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9517B1 - 투명 홀로그램 시일 - Google Patents

투명 홀로그램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517B1
KR0169517B1 KR1019940037438A KR19940037438A KR0169517B1 KR 0169517 B1 KR0169517 B1 KR 0169517B1 KR 1019940037438 A KR1019940037438 A KR 1019940037438A KR 19940037438 A KR19940037438 A KR 19940037438A KR 0169517 B1 KR0169517 B1 KR 016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member
transparent
refractive index
de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814A (ko
Inventor
하루오 우야마
다카히로 하라다
미츠루 가노
나가히사 마츠다이라
가즈히사 호시노
사토시 기타무라
후미노부 노구치
츠토무 시카쿠보
Original Assignee
후지타 히로미치
돕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406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95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5333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65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333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79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333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91595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히로미치, 돕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타 히로미치
Publication of KR95001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1/0256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having specific function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4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using white light, e.g. rainbow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a hologram or diffraction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2Ceram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4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1/0244Surface relief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1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arranged to be transferred onto a carrier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12Special arrangement of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10S428/915Fraud or tamper det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투명 홀로그램시일은 홀로그램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착색층(12), 접착 고정층(14)과 접착층(16)이 베이스부재(2)의 하부표면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본 적층체는 접착층(16)의 존재에 의해 시일로서 사용된다. 베이스부재(2)가 적당한 강성(가요성, 인장강도)과 표면 편평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형성층(4)은 릴리프타입 홀로그램상을 갖는다. 투명 증착층(10)은 고굴절률층(6)과 저굴절률층(8)을 교호로 적층하여 구성된 다층 세라믹층이며 그 두께는 1㎛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증착층(10)에서 소정파장범위에서의 가시광의 색은 광이 그를 통하여 투과되거나 그로부터 반사되는 경우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한다.

Description

투명 홀로그램 시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홀로그램 시일(transparent hologram seal)의 제1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 구체예의 실험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3도는 제1 구체예의 비교실시예의 가스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홀로그램 시일의 제2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2 구체예의 또 하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2 구체예의 취성 시일의 분리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제7도는 제2 구체예의 실험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홀로그램 전사 호일의 제3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9a도 및 제9b도는 제3 구체예의 홀로그램 전사 호일의 전사 전후상태를 나타내고,
제10도는 제3 구체예의 위조탐지 패턴을 나타내고,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4 구체예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제12도는 제4 구체예의 실험실시예의 가스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13도는 제4 구체예의 또 하나님의 실험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14도는 제1 구체예의 비교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5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16a도 및 제16b도는 수직방향으로 볼때의 제5 구체예의 조작을 나타내고,
제17a도 및 제17b도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볼때의 제5 구체예의 조작을 나타내고,
제18도는 제5 구체예의 실험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6 구체예의 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6 구체예의 또 하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1도는 제6 구체예의 실험실시예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7 구체예의 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8 구체예의 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8 구체예의 또 하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9 구체예의 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6도는 제9 구체예의 적층체용 탐지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고,
제27a도 및 제27b도는 제9 구체예의 한 실시예의 탐지패턴을 나타내고,
제28a도 및 제28b도는 제9 구체예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탐지패턴을 나타내고,
제29a도 및 제29b도는 제9 구체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탐지패턴을 나타내고,
제30도는 제9 구체예의 비교실시예의 탐지패턴을 나타낸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광학적 다층막을 가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물품에 부착되어 그 물품의 진품 또는 모조품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투명 홀로그램 시일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종래, 물품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품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물품 그 자체가 거의 모조될 수 없도록 하거나, 또는 거의 모조될 수 없는 부속물을 물품에 부착함으로써 진품이 모조품과 구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물품 예컨데 은행권과 같은 증서 및 주식에 복잡하고 정밀한 패턴을 형성하거나, 용이하게 모조될 수 없는 색조로 그 안에 착색을 하거나, 그 재료로서 특수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물품을 그 모조, 인쇄기법의 부정한 사용 또는 복사기를 사용한 불법 복사에 의해 위조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인쇄/복사기법의 개발 또는 복사기등의 디지털 기술의 개발로, 상기 정밀패턴 형성방법이 사용되거나 모조하기 어려운 착색이 사용될 때 조차 물품을 용이하게 모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복사 및 위조를 보다 어렵게 하도록 상기 기법 및 기술을 고려하여 정밀패턴형성 기법을 더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경우의 상기 수단은 근본적인 해결책을 가져오지는 않는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 그 수단은 단순히 물품에 부속물을 부착함으로써 달성되고, 널리 사용된다. 예컨대, 신용카드, 은행권 또는 증서와 같은 물품에는 예컨대 진품의 증거로서, 안에 릴리프 타입 홀로그램의 상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홀로그램 시일이 부착된다. 이 홀로그램 시일은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는 홀로그램상을 형성하고 그것을 도드라지게 새김으로써 대규모로 제조될 수 있다. 층구조를 고려할 경우, 시일은 시일을 제거하기 곤란하거나 시일이 제거된 후에는 시일을 다시 사용하기 곤란할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일이 부착되었다가 제거된다면, 물품의 위조 뿐만아니라 어떤 수정 또는 변경이든지 한눈에 분명히 인지될 수 있도록 홀로그램중 적어도 일부가 소실된다.
상기 장치의 종래에로서는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고 46-4432호 공보에 기재된 재사용 방지증서 스탬프가 제공되어 있다. 이 재사용 방지증서 스팸프는 투명소성막의 뒷면에 박리층 또는 분리층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피복하고, 그 위에 소정 인쇄 패턴을 형성화고, 이 인쇄패텬 위에 감압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하나의 종래예로서는 일본실용신안출원공고 3-7372호 공보에 기재된 여권용 감압 접착시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 여권용 감압 접착시트는 투명막 베이스부재의 뒷면에 투명 박리제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이 박리제층의 뒷면에 인쇄물 진열부층을 형성하고, 투명막 베이스부재 및 상기 층의 뒷면중 남은 부분의 여권 밑종이에 부착되는 투명 감압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일본실용신안출원공고 4-17554호 공보에 기재된 재부착 방지 감압 접착시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것에는 투명막 베이스부재와 투명 감압 접착층 사이에 형성된 투명 층간 분리 또는 박리수지층을 가지고 있고 층간 박리수지층의 하측에 불투명 인쇄물 진열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재접착이 방지된 감압 접착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특허 4,705,356호 (일본특허출원 공개 61-105509호 공보)에는, 각도에 따라 상단한 색 이동량을 가지는 광학적으로 변색하는 박막제품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예에는 물품의 진품 또는 모조품을 결정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홀로그램 시일의 구성이 복잡하므로, 정밀한 부분을 확대하거나 물품을 진품과 비교하여 물품을 면밀히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위조방지용 특수 시일이 부착될 때 조차 충분한 공간의 여유가 없고 할애할 시간이 충분히 없다면 모조품을 탐지할 수가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진품 또는 모조품을 용이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진품 또는 모조품을 용이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 및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분리층; 분리층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 및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또 하나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분리층; 및 분리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 및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되고, 소정 인쇄패턴을 가지는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소정 인쇄패턴을 가지는 인쇄층; 및 인쇄층 위에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 부분상의 적층구조의 수가 다르며,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부분상의 적층구조의 두께가 다르며,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의 적층구조로 구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잇점은 이하의 설명에 기재하며, 일부는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잇점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특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명세서에 속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하고, 위에 있는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에 있는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설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구체예]
