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6979B1 -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79B1
KR100756979B1 KR1020027011580A KR20027011580A KR100756979B1 KR 100756979 B1 KR100756979 B1 KR 100756979B1 KR 1020027011580 A KR1020027011580 A KR 1020027011580A KR 20027011580 A KR20027011580 A KR 20027011580A KR 100756979 B1 KR100756979 B1 KR 10075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vator
landing
landing cal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937A (ko
Inventor
일리넨야리
튜니타피오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7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수행 경로에 따라 신호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가 동시에 존재하도록 엘리베이터 그룹에 속하는 엘리베이터의 랜딩 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콜을 할당하는 방법. 할당 결정은 유전자적 할당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할당 결정은 랜딩 콜의 예약과 해제 및 신호전송의 제어를 관리하는 콜 확정 제어 유닛 내로 입력된다. 예약된 랜딩 콜의 경우에는, 유전자의 값의 범위는 제한된다.
Figure 112002028838825-pct00001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카, 랜딩 콜, 유전자식 할당, 콜 확정 제어 유닛, 수행 경로,

Description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METHOD FOR IMMEDIATE ALLOCATION OF LANDING CALLS}
본 발명은 모든 콜이 수행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그룹에 속하는 엘리베이터의 랜딩 콜 장치에 의해 주어진 콜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타기를 원할 때, 승객은 플로어에 장착된 랜딩 콜 버턴을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에 대한 콜을 발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그룹의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콜을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그룹내의 엘리베이터 중 상기 콜을 가장 잘 수행할 하나를 파악해 낸다. 이러한 작업을 콜 할당이라고 한다. 할당에 의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사전에 선정된 비용 요소를 최소화하도록 랜딩 콜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를 어떻게 찾아내는가 하는 것이다. 할당은 승객의 대기 시간, 승객의 이동 시간, 엘리베이터가 정차하게 될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래에는,엘리베이터중 콜을 만족시키기에 적합한 하나의 엘리베이터를 정하기 위해,복잡한 조건 구조를 이용하여 각각의 케이스에 대해 개별적으로 추론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추론의 최종 목표는 엘리베이터 그룹의 운전성을 설명하는 비용 요소, 즉 전형적으로는 콜 시간 또는 승객의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그룹은 복잡한 상태 공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조건 구조도 복잡하게 되고 모든 가능한 상황을 커버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가 최적의 방법으로 작용되지 않는 상황이 생겨난다. 또한, 엘리베이터 그룹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어렵다. 이런 방식의 전형적인 예는, 엘리베이터들 중 콜을 발생시킨 플로어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다가 콜이 있는 곳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의해 랜딩 콜이 수행되는, 종래의 집단 제어(collective control)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최적화 원리는 엘리베이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트 그룹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의미하는 엘이베이터의 뭉침을 초래한다.
모든 가능한 경로 후보에 대한 비용 요소를 결정하는 시도는 현존하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초과하는 컴퓨터 성능을 요구할 것이다. 수행될 콜의 수가 C이고 빌딩이 L 개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상이한 경로 후보의 수는 N = LC이다. 경로 후보의 수는 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작은 수의 엘리베이터 그룹에서 조차 모든 경로 후보를 체계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실제로 경로 최적화의 적용을 방해하는 제한이 되어 왔다. 일반적인 수준에서, 상기 문제를 승객의 관점으로부터 고려하면 할당 방법은 적어도 세 개의 접근방법, 즉 연속적이고, 즉각적이며 목표지향적인 할당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랜딩 콜의 연속적인 할당에 있어서, 랜딩 콜은 기존의 랜팅 콜에 지정된 엘리베이터가 여전히 해당 플로어에서 정차할 수 있는 순간에 엘리베이터 카에 할당된다. 그 순간 까지는 엘리베이트 카 가운데에서 활성 랜딩 콜의 분배는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연속적인 할당은 전형적으로 유럽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시아를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객이 랜딩 콜을 누르는 즉각 어떤 엘리베이터가 자신들을 태우기 위해 이동하는 지를 알게 해주는 목적을 가지고서 설계되었다. 일단 할당되면, 콜은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될 수 없었다. 