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9234Y1 -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34Y1
KR0119234Y1 KR2019950048301U KR19950048301U KR0119234Y1 KR 0119234 Y1 KR0119234 Y1 KR 0119234Y1 KR 2019950048301 U KR2019950048301 U KR 2019950048301U KR 19950048301 U KR19950048301 U KR 19950048301U KR 0119234 Y1 KR0119234 Y1 KR 0119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driving
lamp
dimm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536U (ko
Inventor
현용섭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8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34Y1/ko
Publication of KR970032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illuminating the way asymme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조등의 상향 램프(LH, RH) 중 일측의 램프만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이 포함된 자동차 전조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번거로운 스위치 조작 없이 계속적으로 충분한 전방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교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운전의 편리성과 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A head lamp device of a car)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 2 도는 자동차의 전조등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전조등 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의 조사 각도가 상향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주행할 때 전방에서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게 되는 시야의 방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현가 장치, 조향 장치, 브레이크 장치 등으로 구성된 샤시와 상기한 샤시를 감싸고 외면을 이루는 차체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차체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각종 편의를 위한 보조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상기와 같은 보조 장치에는 각종의 등화 장치가 포함되는데, 상기 등화 장치는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인 전도등, 방향 표시등, 제동등 및 위험 표시등과 같은 것이 있고, 실내등과 같이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 있다.
상기 전조등은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하여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로서, 차량 전방의 상황을 운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한 광도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제2도에는 상기 전조등이 장착된 차량의 사시도가 도시된 바, 전조등(50)은 차량의 전방에 좌우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에 설치된 전조등은 각각 상향 조사 각도와 하향 조사 각도로 조절된 상향 램프 및 하향 램프가 일조를 이루어 장착된다.
제3도에는 상기 상향 램프 및 하향 램프의 간단한 작동 회로가 도시된 바, 상기 좌·우측의 하향 램프(LL,RL)와, 상기 좌,우측의 상향 램프(LH,RH)에 각각 축전지(B)로부터 전원을 절환하여 제공하는 디머 스위치(D)와, 상기 디머 스위치(D)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조등 스위치(S)가 축전지(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조등 회로는 상기 전조등 스위치(S)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 상향 램프(LH,RH)와 햐항 램프(LL,RL)를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교행 주행시에는 하향의 상태로 운전을 하여 상대편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되고 시골길과 같은 곳에서는 상향의 상태로 조절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여 보다 원거리의 시야를 폭넓게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좁은 시골길과 같은 곳을 주행할 때에는 상향 램프(LH,RH)를 켜고 주행하게 되면 상대편에서 마주 오는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디머 스위치(D)로 하향 상태로 조절하여 상대편 차량과 교차된 후, 다시 상향으로 디머 스위치(D)를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운전 도중 잦은 스위치 조작으로 운전이 불안해지며, 상기와 같은 조작이 귀찮은 운전자는 그대로 교행 운행을 하게 됨으로써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사고의 위험이 높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편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차량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머 스위치에 의해 상향 램프와 하향 램프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머 스위치로부터 상향 램프로 전달되는 전원을 좌·우 상향 램프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디머 스위치(D)로부터 상향 램프(LH,RH)로 전달되는 전원을 좌·우 상향 램프(LH,RH)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디머 스위치(D)와 좌측 상향 램프(LH)의 사이에 설치된 차단 스위치(1)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좁은 시골길을 주행할 때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야의 방해를 최소한으로 주면서 전방의 시야를 멀고 폭넓게 제공받기 위해서 디머 스위치(D)로 상향 램프(LH,RH)를 동작시키고, 상기 차단 스위치(1)로 좌측 상향 램프(LH)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전조등(50)은 우측의 상향 램프(RH)만이 점등되어 상향 램프의 조사 각도에 따라 차량 전방의 먼 거리에 대하여 폭넓은 시야를 제공함과 아울러 좌측의 상향 램프(LH)는 소등된 상태이므로 차량의 좌측으로 교행하는 상대편 차량의 운전자는 눈부심이 적게 되어 시야의 확보가 보다 용이해진다.
즉, 운전자는 우측 상향 램프(RH)만을 점등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어 번거롭게 디머 스위치(D)를 조작하지 않고, 차량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교행 차량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조등의 상향 램프 중 일측의 램프만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이 포함된 자동차 전조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번거로운 스위치 조작 없이 계속적으로 충분한 전방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교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운전의 편리성과 사고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머 스위치(D)에 의해 상향 램프(LH,RH)와 하향 램프(LL,RL)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머 스위치(D)로부터 상향 램프 (LH,RH)로 전달되는 전원을 좌·우 상향 램프(LH,RH)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디머 스위치(D)와 좌측 상향 램프(LH)의 사이에 설치된 차단 스위치(1)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2019950048301U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0119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301U KR011923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301U KR011923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536U KR970032536U (ko) 1997-07-26
KR0119234Y1 true KR0119234Y1 (ko) 1998-06-15

Family

ID=1943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301U KR011923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53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169A (en) Rearview mirror lamp circuit assembly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0166289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KR10036815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KR0117527Y1 (ko) 버스의 정차시 헤드램프 자동 점멸장치
KR200392063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하이빔 전환 장치
US1175672A (en) Lighting attachment for automobiles or other vehicles.
JPS5941153Y2 (ja) 大型車両の左側後輪部照明装置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JP3112580B2 (ja) 安全性向上ランプ
KR0142346B1 (ko) 자동차의 야간 조향시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장치
KR920000537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조절회로
JPH0533404Y2 (ko)
KR0123289Y1 (ko) 자동차의 상.하향 전조등 제어장치
KR200273373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자동소등장치
JP2959749B2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KR013848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전환장치
KR0129707B1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0116398Y1 (ko) 자동차의 안개등
US20030147248A1 (en) Highway vehicle illumination
KR0123288Y1 (ko) 자동차의 상.하향 전조등 제어장치
KR200253663Y1 (ko) 코너링세이프램프 자동점멸기
KR19980043152U (ko) 헤드램프 보조장치
KR19980701407A (ko) 오토모티브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headlights of automotive vehicles)
KR19980030186A (ko) 자동차 전조등의 램프 상·하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3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