Corp 面ファスナー用雌係合部材とその製造方法
US6205623B1 (en) * 1998-11-06 2001-03-27 Velcro Industries B.V. Composite hook and loop fasteners, and products containing them
US6991375B2 (en) * 1998-11-06 2006-01-31 Velcro Industries B.V. Reclosable packaging
US6202260B1 (en) 1998-11-06 2001-03-20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s their manufacture and products incorporating them
US7163706B2 (en) * 1998-11-06 2007-01-16 Velcro Industries B.V. Ventilated closure strips for use in packaging food products
US6190594B1 (en) 1999-03-01 2001-0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oling for articles with structured surfaces
US6197076B1 (en) 1999-04-05 2001-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method of making same and abrading apparatus
US20060210762A1 (en) * 2005-03-17 2006-09-21 Tachauer Ernesto S Rigid subtrates having molded projec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229216C (zh) * 2000-03-14 2005-11-30 维尔克鲁工业公司 形成连接物制品的方法
US7395583B2 (en) 2000-05-26 2008-07-08 Valero Industries B.V. Hook engageable loops
DE10039937A1 (de) * 2000-08-16 2002-03-07 Binder Gottlieb Gmbh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ftverschlußteils
US8678807B2 (en) 2000-10-24 2014-03-25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020076520A1 (en) * 2000-12-14 2002-06-20 Neeb Alexander J. Magnetic fastening system
US6484371B1 (en) * 2001-02-27 2002-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strength, flexible, light weight hook and loop bundling straps
US7785095B2 (en) 2001-03-14 2010-08-31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DE10123206A1 (de) * 2001-05-12 2002-11-28 Binder Gottlieb Gmbh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ftverschlußteils
US6902389B2 (en) * 2003-05-14 2005-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re wound tooling
US7373699B2 (en) * 2003-10-15 2008-05-20 Velcro Industries B.V. Plastic sheet reinforcement
US8082637B2 (en) * 2003-10-15 2011-12-27 Velcro Industries B.V. Low profile touch fastener
US9307648B2 (en) 2004-01-21 2016-04-05 Microcontinuum, Inc. Roll-to-roll patterning of transparent and metallic layers
EP1714274A4 (en) * 2004-01-21 2008-11-05 Microcontinuum Inc PRE-FORMATTED OPTICAL DATA STORAGE BAND
US7303711B2 (en) * 2004-02-24 2007-12-04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US7108814B2 (en) * 2004-11-24 2006-09-19 Velcro Industries B.V. Molded touch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422783B2 (en) * 2004-11-24 2008-09-09 Velcro Industries B.V. Submerged hooks
US7516524B2 (en) * 2005-03-11 2009-04-14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EP1702599A1 (en) * 2005-03-18 2006-09-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US20070036939A1 (en) * 2005-08-15 2007-02-15 Ferry Hinton Kristel L Touch fasteners
DE202005015230U1 (de) * 2005-09-27 2006-10-12 Kunert Ges.M.B.H. Hinterspritzfähiges Textil
US20070101557A1 (en) * 2005-11-07 2007-05-10 Gallant Christopher M Bendable fastener strips
CA2643510C (en) 2006-02-27 2014-04-29 Microcontinuum, Inc. Formation of pattern replicating tools
US7645134B2 (en) * 2006-12-19 2010-0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ibbon wound roll
US8273286B2 (en) * 2007-09-10 2012-09-25 Fram Jerry R Positive pressure shear impregnator and wetout
US8069537B2 (en) * 2008-05-16 2011-12-06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and related methods
DE102008028507B3 (de) * 2008-06-14 2009-12-24 Faurecia Autositze Gmbh Bezug
US7998548B2 (en) 2009-01-19 2011-08-16 Ykk Corporation Male surface fastener member for use in a cushion body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468869A (en) * 2009-03-24 2010-09-29 Ykk Europ Ltd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CN102947192B (zh) 2010-04-12 2015-11-25 维尔克工业有限公司 可重新闭合的袋子
US9295590B2 (en) * 2012-11-27 2016-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aterial to a moving substrate in a curved path