제1도는 제1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증착층(10), 착색층(12), 부착고정층(14) 및 부착층(16)이 베이스부재(2)의 아래쪽 표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시일은 접착층(16)에 의해 물품에 부착되고 베이스부재(2)의 표면위(도면에서 상측)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시일이 있는 물품은 물품의 진품이고 시일이 없는 물품은 물품의 모조품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밑에 있는 층은 베이스부재(2)를 거쳐 관찰되므로, 베이스부재(2)는 충분히 투명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적당한 강성(가요성, 인장강도) 및 표면 편평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유로 재질은 특정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막 또는 폴리올레핀막과 같은 고중합체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관찰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패턴 또는 문자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베이스부재(2)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재(2)의 두께는 가요성을 유지할 정도의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나, 인쇄층이 베이스부재의 전체 표면에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작용이 달성될 수 없으므로, 오로지 단순한 패턴 또는 문자만을 베이스부재 위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 형성층(4)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스티렌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아진 (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열경화성수지, 상기 재질의 조합물, 또는 라디칼중합 불포화 라디칼을 가지는 가열성형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상을 안정하게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면 상기 재질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홀로그램상으로는 정밀하고 울퉁불퉁한 표면으로 형성된 상을 가지는 릴리프 타입 홀로그램상이 사용되나,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재질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베이스부재(2)와 홀로그램 형성층(4)을 단일층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증착층(10)은 고굴절률층(6)과 저굴절률층(8)을 교호로 적층하여 형성된 다층(이 실시예에서는 5층) 세라믹층이다. 예컨대 저굴절률층(8)의 재질로는 산화마그네슘(굴절률 n=1.6), 이산화규소(굴절률 n=1.5), 플루오르화마그네슘(굴절률 n=1.4), 플루오르화칼슘(굴절률 n=1.3 내지 1.4), 플루오르화세륨(굴절률 n=1.6), 플루오르화알루미늄(굴절률 n=1.3), 또는 산화알루미늄(굴절률 n=1.6)이 사용되며, 고굴절률층(6)의 재질로는 이산화티탄(굴절률 n=2.4), 이산화지르코늄(굴절률 n=2.0), 황화아연(굴절률 n=2.3), 산화아연(굴절률 n=2.1), 산화인듐(굴절률 n=2.0), 이산화세륨(굴절률 n=2.3), 또는 산화탄탈(굴절률 n=2.1)이 사용된다. 적층되는 층의 재질 및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 증착층(10)은 막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면 어떤 막형성법에 의해서든지 형성할 수 있다. 건식방법이 우수하므로, 스패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기증착법 또는 화학적 증기증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 증착층(10)의 두께는 1㎛보다 크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보다 크면 가요성이 저하되고 층에 균열이 보일 수 있다. 홀로그램 형성층(4)은 저굴절률층을 가지는 유기중합체이므로, 홀로그램 형성층(4)의 아래층은 고굴절률층(6)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파장범위의 가시광선이 투과 또는 반사될 때 보는 각도가 변화되면 투명 증착층(10)의 광로길이가 변화되어, 투과광 또는 반사광이 상이한 색의 광으로서 관찰된다. 그러므로 시일이 표면적으로 위조될 경우 조차, 보는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야기되는 색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진품 또는 모조품을 결정하기가 용이하다. 대체로 분광학적 특정은 증착층(10)의 층수에 따라 달라진다.
착색층(12)의 한가지 예로서, 세라믹 또는 착색투명 잉크를 사용하여 착색된 착색층이 제공된다. 착색층(12)을 구비함으로써 색변화가 다양하게 얻어질 수 있으며 쉽게 관찰될 수 있기 때문에 위조를 탐지하기가 쉬워진다.
접착 고정층(14)은 접착층(16)에 대한 착색층(12)의 안정한 접착을 얻기 위하여 구비된다. 접착 고정층(14)은 투명 층착층(10)의 품질을 변화시키지 않거나 층을 부식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에폭시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착색층(12)과 접착고정층(14)은 반드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접착층(16)으로서는, 투명 증착층(10)의 품질을 변화시키지 않거나 층을 부식하지 않는다면 보통 사용되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비가시/가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를 갖는 투명 홀로그램 시일과 비교를 위하여 사용된 홀로그램 시일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1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증착층(10)의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증착층(10)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막두께 : 1㎛
[실험 12]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13]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14]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1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3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12]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7
층(10)의 두께 : 1㎛
가시광선이 상기 실험과 비교실시예의 홀로그램 시일에 입사되고 입사방향이 직각으로부터 45도로 변화될 때 발생되는 반사광의 색변화를 다음 표1 및 2에 나타낸다.
제2도는 실험실시예 11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다. 각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였으며,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색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실험실시예 12 내지 14에서,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nm였으며,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색변화가 일어났다.
흡수 준위는 투명증착층(10)의 재질에 따라서 변한다.
제3도는 비교실시예 11의 가스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다.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였으며,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지만 스펙트럼의 반폭 값이 넓기 때문에 분명한 색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상술된 바와같이, 제1 구체예에, 따라서 투형 홀로그램 시일은 베이스부재상에 홀로그램 형성층, 투명 증착층 및 접착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필요할 때는 베이스부재상에 착색층 및 접착 고정층을 더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특정한 파장범위의 광이 특정한 두께로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복수개의 세라믹 재질의 층을 적층하여 투명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특성을 나타내며, 막두께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박막내 광로길이는 변화되며 투과광 또는 반사광은 상이한 색의 광으로서 관찰된다. 그러므로, 색이 보는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지에 따라서 시일의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다른 구체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 구체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구체예]
제4도는 제2 구체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착색층(12), 잡착고정층(14), 분리 또는 박리층(18) 및 접착층(16)은 베이스부재(2)의 아래쪽 표면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제2 구체예에서, 착색층 및 접착 고정층은 생략될 수 있다. 분리 또는 박리층(18)의 접착강도는 시일이 부착되는 부착될 물체, 예를들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에 관하여 접착층(16)의 것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하며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연속공정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유기재질 또는 무기재질이 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염소화 고무계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스수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또는 유성실리콘, 지방산아미드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을 가한 상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착층의 접착강도는 박리부분(부착될 물체에 남아 있게될 부분)의 것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하며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증착층의 접착은 베이스부재상에 남아 있게 될 부분에서는 커야 한다.
박리층(18)은 전체표면상에 균일하게 형성되지는 않지만 소정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패턴은 시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될 수 있으며 특정패턴, 마크,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은 그라비야(gravure)와 같은 종래에 공지된 인쇄수단 또는 코팅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응용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2 구체예는 분리된 후 다시는 사용할 수 없는 취성 시일에 관한 구체예이며, 박리층(18)의 위치는 제4도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리층(18)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부재(2)와 홀로그램 형성층(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박리층(18)은 홀로그램 형성층(4)과 투명 증착층(10) 사이, 투명 증착층(10) 과 착색층(12) 사이, 또는 착색층(12)과 접착고정층(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전후의 상태는 제6도에 도시한다. 제6도는 패턴형태의 분리 또는 박리층(18)이 홀로그램 형성층(4)과 투명 증착층(10) 사이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다.
제6도에서는 단순성을 위하여 보호층, 접착 고정층, 인쇄층 및 착색층을 도시하지 않았으며 증착층(10)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접착층(16)이 부착될 물체(20)에 부착된 후에 증착층(10)은 시일이 부착될 물체(20)로부터 분리될 때 부러진다. 패턴형성된 분리 또는 박리층(18)에 해당하는 증착층(10)의 부분은 부착될 물체(20)에 남아 있으며 (접착층(16)) 패턴형성된 분리 또는 박리층(18)이 형성되지 않은 증착층(10)의 나머지 부분은 홀로그램 형성층(4)에 부착된다.
그결과, 홀로그램 시일은 부착될 물체로부터 벗겨진 후에 재사용되거나 재부착될 수 없으며 그것에 의하여 시일의 불법사용을 방지한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를 갖는 투명 홀로그램 시일과 비교를 위해 사용된 홀로그램 시일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2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22]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7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21]
베이스부재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3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22]
베이스부재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7
층(10)의 두께 : 1㎛
가시광선이 제1 구체예에서 사용된 상기 실험 및 비교실시예의 홀로그램 시일에 입사되고 입사방향이 직각으로부터 45도로 변할 때 발생되는 반사광의 색변화를 다음 표3 및 4에 나타낸다.
