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2926B1 -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26B1
KR0162926B1 KR1019940015635A KR19940015635A KR0162926B1 KR 0162926 B1 KR0162926 B1 KR 0162926B1 KR 1019940015635 A KR1019940015635 A KR 1019940015635A KR 19940015635 A KR19940015635 A KR 19940015635A KR 0162926 B1 KR0162926 B1 KR 016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cam plate
elastic force
cov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686A (ko
Inventor
슈이치 가와모토
유지 하야시
타다오 고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0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의 부착 등에 의해 자동 이륜차의 스탠드가 록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스탠드(36)는 프레임 즉, 미드 크로스부재(5)에 용접된 스탠드 브라켓(37)에 피봇축(38)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탠드브라켓(37)에 볼트(49)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캠판(48)은 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쇄선으로 표시되는 언록상태로 힘이 부가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 와이어(52)를 매개로 캠판(48)을 실선으로 표시한 록 상태로 회동시키면, 캠판(48)이 스탠드(36)에 형성된 슬릿(45)에 걸려서 상기 스탠드(36)를 록한다. 흙의 부착 등으로 캠판(48)의 동작이 저해되어도, 조작레버로 캠판(48)을 강제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스탠드(36)를 확실하게 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제1도는 스쿠터형 차량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동 전체 평면도.
제3도는 차체커버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5-5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6-6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차체커버를 제거한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요부확대도.
제9도는 제8도의 선9-9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선10-10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11부 확대도(제12도의 선11-11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12-12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4도의 요부확대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14-14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15-15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배터리의 고정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상기 제6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7도는 스탠드 스토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상기 제13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8도는 제17도의 18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제19도는 제17도의 선19-19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20도는 제17도의 선20-20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21도는 스탠드의 지지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상기 제8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22도는 제21도의 선22-22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6 : 스탠드 48 : 캠 판(록 부재)
50 : 스프링(탄성력 인가수단) 51 : 조작레버(조작수단)
52, 72 : 보든(Bowden)식 브레이크 와이어
본 발명은 차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기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스윙하는 스탠드를 구비한 자동 이·삼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록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4-71971호 공보에 의해 공지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록 장치는, 스탠드에 걸어 맞춰서 상기 스탠드를 기립위치에 록하는 록 핀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고, 조작핸들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발해서 록 핀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탠드의 록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록 핀을 잠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것에서는, 록 핀의 계합부에 흙이 잔뜩 쌓였을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력만으로 록 핀을 잠그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하여 조작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록 장치에 흙이 잔뜩 쌓인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록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자동 이·삼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기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스윙하는 스탠드를 구비한 자동 이·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를 기립위치에서 잠그는 록 상태 및 기립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의 스윙을 허용하는 언록(unlock)상태 사이를 이동가능한 록 부재와, 이 록 부재를 언록 상태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력 인가수단과,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탄성력 인가수단의 탄성력에 반발해서 록 상태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쿠터형 차량(V)의 골격을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F)은 강관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전단에 위치하는 헤드파이프(1)와, 이 헤드파이프(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출하는 다운튜브(2)와, 이 다운튜브(2)의 하단근방으로부터 차체의 뒤쪽상방으로 뻗어 상부에서 봤을 때 개략적으로 타원형상을 이루는 리어프레임(3)과, 이 리어프레임(3)의 프론트, 중앙부 및 후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프론트 크로스부재(4), 미드 크로스부재(5) 및 리어 크로스부재(6)를 구비한다. 헤드파이프(1)에 조향가능하게 지지된 프론트포크(7)의 상단에는 조향핸들(8)이 설치되고, 또 하단에는 전륜(wf)이 축지된다. 후륜(Wr)이 축지된 파워유니트(P)의 전단이 상기 미드 크로스부재(5)에 링크기구(9)를 개재하여 상하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파워유니트(P)의 후부와 리어 크로스부재(6)가 리어쿠션(10)을 통해서 접속된다.