US9589797B2 (en) 2013-05-17 2017-03-07 Microcontinuum, Inc. Tools and methods for producing nanoantenna electronic devices
JP5709953B2 (ja) * 2013-09-19 2015-04-30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EP3981569A1 (en) 2017-12-21 2022-04-13 Velcro IP Holdings LLC Molding resin to form continuous structures
CN112203827B (zh) 2018-04-23 2023-01-03 J·R·弗雷姆 液体基质剪切压力浸渍器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0134A (en) * 1958-11-19 1966-01-18 Us Rubber Co Plastic carp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196490A (en) * 1961-11-14 1965-07-27 Velok Lt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a continuous strip of molded plastic product
US3168605A (en) * 1963-10-03 1965-02-02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ebs of elastic synthetic resins
CH455365A (fr) * 1966-04-01 1968-07-15 Velcro Sa Soulie Dispositif de liaison
US3399425A (en) * 1966-08-23 1968-09-03 Jerome H. Lemelson Apparatus for surface forming materials
US3594863A (en) * 1969-07-10 1971-07-27 American Velcro Inc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shapes in molding recesses formed in a moving endless belt
US3594865A (en) * 1969-07-10 1971-07-27 American Velcro Inc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shapes in molding recesses formed in moving endless wire dies
US3608035A (en) * 1969-08-01 1971-09-21 Opti Holding Ag Method of making slide fasteners
US3758657A (en) * 1971-12-01 1973-09-11 American Velcro Inc Production of a continuous molded plastic strip
US4001366A (en) * 1972-01-03 1977-01-04 Ingrip Fasteners Inc. Method for making self-gripping devices having integral trains of gripping elements
US4769202A (en) * 1985-11-29 1988-09-06 The B. F. Goodrich Company Process of making a conveyor belt
US4776068A (en) * 1986-10-20 1988-10-11 Velcro Industries B. V. Quiet touch fastener material
KR940006314B1 (ko) * 1987-12-15 1994-07-16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죔쇠 부재
US4999067A (en) * 1989-02-13 1991-03-12 Erblok Associates Method for making a hermaphrodite hook and loop fasteners
US5260015A (en) * 1991-08-16 1993-11-09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hook fastener
JP2756211B2 (ja) * 1992-06-17 1998-05-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両面に係合片を有する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744384B2 (ja) * 1992-07-22 1998-04-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裏面に裏部材を有する係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854236B2 (ja) * 1993-12-28 1999-02-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731106B2 (ja) * 1993-12-28 1998-03-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5180A1 (en) 1996-11-03
EP0740910A2 (en) 1996-11-06
HK1010657A1 (en) 1999-06-25
CN1137973A (zh) 1996-12-18
US5620769A (en) 1997-04-15
DE69622221D1 (de) 2002-08-14
JPH08299031A (ja) 1996-11-19
JP3505030B2 (ja) 2004-03-08
KR960040228A (ko) 1996-12-17
TW325656U (en) 1998-01-21
CN1074712C (zh) 2001-11-14
CA2175180C (en) 1999-06-29
EP0740910A3 (en) 1997-04-16
BR9601628A (pt) 1998-03-31
ES2176372T3 (es) 2002-12-01
EP0740910B1 (en) 2002-07-10
DE69622221T2 (de)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237B1 (ko) 몰딩된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KR0179242B1 (ko) 성형 면 파스너 및 그 제조 방법
KR0179238B1 (ko) 성형 면 파스너
EP0830930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mber
FI93558B (fi) Kutomaton kanga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5702797A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604264B1 (en) Female engaging member of surface fastener and production apparatus thereof
KR100288952B1 (ko) 면파스너의암결합부재및그제조방법
JP2731103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EP0661008B1 (en) Surface fastener manufacturing method
EP0998208B1 (en) Stretched fasteners
EP1677640B1 (en) Plastic sheet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