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2023B1 - 볼트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볼트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023B1
KR0162023B1 KR1019950000008A KR19950000008A KR0162023B1 KR 0162023 B1 KR0162023 B1 KR 0162023B1 KR 1019950000008 A KR1019950000008 A KR 1019950000008A KR 19950000008 A KR19950000008 A KR 19950000008A KR 0162023 B1 KR0162023 B1 KR 016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ston
cylinder
cavity
screw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836A (ko
Inventor
요시아키 야마구치
다다시 가와무라
겐지 시부야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도시유키
고토부키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도시유키, 고토부키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도시유키
Publication of KR9600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25B29/02Bolt tens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4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maintaining a tensile load
    • F16B31/043Prestressed connections tensioned by means of liquid, grease, rubber, explosive char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력을 소정의 힘으로 조정가능하게 하고, 볼트체결장치를 손으로 떠받치는 일없이 볼트로 지지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전체의 구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경량화하여 착탈 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볼트체결장치는 출력기구(A)와 입력기구(B)로 구성되고, 출력기구(A)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1) 및 피스톤(2)과, 피스톤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는 볼트구멍(3)과,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스톤은 실린더에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공간부를 두고 맞닿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입력기구(B)는 공간부와 연결통로(5)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그리스를 충전하고 있는 공동부(6)와, 이 공동부 안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공동부 및 공간부로 그리스를 압압하기 위한 스크루 플런저(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볼트체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볼트를 푼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볼트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 C-C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볼트를 푼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확대 우측면도.
제9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볼트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볼트를 푼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1a : 블록부
2 : 피스톤 3 : 볼트구멍
4 : 공간부 5 : 연결통로
6 : 공동부 7 : 스크루 플런저
8 : 볼트 8a : 볼트해드부
9 : 너트 11 : 로크너트
17 : 압력조절밸브 18 : 볼트체결력 표시기
20 : 토크렌치(회전토크조정장치) 25 : 로크볼트
A : 출력기구 B : 입력기구
D : 이동량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볼트체결작업의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능률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볼트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 출원인은 일본 실개평 6-34802호 공보에 기재된 롤러 가이드의 볼트체결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볼트체결장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한 끝부분에 실린더내의 공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에서 체결해야 할 볼트와 나사결합가능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축심부에 설치된 공동부(公同部)와, 이 공동부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크루 플런저와, 상기 실린더의 다른 끝부분쪽의 내부에 배치된 접시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단면에 맞닿을 수 있는 로크너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 볼트체결장치에서, 공동부의 단면적과 공간의 피압 단면적의 비는 1 : 3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공동부 및 공간부의 각각의 내부에는 그리스가 충전되어 있다.
볼트의 체결작업을 설명한다.
