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7204B1 -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204B1
KR0167204B1 KR1019960007322A KR19960007322A KR0167204B1 KR 0167204 B1 KR0167204 B1 KR 0167204B1 KR 1019960007322 A KR1019960007322 A KR 1019960007322A KR 19960007322 A KR19960007322 A KR 19960007322A KR 0167204 B1 KR0167204 B1 KR 016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ler
exhalation
group manage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83A (ko
Inventor
박성준
고응렬
박종헌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0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204B1/ko
Publication of KR97006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Other aspects of the evaluation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할당기능이 군관리 제어부에 편재 되어 있고, 호기제어기가 홀부름 정보 및 타호기 정보와 격리되도록 되어있는 구조로 인하여 군관리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호기제어기는 운행을 정지하거나 홀,짝수 운행 등의 격층운전을 하게되므로 극도의 교통혼잡을 일으키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호기제어기에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탑재시키고 홀부름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서로 주고받는 통신 기능을 갖춤으로써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시에도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도의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서, 호기 제어기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서, 군관리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때의 기능도.
제6도는 제4도에서, 군관리 제어기가 이상 동작할때의 기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군관리 제어기 201 : 군관리 제어부
203a-203n : 호기 제어기 204a-204n : 홀버튼
301 : 통신부 302 : 호기 제어부
303 : 군관리 기능부 304 : 백업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기 제어기에 기본적인 군관리기능과 백업기능을 갖추도록 하여 군관리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호기제어 기능과 백업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군관리 제어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호기 제어기중 어느 하나가 호기제어 기능과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군관리 장치의 안정성을 높이며,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시 발생할 수 있는 극도의 교통혼잡을 예방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이나 백화점등 대형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한 대의 엘리베이터가 아니라 여러대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되어 운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군관리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엘리베이터 군관리 장치는 한 건물내 여러대의 엘리베이터를 고성능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통신기능 등을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여러 가지 상황에서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홀에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승객에게 서비스시키는 장치이다.
즉,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였을 때 각 엘리베이터의 위치, 속도, 방향, 문의 개폐상태, 승객의 탑승 가능인수 등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그 홀부름에 서비스(할당)시키는 것이다.
군관리 장치의 목표는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 즉, 승객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것, 승객 수송능력의 극대화, 에너지의 절약 등 여러 가지이며, 이 목표들을최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상기의 평가를 통하여 구하고, 이 구해진 엘리베이터에 신규 승강장 홀부름을 할당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승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군관리 장치는 별도의 하드웨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만일 이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때에는 전체의 엘리베이터가 운행정지되는 등 엘리베이터 장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인한 극도의 교통혼잡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기(엘리베이터)의 속도 등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기에 기본적인 군관리기능(홀부름의 등록 및 최적 호기 할당기능)과 통신을 통한 타호기 상태의 백업기능을 탑재시켜 별도의 군관리 제어기를 갖지 않고도 군관리 제어기의 성능에 준하는 교통 수송능력을 갖추도록하고, 군관리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모든 호기 제어기는 백업기능을 수행하고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시 호기 제어기중 하나가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시 발생할 수 있는 극도의 교통혼잡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기, 승강장, 모터의 제어를 담당하며, 상기 호기들의 각종 운행데이터를 출력하는 호기 제어계(20)와, 상기 호기 제어계(20)에서 제공하는 호기들의 각종 운행데이터를 받아 호기들의 운행데이터를 취합하고 가공하여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호기를 발생한 홀부름에 할당시키고, 운행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호기를 운행 정지시키는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군관리 제어계(10)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군관리 제어계(10)는, 호기 제어계(20)에서 보내오는 호기상태, 승강인수, 홀부름수 및 도어 개방시간과 같은 각종 운행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4)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에서 수집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저장 및 통계처리부(13)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와 데이터저장 및 통계처리부(13)에서 수집하여 갱신한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할당에 필요한 각종 예측데이터를 생성하는 할당데이터 생성부(11)와, 상기 할당데이터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예측데이터 및 데이터 수집부(14)에서 수집한 호기상태 등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신호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호기를 할당하고, 이를 호기 제어계(20)로 전송하는 할당 및 제어 알고리즘부(12)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도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 제2도이며, 제2도에서와 같이, 통신기능을 통해 홀버튼(104a∼104n)의 홀부름을 받아들임과 아울러 각 호기제어기(103a∼103n)들과 통신하면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군관리 제어부(101)와; 군관리 수행중 상기 군관리 제어부(101)로 부터 군관리용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군관리 제어부(101)에 이상이 발생할 때 그를 대신하여 군관리를 수행하는 백업 군관리부(10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기 제어계(20)의 호기제어기(21)는 각각의 호기들(23)의 정지, 출발 및 속도의 제어, 방향의 제어, 문의 개폐제어, 각종 안정장치의 제어, 기계 및 전기계통의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호기제어기(21)는 상기에서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면서, 각 호기들의 위치, 속도, 방향, 승강인 수, 문의 상태, 홀 부름수, 호기상태 등을 각 호기에서 수집하여 군관리 제어계(10)의 데이터 수집부(14)로 송출한다.