제7도는 실험 21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다. 직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였으며,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색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실험 22에서, 직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색변화가 일어났다.
제3도에 관련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비교실시예 21의 가시 스펙트럼에서, 직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중심흡수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지만 색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실시예 22의 시일이 큰 층수를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약했으며 그것을 구부렸을 때 투명 증착층내에 균열이 생겼다.
상술된 바와같이, 이 구체예에 따라서 홀로그램 시일은 베이스부재상에 홀로그램 형성층, 투명 증착층 및 접착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필요할 때는 베이스부재상에 착색층 및 접착 고정층을 더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특정한 두께로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복수개의 세라믹 재질의 층을 적층하여 투명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특정한 파장범위의 광을 허용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막두께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박막내 광로길이는 변화되며 투과광 또는 반사광은 상이한 색의 광으로서 관찰된다.
그 결과 색은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시일의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매우 확실한 위조방지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착강도가 부착될 물체에 시일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의 접착강도보다 약한 박리층과 시일은 시일이 물체로부터 분리될 때 박리층을 따라서 두부분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시일은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제3 구체예]
제8도는 제3 구체예에 따른 투명 홀로그램 전사 호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홀리그램 전사호일은 취성 홀로그램 시일과 유사하다. 그러나, 분리 또는 박리층(18)은 취성 홀로그램 시일의 경우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지만 홀로그램 전사 호일의 경우 베이스부재 아래에 배치되어야 한다.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증착층(10), 착색층(12), 접착고정층(14), 분리 또는 박리층(18), 및 접착층(16)은 베이스부재(2)의 아래쪽 표면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제3 구체예에서, 착색층 및 접착 고정층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사후에 홀로그램 형성층(4)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 보호층이 박리층(18)과 홀로그램 형성층(4)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호층으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16)이 부착될 물체에 부착된 후 시일이 부착될 물체로부터 벗겨질 때 단지 베이스부재(2)만 분리되며 홀로그램 형성층(4) 아래층들은 부착될 물체상에 남이 있는다. 박리층(18)은 취성 홀로그램 시일의 경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소정패턴형태로 형성되거나 전체표면상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패턴형성된 박리층이 형성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제4 구체예]
제9a도는 제4 구체예에 따른 전사 호일의 구조 및 전사 전후의 그의 상태를 도시한다. 베이스부재(2), 그안에 형성된 패턴을 갖는 박리층(18),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및 접착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접착 고정층(14)은 제9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증착층(10) 및 접착층(1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체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착색층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형상으로 박리층(18)을 형성함으로써,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홀로그램 전사 호일(22)이 물체(20)에 대하여 가압될 때, 단지 박리층(18)상에 형성된 부분만 전사될 물체(20)로 전사될 수 있으며, 단지 패턴형태로 구성된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및 접착층(16)의 부분들만 물체(20)상에 형성되며, 따라서 위조 탐지용 패턴(24)을 형성한다.
제4 구체예는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제11a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베이스부재(2), 박리층(18),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및 그안에 형성된 패턴을 갖는 접착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접착 고정층(14)은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증착층(10)과 접착층(1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착색층이 상기 구체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형태로 접착층(16)을 형성함으로써,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홀로그램 전사 호일(22)이 물체(20)에 대하여 가압될 때, 단지 접착층(18)상에 형성된 부분만 전사될 물체(20)로 전사될 수 있으며, 단지 패턴형태로 구성된, 홀로그램 형성층(4), 투명 증착층(10) 및 접착층(16)의 부분들만 물체(20)상에 형성되며, 따라서 위조 탐지용 패턴(24)을 형성한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를 갖는 투명 홀로그램 시일과 비교를 위해 사용된 홀로그램 시일의 가시 스펙트럼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4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2]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3]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이산화지르코늄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4]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푸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5]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6]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 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7]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산화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8]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산화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49]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산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 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50]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착색층 : 형성됨
[실험 5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 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52]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18)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4)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이산화 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41]
베이스부재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3
층(10)의 두께 : 1㎛
[비교실시예 42]
베이스부재 : 두께가 12㎛인 폴리에스테르막
박리층 : 유성실리콘을 가한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박리층은 그라비야 인쇄에 의하여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홀로그램 형성층 :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수지
저굴절률층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7
층(10)의 두께 : 1㎛
가시광선이 제1 구체예에서 사용된 상기 실험과 비교실시예의 홀로그램 시일상으로 입사되고 입사방향이 직각으로부터 45도로 변화될 때 유발되는 반사광이 색변화는 다음 표5 및 6에 나타낸다.
제12도는 실험 41의 가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 흡수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여 색변화가 일어났다. 더욱이 전사능은 높았다.
또한 실험 41의 경우에서와 같이, 실험 42 내지 49, 51 및 52 각각에서,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흡수 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여 색변화가 일어났다. 더욱이 전사능은 높았다.
제13도는 실험 50의 가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 흡수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여 색변화가 일어났다. 더욱이 전사능은 높았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실시예 41의 가시 스펙트럼에서,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 흡수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색변화는 분명하지 않았다. 더욱이 부착될 물체에의 접착 강도는 높았다.
또한, 비교실시예 42의 시일이 많은 층수를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 강도는 약했으며 그것이 부분적으로 전사되거나 구부러졌을 때 투명 증착층에 균열이 생겼다.
상술된 바와같이, 상기 구체예와 유사하게 이 구체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시일은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특정한 파장범위의 광을 허용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막두께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박막내 광로길이는 변화되며 투과광 또는 반사광은 상이한 색의 광으로서 관찰된다. 그결과, 색은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시일의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매우 확실한 위조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시일이 전사 호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콤팩트와 같은 삼차원 물체로 쉽게 전사될 수 있다.
[제5 구체예]
제15도는 제5 구체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투명 증착층(10), 인쇄층(28) 및 보호층(30)은 베이스부재(82)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구체예는 다른 물품에 부착된 투명 홀로그램 시일 또는 홀로그램 전사 호일에 관한 것이지만 이 구체예에서는 홀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패턴형태로 형성된 인쇄층(28)을 사용한다. 또한, 이 구체예는 접착층을 구비하지 않으며 단일 유니트로 구비된 실제 물품을 검증하기 위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베이스부재(82)가 물품의 표면에 부착된다면, 이 구체예는 상기 구체예와 동일한 것으로 된다.
보호층(30)은 적층체의 전체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광학적 영향을 주지않는 것이 요구된다. 보호층(30)은 특정한 파장범위내의 광에 대한 광투과 특정을 나타내며 외부로 부터의 마찰 또는 흠집에 대한 보호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호한 내마모성을 갖는 수지등으로 형성되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스티렌-미엘렌산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수지의 단일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스테렌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크로만수지, ABS수지, 또는 니트로셀룰로스, 그안에 혼된 플루오르계수지 또는 실리콘계수지를 갖는 수지와 같은 수지, 또는 수지를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서 얻은 용액은 스핀-코팅방법, 롤-코팅방법, 나이프-에지방법, 오프셋 인쇄방법, 그라비야 인쇄방법 또는 스크린 인쇄방법과 같은 코팅 또는 인쇄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보호층(30)의 재질로서 열고정수지, 자외선 고정수지, 전자빔 고정수지와 같은 고정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등이 상기 특성을 갖는다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특정값을 취할때는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구체예와 같이 투명 증착층(10)의 시각결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베이스부재(82)를 착색하거나 그의 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체예와는 달리, 이 구체예의 적층체는 보호층(30) 측으로부터 관찰된다. 소정패턴등은 인쇄층(28)에 인쇄되지만 투명 증착층(10)이 인쇄층(28)의 패턴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을 경유하여 관찰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쇄층(28)은 그라비야 인쇄 방법과 같은 종래 공지된 인쇄방법 또는 코팅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82)는 흡수광의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광학적 다층막(10)이 베이스부재(82)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인쇄층이 한가지 색으로 인쇄될때는 수직방향을 따라서 박막을 관찰할 때 얻어지는 색 또는 그 색과 매우 유사한 색이 사용되며, 인쇄층이 둘이상의 색으로 인쇄될때는 수직방향을 따라서 박막을 관찰할 때 얻어지는 적어도 한색 또는 그 색과 매우 유사한 색이 사용된다.