본 장치를 손으로 잡고, 피스톤 선단의 암나사부에 클램프 플레이트를 관통시켜 체결해야할 볼트의 수나사부를 연결한다. 이 연결상태에서 스크루 플런저를 회전시키면, 이 스크루 플런저는 공동부내에 나사결합되면서 전진한다. 이 때문에, 스크루 플런저의 선단부는 공동부내의 그리스를 가압하므로, 실린더는 공간의 단면적과 공동부의 단면적비 3 : 1의 힘으로 클램프 플레이트쪽으로 압출된다. 이 압출작용에 의하여 접시스프링은 체결되고, 실린더와 로크너트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동시에 피스톤과 볼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 플레이트는 가압되고, 볼트는 인장된다. 그리고 실린더와 로크너트의 틈새가 없어질 때까지, 즉 양자가 접촉할 때까지 로크 너트를 체결하면, 볼트는 고정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볼트체결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품화되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이 볼트체결장치를 반복계속하여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점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1개선점은, 종래의 볼트체결장치는 볼트의 체결력을 제한하는 기능이나 볼트의 체결력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체결력을 얻기 어렵고 때로는 스크루 플런저를 지나치게 죈다는 것이다. 스크루 플런저를 지나치게 죄면, 실린더내에 설치되어 있는 O링의 내압을 초과하는 그리스 압력이 작용하여, O링이 절단됨으로써 본 장치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제2개선점은, 종래의 볼트체결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한 끝쪽(후단측)의 축심부에 스크루 플런저를 설치하고, 다른 끝쪽(선단부)의 축심부에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본 장치를 볼트에 부착할 때에, 무거운 본 장치를 한손 또는 양손으로 지지하여 볼트와의 선단에 암나사부를 맞추어 본 장치를 회전시키면서 볼트에 연결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볼트로의 본 장치의 부착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서 볼트의 체결작업의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장치의 구조 개량이 요망되어 왔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구조상 접시스프링을 생략하는 것을 고려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볼트체결장치에 의한 체결력을 소정의 힘으로 조정가능하게 하여 바람직한 체결력을 얻는 것이고, 둘째 볼트체결장치를 손으로 떠받치지 않고 볼트에 지지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의 구조를 소형화하고 경량화하여 볼트로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볼트체결작업의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볼트체결장치는 롤러 가이드와 같은 작업 압연기나 기타 일반범용기계 등에 사용되는 볼트를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장치의 제1특징은, 출력기구와 입력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기구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및 피스톤과, 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볼트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에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또한 상기 공간부를 두고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기구는 상기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고 압력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 및 공간부내의 압력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스크루 플런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볼트구멍에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에 개방된 관통구멍만으로 구성되는 것, 피스톤 및 실린더 쌍방에 개방되고 동일 직선 상에 연결된 관통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제1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공동부와 연이어 통해 있는 압력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압력조정밸브는 스크루 플런저로 가압하는 압력매체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제3특징은 제1 및 제2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공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력 표시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볼트 체결력 표시기는 스크루 플런저로 가압하는 압력매체의 가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제4특징은 제1, 제2 또는 제3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크루 플런저에 회전토크조정장치를 설치하고 이 회전토크조정장치로 스크루 플런저에 의해 압력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제5 특징은 제1 내지 4의 각 특징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구가 볼트를 체결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작용]
스크루 플런저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켜 공동부와 공간부에 충전되어 있는 압력매체를 가압하면, 피스톤은 스크루플런저의 단면적과 피스톤의 피압 면적의 비율에 의하여 스크루 플런저의 가압력이 배력화되어 압력매체를 가압하고, 볼트를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게되므로 볼트는 체결된다.
스크루 플런저를 나사결합시키는 힘을 토크렌치 등의 회전토크조정장치에 의하여 조정하면, 스크루 플런저가 공동부의 압력매체를 가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볼트에 소정의 체결력을 가할 수가 있다. 즉, 스크루 플런저에 부과되는 회전토크가 스크루 플런저에 설치된 회전토크조정장치로 소정의 토크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고, 스크루 플런저가 나사결합되어 가서, 설정된 토크를 초과하는 회전력이 가해지면, 회전토크조정장치가 작동하여 스크루 플런저에 가해지는 회전토크를 해제시키게 되어, 공동부의 압력매체를 가압하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볼트에 소정의 체결력을 가할 수가 있다. 이 회전토크조정장치로서, 시판중인 토크렌치를 사용하면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볼트를 일정한(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할 수가 있다.
압력조정밸브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력이 해제되도록 설정해놓은 후 스크루 플런저를 나사 결합시켜 가면, 공동부의 압력매체가 가압되어 공동보와 연이어 통해 있는 압력조정밸브에 압력매체의 압력이 전달되고, 압력조정밸브의 설정압력이 되면, 압력조정밸브가 작동하여 압력매체의 압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볼트에 소정의 체결력을 가할 수 가 있다.