그리고 목표지향적인 할당은 무엇보다도 승객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사이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승객에 의해 감지되고, 승객은 어떠한 엘리베이터가 자신들을 태우기 위해 이동하는지에 대해 별개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따로 알게 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의해, 적정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불확실성이 감소되어 승객은 자신들을 태우기 위해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전방 구역에서 조용히 거닐수 있다. 사용된 제어 유닛은 콜의 확정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운행 안락감을 향상시키며 시스템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있어서, 할당 유닛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최선의 경로를 찾고, 즉 엘리베이터 카 중의 어떤 것이 각각의 콜을 수행할 것인 지에 관해 실제상의 결정을 한다. 랜딩 콜 특정 할당 제안은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전달되고, 콜 확정 제어 유닛은 각각의 랜팅 콜을 제안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예약된 것으로서 등록한다. 할당 유닛으로부터의 랜딩 콜 데이터는, 랜딩 콜 발생 플로어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더하여, 도착 추정 시간(estimated time of arrival:ETA)을 제공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랜딩 콜을 제안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예약된 것으로서 등록할 시에,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이 엘리베이터 카에 신호전송 명령을 송신하고, 당해 플로어에서 신호전송을 즉각 수행한다. 전적인 즉각 할당에 있어서는, 랜딩 콜은 그것을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즉각 확정되지만, 제안된 방법에 있어서, 확정 순간을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정은 완전히 무단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에, 랜딩 콜이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확정되고 승객에게 신호전송되는데 엘리베이터의 도착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는지를 결정하는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또 다른 대안은 랜딩 콜의 입력 후의 시간을 한정하는 것이고, 이 시간 내에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예약되고 승객에게 신호전송된다. 이전의 경우에 있어서의 이 파라미터의 시간을 ETA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시스템은 랜딩 콜이 엘리베이터에 대해 예약될지 아니면 엘리베이터군의 임의의 카에 할당되도록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후자의 경우에, 파라미터는 랜딩 콜이 활성화된 시간 길이와 비교된다. 양 파라미터의 값은 예를 들면 운행 밀도 및/또는 운행 타입 또는 시간 및 날짜 또는 예비 플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정 상황의 경우에,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임의의 다른 엘리베이터에 의해 랜딩 콜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이미 예약된 하나 이상의 랜딩 콜을 또한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상황은, 예를 들면 기술적인 고장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군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잠금 활성화의 경우, 엘리베이터 카가 전체 용량 적재되어 있어 이후의 가능한 랜딩 콜이 통과되는 경우, (랜딩 콜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가 랜딩 콜 플로어에 도착하지만 승객의 목적지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계속 운행할 때와 같이 승객 관점에서 불합리한 상황을 포함한다. 랜딩 콜이 어떤 이유로 해제되어야 할 때, 콜 확정 제어 유닛은 랜딩 콜이 임의의 하나의 엘리베이터(반드시 전에 그것을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기 시스템(bookkeeping system)에 입력한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닛은 신호 라이트를 끄는 랜딩 콜에 관한 신호전송 명령을 엘리베이터에 송신한다.
동작은 할당 유닛에 있어서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조사 범위를 제한하는데 기초한다. 제어 결정 대안 즉 염색체는 랜딩 콜 특정 유전자를 포함하고 그 값은 당해 랜딩 콜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나타낸다. 그래서, 각 개별적인 유전자의 값의 범위는 콜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한 엘리베이터 카의 수와 동일하다. 엘리베이터 그룹이 예를 들면 콜을 수행할 수 있는 8개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있으면, 유전자에 대한 값의 범위는 8개일 것이다. 제어 결정에 대한 조사의 개시에서, 할당 유닛은 각 랜딩 콜에 대한 질의를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송신하고, 어떤 엘리베이터 카가 당해 랜딩 콜을 수행할 수 있을지를 문의한다. 랜딩 콜이 여전히 자유로운 상태(비할당 상태)에 있으면, 모든 카가 그것을 수행할 수 있고 랜딩 콜에 대한 값의 최종의 범위는, 잠금 상태와 같은 다른 제한이 없는 것을 가정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수와 동일할 것이다. 대조적으로, 콜 확정 제어 유닛이 엘리베이터 카 중의 하나에 대하여 랜딩 콜을 예약하여, 유전자에 대한 값의 범위가 1개가 되면, 가능한 유일한 값은 콜이 예약된 엘리베이터 카일 것이다. 그러므로, 실제적으로, 랜딩 콜의 예약은 유전자의 값의 범위를 하나의 가능한 값으로 제한하고, 그래서 할당 결정이 행해질 때, 랜딩 콜은 항상 예약된 엘리베이터 카에 할당되는 것으로 끝난다. 예를 들면 방금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나타난 것 또는 특정 상황 때문에 해제되어, 랜딩 콜이 자유로운 상태이면, 할당 공정은 그 자체의 원리에 따라 콜 및 다른 자유로운 랜딩 콜에 대해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찾기 위한 조사를 수행한다. 최종의 제어 결정이 행해진 후,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전달되고, 제어 결정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자유로운 랜딩 콜을 예약한다.
