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5617B1 -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17B1
KR0165617B1 KR1019950033617A KR19950033617A KR0165617B1 KR 0165617 B1 KR0165617 B1 KR 0165617B1 KR 1019950033617 A KR1019950033617 A KR 1019950033617A KR 19950033617 A KR19950033617 A KR 19950033617A KR 0165617 B1 KR0165617 B1 KR 016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lade
shaft
cleaning
photosensitive dru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862A (ko
Inventor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3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617B1/ko
Publication of KR97001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광드럼상의 표면에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를 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착시켜 감광드럼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시킨후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도록 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의 양측으로 축(511)을 형성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의 양측에 형성된 축(511)을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클리닝 블레이드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탄력을 주어 원위치시키는 복귀수단과,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클리닝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수단(60)과, 상기 캠수단을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6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감광드럼에 잔류된 토너를 클리닝 블레이드가 횡으로 왕복운동하여 그 선단에 설치된 연질고무(512)가 감광드럼의 표면을 문지르면서 잔류토너를 제거토록하므로 상기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를 빠져나가 감광드럼에 그대로 잔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클리닝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그에 따른 용지의 복사 상태가 아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품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제1도는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제5a,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 : 감광드럼 281 : 감광드럼 축
51 :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 511 : 클리닝 블레이드 축
512 : 클리닝 블레이드 57 : 보스
571 : 축홈 58 : 지지구
59 : 스프링 60 : 캠수단
601 : 회전캠 602 : 이동캠
603 : 캠축 62 : 동력전달수단
621 : 구동기어 622 : 종동기어
본 발명은 복사기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을 형성하는 드럼의 외주에 접면되어 드럼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작동중에 횡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클리닝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의 전사과정은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기(25)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28)의 상을 골고루 대전하고 감광드럼(28)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램프(22)의 광원에 의해 원고대(21) 상의 원고로 부터 반사된 빛으로 노광한다.
이 노광에 의해 4개의 거울(23)과 렌즈(24)에 의해 축배율등이 처리되어진 후 원고의 상과 같은 정전잠상을 감광드럼(28) 위에 생성시키게 되며, 또는 LED헤드나 레이저 발진기에서 발진된 빛을 이용하여 감광드럼(28)에 상을 생성시키며,(LED프린터나 레이저프린터의 경우) 이때 생성된 잠상이 현상기(27)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롤러(20)에 의해서 급지된 용지위에 전사기(32)의 작용으로 감광드럼(28)상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시킨다.
이때 용지는 정전기력에 의해 감광드럼(28)에 밀착되어지며 분리기(33)는 이 밀착된 용지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후 분리된 용지를 정착부의 히팅롤러(35) 압착롤러(34) 사이로 통과 시키면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원고의 상이 정착되어 원하는 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사기를 지난 드럼상에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토너는 청소기(29)에 의해 제거되며, 잠상은 잠상제거 램프(37)에 의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과정중 감광드럼(28)상에 남아있는 잔여분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부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클리닝 블레이드(51)는 본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간부에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 항상 감광드럼(28)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51)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토너를 강제로 감광드럼(28)에서 제거하고, 감광드럼(28)에서 분리되어 떨어진 폐토너는 안내판(53)에 의해, 그리고 청소기내부 공간에 떨어진 폐토너는 토너이송코일(36)를 통해 폐토너 회수통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클리닝장치는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에 연성의 고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512)가 감광드럼(28)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므로써, 감광드럼(28)에 존재하는 토너를 분리시키고, 이때 감광드럼(28)에서 분리된 토너는 안내판(53)에 의해 안내되어 청소기 내부 공간(55)에 떨어지게 되며, 이후 토너이송코일(36)에 의해 도면에 도시생략된 폐토너 회수통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클리닝장치는 클리닝 블레이드(512)가 감광드럼(28)에 항상 밀착되어 있고, 또한 감광드럼(28)의 회전에 대향되게 항상 같은 방향으로 위치함과 동시에 재질이 연질고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지된 용지에 감광드럼(28)상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한 후 잔류하는 토우너를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512)가 모두 제거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잔류하는 토우너가 클리닝 블레이드(512)와 감광드럼(28) 사이에 끼게 되며, 이들은 감광드럼(28)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512)를 벗어나 전사되는 용지에 묻게 되어 복사상태가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클리닝 블레이드가 횡으로 왕복운동하여 그 선단에 설치된 연질고무가 감광드럼의 표면을 문지르면서 잔류토너를 제거토록하므로 상기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를 빠져나가 감광드럼에 그대로 잔류하는 형상이 방지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광드럼상의 표면에 클리닝 블레이드를 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착시켜 감광드럼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시킨후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도록 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의 양측으로 축을 형성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의 양측에 형성된 축을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클리닝 블레이드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탄력을 주어 원위치시키는 복귀수단과,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클리닝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수단과, 상기 캠수단을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5a,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512)는 감광드럼(28)의 외주에 인장스프링(56)(도면 제2도 참조)의 탄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연질고무(512)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양측으로 돌출된 축(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에 고정된 지지수단(57,58)에 의해 지지되면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57,58은 클리닝 블레이드(51)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써, 내부에 축홈(571)을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보스(57)와, 축(511)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축(511)의 타단을 관통설치하여 지지하는 지지구(5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보스(57)와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 사이의 축(511)에, 그리고 상기 지지구(58)와 후술된 캠수단(60)사이의 클리닝 블레이드 축(511)에 스프링(59)이 끼워져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51)를 항상 캠수단(60)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도면 부호 60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를 횡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수단으로써, 외측 세로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일측 축(511)단에 일체로 형성된 이동캠(602)과, 상기 경사면과 접면되면서 동일한 경사면을 갖고 외측으로 축(603)이 형성되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회전캠(6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 제5a도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601a는 상기 회전캠(601)의 경사부에 이동캠(602)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의 경사단부이고, 602b는 경사가 시작되는 경사시점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 부호 601a과 601b는 상기 이동캠(602)의 경사부에 상기 회전캠(601)의 경사단부(601a) 및 경사시점부(601b)와 동일구조인 경사단부와 경사시점부이다.