본체프레임(F)의 바깥둘레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커버(C)에 의해 덮여진다. 본체커버(C)는 복수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헤드파이프(1)의 프론트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커버(11)와, 이 프론트커버(11)의 뒷면에 접합되어 승차자의 다리부분의 전방을 덮은 레그실드(leg shield)(12)와, 상기 프론트커버(11) 및 레그실드(12)의 좌우양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프론트 차체의 측면을 덮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사이드커버(13L, 13R)와, 레그실드(12)의 뒷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승차자의 발 언저리를 지지하는 바닥보드(14)와, 이 바닥보드(14)의 하부면을 덮는 언더커버(15)와, 바닥보드(14)의 좌우양측 가장자리 및 프론트사이드커버(13L, 13R)의 후부 윗가장자리에 접속되어 후부 차체의 측면을 덮는 좌우 한쌍의 리어하부커버(16L, 16R)와, 이 리어하부커버(16L, 16R)의 윗가장자리 및 바닥보드(14)의 윗가장자리에 접속되는 리어상부커버(17)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어상부커버(17)의 후부에는 후륜(Wr)의 상부를 덮는 리어펜더(18)가 장착된다.
리어상부커버(17)는 전후부 및 양측부가 벽면으로 둘러싸여져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환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써 구성된다. 리어상부커버(17)의 후단에는 폐쇄된 둘레를 가지는 개구(1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71)에 테일램프를 덮는 테일렌즈(19)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리어상부커버(17)를 좌우로 2분할하지 않고 일체화하며, 또한 이 리어상부커버(17)에 형성된 개구(171)의 테일렌즈(19)를 끼워 맞추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본체커버(C)와 테일렌즈(19)의 위치조정 작업이 용이해지며, 또한 이들 양자의 접합부에 단차나 간극이 없는 미려한 마감을 얻을 수 있다.
리어상부커버(17)의 상부면 개구부는, 전단에서 힌지 결합된 시이트(20)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피복된다. 리어상부커버(17)의 내부에는 헬멧 등을 수납하는 수화물(luggage)박스(21)가 끼워져 있고, 상기 시이트(20)는 수화물박스(21)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겸하고 있다.
다음제 제4도∼제6도에 의거하여 배터리 수납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리어상부커버(17)로 덮여진 리어펜더(18)의 전단은 수화물박스(21)의 뒷벽에 당접해 있고, 그 부분에 배터리박스(26)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터리박스(26)의 전단은 수화물박스(21)의 뒷벽에 형성된 개구부(211)에 개구되어 있으며, 시이트(20)를 전방으로 들어올린상태에서, 수화물박스(21)의 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211)를 통해서 배터리박스(26)의 내부에 배터리(27)를 출입시킬 수 있다. 직방체 형상의 배터리(27)는 액이 새지 않는 밀폐식의 것으로, 직방체의 변들 가장 짧은 변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옆으로 눕혀 배치된다.
수화물박스(21)의 개구부(211)를 착탈이 자유롭게덮는 뚜껑체(28)는, 하부에 형성된 2개의 계지클릭(281, 281)을 리어펜더(18)의 앞벽에 걸리게 하고, 또한 상부를 체결수단(29)으로 수화물박스(21)의 뒷벽에 결합함으로써, 도시한 위치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된다. 뚜껑체(28)의 뒷면에는 배터리박스(26)내에 수납된 배터리(27)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27)의 앞면을 압압하는 압압돌기(282)가 형성된다.
배터리박스(26)의 상부에는 오일탱크(30)가 지지된다.
오일탱크(30)의 상부면에는 절결부(3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301)에 배터리박스(26)의 뒤쪽상부가 끼워짐으로써, 오일탱크(30)와 배터리박스(26)의 간섭이 방지된다. 오일탱크(30)의 중앙 상부면에 형성된 주유구(302)는, 수화물박스(21)의 후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오일받이접시(212)를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고, 그곳에서 캡(31)이 나사결합된다. 시이트(20)가 제6도의 위치에 록되어 있을 때, 시이트(20)의 후단부로 캡(31)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상기 캡(31)의 착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일탱크(30)의 좌우 상부면에는 레벨게이지의 단자(32)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27)를 그 상하방향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가로로 놓고, 리어펜더(18)의 상부면과 오일탱크(30)의 하부면 사이에 배설함으로써, 차체후부의 좁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배터리(27) 및 오일탱크(30)를 합리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7)를 수화물박스(21)의 내부를 통해서 출입시키고 있으므로, 본체커버(C)나 오일탱크(30)를 떼어내지 않고 배터리(27)를 교환할 수 있으며, 또 유지보수성의 향상 및 배터리(27)의 도난방지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제7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하여 스탠드의 록 기구의 구조를 설명한다.