즉각 랜딩 콜 할당 방법은 단일 플로어 대신에, 엘리베이터 카의 수행 경로에 따라서 동시에 신호전송되는 여러개의 플로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연속 할당 방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콜 확정 제어 유닛은 대응 신호전송을 위한 명령 뿐만아니라 랜딩 콜의 해제 및 예약을 관리한다. 랜딩 콜의 예약은 콜이 하나의 카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그리고 콜의 해제는 랜딩 콜이 엘리베이터들 중 임의의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의 할당 결정은 콜 예약 상태와 일치하여 랜딩 콜-특정 유전자의 값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유전자 할당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이것은 콜 확정 제어 유닛으로부터 얻어진다. 랜딩 콜이 없으면, 제한은 없으나, 만약 예약이 되면, 유전자용 값의 범위는 하나로 제한되고 그리고 얻어질 수 있는 유일한 값은 이것을 위하여 예약된 엘리베이터 카이다. 할당 결정은 콜 확정 제어 유닛으로 전송되고,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신호를 예약하고 제어한다.
방법에 있어서 또다른 특징은 플로팅 신호전송 시간(floating signaling time)을 채우기 위한 유연성에 있고, 이것과 관련하여 2가지의 접근원리가 있다. 승객은 엘리베이터 도착 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 승객을 태울 엘리베이터를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승객은 랜딩 콜이 입력된 후에 일정 시간내에 승객을 태울 엘리베이터의 지시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 경우 승객은 더 좋다고 판단되는 엘리베이터 라인의 위치로 이동하여 랜딩 콜 버튼을 눌러 잠시 동안 기다릴 수 있고, 원 엘리베이터 라인 쪽에 신호가 나타나면, 탈 준비가 된 엘리베이터의 전방 구역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승객이 선택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랜딩 콜의 순수 즉각 할당에 더하여, 이 방법은 또한 보다 유연한 실시를 위한 가능성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어 방법은 예를 들면, 조기 신호가 요청되는 빌딩에 적합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예컨대 호텔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기준의 개념이 손님이 받게 되는 일체의 서비스와 관련되는 경향이 있는 빌딩에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 승객이 제시간에 그들의 짐을 갖고 크게 서두르지 않고 그들을 태울 엘리베이터의 전방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이로울 것이다. 조기 신호에 대한 필요성은 또한 다른 엘리베이터로의 걷는 거리가 길 수 있는 대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플로어들에 제공된 신호 장치, 콜 확정 제어 유닛, 및 할당 유닛을 도시하는 전반적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6개의 활성 랜딩 콜이 6개의 엘리베이터와 14개의 플로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서 염색체를 형성하도록 코드화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결정은 엘리베이터 그룹의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랜딩 콜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가 형성되는 할당 유닛에서 이루어진다. 도면의 할당 유닛의 왼쪽에, 할당 결정의 기초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는 운행 통계, 데이터 지시 활성 랜딩 콜, 그리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와 이동 방향, 카 하중 및 카 콜과 같은 엘리베이터 그룹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데이터에 추가하여, 할당 유닛은 또한 도면에서 할당 유닛 위에 도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와 관련한 랜딩 콜-특정 수행 제한을 고려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최적의 경로를 조사함에 의해서 제어 결정을 하는 프로세스가 시작되기 전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기화 되며 가능한 수행 제한이 고려된다. 일단 제어 결정이 이루어지면, 랜딩 콜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하여 형성된다. 할당 결정은 엘리베이터 카의 최적의 경로에 따라 실행된다. 이것에 추가하여, 최적의 경로는, 엘리베이터 카가 자유로운 활성 랜딩 콜에 대해 예약되며 신호전송 명령이 원래의 랜딩 콜이 있는 플로어상의 신호 장치에 보내지는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입력된다. 도면에서, 콜 확정 제어 유닛 및 상이한 플로어들상의 신호전송 장치는 할당 유닛 위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콜 확정이 유연성이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면, 랜딩 콜이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확정되어 있는지 또는 할당되지 않고 자유롭게 남아 있는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랜딩 콜이 있는 플로어에서의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 시간이 콜 확정 제어 유닛에서 신호전송 진행 시간과 비교된다. 