다음은 이 구체에의 조작을 설명한다. 이 구체예에서, 인쇄층(28)이 줄무늬 패턴으로 형성된 경우가 설명된다. 제16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막대형 줄무늬 인쇄층(28)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며 인쇄층 아래에 놓인 투명 증착층(10)의 부분은 인쇄층(28) 사이에서 노출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인쇄층(28)의 색이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되는 투명 증착층(10)의 색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그것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6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쇄층(28)과 투명 증착층(10)을 서로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제1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투명 증착층(10)이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세라믹층을 특정한 두께로 교호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기 때문에, 적층체를 기울어진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박막(10)내 광로길이는 변화되며 투과광 또는 반사광의 색은 다른 색의 광으로서 관찰되며, 그 결과 제17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색차 또는 색조차가 투명 증착층(10)과 인쇄층(28) 사이에서 일어나며 그의 색은 보는 각도에 관계없이 변화되지 않으며 투명 증착층(10)의 존재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인쇄층과 투명 증착층은 서로 구별할 수 없지만 그것을 다른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인쇄층과 투명 증착층은 다른 색조를 갖게 되며, 그것에 의하여 특정한 투명 증착층의 유무를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인쇄층(28)의 색은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나타나는 투명 증착층의 색과 유사하게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단시 인쇄층과 투명 증착층이 보는 방향이 변화될 때 서로 구별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인쇄층(28)은 문자, 숫자 또는 줄무늬 패턴 이외의 다른 패턴과 같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구조를 갖는 적층체의 가시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55]
베이스부재(82) : 두께가 25㎛인 흑색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실험 56]
베이스부재 : 두께가 1㎛인 소다 글라스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제18도는 실험 55의 가시 스펙트럼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흡수 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여 색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인쇄층(28)은 투명 증착층(10)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되는 것과 동일한 색을 띠는 인쇄잉크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었기 때문에 보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인쇄층(28)의 색은 변화되지 않았지만 투명 증착층(10)의 색은 변화하였으며 그것에 의하여 인쇄층(28)의 패텬을 분명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실험 56에 있어서, 직각으로 입사된 가시광의 중심흡수 파장은 550㎚ 였으며, 가시광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입사될 때 얻어지는 스펙트럼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하여 색변화가 일어났다.
상술된 바와같이, 이 구체예에 따라서 인쇄층은 투명 증착층상에 패턴형태로 형성되며 인쇄층의 색은 소정방향으로 보았을 때 나타나는 투명 증착층의 색과 유사하게 설정되어 투명 증착층과 인쇄층 사이의 색조차가 보는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게 하고, 그럼으로써 인쇄층과 구별할 수 없는 투명 증착층은 쉽게 관찰되게 되거나 쉽게 관찰될 수 있는 투명 증착층은 인쇄층과 동일한 색을 갖게 되어 인쇄층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적층체가 진품인지 모조품인지를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다.
[제6 구체예]
제19도는 제6 구체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금속용착층(34), 투명 증착층(10) 및 투명 보호층(38)이 베이스부재(2)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서, 적층체는 보호층(38)의 위로부터 보인다.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부재(2)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금속호일(36)상에 투명 증착층(10) 및 투명 보호층(38)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용착층(34)은 고반사 인자를 가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 알루미늄, 크롬, 니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 호일(36)은 반사층 및 베이스부재로 사용되며 금, 알루미늄, 크롬, 니켈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38)은 굴절률이 고굴절률 세라믹층(6) 보다 낮은 고 중합체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구체예에서는, 반사층이 구비되기 때문에 특정 파장의 광선에 대하여 예민한 흡수 특성이 얻어진다. 흡수대의 반폭값은 20㎚ 이하이며 사람눈으로 인식될 수 있는 색의 범위 밖이다. 광선이 직각으로 적층체상에 입사될 때 얻어지는 흡수대의 피크값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야기되는 색변화는 사람눈으로 인식될 수 없다. 이동량은 광학적 박막에 따라서 변하지만 대략 수십 ㎚이며 광학 기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읽을 수 있다. 즉, 이 구체예에서, 진품 또는 모조품은 사람눈 대신에 광학기기를 사용하여 반사광을 탐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구조를 갖는 이 구체예의 가시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6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12㎛인 투명 폴리에스테르막
금속용착층(34) : 진공증착방법에 의하여 1000Å의 두께로 알루미늄을 증기증착하여 얻어진 층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이 구체예에 있어서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62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파장 쪽으로 이동한다.
[실험 62]
베이스부재 : 두께가 12㎛인 알루미늄 호일(36)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제21도에 나타난 특성과 같이 이 실험의 광학적 특성에 있어서, 중심파장은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단파장 쪽으로 이동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구체예에 따르면, 굴절률이 다른 두가지 종류의 세라믹층을 금속용착층 또는 금속 호일상에 적층하기 때문에, 반사광의 스펙트럼은 각도에 따라서 약간 변화된다. 탐지기를 사용하여 변화를 탐지함으로써, 적층체가 진품인지 모조품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7 구체예]
제22도는 제7 구체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경질보호층(40)은 베이스부재(2)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투명 증착층(10), Ⅲ내지 Ⅵ족 원소, 그의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또는 붕화물로 형성된 박막층(42), 착색층(12), 접착고정층(14) 및 접착층(16)이 베이스부재(2)의 아래쪽 표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착색층(12) 및 접착고정층(14)은 생략될 수 이다.
경질 보호층(40)으로서, 예를들면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탄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또는 질화붕소와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재질로 형성된 경질 투명 박막이 사용된다. 이것은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혹독한 사용 조건하에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의 위조방지 능력과 장식효과가 장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상이한 세라믹층(6 및 8)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시일의 기능을 증기시키기 위해 접착층(16)을 형성하면, 이 접착층(16)과 접촉하여 놓이는 투명 증착층(10)의 굴절률이 변화되어 투명 증착층(10)의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베이스부재(2)와 투명 증착층(10) 사이의 접착강도가 불충분하다면 접착제의 경화에 의하여 야기되는 부피 수축 때문에 투명 증착층(10)내에 균열이 생길수 있다.
이 때문에 위조방지 시일의 특징을 이루는 필수조건인 물품의 진품 또는 모조품의 결정의 단순성은 저하되며 장식효과 및 시각으로 관찰할 때 얻어지는 그의 색은 악화된다.
시일이 부착되는 물품은 주로 위조방지가 필요한 카드, 비디오 카세트 케이스 등이다. 이들 물품은 여러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기 때문에 혹독한 사용조건에서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같은 고중합체막이 시일의 상부 표면층으로서 사용되는 베이스부재막(2)으로 보통 사용되기 때문에 혹독한 사용조건하에서 고성능, 예를들면 뛰어난 내구성이 충분히 얻어진다고 말할 수 없다. 보호층(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박막층(42)은 예를들면,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탄화규소 또는 탄화붕소로 형성된다. 박막층(42)은 고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층으로서 박막층(42)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이아몬드(n=2.2 내지 2.4), 다이아몬드-유사탄소(n=2.1 내지 2.3), 탄화규소(n=2.4 내지 2.6) 또는 질화붕소 (n=2.0 내지 2.2)를 그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투명층으로서 박막층(42)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이아몬드-유사탄소(n=2.1 내지 2.3), 탄화규소(n=2.4 내지 2.6) 또는 질화붕소(n=2.0 내지 2.2)를 그의 재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가 유기 중합체로 형성된 고중합체막이기 때문에 그의 굴절률은 낮으며 베이스부재(2)와 접촉하여 배치되는 층은 고굴절률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투명 증착층(다층 간섭막)(10)은 광학적 간섭이론에 기초하여 고굴절률층(6)과 저굴절률층(8)을 교호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분광학적 특성은 층수에 따라서 변한다. 이 구체예에서 베이스부재(2)를 포함한 층수는 짝수이나 다층 간섭막(10)의 수는 홀수이다.