볼트의 체결력을 조절하는 공정에 있어서, 압력조정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압력조정밸브를 소정의 볼트체결력으로 조정해 놓은 후, 스크루 플런저를 죄어 압력조정밸브로 체결력을 자동조정한다. 체결력 표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체결력 표시기를 보면서 스크루 플런저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볼트를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한다. 또 회전토크조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회전토크조정장치에 의해 스크루 플런저로 가압되는 압력매체의 가압력을 임의의 회전력으로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체결력으로 볼트를 체결한다.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볼트체결장치는 출력기구(A)와 입력기구(B)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기구(A)는 실린더(1)와 피스톤(2)으로구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인 볼트구멍(3)과,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실린더(1)의 축심부에는 피스톤(2)이 측심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량(D)만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2)과 실린더(1)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은 실린더(1)에 대하여 공간부(4)를 두고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은 그 축심부에 볼트(8)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인 볼트구멍(3)을 구비하고, 또 실린더(1)와 맞닿을 때의 실린더의 피압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도록 블록부(1a)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4)는 실린더(1)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통로(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결통로의 한 끝은 후술하는 압력기구(B)의 공동부(6)와 연결되고, 다른 끝은 플러그(10)에 의하여 닫혀져 있다.
또한, 플러그(10)는 공간부(4) 및 공동부(6) 각각의 내부에 압력매체인 그리스를 충전할 때에 실린더(1)로부터 일단 떼내어지고, 플러그(10)대신에 니플(도시하지 않음)으로 갈아끼워지고 공간부(4)에 그리스를 충전한다. 그리스를 충전한 후에는, 실린더(1)로부터 그리스 니플을 떼내고 다시 플러그(10)로 갈아끼운다.
또, 피스톤(2)의 한 끝(제1도 상단부) 외부에 로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로크너트(11)를 나사결합한다. 이 로크너트는 실린더(1)의 일단면에 맞닿을 수 있다. 피스톤(2)의 다른 끝부분은 실린더(1)의 다른 끝쪽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12)를 관통하고, 이 다른 끝 선단의 외주에 스토퍼링(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링은 피스톤(2)이 이동량(D)만큼 이동하면, 시트(12)의 내측으로 접촉분리가 가능하다.
14는 실린더(1)에 설치되어 있는 O링으로 이루어진 오일시일, 15는 피스톤(2)에 설치되어 있는 O링으로 이루어진 오일시일이다.
입력기구(B)는 공간부(4)와 연이어 통해 있으며 압력매체인 그리스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6)와, 스크루 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다. 공동부(6)는 실린더(1)이 측방(제1도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실린더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통형상의 유지부(1b)내에 설치되어 있다. 공동부(6)의 선단은 연결통로(5)와 접속되어 있다. 스크루 플런저(7)는 공동부(6)의 후단측에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스크루 플런저(7)는 축심부에 플러그(10)로부터 공동부(6) 및 공간부(4) 각각의 내부에 그리스를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탈기구멍(7a)을 갖고 있다. 탈기구멍(7a)의 한 끝쪽은 플러그(16)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스크루 플런저(7)는 회전토크조정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플러그(16)를 통해 회전됨으로써, 공동부(6)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루 플런저(7)의 이동에 동반하여 공동부(6) 내의 그리스는 가압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볼트체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린더(1)와 피스톤(2)을 공간부(4)를 두고 맞닿게 한 상태에서, 실린더의 플러그(10)를 떼내고 그리스 니플을 부착하고, 공간부(4)와 이 공간부에 연이어 통해 있는 공동부(6)에 압력매체로서 그리스를 틈새없이 충전한다.