가령 승객이 홀부름버턴을 누르게 되면 이를 상기 호기제어기(21)가 승객이 홀부름버튼을 누른 호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부(14)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수집부(14)는 호기 제어계(20)의 호기제어기(21)에서 보내는 호기상태, 승강인 수, 홀부름 수 등과 같은 각종 운행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할당데이터 생성부(11), 할당 및 제어 알고리즘부(12) 및 데이터저장 및 통계처리부(13)로 각각 전송한다.
이에 상기 데이터저장 및 통계처리부(13)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에서 수집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계처리하여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 갱신한 데이터를 할당데이터 생성부(11)로 전송한다.
이와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계처리하여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 갱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수요의 학습이나 가장 혼잡한 교통상태가 언제인지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의 교통류 특성을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할당데이터 생성부(11)는 데이터저장 및 통계처리부(13)에서 갱신한 데이터와 데이터 수집부(14)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할당에 필요한 각종 예측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할당 및 제어 알고리즘부(12)로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할당 및 제어 알고리즘부(12)에서는 상기 할당데이터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예측데이터와 데이터 수집부(14)에서 수집한 호기 상태 등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신호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호기를 할당하고, 그 할당된 할당신호를 호기 제어계(20)의 호기제어기(21)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호기제어기(21)는 군관리 제어계(10)의 할당 및 제어 알고리즘부(12)에서 송출한 할당신호에 따라 해당 호기를 신규 승강장호출이 있는 층으로 보낸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 제2도에서와 같으며,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기제어기(103a∼103n)들은 호기부름 및 각종 운행상태를 통신기능을 통해 군관리 제어기(100)의 군관리 제어부(101)에 전송하면, 상기 군관리 제어부(101)는 그 데이터들을 입력데이터로 하여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최적의 운행방법 또는할당명령을 통신기능을 통해 각 호기제어기(103a∼103n)에 전송한다.
상기 군관리제어부(101)가 상기에서와 같은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백업군관리부(102)는 군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통신기능을 통해군관리 제어부(101)로 부터 주기적으로 받아서 이를 보관한다.
그러다가 상기 군관리 제어부(101)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 군관리부(102)는 자신이 보관하고 있던 군관리 데이터들을 기초로 하여 군관리 제어부(101)를 대신하여 군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군관리 제어부(10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군관리 기능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일계 시스템의 군관리 제어부 이상, 2중계 시스템의 백업 군관리부 이상시 군관리 제어부의 이상, 2중계시스템의 군관리 제어부 이상시 백업 군관리부 2차 이상등과 같은 군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각 호기제어기는 운행을 정지하거나 홀,짝수 우냉 등의 격층운전을 하게되므로 극도의 교통혼잡을 야기할 소지가 크고, 평소 교통량이 많은 대형건물의 경우 이로인한 물적 손실 및 이미지 손상이 크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할당기능이 군관리 제어부에 편재되어 있고, 호기 제어기가 홀부름 정보 및 타호기 정보와 격리되도록 되어있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에서와 같은 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구조적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군관리 기능을 각 호기제어기에 탑재시킴으로써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상태에서도 기본적인 군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기 제어기에 군관리 기능을 탑재함과 아울러 통신을 통하여 홀부름 정보 및 타호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에도 호기 제어기만으로 군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발생할 수 있는 극도의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호기 수가 n이라고 할 때 각 호기 제어기가 동일하게 군관리 기능을 가지므로 호기 제어기에 의한 2차 군관리 기능이 n중계가 되어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은,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에서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n개의 호기제어기중 하나를 군관리를 담당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로 설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에서와 같이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의 이상상태를 판단하다가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호기 제어기를 군관리를 담당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로 선택하는 제3과정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구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홀버튼에 의한 홀부름, 호기제어기의 호기부름 및 각종 운행상태를 받아들여 군관리 알고리즘을수행하는 군관리 제어부(201)와, 군관리 수행중 상기 군관리 제어부(201)로 부터 군관리용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보관하고 있다가 그 군관리 제어부(201)에 이상이 발생할 때 그를 대신하여 군관리를 수행하는 백업 군관리부(202)로 구성되는 군관리 제어기(200)와, 타호기에게 할당 및 각종 제어명령을 내리는 군관리 기능을 탑재함과 아울러 통신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교환 및 홀부름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타호기 상태 및 각종 