박막층(42)은 Ⅲ 내지 Ⅵ족 원소, 그이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또는 붕화물로 형성된다. 경질이거나 단단하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고굴절률을 갖는 박막(42)을 이와같이 형성함으로써, 접착층(16)은 다층 간섭층의 분광학적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접착층이 형성될 때 야기되는 접착층(16)과 접촉하여 설치되는 투명 증착층의 굴절률 변화의 발생과, 접착제의 경화 및 베이스부재(2)와 투명 증착층(10) 사이의 불충분한 접착강도에 의하여 야기되는 부피수축에 기인한 투명 증착층(10)내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박막층(42)을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만들음으로써, 투과광 또는 반사광의 분광학적 특성은 층수 및 막두께에 더하여 박막층의 색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장식효과 및 위조방지효과는 향상 될 수 있어 부가 가치가 높게 될 수 있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구조를 갖는 이 구체예의 적층체의 가시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71]
베이스부재(2)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산화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경질보호막 : 투명질화붕소
투명 증착층에 있어서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투면 증착층(10)의 전체막두께는 1㎛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이상으로 설정한다면, 그의 가요성은 불충분하게 되어서 투명 증착증에 균열이 생기고 그의 광학적 특성이 떨어진다.
[실험 72]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5㎛
경질보호막 : 흑색 및 불투명 다이아몬드-유사탄소
수직방향으로의 가시광은 흑색 및 불투명 다이아몬드-유사탄소의 존재 때문에 통과할 수 없다. 막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때, 금색의 반사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푸른 녹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실험 73]
베이스부재(2)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산화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경질보호막 : 실험 72의 것보다 얇은 투명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실험 72에서의 금색의 보색이다)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실험 74]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경질보호막 : 투명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실험 75]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세륨
고굴절률층(6) : 이산화 세륨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경질보호막 : 투명 탄화규소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실험 76]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산화지르코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박막층: 투명 질화붕소
경질보호막 : 투명 질화붕소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이 구체예의 시일은 폴리 염화비닐 판에 부착되었으며 NIPPON STEEL WOOL Co. 제 강모(Bon-Star (상품명) No.00)로 문질렀지만 경질보호층의 존재 때문에 흠은 없었으며 내마모성이 뛰어났다.
[실험 77]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경질보호막 : 투명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났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이 구체예의 시일은 폴리 염화비닐 판에 부착되었으며 NIPPON STEEL WOOL Co. 제 강모(Bon-Star (상품명) No.00)로 문질렀지만 경질보호층의 존재 때문에 흠은 없었으며 내마모성이 뛰어났다.
[비교실시예 71]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엷은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엷은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지만 색은 엷었으며 색의 변화는 분명하지 않았으며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는 열등하였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비교실시예 72]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고굴절률층(6) : 황화아연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엷은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엷은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색의 변화는 분명하였지만 투명 증착층내에 균열이 생겼으며 장식효과 및 시일의 품질이 매우 저하되었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불충분하였다.
[비교실시예 73]
베이스부재 : 두께가 25㎛인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에서 막에 수직인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50㎚ 였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될 때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막을 시각으로 관찰할 때, 엷은 푸른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으며 엷은 붉은 자주색의 투과광은 막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있지만 색은 엷었으며 색의 변화는 분명하지 않았으며 결정의 단순성 및 장식효과는 열등하였다. 베이스부재에 대한 투명 증착층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다. 그것을 문질렀을 때 전체 표면에 많은 흠이 생겼으며 내마모성이 낮았다.
가시광선이 상기 실험 및 비교실시예의 막에 입사되고 입사방향이 직각으로부터 45도로 변화될 때 발생되는 반사광의 색변화는 다음 표7 및 8에 나타낸다.
상기 표들에서 DLC는 다이아몬드-유사탄소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구체예에 따르면 경질이거나 견고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Ⅲ 내지 Ⅵ족 원소, 그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또는 붕화물의 사용으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층은 투명증착증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킴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제8 구체예]
제23도는 부정직하게 복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복사-억제 인쇄물에 관한 제8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투명 증착층(10), 인쇄층(54) 및 보호층(56)은 베이스부재(52)의 상부표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인쇄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부재(52)는 한 장의 종이, 고중합체막 또는 금속호일(박)과 같은 어느 유형의 재질일 수 있으나 그 표면이 평활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 장의 종이가 인쇄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 표면이-필링(filling)처리가 된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억제기능을 충분히 달성하려면 베이스부재(52)로서 착색 베이스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호일의 경우 알루미늄, 크롬, 니켈, 구리 및 금중의 어느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52)의 두께는 그 가요성을 유지할 정도의 두께로 설정된다.
인쇄층(54)를 형성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인쇄층(54)이 베이스부재(52)의 전표면에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기능은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재(52)상에 간단한 패턴 또는 캐릭터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56)은 그 위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층(10)의 층 (이 경우는 고굴절률층(6))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를 가질 필요가 있다. 1.5내지 1.7의 굴절률이 얻어질 수 있으며 고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고굴절률층(6)의 굴절률과는 다르므로 상기 조건은 충족될 수 있다. 또 보호층(54)은 이산화규소 또는 이산화티탄등의 세라믹 또는 다이아몬드-유사탄소(DLC) 등의 유기경질 보호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증착층(10)의 색조는 보는 각도에 좌우되므로 복사기를 사용하여 복사되는 경우 단지 한색만이 복사될 수 있어서 위조방지에 유효한 인쇄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쇄층(54)의 위치는 투명 증착층(10)과 보호층(56) 사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부재(52)와 투명 증착층(10)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상기 구조를 지닌 본 구체예의 가시스펙트럼에서의 변화측정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실험 81]
베이스부재(52) : 두께가 50㎛의 흑색 폴리에스테르막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내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하는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금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바뀌었을 때 색은 변하지 않았으며 그의 진품 또는 모조품은 쉽게 결정될 수 있었다.
[실험 82]
베이스부재(52) : 표면이 필링처리된 두께 100㎛의 종이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에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을 향하여 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황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바뀌었을 경우 색은 변하지 않아서 그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실험 83]
베이스부재(52) : 두께 20㎛의 알루미늄 호일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에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에서 입사된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을 향하여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황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바뀌었을 경우 색은 변하지 않아서 그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실험 84]
베이스부재(52) : 두께 100㎛의 표면이 필링처리된 종이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에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으로 입사된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황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바뀌었을 경우 색이 변하지 않아서 그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실험 85]
베이스부재(52) : 두께 100㎛의 표면이 필링처리된 종이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에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에서 입사된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황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변했을 경우 색은 변하지 않아서 그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실험 86]
베이스부재(52) : 두께 100㎛의 표면이 필링처리된 종이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투명 증착층의 고굴절률층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층(10)의 두께 : 1㎛
투명 증착층의 가시범위에서 막에 수직하는 가시광의 최대 흡수의 중심파장은 580㎚ 이었다. 광이 45도 각도의 방향에서 입사된 경우 중심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된다. 색이 복사된 인쇄물의 색은 황색이었으나 보는 각도가 바뀌었을 경우 색은 변하지 않아서 그 진품 또는 모조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 81 내지 86의 평가결과를 다음 표 9에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는 큰 변화, ○는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변화, △는 약간 인식할수 있을 정도의 변화, ×는 복사시 색조변화가 전혀 없음, 을 나타낸다.