스쿠터형 차량(V)의 차체를 지지하는 스탠드(36), 본체프레임(F)의 미드 크로스부재(5)에 용접된 접시 형상의 스탠드브라켓(37)의 후단에 좌우방향으로 뻗은 피봇축(38)을 통해서 전후 스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스탠드(36)는 상기 피봇축(38)에 지지된 스탠드커버(39)와, 이 스탠드커버(39)의 후면에 용접된 스탠드 본체(40)로 구성되어 있고, 스탠드브라켓(37)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토글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하는 격납위치와 제7도에 도시하는 기립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스탠드(36)의 기립위치는 스탠드커버(39)의 앞면이 스탠드브라켓(37)의 뒷벽에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스탠드브라켓(37)의 후부 내면과 스탠드커버(39)의 뒷면에는 각각 보강부재(42, 43)가 용접된다. 스탠드(36)가 기립상태에 있을 때, 보강부재(42), 스탠드브라켓(37), 스탠드터버(39) 및 보강부재(43)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이 상태에서 보강부재(42) 및 스탠드브라켓(37)을 관통하는 슬릿(44)과, 스탠드커버(39) 및 보강부재(43)를 관통하는 슬릿(45)이 상호 대향한다. 스탠드브라켓(37)의 내부에는 기판(46)이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기판(46)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461)(제8도 참조)를 보강부재(42)에 형성된 홈(421)(제9도 참조)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기판(46)이 회동지지되어 있다.
기판(46)의 상부면에는 캠판(48)이 볼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캠판(48)에 설치한 스프링훅(481)과 기판(46)에 설치한 스프링훅(462)사이에 스프링(50)이 팽팽히 설치된다. 캠판(48)은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제9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으며, 제9도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판(48)에 설치한 스토퍼(482)가 기판(46)에 설치한 브라켓(463)에 당접하는 언록위치에서 정지한다. 캠판(48)이 상기 언록위치에 있을 때, 캠판(48)은 스탠드커버(39) 및 보강부재(43)의 슬릿(45)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탠드(36)는 스윙가능한 상태가 된다.
캠판(48)을 록위치 및 언록위치사이에서 회동시키는 조작레버(51)는 록 가능한 시이트(20)에 의해 피복되는 수화물박스(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방지를 꾀할 수 있다. 조작레버(51)와 캠판(46)을 연결하는 보든(Bowden)식 브레이크 와이어(52)는 아우터 튜브(53)와 이너 케이블(54)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우터 튜브(53)의 일단은 기판(46)의 상기 스프링훅(481)에 연결 고착된다. 따라서, 이너 케이블(54)을 당김으로써 스프링(50)의 탄성력에 반발해 캠판(48)을 제9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캠판(48)이 스탠드커버(39) 및 보강부재(43)의 슬릿(45)에 끼워져서 스탠드(36)는 기립위치로 록된다.
제7도 및 제10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수화물박스(21)의 후벽면에 핀(55)을 매개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조작레버(51)는 수화물박스(21)에 2개의 볼트(56, 56)로 고정한 브라켓(57)의 상부면에 형성한 가이드면(571)에 의해 좌우의 스윙범위가 규제된다. 수화물박스(21)를 후방으로 관통하는 핀(55)의 후단에는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2)의 이너 케이블(54)이 결착된 암(58)이 고착된다. 또한, 제10도의 부호 '213'은 시이트(20)의 후단에 설치된 후프(59)(제7도 참조)가 끼워지는 슬릿이고, 부호 '60'은 상기 후프(59)에 걸어서 시이트(20)를 폐쇄위치로 록하는 훅이다.