만약 할당 결정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 시간이 카에 의해서 수행될 플로어에 대해 설정된 신호전송 진행 시간보다 작게 남아 있으면, 엘리베이터 카는 랜딩 콜에 대해 예약될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그룹의 다른 엘리베이터 카가 확정된 랜딩 콜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콜 확정은 활성 랜딩 콜에 대한 수행 제한을 설정한다. 다음회의 할당시에 이 단편의 정보는 할당 유닛에서 활용되며,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확정된 각각의 랜딩 콜은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도 2 에서, 모두가 상승 콜(엘리베이터가 올라가기 위한; ▲표시되어 있음)인 유효한 활성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그룹의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랜딩 콜은 유전자에 대응되고, 그 값은 콜을 수행할 엘리베이터 카를 의미한다. 가능한 값과 더불어 염색체의 유전자, 즉 대립 유전자는 도면의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유효한 활성 랜딩 콜은 플로어 1, 6, 7, 8, 11 및 12에 있으며, 따라서 염색체의 랜딩 콜 유전자의 수는 6개 된다. 이 도면에 의해 예시된 엘리베이터 그룹의 상황을 랜딩 콜이 최종 유전자로 코드화되기 직전이라고 생각하기로 하자. 엘리베이터 1의 경우에는, 그것에 할당된 랜딩 콜이 없고, 따라서 그것은 현재 가지고 있는 콜 즉 플로어 14 로의 카 콜만을 수행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2 는 플로어 8 에서의 랜딩 콜과 플로어 14 로의 카 콜을 수행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3 은 플로어 14 에서 휴지상태로 있다. 엘리베이터 4 는 플로어 6 에서의 랜딩 콜과 최상부 플로어로의 카 콜을 수행한다. 플로어 11 에서의 랜딩 콜을 수행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5 는 다시 플로어 14 를 떠난다. 엘리베이터 6 은 플로어 7 에서의 랜딩 콜을 수행하며 그것의 예정 카 콜의 수행을 계속한다. 엘리베이터 탑승이 제공되는 각각의 플로어에 대해, 비록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도착 추정 시간(ETA)이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경로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2가지 타입의 랜딩 콜: 자유로운 랜딩 콜과 예약된 랭딩 콜이 있다. 직전에 막 출현된 자유로운 랜딩 콜은 플로어 1 및 플로어 2 에서 생겼다. 이들 콜은 아직 어떠한 엘리베이터 카에도 할당되지 않았으므로,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 제한이 설정되지 않아서, 이용가능한 엘리베이터들 중에 어느 것도 이들 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전자들 중 가능한 대립유전자는 엘리베이터 1 - 6 이다. 다시말해서, 이들 양자의 랜딩 콜에 대한 후보 엘리베이터의 수는 6개이다. 한편, 시스템에는 각각이 이미 엘리베이터들 중 하나에 할당되었고 그리고 해당 플로어에 신호전송한 활성 랜딩 콜들도 있다.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의해 예약된 이들 랜딩 콜은 플로어 6, 7, 8 및 플로어 11 에 있다. 할당 공정의 초기에, 이들 4개의 랜딩 콜 유전자의 값의 범위는 그 콜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하나의 가능한 후보 엘리베이터로 제한된다. 예시된 도면에 의하면, 유전자 번호 2 즉, 플로어 6 의 랜딩 콜에 대한 유일한 후보는 엘리베이터 4이다. 유사하게, 이미 할당된 다른 예약된 랜딩 콜의 각각은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배당되는데: 플로어 7 에서의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6 이, 플로어 8 에서의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2 가, 그리고 플로어 1 에서의 콜은 엘리베이터 5 가 배정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랜딩 콜의 값의 범위를 알고 있으므로, 할당이 시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할당은 플로어 1 및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에 대한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조사하기 위해서만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랜딩 콜이 유전자 할당의 원리에 따라서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최적의 경로가 만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한 선택가능한 해결법의 평가에 포함될 수 있다. 일단 할당 결정에 도달하면, 엘리베이터의 경로는 콜 확정 제어 유닛내에 입력되고,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이것은 할당 공정에 의해 결정된 엘리베이터에 대해 플로어 1 및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을 확정하고 콜에 대한 ETA 타임을 업데이트한다.