충전할 때에는, 스크루 플런저(7)로부터 플러그(16)를 떼어놓고, 탈기구멍(7a) 내부의 탈기를 행하면서 그리스를 충전한다. 그리고 그리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플러그(16)는 스크루 플런저(7)에, 플러그(10)는 실린더(1)에 각각 부착된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장치를 손으로 잡고 볼트구멍(3)에 볼트(8)를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본 장치는 볼트(8)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본 장치를 손으로 떠받칠 필요가 없다. 물론, 손으로 떠받치는 작업이 필요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볼트(8)가 수평방향으로 또는 상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로 제한된다. 이와 같은 유지 상태에서, 볼트(8)에 너트(9)를 부착하고 이 너트가 피스톤(2)의 단면에 맞닿을 때까지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스크루 플런저(7)를 회전시키면서 공동부(6) 안으로 전진시켜, 제1도의 위치로부터 제2도의 위치까지 나사결합시키면, 그리스가 가압되어 공동부(6)로부터 공간부(4)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2)은 그리스의 가압력에 의하여 볼트(8)를 체결하는 방향 즉 볼트를 인장시키는 방향(제1도의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곧이어 이동량(D) 만큼 이동한다. 피스톤(2)은 이동하여, 너트(9)를 볼트(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볼트는 체결된다.
제2도의 위치까지 피스톤(2)이 이동하면, 이이동에 동반하여 피스톤(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로크너트(11)도 이동하므로, 로크너트(11)와 실린더(1) 단면의 사이에 피스톤의 최대 이동량(D)과 동일치수의 틈새가 생긴다(도시하지 않음). 이 틈새가 없어질 때까지 로크너트(11)를 회전시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의 일단면에 맞닿게 한다.
이와 같이, 로크너트(11)로 상기의 틈새를 없애면, 실린더(1)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시일(14, 15)이 파손되는 경우 등, 압력매체의 압력이 상실되었을 때에도 볼트(8)의 체결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된 볼트(8)를 풀어주기 위해서는, 스크루 플런저(7)를 상기의 나사결합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리스에 의한 가압력이 서서히 해제되어, 피스톤(2)이 볼트(8) 인장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볼트에 대한 체결력이 약해진다. 그리고, 너트(9)를 손으로 회전시켜 볼트(8)로부터 떼내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크루 플런저(7)를 볼트(8)의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였으므로, 피스톤(2)의 실이를 줄일 수 있고, 본 장치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3도~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볼트체결장치의 특징은 제1실시예와 똑같이 출력기구(A) 및 입력기구(B)를 구비하고 있는 외에, 압력조정밸브(17)와 볼트체결력 표시기(18)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출력기구(A) 및 입력기구(B)의 각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것은 아니지만 상이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4도 도시하는 출력기구(A)에 있어서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1)와 피스톤(2)은 한 쪽이 다른 쪽을 관통하지 않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볼트(8)가 관통하는 볼트구멍(3)은 실린더(1)와 피스톤(2)의 각각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연속해있는 관통구멍이다. 피스톤(2)은 실린더(1)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고 동시에 실린더와 소정의 공간부(4)를 두고 맞닿을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의 한 끝(좌측단)의 내외에 대향위치관계의 O링으로 이루어진 오일시일(19)이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입력기구(B)에 있어서, 그리스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6)는 실린더(1) 내에 설치되고, 또한 연결통로(5)를 통하여 공간부(4)와 연이어 통해 있다. 스크루 플런저(7)는 공동부(6)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토크 조정장치(도시예에서는 토크렌치(20))로 회전시킴으로써 전후이동이 가능하다.
압력조절밸브(17)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의 후부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17)는 그리스의 압력을 소정압력범위내로 유지하여, 즉 임의의 압력으로 해제하여 압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안전밸브이고, 연결통로(5)를 사이에 두고 공간부(4)와 삽입관통되어 있다. 스크루 플런저(7)의 가압에 의하여 생기는 그리스의 가압력을 압력조정밸브(17)로 임의의 압력으로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볼트(8)는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된다.