상기 구체예의 적층체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서류에 부착된 경우 및 서류가 복사된 경우 서류의 진품 또는 그 모조품을 보는 방향을 바꿔가면서 적층체의 색을 대조함으로써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제9 구체예]
제25도는 제9 구체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반사층(62), 투명 증착층(10), 보호층(64)을 베이스부재(52)상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투명 증착층(1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였다. 예컨대, 투명 증착층(10)은 베이스부재(60)상에 패턴형태로 형성되어서 투명 증착층은 베이스부재의 일부분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의 잔여부분에는 형성될 수 없다. 또한 투명 증착층(10)은 상술한 바의 다른 굴절률을 갖는 복수의 세라믹층으로 형성되며 투명 증착층(10)의 일부분이 잔여부분과는 다른 수의 세라믹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그 총막두께가 잔여부분의 총막두께와 다를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스퍼터링, 에칭등에 의해 투명 증착층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파괴하고 막형성시에 대소막 두께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흡수대와 반사대의 스펙트럼의 강도 또는 위치는 투명증착층 부분에서 바뀔 수 있다.
베이스부재(60)는 투명 증착층(10)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 어느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등의 플라스틱카드, 수송수단 또는 전화류에 사용되는 선불카드 또는 오락 또는 전시를 위한 좌석용 입장표와 같은 한 장의 종이일 수 있다.
또 그의 유형은 시일 또는 전사호일일 수 있다. 베이스부재(60)의 재질로서는 폴리염화비닐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층(62)은 후에 기술되는 바의 탐지장치의 광원으로 부터의 입사광을 반사기키기 위해 구비되며 금, 니켈, 크롬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체예와 같이 증착층(10)의 막두께는 특정 파장범위에서 흡수대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된다.
보호층(64)은 황화아연등의 연질세라믹으로 층(10)이 형성되는 경우 투명 증착층(10)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 구체예의 적층체는 보호층(64)측으로 부터 관찰된다.
제26도는 적층체용 탐지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릿(72)은 광원(71)의 정면쪽에 배치되어서 슬릿광원을 형성한다. 광원(71)은 수직방향에서 적층체(73)로 광을 투사한다. 45도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나아가는 반사광은 광학센서(74)에 의해 탐지한다. 광원(71) 및 광학센서(74)를 고정하였으며 적층체(73)를 광원(71)과 광학센서(74)에 관하여 이동하였다. 광원(71)은 흡수파장 범위에서 안정한 광을 바람직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 방출광이 동종의 광이 아니라 광파장범위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방출광으로서는 그 파장이 400㎚ 내지 700㎚ 또는 800㎚ 범위에 있는 가시광을 사용하였다.
광학센서(74)는 회절발 또는 포토다이오드어레이로 형성된다. 흡수파장 범위에서 광학센서의 감도를 증진시키고 그 정도가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하려면 포토다이오드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기 0.5 내지 2㎚의 파장폭의 광을 탐지할 수 있는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배열되어 포토다이오드어레이를 형성한다.
포토다이오드어레이에서 분광회절된 광은 즉시 탐지될 수 있다. 또 여러 프리즘을 사용하여 파장을 쉽게 한정할 수 있다. 광을 탐지하려면 포토멀티플라이어에 의해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을 전기신호로 전환함으로써 광을 탐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그것은 시간변동이 크고 한번 해독에 비교적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가시광의 특정파장범위에서 광에 대한 선택적 투과는 투명 증착용(10)에 의해 결정된다. 반사층(62)이 구비되므로 예리한 흡수를 특정파장의 광선에 대해 관측하였으며 흡수대의 반폭은 20㎚ 이하이었고 사람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변화의 범위 밖이었다.
광선이 사선방향으로 적층체에 입사되는 경우 얻어진 흡수대의 피크치는 광선이 직각으로 적층체에 입사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파장 쪽으로 이동되며 이때 발생된 색변화는 사람눈으로는 인지할 수 없으나 이 구체예에서는 색변화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탐지된다. 이동량과 반폭값은 증착층(10)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그 적용 및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에는 비가시/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상기 구조를 갖는 구체예의 가시스펙트럼에서의 변화 측정결과를 도시한다.
[실험 91]
베이스부재(60) : 염화비닐
반사층(62) : 알루미늄
층(10)의 패턴 : 제27a도에 도시된 모자이크형태
저굴절률층(8) : 이산화규소
고굴절률층(6) : 이산화티탄
층(10)의 층수 : 5
수직입사광에 관하여 45도 사선방향으로 광학센서(74)로 반사광을 탐지하였을 경우 제27b도에 도시한 바의 응답신호를 얻었다.
[실험 92]
증착층(10)의 패턴이 제28a도에 도시된 바의 줄무늬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 91에서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반사광을 수직입사광에 관하여 45도 사선방향으로 광학센서(74)로 탐지한 경우 제28b도에 도시한 바의 응답신호를 얻었다.
[실험 93]
증착층(10)의 패턴이 제29a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소정의 그림-유사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 91에서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반사광을 수직입사광에 관하여 45도 사선방향으로 광학센서(74)로 탐지하였을경우 제29b도에 도시한 바의 응답신호를 얻었다.
[실험 94]
층(10)의 층수가 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 91에서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반사광을 수직입사광에 관하여 45도 사선방향으로 광학센서(74)에 의해 탐지하였을 때 제30도에 도시된 바의 질 떨어진 응답신호를 얻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구체예에 따르면 적층체의 진품 또는 그 모조품은 반사층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여 사선인 반사광을 탐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물품의 모조품은 물품에 적층체를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이 구체예는 패턴형성 증착층(10)에 의해 바-코드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자기카드에 적용될 수 있다(적층체는 자기카드에 부착된다). 그 결과 위조방지기능은 보다 효과적이며 쉽게 이뤄질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숙지된자는 추가장점 및 변형을 용이하게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광의 개념의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의 예시실시예, 대표장치 및 특정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해당부분에 규정된 바의 일반적인 발명개념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면, 투명 증착층을 구성하는 세라믹층의 수 또는 두께는 적당하게 설정될 수 있다.

Claims (15)

  1.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상기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 및 상기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분리층; 상기 분리층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상기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 및 상기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된 홀로그램층; 상기 홀로그램층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 및 상기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된 분리층; 및 상기 분리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4.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 및 상기 투명 증착층 위에 형성되고, 소정 인쇄패턴을 갖는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5.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형성되고, 소정 인쇄패턴을 가지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부분상의 적층구조의 수가 다르며,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9. 반사성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부분상의 적층구조의 두께가 다르며, 각각의 층이 굴절률이 다른 제1 및 제2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투명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제1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라믹재질이 산화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플루오르화칼슘, 플루오르화세륨, 플루오르화 알루미늄 및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하나이며, 상기 제2 세라믹재질은 이산화티탄, 이산화지르코늄, 황화아연, 산화아연, 산화인듐, 이산화세륨 및 산화탄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분리층중 하나가 패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이 특정 방향에서 본 상기 투명 증착층의 색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을 갖는 패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가 금, 알루미늄, 크롬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1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 위에 형성되며 Ⅲ 내지 Ⅵ족의 원소, 그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또는 붕화물로 형성된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충체.