순수한 즉각 할당에 있어서는, 플로어 1 및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은 배정된 엘리베이터에 즉각 할당된다. 본 발명의 보다 유연한 시스템으로, 랜딩 콜의 확정 시점은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에 따라서, 랜딩 콜의 확정의 순간은 예를들면 30초이다. 할당 공정이 이 랜딩 콜에 대해 랜딩 콜에 대한 도착 추정 시간이 30초의 파라미터의 값과 동일하거나 작은 엘리베이터를 제안하면,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제안된 엘리베이터를 예약하고 그리고 신호전송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ETA타임이 30초를 초과하면, 콜 확정 제어 유닛은 랜딩 콜에 대하여 아직 엘리베이터를 예약하지 않고, 자유롭게 할당가능한 상태로 계속 유지한다. 플로어 1 에서의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3 으로 수행되고 엘리베이터 3 이 30초 후에 랜딩 콜 플로어에 도달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5 로 수행되고 엘리베이터 5 가 30초 이내에 랜딩 콜 플로어에 도달하게 될 것을 할당 공정이 제안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5 에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을 예약하고 그리고 플로어 1 에서의 랜딩 콜을 자유로운 상태로 남겨 둔다. 새로운 다음 회의 할당이 시작되면, 플로어 2 에서의 랜딩 콜은 엘리베이터 5 에 의해 수행되도록 제한되는 한편, 플로어 1 에서의 자유로운 랜딩 콜의 유전자 값의 범위가 여전히 엘리베이터 1 - 6 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엘리베이터가 플로어 1 에서의 자유로운 랜딩 콜을 수행할 기회를 가진다. 플로어 12 에서의 랜딩 콜에 대한 유전자 값의 범위는 하나 즉 엘리베이터 5 로 감소되었다. 나중에 30초를 하회하는 ETA를 가진 엘리베이터가 플로어 1 에서의 랜딩 콜에 대하여 제안될 때, 콜 확정 제어 유닛은 역시 이 콜을 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유연한 신호전송에 대한 다른 접근방법이 기술된다.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랜딩 콜이 파라미터로 지시된 주어진 시간 길이에 대해 활성화 되는 랜딩 콜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가 10초로 설정되어 있으면, 랜딩 콜의 입력시에서 10초 후에 엘리베이트가 확정되고 신호전송된다. 콜 확정 제어 유닛에 있어서, 할당 후 랜딩 콜의 활성 시간은 파라미터와 비교되어, 시스템은 어느 엘리베이터가 각각의 콜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는지를 알게 된다. 활성시간이 파라미터 시간보다 더 작은 모든 랜딩 콜은 할당에 대해서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된다. 시간이 초과되면, 랜딩 콜에 대해 제안되는 엘리베이터 카가 확정되고, 이것은 제안된 엘리베이터가 다음 회의 할당에서 해당 랜딩 콜에 대한 유일한 후보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랜딩 콜은 할당에 대해 여전히 자유로운 상태로 남아있다. 그러나, 고려되어져야만 하는 한 가지 특수한 경우가 있다. 즉, 할당 공정이 랜딩 콜에 대해서 랜딩 콜의 활성 시간이 파라미터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랜딩 콜을 발하는 플로어에 도착될 엘리베이터를 제안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랜딩 콜의 활성 시간이 파라미터 값보다 더 작게 되더라도 통상의 방식으로 랜딩 콜은 여전히 확정되고 신호전송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한정된 발명 사상의 영역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수행 경로가 유전자식 할당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조사를 통해 결정되어, 어떤 엘리베이터가 어떤 랜딩 콜을 수행할 지와 랜딩 콜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을 때 모든 카가 콜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유전자식 할당 공정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그룹에 속하는 엘리베이터의 랜딩 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콜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 콜 확정 제어 유닛이 랜딩 콜의 예약과 해제 및 신호전송의 제어를 관리하고,
    -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확립된 수행 경로가 콜 확정 제어 유닛 내로 입력되고, 콜 확정 제어 유닛이 각각의 랜딩 콜을 그것을 위해 제안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예약된 것으로서 등록하고,
    - 예약된 랜딩 콜의 경우에는, 콜 확정 제어 유닛이 그 콜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고,
    - 예약된 랜딩 콜의 경우에는, 배정된 엘리베이터 카만이 콜을 수행할 준비가 되고,
    - 콜 확정 제어 유닛이 어떤 랜딩 콜이 자유로운 것이고 어떤 콜이 예약된 것인 지를 결정하고,
    - 콜 확정 제어 유닛이 제1 회의 할당 시에 랜딩 콜 할당 유닛에 의해 할당된 수행 경로의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랜딩 콜을 예약하고,
    - 콜 확정 제어 유닛이 유전자식 할당 유닛에서의 콜에 대응하는 유전자의 후보 엘리베이터들을 이 랜딩 콜에 대해 사전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인 하나의 후보 엘리베이터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콜의 확정은, 수행될 랜딩 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시간이 설정된 한계치보다 작을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랜딩 콜의 확정은 랜딩 콜이 입력된 때부터 설정된 시간의 길이가 경과되었을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설정 시간은 운행 밀도, 하루 중의 시간, 날짜 또는 예비 계획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수행 경로에 따라 신호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1580A 2000-03-03 2001-03-05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00503 2000-03-03