부름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n개의 호기제어기(203a∼203n)와,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와 호기제어기(203a∼203n)들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선(2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호기제어기구성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선(21)을 통하여 군관리 제어기(200), 타호기 제어기(203a∼203n) 및 홀버튼(204a∼204n)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301)와, 자호기의 명령을 수집하여 상기 통신부(301)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부(301)로 부터 자호기의 할당명령 등의 군관리 제어명령을 받아 자호기를 제어하고, 자호기의 속도, 문, 안내정보 등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부(302)와,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의 상태를 상기 통신부(301)를 통하여 감시하고, 상기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군관리기능을 수행할 호기를 결정하는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와, 상기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의 기능활성화명령을 받아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할당 및 기타 군관리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군관리 기능부(303)와, 홀정보 및 타호기정보, 할당정보 등을 갱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군관리 제어기 이상이 상기 호기제어부(301)에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로 백업부(304)로 구성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군관리 제어기(200)의 고장시에 호기제어기(203a∼203n)에서 군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이것은 각 호기제어기에 탑재되는 미도시된 호기제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성능발달로 인하여 호기제어기가 호기의 속도 등을 제어하면서도 다른일을 함께 할 수 있는 여유시간(idle time)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 호기제어기는 담당하는 기능을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제4도의 군관리 기능부(303)가 활성화되어 군관리를 담당하는 마스타(MASTER) 호기로서의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군관리 기능부(303)가 활성화되어있지 않고 정보의 백업 기능만을 수행하는 슬레이브(SLAVE) 호기로서의 역할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호기제어기에 대하여 제4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통신부(301)는 통신선(21)을 통하여 군관리 제어기(200), 홀버튼(204a∼204n), 호기제어기들(203a∼203n)과 통신을 담당한다.
그러면 호기 제어부(302)는 자호기의 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자호기의 속도, 문, 안내정보 등을 제어하며, 통한 통신부(301)로 부터 자호기로의 할당명령 등의 군관리 제어명령을 받아 자호기를 제어하고, 자호기의 정보를 통신부(301)로 전송한다.
이때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는 군관리 제어기(200)의 상태를 통신부(301)를 통하여 감시하다가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의 이상시 군관리 제어기가 수행하던 군관리기능을수행할 호기를 결정한다.
가령,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는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가 속하는 호기가 자호기인 경우 군관리 기능부(30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능활성화명령을 상기 군관리 기능부(303)로 내린다.
그러면, 상기 군관리 기능부(303)는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로 부터 기능활성화 명령을 받아 군관리기능, 즉 호기 할당 및 기타 군관리 제어명령을 통신부(301)를 통해 송출하며, 백업부(304)는 통신부(301)를 통해 홀정보 및 타호기 정보, 할당정보 등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갱신하여 저장해둔 정보는 군관리 제어기(200)의 이상시 호기제어기의 군관리 기능부(303)로 제공되어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쓰여진다.
여기서, 군관리 제어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5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신기능의 활성, 비활성화를 개념적으로 스위치의 접점으로 표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군관리 제어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S1이 온(ON)된 경우, 각 호기제어기(203a, 203b)의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a,305b)는 자호기의 군관리 기능부(303a,303b)를 비활성화(2a,2b가 오프(off)시켜 군관리 기능부(303a,303b)로 부터의군관리 제어명령을 차단한다.
이때 호기제어부(302a,302b)는 군관리 제어부(201)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자호기를 제어하며, 자호기 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백업부(304a,304b)는 군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부름정보, 호기상태정보, 할당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고, 군관리 제어부(20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모든 호기제어기(203a,203n)는 슬레이브 호기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군관리 제어기(2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동작을 제6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군관리 제어기(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S1이 오프(off)된 경우 각 호기제어부(203a,203b)의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a,305b)는 이를 즉각 감지하여 현재 정상동작중인 호기중에서 한 대를 마스타 호기로 결정한다.
마스타 호기의 결정규칙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일례를 들면 각 호기제어기에 번호를 부여하여 정상동작중인 호기중에서 가장 작은번호의 호기 또는 가장 큰 번호의 호기를 마스타 호기로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한 마스타 호기 제어기를 제6도에 도시한 203a로 가정한다.