  15. 제1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상부 표면상에 다이아몬드-유사탄소, 탄화규소 또는 탄화붕소로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19940037438A 1993-12-27 1994-12-27 투명 홀로그램 시일 KR0169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33543A JPH07186581A (ja) 1993-12-27 1993-12-27 積層体
JP93-333543 1993-12-27
JP5333544A JP2797944B2 (ja) 1993-12-27 1993-12-27 透明ホログラムシール
JP5333541A JPH07191595A (ja) 1993-12-27 1993-12-27 透明ホログラム転写箔
JP93-333541 1993-12-27
JP93-333544 199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14A KR950019814A (ko) 1995-07-24
KR0169517B1 true KR0169517B1 (ko) 1999-01-15

Family

ID=2734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438A KR0169517B1 (ko) 1993-12-27 1994-12-27 투명 홀로그램 시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700550A (ko)
EP (1) EP0660262B1 (ko)
KR (1) KR0169517B1 (ko)
CN (1) CN1133142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05A (ko) * 2000-10-14 2002-04-20 황건이 홀로그램 입자를 이용한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248B1 (ko) * 2000-07-05 2003-03-15 주식회사 에스알 홀로그램 문자가 형성된 윈도우 명판의 제조방법
KR20150026366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성 나노 안테나와 그 제조 및 방법
KR102434846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434848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902A (en) * 1997-06-27 2000-02-01 Ebsco Industries, Inc. Iridescent coating for fishing lure
US5988503A (en) * 1997-07-30 1999-11-23 Kuo; Weiwu A. Anti-counterfeit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d
DE19734575C2 (de) * 1997-08-09 1999-12-16 Bosch Gmbh Robert Dichtelement für Sensoren
US6761959B1 (en) * 1999-07-08 2004-07-13 Flex Products, Inc. Diffractive surfaces with color shifting backgrounds
US7047883B2 (en) 2002-07-15 2006-05-23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magnetic flakes
US7667895B2 (en) 1999-07-08 2010-02-23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structures with optically variable effects
US6987590B2 (en) * 2003-09-18 2006-01-17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reflective optical structures
US6221545B1 (en) 1999-09-09 2001-04-24 Imation Corp. Adhesives for preparing a multilayer laminate featuring an ink-bearing surface bonded to a second surface
JP4527923B2 (ja) * 2000-01-09 2010-08-18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インデイゴ・ビー・ブイ 箔印刷
EP1849621B1 (en) * 2000-01-21 2014-04-16 JDS Uniphase Corporatio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AU2005200844B2 (en) * 2000-01-21 2006-04-06 Viavi Solutions Inc.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US11768321B2 (en) 2000-01-21 2023-09-26 Viavi Solutions Inc.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US6473165B1 (en) 2000-01-21 2002-10-29 Flex Products, Inc. Automated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optical interference devices
GB0015873D0 (en) 2000-06-28 2000-08-23 Rue De Int Ltd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
DE10039372C2 (de) 2000-08-11 2003-05-15 Tesa Scribos Gmbh Holographischer Datenspeicher
US6874421B2 (en) * 2001-04-20 2005-04-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 jet transfer printing process
JP4565482B2 (ja) * 2001-05-30 2010-10-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ホログラムラベル
US7625632B2 (en) 2002-07-15 2009-12-01 Jds Uniphase Corporation Alignable diffractive pigment flak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and images formed therefrom
US6692830B2 (en) 2001-07-31 2004-02-17 Flex Products, Inc. Diffractive pigment flakes and compositions
US6841238B2 (en) 2002-04-05 2005-01-11 Flex Products, Inc. Chromatic diffractive pigments and foils
US6749936B2 (en) 2001-12-20 2004-06-15 Flex Products, Inc. Achromatic multilayer diffractive pigments and foils
DE10156793A1 (de) * 2001-11-19 2003-10-09 Tesa Scribos Gmbh Sicherheitsklebeband
US11230127B2 (en) 2002-07-15 2022-01-25 Viavi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magnetic flakes
US7934451B2 (en) 2002-07-15 2011-05-03 Jds Uniphase Corporation Apparatus for orienting magnetic flakes
DE10232245B4 (de) 2002-07-17 2008-06-12 Leonhard Kurz Gmbh & Co. Kg Optisch variables Element mit variierender Distanzschicht-Dicke
US9458324B2 (en) 2002-09-13 2016-10-04 Viava Solutions Inc. Flakes with undulate borders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US9164575B2 (en) 2002-09-13 2015-10-20 Jds Uniphase Corporation Provision of frames or borders around pigment flakes for covert security applications
US7645510B2 (en) 2002-09-13 2010-01-12 Jds Uniphase Corporation Provision of frames or borders around opaque flakes for covert security applications
WO2004024439A1 (ja) * 2002-09-13 2004-03-25 Nhk Spring Co., Ltd. 多層薄膜フィルムを用いた対象物の識別媒体
US7674501B2 (en) 2002-09-13 2010-03-09 Jds Uniphase Corporation Two-step method of coating an article for security printing by applic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field
US8025952B2 (en) 2002-09-13 2011-09-27 Jds Uniphase Corporation Printed magnetic ink overt security image
US7550197B2 (en) 2003-08-14 2009-06-23 Jds Uniphase Corporation Non-toxic flakes for authentication of pharmaceutical articles
CN1902056B (zh) * 2003-12-26 2010-09-01 日本发条株式会社 识别介质以及识别介质的识别方法
US7384890B2 (en) * 2004-12-30 2008-06-10 Adp, Inc. (A Delaware Xcorporation Check fraud protection techniques
CA2541568C (en) 2005-04-06 2014-05-13 Jds Uniphase Corporation Dynamic appearance-changing optical devices (dacod) printed in a shaped magnetic field including printable fresnel structures
DE102005027380B4 (de) 2005-06-14 2009-04-30 Ovd Kinegram Ag Sicherheitsdokument
AU2006202315B2 (en) * 2005-06-17 2011-01-27 Viavi Solutions Inc. Covert security coating
EP1927070A1 (de) * 2005-09-05 2008-06-04 Bayer Innovation GmbH Speichermedium für vertrauliche informationen
CA2564764C (en) 2005-10-25 2014-05-13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optical structures with enhanced security feature
CA2570965A1 (en) 2005-12-15 2007-06-15 Jds Uniphase Corporation Security device with metameric features using diffractive pigment flakes
KR20070067995A (ko) * 2005-12-26 2007-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1832439B1 (en) * 2006-03-06 2014-04-23 JDS Uniphase Corporation Article having an optical effect
US12204120B2 (en) 2006-03-06 2025-01-21 Viavi Solutions Inc.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EP1854642B1 (en) * 2006-05-12 2015-05-27 JDS Uniphase Corporation A security device formed by a hologram and a color shifting ink
DE102006023084B4 (de) * 2006-05-16 2019-07-18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Wertdokument mit Sicherheitselement
IL176673A0 (en) * 2006-07-03 2007-07-04 Fermon Israel A variably displayable mobile device keyboard
CA2592667C (en) 2006-07-12 2014-05-13 Jds Uniphase Corporation Stamping a coating of cured field aligned special effect flakes and image formed thereby
WO2008105510A1 (ja) * 2007-02-28 2008-09-04 Dai Nippon Printing Co., Ltd. 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20307369A1 (en) * 2007-08-12 2012-12-06 Toyota Motor Corporation Omnidirectional reflector
US10870740B2 (en) 2007-08-12 2020-12-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lor shifting multilayer structures and protective coatings thereon
US9612369B2 (en) 2007-08-12 2017-04-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d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made from metal and dielectric layers
US10048415B2 (en) 2007-08-12 2018-08-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Non-dichroic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US10690823B2 (en) 2007-08-12 2020-06-23 Toyota Motor Corporation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made from metal and dielectric layers
US10788608B2 (en) * 2007-08-12 2020-09-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lor shifting multilayer structures
US9739917B2 (en) 2007-08-12 2017-08-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d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made from metal and dielectric layers
US9063291B2 (en) * 2007-08-12 2015-06-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reflector
WO2009037332A1 (en) * 2007-09-20 2009-03-26 Agfa-Gevaert N.V. Security laminates with interlaminated transparent embossed polymer hologram
EP2042576A1 (en) * 2007-09-20 2009-04-01 Agfa-Gevaert Security laminates with interlaminated transparent embossed polymer hologram.