FI20000503A FI112787B (fi) 2000-03-03 2000-03-03 Välitön ulkokutsujen allokointimenetelm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937A KR20020079937A (ko) 2002-10-19
KR100756979B1 true KR100756979B1 (ko) 2007-09-07

Family

ID=85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5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979B1 (ko) 2000-03-03 2001-03-05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92523B1 (ko)
KR (1) KR100756979B1 (ko)
CN (1) CN1223502C (ko)
AU (2) AU4655501A (ko)
FI (1) FI112787B (ko)
WO (1) WO20010664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467B (fi) * 2002-11-29 2004-04-30 Kone Corp Allokointimenetelmä
US10231167B2 (en) * 2017-06-30 2019-03-12 Otis Elevator Company Building access zone specific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DE102018213575B4 (de) * 2018-08-13 2020-03-19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mit Vorgabe einer vorbestimmten Fahrtroute sowie Aufzuganlage und Aufzugsteuerung zur Aus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3123A1 (en) * 1995-04-21 1996-10-24 Kone Oy Procedure for allocating landing calls in an elevator group
EP0897891A1 (en) 1997-08-15 1999-02-24 Kone Corporation Genetic procedure for allocating landing calls in an elevator group
WO1999033741A2 (en) * 1997-12-23 1999-07-08 Kone Corporation Genetic procedure for the allocation of elevator cal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720B1 (ko) * 1996-12-3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3123A1 (en) * 1995-04-21 1996-10-24 Kone Oy Procedure for allocating landing calls in an elevator group
EP0897891A1 (en) 1997-08-15 1999-02-24 Kone Corporation Genetic procedure for allocating landing calls in an elevator group
WO1999033741A2 (en) * 1997-12-23 1999-07-08 Kone Corporation Genetic procedure for the allocation of elevator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2523B1 (en) 2012-01-11
HK1056351A1 (en) 2004-02-13
FI112787B (fi) 2004-01-15
FI20000503A0 (fi) 2000-03-03
EP1292523A2 (en) 2003-03-19
WO2001066454A3 (en) 2002-01-03
FI20000503L (fi) 2001-09-04
AU4655501A (en) 2001-09-17
CN1454177A (zh) 2003-11-05
AU2001246555B2 (en) 2004-07-15
WO2001066454A2 (en) 2001-09-13
KR20020079937A (ko) 2002-10-19
CN1223502C (zh)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JP5461522B2 (ja) エレベータかご割当制御戦略
KR100979419B1 (ko) 탑승자 안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24885B (zh) 基于等待的乘客的所检测到的数量的电梯轿厢分配
EP1021368B1 (en) Procedur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where virtual passenger traffic is generated
US7117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zoning and an interchange floor
US9126806B2 (en) Elevator system with distributed dispatching
KR950031852A (ko)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 그룹으로 배정할 수 있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US20140124302A1 (en) Elevator System
JP4669657B2 (ja) 区域制御を用いてエレベータ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847149A (zh) 电梯目的层分配方法
JP6139746B1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US6644442B1 (en) Method for immediate allocation of landing calls
KR100756979B1 (ko) 랜딩 콜의 즉각 할당 방법
US7549517B2 (en) Elevator car dispatching including passenge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fuzzy logic algorithm
CN101356106A (zh) 电梯控制方法及其装置
JPS61136883A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KR101024799B1 (ko) 승강기 통행 제어
JP7711851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中継装置、第二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428522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HK1056351B (en) Method for immediate allocation of landing calls
JPH091223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0548764B1 (ko)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JPH0513224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76448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