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6289B1 -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289B1
KR0166289B1 KR1019950057929A KR19950057929A KR0166289B1 KR 0166289 B1 KR0166289 B1 KR 0166289B1 KR 1019950057929 A KR1019950057929 A KR 1019950057929A KR 19950057929 A KR19950057929 A KR 19950057929A KR 0166289 B1 KR0166289 B1 KR 016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ight
beam angle
rotatin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368A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289B1/ko
Publication of KR97003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상황에 따라서 전조등(50)의 조사 각도가 상하로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운전자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교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야를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 전방의 시야를 항상 최적의 상태로 제공 받게 되어 운전의 편의성과 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조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조 조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자동차의 전조등 설치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전조등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 센서 2 : 전조등 케이스
3 : 제어부 4 : 회전축
5 : 환형 래크 7 : 모터
9 : 회전판 10 : 리셋 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의 조사 각도가 상향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주행할 때 전방에서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게 되는 시야의 방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현가 장치, 조향 장치, 브레이크 장치 등으로 구성된 샤시와, 상기한 샤시를 감싸고 외면을 이루는 차체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차체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각종 편의를 위한 보조 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상기와 같은 보조 장치에는 각종의 등화 장치가 포함되는데, 상기 등화 장치는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인 전조등, 방향 표시등, 제동등 및 위험 표시등과 같은 것이 있고, 실내등과 같이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 있다.
상기 전조등은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하여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로서, 차량 전방의 상황을 운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한 광도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제2도에는 상기 전조등이 장착된 차량의 사시도가 도시된 바, 전조등(50)은 차량의 전방에 좌·우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에 설치된 전조등은 각각 상향 조사 각도와 하향 조사 각도로 조절된 상향 램프 및 하향 램프가 일조를 이루어 장착된다.
제3도에는 상기 상향 램프 및 하향 램프의 간단한 작동 회로가 도시된 바, 좌ㆍ우측의 하향 램프(LL,RL)와, 상기 좌ㆍ우측의 상향 램프(LH,RH)에 각각 축전지(B)로부터 전원을 절환하여 제공하는 디머 스위치(D)와, 상기 디머 스위치(D)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조등 스위치(S)가 축전지(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조등 회로는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 상향 램프(LH,RH)와 하향 램프(LL,RL)를 디머 스위치(D)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교행 주행시에는 하향의 상태로 운전을 하여 상대편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되고 시골길과 같은 곳에서는 상향의 상태로 조절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여 보다 원거리의 시야를 폭넓게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좁은 시골길과 같은 곳을 주행할 때에는 상향 램프(LH,RH)를 켜고 주행하게 되면 상대편에게 마주 오는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디머 스위치(D)로 하향 상태로 조절하여 상대편 차량과 교차된 후, 다시 상향으로 디머 스위치(D)를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운전 도중 잦은 디머 스위치(D) 조작으로 운전이 불안해지며, 상기와 같은 조작이 귀찮은 운전자는 그대로 교행 운행을 하게 됨으로써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사고의 위험이 높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전조등의 조사 각도를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대편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차량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함게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서 주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전방 센서와, 전조등의 조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전조등 케이스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조절 수단과, 상기 전방 센서의 정보를 받아 상기 상하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전조등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서 주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전방센서(1)와, 전조등(50)의 조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전조등 케이스(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조절 수단과, 상기 전방 센서(1)의 정보를 받아 상기 상하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전조등(5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 조절 수단은 전조등 케이스(2)의 좌우를 차체에 힌지 결합하도록 돌출된 회전축(4)과, 상기 전조등 케이스(2)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환형 래크(5)와, 상기 환형 래크(5)에 치합되어 연결된 피니언(6)과, 상기 제어부(3)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피니언(6)을 회전시키는 모터(7)와, 상기 전조등 케이스(2)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회전 상태 파악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상태 파악 수단은 상기 회전축(4)에 연결되고 리셋 구멍(8)이 형성된 회전판(9)과, 상기 회전판(9)에 형성된 리셋 구멍(8)을 감지하는 리셋 센서(10)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셋 센서(10)의 신호는 상기 제어부(3)로 공급되어 상기 모터(7)를 통하여 전조등 케이스(2)를 조작하는 피이드 백(Feed back)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야간 운전 도중 전조등(50)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센서(1)는 전방의 빛을 계속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전방으로부터 차량이 접근하면 접근하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받아 상기 제어부(3)로 보낸다.