JP2009193069A (ja) 2008-02-13 2009-08-27 Jds Uniphase Corp 光学的な特殊効果フレークを含むレーザ印刷用の媒体
EP2279079A2 (en) * 2008-04-01 2011-02-02 Agfa-Gevaert N.V. Lamination process for producung security laminates
EP2262641A1 (en) * 2008-04-01 2010-12-22 Agfa-Gevaert N.V. Security laminates with a security feature detectable by touch
US20100320743A1 (en) * 2008-04-01 2010-12-23 Agfa-Gevaert Security laminate having a security feature
EP2181858A1 (en) * 2008-11-04 2010-05-05 Agfa-Gevaert N.V. Security document and methods of producing it
EP2199100A1 (en) * 2008-12-22 2010-06-23 Agfa-Gevaert N.V. Security laminates for security documents.
EP2332738B1 (en) 2009-12-10 2012-07-04 Agfa-Gevaert Security document with security feature on edge
ES2400741T3 (es) 2009-12-18 2013-04-11 Agfa-Gevaert Película de seguridad marcable por laser
EP2335938B1 (en) 2009-12-18 2013-02-20 Agfa-Gevaert Laser markable security film
DK2802450T3 (en) 2012-01-12 2019-03-25 Viavi Solutions Inc Article with a dynamic frame consisting of decorated pigment flakes
US9082914B2 (en) * 2012-01-13 2015-07-14 Gaurdian Industries Corp.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high contact angle coating on one or more outer surfaces thereof,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TW201411112A (zh) * 2012-05-21 2014-03-16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透明基材之可見性評價裝置、積層體之定位裝置、判定裝置、位置檢測裝置、金屬箔表面狀態之評價裝置、程式、記錄媒體、印刷配線板之製造方法、透明基材之可見性評價方法、積層體之定位方法、判定方法、位置檢測方法
US9678260B2 (en) 2012-08-10 2017-06-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high chroma red structural color with semiconductor absorber layer
US9658375B2 (en) 2012-08-10 2017-05-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high chroma red structural color with combination metal absorber and dielectric absorber layers
US9664832B2 (en) 2012-08-10 2017-05-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high chroma red structural color with combination semiconductor absorber and dielectric absorber layers
JP6180095B2 (ja) * 2012-10-05 2017-08-16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
CN104952359B (zh) * 2014-03-28 2018-11-06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防伪元件
CN106461834B (zh) * 2014-04-01 2021-01-15 丰田自动车工程及制造北美公司 无色移的多层结构
US9810824B2 (en) 2015-01-28 2017-11-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high chroma red structural colors
KR102483845B1 (ko) 2017-04-21 2023-01-0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핫스탬핑 박, 핫스탬핑 박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장식체를 구비한 인쇄체
CN108766205A (zh) * 2018-06-06 2018-11-06 天通(嘉兴)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及该防伪标签的生成技术
EP3726506B1 (de) * 2019-04-19 2022-10-26 Securikett Ulrich & Horn GmbH Versiegelungsfolie
CN211787903U (zh) * 2020-04-29 2020-10-27 苏州苏大维格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微镜动态光变膜
EP4060386A1 (fr) 2021-03-18 2022-09-21 Omega SA Pièce d'habillage d'horlogerie ou de bijouterie comprenant un revêtement de couleur interférentiel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ladite pièce
CN113861668B (zh) * 2021-11-17 2023-02-28 尼伦化学(上海)有限公司 一种高折光指数、高耐磨tpu粒子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977A (en) * 1972-01-18 1975-01-07 Canadian Patents Dev Optical interference authenticating means
CA1232068A (en) 1984-06-08 1988-01-26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Form depicting, optical interference authenticating device
US4705356A (en) * 1984-07-13 1987-11-10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Thin film optical variable article having substantial color shift with angle and method
AU4922485A (en) * 1984-11-09 1986-05-15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Optical interference authenticating device
EP0201323B1 (en) * 1985-05-07 1994-08-17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Article incorporating a transparent hologramm
JPS61292181A (ja) 1986-03-11 1986-1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型ホログラム転写シ−ト
JPS6440878A (en) 1987-08-07 1989-02-13 Canon Kk Hologram having antireflection film
US5149386A (en) * 1987-08-10 1992-09-22 Alcan International Limited Tamper-evident structures
JPH02106702A (ja) * 1988-10-15 1990-04-18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用干渉膜フィルタ
CA2000597C (en) * 1988-10-21 1995-07-11 Toshio Ishikawa Optical recording element
JPH037372A (ja) * 1989-06-05 1991-01-14 Seiko Epson Corp インクリボン
ES2073465T3 (es) * 1989-06-05 1995-08-16 Landis & Gyr Betriebs Ag Estratificado con estructuras opticas de difraccion.
DE3932505C2 (de) * 1989-09-28 2001-03-15 Gao Ges Automation Org Datenträger mit einem optisch variablen Element
JPH0417554A (ja) * 1990-05-09 1992-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鋳込み回転子
GB9011457D0 (en) * 1990-05-22 1990-07-11 Amblehurst Ltd Tamper indicating security tape
JP2561186B2 (ja) * 1991-09-11 1996-12-04 日本発条株式会社 対象物の識別構造
DE69228644T2 (de) * 1991-10-09 1999-11-18 Denso Corp Hologramm
JP2640887B2 (ja) * 1991-10-31 1997-08-1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部分ホログラム転写シート
US5276537A (en) * 1992-01-30 1994-01-04 Physical Optics Corporation Diamondlike carbon thin film protected hologram and method of making same
DE4242407C2 (de) * 1992-02-29 1996-04-18 Kurz Leonhard Fa Prägefolie, insbes. Heißprägefolie, vorzugsweise zur Herstellung von Wertdokumenten
TW236016B (ko) * 1992-02-29 1994-12-11 Leonhard Kurz & Co
US5296949A (en) * 1992-04-23 1994-03-22 Flexcon Company Inc. Optical authenticatio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48B1 (ko) * 2000-07-05 2003-03-15 주식회사 에스알 홀로그램 문자가 형성된 윈도우 명판의 제조방법
KR20020029805A (ko) * 2000-10-14 2002-04-20 황건이 홀로그램 입자를 이용한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6366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성 나노 안테나와 그 제조 및 방법
KR102434846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434848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921A (zh) 1996-06-05
USRE38321E1 (en) 2003-11-18
US5700550A (en) 1997-12-23
EP0660262B1 (en) 2001-09-26
EP0660262A3 (en) 1996-06-05
KR950019814A (ko) 1995-07-24
CN1133142C (zh) 2003-12-31
EP0660262A2 (en) 199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517B1 (ko) 투명 홀로그램 시일
JP4964408B2 (ja) 顕在的および/または隠在的パターン化層を有する真空ロール被覆偽造防止薄膜干渉品
US7224528B2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JP2009134094A (ja) 回折構造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偽造防止媒体
US20080019003A1 (en) Vacuum Roll Coated Security Thin Film Interference Products With Overt And/Or Covert Patterned Layers
JP3601144B2 (ja) 偽造防止媒体及び偽造防止シール、並びに偽造防止転写箔
JPH1158581A (ja) 偽造防止用積層材料
JPH11224050A (ja) 偽造防止媒体、シール及び転写箔
JPH1076746A (ja) 偽造防止媒体及び偽造防止シール、並びに偽造防止転写箔
JPH07146650A (ja) 脆性シール
JP3395322B2 (ja) 偽造防止用転写箔
JPH0997011A (ja) シール
JPH07191595A (ja) 透明ホログラム転写箔
JP2797944B2 (ja) 透明ホログラムシール
JP3412281B2 (ja) ホログラム積層体
JP3289475B2 (ja) 積層体
JP3139255B2 (ja) シール
JPH0895491A (ja) 脆性シール
JPH1049647A (ja) 偽造防止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86581A (ja) 積層体
JP2003285527A (ja) 光反射性基材を有する積層体
JP5304109B2 (ja) 表示体及び光学効果機能の発現方法
JPH08323911A (ja) 偽造防止用積層体
JP2014223768A (ja) 偽造防止媒体および偽造防止媒体の読取方法
JP2003054169A (ja) 偽造防止策が施された情報記録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