볼트 체결력 표시기(18)는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의 한 쪽에 스크루 플런저(7)와 병렬설치되어 있다. 볼트 체결력 표시기(18)는 스크루 플런저(7)에 의거하여 가압된 그리스의 압력값을 볼트(8)의 체결력으로 환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다. 이 때문에 볼트 체결력 표시기(18)에는 스크루 플런저(7)와 연이어 통해있는 연결통로(5)로부터 분기된 분기로(5a)가 접속되어 있다. 볼트 체결력 표시기(18)는 스크루 플런저(7)의 가압에 의하여 생기는 그리스의 가압력을, 또는 이 가압력을 볼트의 체결력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에 따라 스크루 플런저를 회전시키면서 볼트(8)의 체결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회전토크조정장치로서의 토크렌치(20)의 구성은, 소정의 토크값으로 설정해 놓고, 체결토크가 소정값에 도달한 단계에서 체결을 정지하는 것이다. 토크값의 설정확인방법으로서는 눈금을 토크값에 맞추고, 토크값에 도달하면, 점등 또는 통보하거나, 눈으로 확인하거나 하는 것이다.
21, 22는 연결통로(5)의 한 끝을 폐쇄하는 플러그, 23은 피스톤(2)의 빠짐 방지용 볼트이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볼트체결방법 및 체결력 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트체결방법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똑같다. 우선, 본 장치를 손으로 잡고, 볼트구멍(3)에 체결하여야 할 대상의 볼트(8)를 삽입 관통시킨다. 그리고, 볼트(8)에 너트(9)를 부착하고, 이 너트가 피스톤(2)의 단면에 맞닿을 때까지 나사결합시킨다(제4도). 그후 토크렌치(20)로 스크루 플런저(7)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켜, 공동부(6)와 공간부(4)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가압하면, 그리스의 가압력에 의하여 피스톤이 눌리고, 이 피스톤에 맞닿아 있는 너트(9)는 볼트를 체결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볼트(8)는 체결된다.
토크렌치(20)로 스크루 플런저(7)를 회전시키는 힘만으로 볼트(8)를 체결할 수가 있다.
볼트의 체결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체결력을 초과하여 볼트(8)를 체결할 때, 기기가 파손되는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체결력으로 볼트를 정확히 체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소정의 체결력으로 정확히 볼트(8)를 체결하려면, 스크루 플런저(7)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그리스의 가압력을 압력조정밸브(17)에 의해 임의의 압력으로 조정하고, 볼트의 소정의 체결력으로 조정해 놓은 다음, 볼트(8)를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또, 보다 정확한 체결력 조정방법으로서는, 볼트 체결력 표시기(18)를 보면서 스크루 플런저(7)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볼트(8)를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체결력 조정방법으로서는, 스크루 플런저(7)로 가압하는 그리스의가압력을, 또는 이 가압력을 볼트의 체결력으로 환산하여 체결력 표시기(18)로 표시하고, 표시를 보면서 스크루 플런저를 회전시켜 볼트의 체결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체결력 조정방법으로서는, 스크루 플런저(7)의 회전토크를 토크렌치(20)에 의해 조정하고, 스크루 플런저로 가압되어 그리스의 가압력을 임의의 회전력으로 조정 가능하게(스크루 플런저(7)로 그리스에 가하는 압력을 회전토크로 조정한다)함으로써, 소정의 체결력에 의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7도~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기구(A)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1)와 피스톤(2)의 관계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고, 실린더(1)에 피스톤(2)의 축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양자 사이에 공간부(4)가 형성되고, 더욱이 피스톤의 축심부에 관통구멍으로 되는 볼트구멍(3)이 관통되어 있다. 제3실시예는 피스톤(2)내에 입력기구(B)를 구성하는 공동부(6) 및 스크루 플런저(7)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양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공간부(4)와 공동부(6)는 연결통로(5)를 사이에 두고 연이어 통해 있다. 스크루 플런저(7)의 한 끝부분은 방진커버(24)로 피복되어 있다.