도면 부호 62는 상기 회전캠(60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써, 감광드럼(28)의 일측축(281)에 구동기어(62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캠(601)의 외주에 구동기어(621)에 치함되는 종동기어(6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제5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가 스프링(59)의 탄력에 의해 회전기어 방향으로 밀착되어 클리닝 블레이드 축(511)에 일체로 형성된 이동캠(602)이 회전캠(601)에 밀착되어 그 경사면 회전캠(601)의 경사면과 접면되어 있다. 즉 회전캠(601)의 경사단부(601a)와 이동캠(602) 경사시점부(602b)가 접면되고, 그리고 회전캠(601)의 경사시점부(601b)와 이동캠(602)부의 경사단부(602a)와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감광드럼(2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감광드럼(28)의 일측 축(281)에 설치된 구동기어(621)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이와 치합된 종동 기어(622)가 회전하는 종동기어(622)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캠(601)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회전캠(601)은 도면 제5b도에서와 같이 그 경사면의 경사방향이 회전방향에 따라 변이되면서 이동캠(602)방향으로 경사돌출된 경사단부(601a)가 이동캠(602)면의 경사면을 밀게되며, 이 작동에 의해 이동캠(602)은 돌출된 경사단부 만큼 수평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59)을 압축시킨다.
한편, 상기 이동캠(602)이 이동하면 이와 일체로된 클리닝 블레이드지지대(51)가 이동하게 되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끝단에 형성된 클리닝 블레이드(512)가 감광드럼(28)의 표면을 횡으로 문지르면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캠(602)과 회전캠(601)의 경사단부(601a,602a)가 접촉된 시점에서 멈추게된다.
또한 상기 이동캠(602)과 회전캠(601)의 경사단부(601a,601b)가 접촉된 시점에서 회전캠(601)이 계속회전하게 되면, 그 경사단부(601a)는 밀고 있던 이동캠(602)의 경사단부(602a)를 벗어나 그 반대쪽의 경사시점부(602a)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이동캠(602)은 압축된 스프링(59)의 탄력에 의해 역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에도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가 이동하게 되고,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선단에 형성된 클리닝 블레이드(512)가 감광드럼(28)의 표면을 횡으로 문질러 잔류토너를 제거하면서 도면 제5a도에서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광드럼에 잔류된 토너를 클리닝 블레이드가 횡으로 왕복운동하여 그 선단에 설치된 클리닝 블레이드가 감광드럼의 표면을 문지르면서 잔류토너를 제거토록하므로 상기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를 빠져나가 감광드럼에 그대로 잔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클리닝 블레이드가 크게 나타나고, 그에 따른 용지의 복사 상태가 아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품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감광드럼상의 표면에 클리닝 블레이드를 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착시켜 감광드럼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시킨후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도록 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의 양측으로 축을 형성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의 양측에 형성된 축을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클리닝 블레이드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에 탄력을 주어 원위치시키는 복귀수단과,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클리닝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수단과, 상기 캠수단을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축홈(571)을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보스(57)와, 축(511)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 축의 타단을 관통설치하여 지지하는 지지구(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보스(57)와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 사이의 축(511)에, 그리고 상기 지지구(58)와 후술될 캠수단(60)사이의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축(511)에 스프링(59)이 끼워져 상기 블레이드를 항상 캠수단(60)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60)은 외측 세로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대(51)의 일측 축(511)단에 일체로 형성된 이동캠(602)과, 상기 경사면과 접면되면서 동일한 경사면을 갖고 외측으로 축(603)이 형성되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회전 캠(60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2)은 감광드럼(28)의 일측축(281)에 구동기어(62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캠(601)의 외주에 구동기어(621)에 치함되는 종동 기어(6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KR1019950033617A 1995-09-30 1995-09-30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KR016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617A KR0165617B1 (ko) 1995-09-30 1995-09-30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617A KR0165617B1 (ko) 1995-09-30 1995-09-30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62A KR970016862A (ko) 1997-04-28
KR0165617B1 true KR0165617B1 (ko) 1999-03-20

Family

ID=1942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617A KR0165617B1 (ko) 1995-09-30 1995-09-30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6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62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356A (en) Gear mounting using tubing and snap-fit caps
US5572293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leaning a charge inducing member
US3722018A (en) Cleaning apparatus
KR100247983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JPH05119678A (ja) 複式作動のブレード清掃装置
JP2938027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感光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00051782A (ko) 인쇄기기의 전사롤러 및 감광매체 크리닝장치
US4899198A (en) Dual purpose cleaning apparatus
JP2000194216A (ja) 定着装置
KR0165617B1 (ko)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US498223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leaning means
US5450186A (en) Retractable flexible cleaner brush
KR200144746Y1 (ko)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JP2745726B2 (ja) 帯電装置
JPH05188738A (ja) 接触帯電装置
JPH102935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0949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538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9134056A (ja) 画像形成装置
JP418166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帯電器
JP388960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43042A (ja) カム作動機構
JPS6349228B2 (ko)
JPH0821494A (ja) 駆動伝達装置
JPH0824874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