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3514B1 - 미백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514B1
KR0163514B1 KR1019950046167A KR19950046167A KR0163514B1 KR 0163514 B1 KR0163514 B1 KR 0163514B1 KR 1019950046167 A KR1019950046167 A KR 1019950046167A KR 19950046167 A KR19950046167 A KR 19950046167A KR 0163514 B1 KR0163514 B1 KR 016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ine
cosmetic composition
arbutin
whitening cosmetic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819A (ko
Inventor
김정아
송영숙
경기열
이천구
윤명석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5004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514B1/ko
Publication of KR97003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 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을 사용하는 제품에 베타인 및 감초산 유도체를 첨가함으로써 알부틴의 경피흡수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성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을 사용하는 제품에 베타인 및 감초산 유도체를 첨가함으로서 알부틴의 경피흡수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성을 현저히 개선시킨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에 의해 결정되어지는데, 이는 체내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으로부터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의해 만들어진다. 티로시나제는 자외선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기 때문에, 햇빛에 많이 노출될 경우 피부가 검게 변하게 된다는 것을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국내 및 일본등지에서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들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들은 대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들을 배합한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종래의 티로시나제의 활성억제제로서 미백화장품에 배합되는 원료들에는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상백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알로에추출물, 황금추출물 등의 식물추출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코직산, 알부틴, 유용성감초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미백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일본특허공개 제94-56642호, 제94-56643호 및 제94-56644호서는 특정의 베타인 유도체(탄소수가 8-24) 1종 또는 2종 이상과 고급지방산,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또는 아실메틸타우린을 각각 1종씩 함유시켜 알부틴의 경피흡수를 촉진시킨 예가 있는데, 이들은 어느 정도 경피흡수를 촉진시킬 수는 있지만 피부를 자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미백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안정성이 우수한 미백화장료를 발명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을 사용하는 제품에 천연보습성분인 베타인을 첨가할 경우 알부틴의 용해성을 높여 경피흡수를 증대시키며, 여기에 감초산 유도체로서 디포타슘 글리시레티네이트 또는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를 첨가할 때 피부 자극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부틴은 신선한 산악지방에서 자생하는 월귤나무류(bearberry, blueberry, cranberry등)에 다량 존재하는 천연의 당유도체로 멜라닌 생성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화성을 억제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현존하는 여타의 유효성분인 히드로퀴논, 코직산, 비타민 C등에 효능·효과, 안정성 및 안전성 등의 종합적인 면에서 그 상대적인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는 물질로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감초산 유도체는 감초에서 얻어진 감초산에 스테아릴 알콜을 결합시킨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와 감초산을 수산화 칼륨으로 중화시킨 디포타슘 글리시레티네이트의 1종 또는 2종을 선택 사용하는데, 여기서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는 유용성, 디포타슘 글리시레티네이트는 수용성 성분으로 이들은 감초산 자체에 비하여 항염증효과뿐만 아니라, 안정성 및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하여 의약품으로 쓰이고 있는 인도메타신 및 화장품에서 쓰이는 대표적으로 항염성 물질인 비사보롤에 준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도메타신은 의약품용으로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으며, 비사보롤은 부작용이 상당히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초산의 수용성 유도체인 디포타슘 글리세티네이트도 함염증 효과는 우수하나, 염의 형태로 되어 있어 유화제품에의 적용시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에 사용된 베타인(betaine, trimethylglycine)은 사탕무우의 부산물인 당밀로부터 분리 정제시켜 얻어진 천연물질로서 보습성, 안전성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하기 일반식 (Ⅱ)로 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부틴 0.1~20중량%, 감초산 유도체 0.01~2.0중량%, 베타인 단독또는 베타인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 2~2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알부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양이 매우 작아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중량% 초과시에는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제제화시키기 어렵다. 또한, 감초산 유도체의 함량은 0.01~2.0중량%가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0.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 초과시에는 그 효과가 그다지 증대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베타인 역시 1 내지 2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통상적인 화장수 처방에 항염증 성분으로서 디포타슘 글리시레티네이트를 사용하고 경피흡수 촉진제로서 베타인 단독(실시예 1) 또는 베타인에 글리세린을 5:5 비율로 혼합(실시예 2)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은 글리세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비교예 2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것, 비교예 3은 글리세린과 프로필렌글리콜을 혼합사용한 것이다.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상과 알코올상을 각각 실온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수상에 알코올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500 내지 1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및 비교예 4~7]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6은 유화형 에센스 제품에 항염증 성분으로서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를 사용하였고, 경피흡수 촉진제로서 실시예 3은 베타인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실시예 4는 베타인에 글리세린을 혼합사용한 것, 실시예 5는 베타인에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사용한 것, 실시예 6은 베타인에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4는 글리세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비교예 5는 1,3-부틸렌글리콜을 단톡으로 사용한 것, 비교예 6은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사용한 것, 비교예 7은 베타인에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사용하였으며, 비교예 6~7은 항염증 성분인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는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방법으로는 표 2의 조성에 따라 유상을 65℃, 수상을 60~65℃로 가열 용해시킨 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4000 내지 5000rpm으로 2 내지 4분간 교반 후 이어서 중화제 및 에탄올, 방부제, 향료를 서서히 투입하여 4000 내지 5000rpm으로 4 내지 5분간 교반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피부 1차 자극성시험(첩포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약 0.2g)을 첩포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초산 유도체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3,6 및 7은 다른 예들에 비해 높은 자극도를 나타내었다.