또 제3실시예의 특징은, 볼트(8)체결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로크볼트(25)를 볼트구멍(3)을 따라 피스톤(2)안에 나사결합시키고, 로크볼트의 선단은 실린더(1)의 단면에 맞닿을 수 있게 한 것에 있다. 이 로크볼트는 상기 로크너트(11)와 같은 사용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로크볼트(25)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간부(4) 내의 그리스 가압에 의하여 피스톤(2)이 제9도 우측으로 이동하면, 로크볼트도 동일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볼트와 실린더(1)의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 때 로크볼트(25)를 죄어서 그 선단을 실린더에 맞닿게 하고, 볼트의 체결상태를 고정한다.
8a는 볼트 헤드부, 26은 O링으로 이루어진 오일시일이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볼트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토크렌치(도시하지 않음)로 스크루 플런저(7)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켜 공동부(6) 및 공간부(4)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가압한다. 그리스의 가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은 제7도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너트(9)는 가압되므로 볼트(8)도 인장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클램프 플레이트(27)는 고정부쪽(28)에 볼트(8)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를 구성하는 실린더(1) 및 피스톤(2)에서 이 피스톤의 관통구멍인 볼트구멍(3)의 한 끝(도면 우측단) 쪽에 암나사부(2a)를 설치하고, 이 암나사부에 볼트(8)의 수나사부를 결합하여, 볼트(8)의 헤드부(8a)를 피스톤(2)의 단면에 맞닿게 한다. 29는 고정부측, 29a는 고정부측으로 개방된 볼트(8) 관통구멍이다. 30은 피고정부측, 30a는 피고정부측으로 개방된 볼트(8) 관통구멍이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 구멍(29a, 30a)의 내주에 암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볼트(8)와 나사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2)의 암나사부(2a)는 불필요하게 된다.
회전토크조정장치(20)를 실린더(2) 내에 조립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제1실시예로부터 제4실시예까지의 실시예에 있어서, 1은 실린더, 2는 피스톤으로서 설명하였지만, 2를 실린더, 1을 피스톤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볼트를 관통상태로 삽입관통시키는 볼트구멍을 설치함과 동시에 접시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볼트체결장치를 손으로 떠받치지 않고 볼트에 지지하여 볼트체결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구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착탈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볼트 체결작업의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조정밸브, 볼트 체결력 표시기 또는 회전토크조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볼트의 체결력을 소정의 힘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바람직한 체결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게다가 소정의 체결력으로 정확히 볼트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출력기구에 로크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압력매체의 압력을 상실한 경우에도 볼트의 체결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출력기구, 입력기구 및 압력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기구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및 피스톤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볼트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볼트구멍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에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 맞춤되고 상기 공간부를 두고 맞닿을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기구는, 상기 공간부와 연이어 통해 있고, 압력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 및 공간부내의 압력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스크루 플런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상기 공동부와 연이어 통해 있고, 스크루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매체의 가압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장치.
  2. 출력기구, 입력기구 및 볼트 체결력 표시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기구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및 피스톤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볼트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볼트구멍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에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고 상기 공간부를 두고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기구는, 상기 공간부와 연이어 통해 있고, 압력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 및 공간부내의 압력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스크루 플런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 체결력 표시기는 상기 공동부와 연이어 통해 있고, 스크루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매체의 가압력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장치.
  3. 출력기구 및 입력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기구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및 피스톤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볼트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볼트구멍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와,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에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고 상기 공간부를 두고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기구는, 상기 공간부와 연이어 통해 있고 압력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 및 공간부내의 압력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스크루 플런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장치.
  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피스톤에 나사결합되는 로크볼트를 구비하고 있고, 이 로크볼트는 볼트구멍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로크볼트 선단에서 실린더의 단면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장치.