그러면 마스타 호기 제어기(203a)의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a)는 군관리 기능부(303a)를 활성화(2a를 온(on)시키고, 슬레이브 호기 제어기(203b)의 군관리 기능부(303b)는 활성화시키지 않는다(2b 오프(off)).
이렇게 활성화된 마스타 호기 제어기(203a)의 군관리 기능부(303a)는 군관리 제어부(201)가 수행하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위해 백업부(304a)에 의해 갱신되고, 저장된 제반정보(홀부름, 호기부름, 자호기 및 타호기의 상태정보, 할당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교통량의 예측을 위해 통계처리 등의 데이터 가공을 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최적의 운영방법을 도출한다.
아울러, 상기의 각종 제어명령 및 할당명령을 자호기 및 타호기로 보낸다.
그리고 마스타 호기 제어기(203a)를 제외한 다른 호기제어기의 호기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호기 제어기(203a)의 군관리 기능부(303a)로 부터 군관리제어명령을 받아 자호기 제어를 행하며, 자호기 정보를 송출하고, 백업부의 정보갱신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마스타 호기 제어기가 결정된 이후에 마스타 호기 결정부(305a,305b)는 타호기 제어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마스타 호기로 동작중인 호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상 동작중인 호기중에서 한 대를 마스타 호기로 재설정한다.
재설정된 마스타 호기의 마스타 호기 결정부는 자호기의 군관리 기능부를 활성화시키게 되며 이후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마스타 호기의 최초설정 이후의 동작과 동일하다.
군관리 제어부(201)의 이상시에 한 대의 호기만이 마스타 호기로 동작하고 나머지 호기는 슬레이브 호기로 동작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호기제어기에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탑재시키고 홀부름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서로 주고받는 통신기능을 갖춤으로써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시에도 기본적인 군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도의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홀버튼 제어기의 홀부름, 호기제어기의 호기부름 및 각종 운행상태를 받아들여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군관리 제어기와; 타호기에게 할당 및 각종 제어명령을 내리는 군관리 기능을 탑재하여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교환 및 홀부름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타호기 상태 및 각종 부름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n개의 호기 제어기와, 상기 군관리 제어기와 n개의 호기 제어기들 간의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호기제어기는 통신선을 통하여 군관리 제어기, 타호기 제어기들 및 홀버튼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와, 자호기의 명령을 수집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부로 부터 자호기의 할당명령 등의 군관리 제어명령을 받아 자호기를 제어하고, 자호기의 속도, 문, 안내정보 등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부와, 상기 군관리 제어기의 상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감시하고, 상기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군관리기능을 수행할 호기를 결정하는 마스타 호기 결정부와,상기 마스타 호기 결정부의 기능활성화명령을 받아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할당 및 기타 군관리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군관리 기능부와, 홀정보 및 타호기정보, 할당정보 등을 갱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상기 호기제어부에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는 백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3. 군관리 제어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에서 군관리 제어기 이상시 n개의 호기제어기중 하나를 군관리를 담당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로 설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에서와 같이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의 이상상태를 판단하다가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호기 제어기를 군관리를 담당하는 마스타 호기 제어기로 선택하는 제3과정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KR1019960007322A 1996-03-19 1996-03-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KR016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322A KR0167204B1 (ko) 1996-03-19 1996-03-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322A KR0167204B1 (ko) 1996-03-19 1996-03-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83A KR970065383A (ko) 1997-10-13
KR0167204B1 true KR0167204B1 (ko) 1998-12-01

Family

ID=1945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322A KR0167204B1 (ko) 1996-03-19 1996-03-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063A (ko) 2018-07-23 2020-02-03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063A (ko) 2018-07-23 2020-02-03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83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6123B1 (ko)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CN110451367B (zh) 超高层电梯目的层群控系统
US5654531A (en) Redundant multidrop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JPH077205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EP0662443B1 (en) Elevator swing car assignment to plural groups
WO2008051217A1 (en) Elevator cross-dispatching system with inter group relative system response (irsr) dispatching
EP0870717B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GB2197090A (en) Elevator group control
JPH071289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3650150B2 (ja) 瞬時的なセクタ割り付け方法
KR016720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860097B (zh) 一种电梯调度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Z6695A3 (en) Intelligent distributed control for lifts
US5427206A (en) Assigning a hall call to an elevator car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of other registered calls
JPH03200677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7359340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かご割り当て方法
US5848669A (en)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JPH105337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756979B1 (ko)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JP2639265B2 (ja) エレベータの多群制御装置
JP262481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347361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의 운전 학습 장치
JP7563642B1 (ja) 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21070329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1279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