그리고, 조작레버(51)를 제10도의 실선위치로 조작하면, 이너 케이블(54)이 당겨지고, 캠판(48)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반발해서 제9도의 실선위치로 회동하여, 스탠드(36)가 기립위치에 록된다. 이때 상기 암(58)과 이너 케이블(54)의 결착점(a)이 사점(dead point)(b)가 되는 핀(55)의 중심을 넘어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레버(51)는 실선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한다. 반대로, 조작레버(51)를 제10도의 쇄선위치로 조작하면 이너 케이블(54)이 느슨해지고, 캠판(48)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제9도의 쇄선위치로 회동하여, 스탠드(36)의 록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암(58)과 이너 캐이블(54)의 결착점(c)이 사점(b)를 넘어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레버(51)는 쇄선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50)의 탄성력이 아닌 조작레버(51)의 조작력에 의해 브레이크 와이어(52)의 이너 케이블(54)을 당겨서 캠판(48)을 록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있으므로, 스탠드(36)의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 근방에 흙 등이 부착되어 있어도 조작레버(51)를 강하게 조작함으로써 캠판(48)을 확실하게 슬릿(45)에 걸어서 스탠드(36)를 록할 수 있다.
다음에 시이트(20)의 회동지지 구조를 제11도 및 제1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시이트(20)는 합성수지제의 바닥판(65)과, 이 바닥판(65)의 상부면에 서로 겹쳐진 쿠션재(68)와, 이 쿠션재(68)를 덮는 표피(67)로 구성된다.
바닥판(65)의 전단 하면에는 좌우 한 쌍의 브라켓(651, 651)과, 양 브라켓(651, 651)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부(652)와, 좌측의 브라켓(651)의 근방에 위치하는 3개의 핀 걸림돌기(653, 654, 654)가 아래를 향해 돌출 설치된다. 수화물박스(21)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시이트 지지암(214)과, 이 시이트 지지암 (214)의 전단에 설치된 스토퍼부(215)가 형성된다. 시이트(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핀(66)은 축부(661) 및 걸어맞춤부(662)를 구비한 L자 형상의 바(bar)로 이루어지며, 축부(661)가 시이트(20)의 바닥판(65) 좌측의 브라켓(651), 시이트 지지암(214) 및 우측의 브라켓(651)에 삽입 관통되며, 이로 인해 시이트(20)의 전단이 수화물박스(21)에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때 핀(66)의 걸어맞춤부(662)의 선단은 상기 3개의 핀 걸림돌기(653, 654, 654)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상기 핀(66)을 장착하려면은 축부(661)를 좌우의 브라켓(651, 651) 및 시이트 지지암(214)에 삽입 관통시킨 후, 시이트(20)를 제11도에 쇄선으로 도시한 개방위치로 스윙시켜서 바닥판(65)의 스토퍼부(652)를 수화물박스(21)의 스토퍼부(215)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핀(66)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켜서 2개의 핀 걸림돌기(654, 654)사이에 그들을 좌우로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 맞추고, 나머지의 핀 걸림돌기(663)에 당접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시이트를 제1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폐색위치로 스윙시켜서 록하면, 핀(66)의 걸어맞춤부(662)가 수화물박스(21)의 좌측전단의 d점에 대향하기 때문에, 이 핀(66)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스윙시켜서 상기 핀 걸림돌기(653, 654, 654)로부터 이탈시킬 수없게 된다.
그리고, 시이트(20)가 폐쇄위치에 록되면 핀(66)을 빼낼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수화물박스(21)내의 물품의 도난이 방지될 뿐 아니라, 수화물박스(21)내에 설치된 조작레버(51)를 조작하여 스탠드(36)의 록을 해제할 수도 없게 되어, 차량 차체의 도난도 방지된다.
다음에 제7도 및 제13도 내지 제15도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와이어의 지지구조를 설명한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유니트(P)의 후단에 설치된 후륜(Wr)의 브레이크 암(71)에는 파워유니트(P)의 하부면을 따라 차체 전방으로 뻗은 브레이크 와이어(72)가 접속된다. 브레이크 와이어(72)의 중간부는 브라켓(73)에 의해 파워유니트(P)에 고정된다.