KR1019950000008A 1994-07-27 1995-01-03 볼트체결장치 KR0162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3824 1994-07-27
JP6193824A JPH0839452A (ja) 1994-07-27 1994-07-27 ボルト締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836A KR960003836A (ko) 1996-02-23
KR0162023B1 true KR0162023B1 (ko) 1998-12-15

Family

ID=1631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008A KR0162023B1 (ko) 1994-07-27 1995-01-03 볼트체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695883A1 (ko)
JP (1) JPH0839452A (ko)
KR (1) KR0162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16B1 (ko) * 2010-06-29 2012-05-24 (주)엔비코컨설턴트 현수교 케이블밴드용 볼트 텐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803A1 (en) * 2004-02-25 2005-09-01 John Wentworth Bucknell Hydraulically assisted fasteners
DE102006033320B4 (de) 2006-07-17 2014-05-22 Astrium Gmbh Schraubenvorspanneinrichtung
FR3034821B1 (fr) * 2015-04-09 2017-09-08 Skf Ab Dispositif de tension pour mise en precontrainte d'un assemblage au moyen d'une tige filetee
CN109476004A (zh) * 2016-06-16 2019-03-15 超级螺栓公司 对多顶起螺栓张紧器的改进
CN113664485B (zh) * 2020-05-15 2022-11-01 国核电站运行服务技术有限公司 一种核电爆破阀中阀盖和活塞的装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265A (en) * 1945-06-13 1951-10-16 Leufven Axel Gustav Edvard Hydraulic tensioning nut
CH401593A (de) * 1962-06-22 1965-10-31 P & O Research And Dev Co Limi Vorrichtung zum Anziehen von mit Widerlagerteilen versehenen bolzenartigen Verbindungs- oder Befestigungselementen, insbesondere Schraub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orrichtung
DE2552873C2 (de) * 1975-11-25 1985-04-04 Albert Schrem Werkzeugfabrik GmbH, 7928 Giengen Hydraulisches Spannelement
DE4012980A1 (de) * 1990-04-24 1991-10-31 Schrem Werkzeugfab Albert Hydraulische spannmutter fuer umlaufende werkzeuge insbesondere zur verbesserung der rundlaufgenauigkeit der werkzeuge
JPH0713842Y2 (ja) * 1992-10-07 1995-04-05 寿産業株式会社 ローラガイドのボルト締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16B1 (ko) * 2010-06-29 2012-05-24 (주)엔비코컨설턴트 현수교 케이블밴드용 볼트 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5883A1 (en) 1996-02-07
KR960003836A (ko) 1996-02-23
JPH0839452A (ja) 199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5523A (en) Self-straining bolts
EP1971787B1 (en) Self locking tensioner
US2571265A (en) Hydraulic tensioning nut
US2760393A (en) Bolt tensioning apparatus
EP0397653A4 (en) Force applicators
JPH0240832B2 (ko)
US5806841A (en) Fluid-actuated workholding apparatus
US4596188A (en) Method of fixing and adjusting a printing plate on a plate cylinder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246810A (en) Tool for pre-tensioning a fastener
DE10145847A1 (de) Hydraulische Gewindebolzenspan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ziehen von grossen Schrauben mittels der hydraulischen Gewindebolzenspannvorrichtung
KR0162023B1 (ko) 볼트체결장치
HUE027971T2 (en) tensioning
JP2022508772A (ja) 膨張ファスナ用の液圧式の緊張および解放工具
US4659065A (en) Bolt tensioning apparatus
US4249718A (en) Bolt tensioning device
DE1981930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Prüfen von Schraubverbindungen
DE4324888A1 (de) Lastwechselzähler
US20030086770A1 (en) Perforated nut tensioning system
WO2021093112A1 (zh) 一种螺栓紧固方法及螺栓紧固系统
US3962950A (en) Bolt pretensioning device
WO1982000851A1 (en) Tool for pre-tensioning a fastener
EP0797012A2 (en) Hydraulic tensioning apparatus
JP4153403B2 (ja) 自己締付け型シール装置及び等方圧加圧装置
JPH0713842Y2 (ja) ローラガイドのボルト締め装置
JP3659510B2 (ja) 油圧トルクレンチ用マー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1999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199905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