제어부(3)에서는 상기 전방 센서(1)의 신호에 따라서 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시야의 장해를 받지 않도록 상기 모터(7)를 구동하여 전조등 케이스(2)를 회전시켜 전조등(50)의 빔이 하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은 상기 전방 센서(1)의 지속적인 정보 전달로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조등(50)의 빔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최상향의 상태에서 최하향의 상태에 이르는 구간을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물론, 교행하는 차량이 지난 후에는 전방 센서(1)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3)는 전조등(50)의 빔 조사 각도를 다시 상향으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전조등 빔 각조 조절 장치는 처음 차량의 시동시에 상기 리셋 센서(10)로 전조등 케이스(2)의 회전 상태를 초기화하고, 운전도중의 각도 변화량은 제어부(3)에서 기억하여 상기 전방 센서(1)의 신호를 받아 필요할 때마다 모터(7)의 회전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상황에 따라서 전조등의 조사 각도가 상하로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운전자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교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야를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 전방의 시야를 항상 최적의 상태로 제공 받게 되어 운전의 편의성과 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전방에서 주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전방센서(1)와 전조등(50)의 조사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전조등케이스(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조절수단과, 상기 전방센서(1)의 정보를 받아 상기 상하 조절수단을 조절하여 전조등(50)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3)로 구성된 자동차의 전조등 빔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조절수단은 전조등케이스(2)의 좌·우를 차체에 힌지 결합하도록 돌출된 회전축(4)과, 상기 전조등케이스(2)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환형래크(5)와, 상기 환형래크(5)에 치합되어 연결된 피니언(6)과, 상기 제어부(3)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피니언(6)을 회전시키는 모터(7)와, 상기 전조등 케이스(2)의 회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회전상태 파악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빔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상태파악수단은 상기 회전축(4)에 연결되고, 리셋 구멍(8)이 형성된 회전판(9)에 형성된 리셋구멍(8)을 감지하는 리셋센서(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빔 각도 조절장치.
KR1019950057929A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KR016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929A KR016628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929A KR016628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368A KR970037368A (ko) 1997-07-22
KR0166289B1 true KR0166289B1 (ko) 1998-12-15

Family

ID=1944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929A KR016628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857A (ko) * 2017-11-22 2019-05-3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36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289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JPH0585258A (ja) 電動車両用灯火装置
JPH07223484A (ja) 車両用前照灯駆動制御装置
KR20020070022A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온-오프 장치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0167920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 조절장치
KR10036815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CN217074186U (zh) 一种汽车转向辅助灯和汽车转向辅助电路
KR100232343B1 (ko) 헤드램프의 조향방향 자동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173860Y1 (ko) 차량용 전조등의 밝기 조절장치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0136908Y1 (ko) 버스에 장착한 탐조등
KR0167919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 조절장치
KR920000537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조절회로
KR200151555Y1 (ko) 헤드램프 자동 높이조절장치
KR19980060160A (ko) 전조등 조사 각도 자동 조절장치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H08282366A (ja) ヘッドランプの光量制御装置
KR19980059549A (ko) 전조등
KR19980037156U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9980040630U (ko) 전조등의 자동 수평 유지장치
KR19980030186A (ko) 자동차 전조등의 램프 상·하조정장치
KR19980014608A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90025500U (ko) 차량의 시계확보기능을 갖는 방향지시등
KR19990019845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