제13∼제15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브라켓(73)은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플레이트체로 이루어지며, 파워유니트(P)의 좌우 케이싱을 결합하는 볼트(74, 74)에 의해 조여진다. 브라켓(73)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브레이크 와이어 지지부(731)을 구비하며, 그 상부면에 재치된 브레이크 와이어(72)가 2개의 파지클릭(732, 733)에 의해 고정된다. 한 쪽의 파지클릭(732)은 브레이크 와이어 지지부(731)의 바깥 가장자리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상부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서 브레이크 와이어(72)의 외측면 및 상부면을 클램프한다. 또 다른 쪽의 파지클릭(733)은 브레이크 와이어 지지부(731)의 일부를 절단해 일으켜 세움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상향으로 절곡되어서 브레이크 와이어(72)의 내측면을 클램프한다.
브레이크 와이어 지지부(731)의 하부면에는 고무제의 스탠드 스토퍼(75)가 2개의 볼트(76, 76)에 의해 고착된다. 스탠드(36)가 제13도에서 쇄선으로 도시되는 격납위치에 있을 때, 그 스탠드 본체(40)가 스탠드 스토퍼(75)의 하부면에 당접한다. 따라서, 스탠드(36)를 격납할 때, 토글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스탠드(36)의 충격을 스탠드 스토퍼(75)에 의해 흡수할수 있다. 또 브레이크 와이어(72)를 스탠드 스토퍼(75)의 브라켓(73)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특별한 지지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제16도는 배터리의 고정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변형예는 리어펜더(18)와 일체로 형성된 배터리박스(26)의 상부면 및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그 곳에 수납된 배터리(27)가 리어펜더(18)의 상부면에 비스(81)로 고정된 고무 등의 가요성재료로 형성된 밴드(82)에 의해 지지된다. 밴드(82)는 배터리(27)의 상부면 및 앞면을 눌러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하고, 그 선단에 설치한 훅(83)에 의해 리어펜더(18)의 전단에 고정된다.
제17도∼제20도는 스탠드 스토퍼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는 파워유니트(P)의 왼쪽 케이스(84)와 왼쪽 커버(85)사이에 삽입된 가스킷(86)의 일부를 상방으로 팽대시켜서 스탠드 스토퍼(87)로 하고, 이 스탠드 스토퍼(87)의 하부면에 격납위치에 있는 스탠드(36)를 당접시키고 있다. 스탠드 스토퍼(87)의 우측면에는 차체 전후방으로 뻗은 케이블 보존 홈(871)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 보존 홈(871)에 후륜(Wr)의 드럼 브레이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와이어(72)가 끼워져서 지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탠드 스토퍼(87) 및 브레이크 와이어(72)를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가 일절 필요하지 않게 되어 부품수를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파워유니트(P)의 하부면에 돌출 설치된 스탠드 브라켓(88)의 좌측면에는 홈(88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881)에 스탠드(3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축(89)의 헤드부(891)가 끼워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별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피봇축(89)의 회동을 멈추게할 수 있게 된다. 또 스탠드(36)가 실선으로 표시되는 격납위치에 있을 때, 스탠드 본체(40)의 선단부(401)가 파워유니트(P)의 좌측면에 설치된 킥 페달(90)의 선단부 하측에 대향한다. 이로 인해 스탠드(36)를 격납시킨 상태에서 잘못해서 킥 페달(90)을 조작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제21도 및 제22도는 스탠드의 지지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는 스탠드 브라켓(37)에 좌우방향으로 가설된 피봇 축(38)에, 스탠드 커버(39)가 회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된다. 즉, 스탠드 커버(39)의 좌우상부에 형성된 보스부(391, 391)의 내면에 환형상의 고무 브러쉬(91, 91)의 바깥둘레가 눌러붙음으로써 고정되고, 이 고무 브러쉬(91, 91)의 내주에 눌러붙음으로써 고정된 칼라(92, 92)가 상기 피봇축(38)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파워 유니트(P)로부터 스탠드(36)로의 진동전달이 효과적으로 억제됨과 동시에, 스탠드(36)를 기립시켰을 때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스쿠터형의 자동이륜차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스쿠터형 이외의 자동 이·삼륜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수동조작레버(51)로 캠판(48)을 동작시키고 있으나, 상기 조작레버(51) 대신에 전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탠드의 록부재를 탄성력 인가수단에 의해 언록상태를 향해 힘을 가하고, 이 록부재를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탄성력 인가수단의 탄성력에 반발해서 록상태로 이동시키고 있으므로, 흙의 부착 등의 이유로 록 부재의 동작이 악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수단의 조작력으로 강제적으로 록 부재를 록 상태로 이동시켜서 스탠드를 록 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기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스탠드(36)를 구비한 자동 이·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36)를 기립위치에서 고정하는 록(lock)상태 및 기립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언록상태로 이동가능한 록부재(48); 상기 록부재(48)를 언록상태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력 인가수단(50); 및 상기 록부재(48)를 상기 탄성력 인가수단(5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상태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KR1019940015635A 1993-08-31 1994-06-30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KR0162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16360A JP2923829B2 (ja) 1993-08-31 1993-08-31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スタンドロック装置