[경피흡수 측정시험]
알부틴에 대한 경피흡수 촉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헤어리스마우스의 피부를 이용해 피부투과시험을 행하였다. 직경 15.0밀리미터의 피부표면에 시료를 각각 48마이크로리터씩 주입하고 경피흡수 실험기기(Franz형 확산 셀, Hanson사)를 이용하여 24시간 후에 투과된 알부틴의 양을 HPLC법(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으로 정량하여 표 4에 투과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베타인을 함유한 실시예 3 내지 6이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하여 경피흡수가 현저히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알부틴 0.1~20중량%, 감초산 유도체 0.01~2.0중량%, 베타인 단독 또는 베타인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 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부틴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감초산 유도체는 디포타슘 글리시레티네이트 또는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베타인은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천연식물 유래의 아미노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4
KR1019950046167A 1995-12-02 1995-12-02 미백화장료 조성물 KR016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167A KR0163514B1 (ko) 1995-12-02 1995-12-02 미백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167A KR0163514B1 (ko) 1995-12-02 1995-12-02 미백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19A KR970032819A (ko) 1997-07-22
KR0163514B1 true KR0163514B1 (ko) 1998-12-01

Family

ID=1943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167A KR0163514B1 (ko) 1995-12-02 1995-12-02 미백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5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WO2002055047A1 (en) * 2001-01-10 2002-07-18 Cotde, Inc.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rbutin and glucosidase as active ingredients
KR100424728B1 (ko) * 2001-05-28 2004-03-30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41B1 (ko) * 1997-06-13 2004-11-03 애경산업(주) 혼합 미백제조성물
KR100374965B1 (ko) * 1998-01-08 2003-06-11 주식회사 참 존 루틴을이용한알부틴안정화및미백효과유지방법
MY137132A (en) * 1999-07-12 2008-12-31 Splash Mfg Corp A skin care composition for the skin cell renewal, reduction of comedones smoothing action, skin smoothening and skin pore refinement
KR20030079111A (ko) * 2002-04-02 2003-10-10 학교법인 경북과학대학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 2002-05-21 2005-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250894B1 (ko) * 2010-11-02 2013-04-04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인텐시브 화이트닝 잔톡시럼컴포지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슬리핑 워터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WO2002055047A1 (en) * 2001-01-10 2002-07-18 Cotde, Inc.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rbutin and glucosidase as active ingredients
KR100389983B1 (ko) * 2001-01-10 2003-07-0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알부틴과 글루코시다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백제
KR100424728B1 (ko) * 2001-05-28 2004-03-30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19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4310B8 (en) Stabilized ascorbyl compositions
DE69600012T2 (de) Verwendung von Salicylsäure-Derivativen zur Hautbleichung
JP3638832B2 (ja) 少なくとも1のクワの抽出物、少なくとも1のタツナミソウの抽出物および少なくとも1のサリチル酸誘導体を含む化粧用及び/又は皮膚科学用組成物
KR0161676B1 (ko) 피부백색제
JP3135943B2 (ja) 美白剤
JPH05306231A (ja) 皮膚外用剤
KR0163514B1 (ko) 미백화장료 조성물
JP2552297B2 (ja) 美肌化粧料
JP2003306419A (ja) 化粧料
JP2986966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552298B2 (ja) 美肌化粧料
KR100447441B1 (ko) 혼합 미백제조성물
JPH0899859A (ja) 皮膚外用剤
JP3140876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S61176510A (ja) 美白化粧料
JPH09255551A (ja) 皮膚外用剤
JPS61194008A (ja) 化粧料
JPH0648925A (ja) 白髪防止剤
KR100567373B1 (ko) 액정젤 미백 화장료 조성물_
JPH11180854A (ja) 皮膚外用剤
JP3503205B2 (ja) チロシナ−ゼ活性阻害剤並びに皮膚保湿剤
JPS62120312A (ja) 美肌化粧料
KR100258613B1 (ko) 폴리히드록시디페닐프로판올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피부미백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5996706B1 (ja) ツルムラサキエキス及びその美白、日焼け防止の用途への使用
KR20030037106A (ko) 니코틴아미드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