JP93-216360 1993-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686A KR950005686A (ko) 1995-03-20
KR0162926B1 true KR0162926B1 (ko) 1998-12-01

Family

ID=1668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635A KR0162926B1 (ko) 1993-08-31 1994-06-30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923829B2 (ko)
KR (1) KR0162926B1 (ko)
CN (1) CN1051287C (ko)
ES (1) ES2113791B1 (ko)
FR (1) FR2709464B1 (ko)
IT (1) IT1268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9367B2 (ja) * 1995-10-26 2005-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スタンド
CN100519318C (zh) * 2004-08-04 2009-07-29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全地形车辆置物箱
ATE383277T1 (de) * 2005-03-07 2008-01-15 Kwang Yang Motor Co Handschuhfach für geländefahrzeug
JP2014058187A (ja) * 2012-09-14 2014-04-03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
NL2024963B1 (en) 2020-02-21 2021-10-13 Koninklijke Gazelle N V Kicksta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658Y2 (ja) * 1978-08-10 1983-03-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センタ−スタンドロツク装置
JPS6133374A (ja) * 1984-07-26 1986-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メインスタンド装置
JPS6136484U (ja) * 1984-08-08 1986-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メインスタンド装置
JP3120855B2 (ja) * 1990-07-11 2000-12-2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スタンドロック装置
JPH05246359A (ja) * 1991-03-18 1993-09-2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メイン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87C (zh) 2000-04-12
ES2113791A1 (es) 1998-05-01
FR2709464B1 (fr) 1997-06-06
CN1109011A (zh) 1995-09-27
JP2923829B2 (ja) 1999-07-26
KR950005686A (ko) 1995-03-20
ITTO940688A0 (it) 1994-08-30
ITTO940688A1 (it) 1996-03-01
JPH0769257A (ja) 1995-03-14
FR2709464A1 (fr) 1995-03-10
ES2113791B1 (es) 1998-11-16
IT1268093B1 (it) 199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663B2 (en) Guard structure for vehicle seat lock
US7207470B2 (en) Structure of mounting saddle bag in two-wheeled motor vehicle
EP2392507A1 (en) Motorcycle
EP2003045B1 (en) Motorcycle
JP2981963B2 (ja)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バッテリ配置構造
KR0165569B1 (ko) 자동 2.3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스토퍼구조
KR0162926B1 (ko)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JP2952799B2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ボディカバー構造
EP2141066B1 (en) Motorcycle
JP4156918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ロック構造
JP2022113572A (ja) パニアおよびこれを備えた乗物
JP4010762B2 (ja) 自転車のハンドルレバー
JPH11227658A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KR100715176B1 (ko)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JP4421751B2 (ja) 車両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2530818B2 (ja) 自動二,三輪車のヘルメツト保持構造
JP2925448B2 (ja) 自動2・3輪車のスタンド装置
JP2008044611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3611628B2 (ja) 鞍乗型車両の盗難防止用ロック具の収納装置
JP7366959B2 (ja) シートロック装置
JP4200839B2 (ja) 車両における収容部構造
JPH0738064Y2 (ja) 2輪車のステップ装置
JPH0529990Y2 (ko)
JP2002068047A (ja) 自動二輪車用サドルバッグのロック構造
JPH04183689A (ja) オイルタンクの注入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