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9151B1 - 접속구 부착 구성체 - Google Patents

접속구 부착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151B1
KR0159151B1 KR1019950032006A KR19950032006A KR0159151B1 KR 0159151 B1 KR0159151 B1 KR 0159151B1 KR 1019950032006 A KR1019950032006 A KR 1019950032006A KR 19950032006 A KR19950032006 A KR 19950032006A KR 0159151 B1 KR0159151 B1 KR 0159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ylinder
insulating
skin
connec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630A (ko
Inventor
쓰네스케 다카노
고오이치 신자와
Original Assignee
쓰네스케 다카노
다이이치 덴소 부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62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01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66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06966A/ja
Application filed by 쓰네스케 다카노, 다이이치 덴소 부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네스케 다카노
Publication of KR96001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웨지 베이스 벌브등을 내열성 원통형 홀더를 거쳐서 비내열성 부재에 방열 좋게 장착한 것으로, 저렴하고 확실한 내열과 절연 구조를 확보하고 또한 벌브나 퓨즈를 끼워 유지함과 동시에, 접속구를 처음으로 하여 상기 홀더의 피부착체로의 장착을 자동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접속구를 부착한 절연 홀더를 피부착부재에 장착하는 것으로, 내열 플라스틱으로 거의 사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실린더와, 이 절연 실린더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과, 상기 절연 실린더의 양측에 형성된 대향편중 어느 한쪽 또는 양측내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한 2개의 접속구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 클램핑편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을 상기 돌기를 거쳐서 절연 실린더의 대향편 사이에서 각각 절연 실린더(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접속구를 장착하여 구성한 절연 벌브 홀더를 구성하고, 상기 피부착체는 상기 절연 실린더의 평면 윤곽 보다도 약간 큰 장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벌브 홀더를 상하 록킹 탭에 의해 피부착체에 그 장착 구멍을 통해서 부착한다.

Description

접속구 부착 구성체
제1a도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b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응용예의 분해 사시도.
제2a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장치의 조립후의 사시도.
제2b도는 제1b도에 도시된 장치의 조립후의 사시도.
제3a도는 제2a도에 도시된 장치의 중앙부의 수직 측면도.
제3b도는 제2b도에 도시된 장치의 중앙부의 수직 측면도.
제4a도는 제3a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b도는 제3b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3a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3a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3a도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접속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접속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 실린더 2 : 로킹 태브
3 : 대향 편 4 : 돌기
5 : 클램핑편 6 : 플러그 인 접속부
7 : 접속구 8 : 부착 구멍
9 : 벌브 홀더 10 : 장착 구멍
11 : 피부착체 12 : 웨지 베이스 벌브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웨지 베이스 벌브 램드(wedge base bulb lamp)나 편평한 퓨즈( flat fuse)를 부착하기 위한 접속구(connector)와 내열성 절연 실린더(heat-resistant insulated cylinder)로 구성된 벌브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 부착 구성체(component)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이런 종류의 접속구 부착 구조로선 예를들어 JP UM L.O.NO. 4-50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런 종래의 기술은 접속구를 부착한 블록을 피부착 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에 있어서, 절연재로 거의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베이스와, 이 절연 베이스의 측편(side piece)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로킹 태브(tab) 및 플랜지와, 상기 절연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측편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길고 가느다란 측편 해제 구멍(relief hole)을 가지고서 형성된 두상의 대향편과, 이들 두쌍의 대향편의 대향면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돌기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하여 한쌍의 클램핑 편(clamping pieces) 및 플러그 인 접속편(plug-in receptacle)을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한 두 개의 접속구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를 그 클램핑편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에 상기 한쌍의 돌기를 거쳐서 상기 두쌍의 대향편 사이에 각각 장착한 접속구 조립체와, 상기 절연 베이스의 평면 윤관(contour) 보다도 약간 큰 장착 구멍을 형성한 피부착체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구 조립체를 상기 록킹 태브와 플랜재로 피부착체에 상기 부착 구멍을 통해서 부착한 접속구 부착 구성체이다.
상기 종래에는 평판형 절연 베이스의 내부에서 그 평면에 대해 U자형의 클램핑편을 직각 교차하여 돌출 설치한 것으로, 절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도전성 클램핑편의 주위에는 전기적 보호부재가 완전히 없고, 따라서 차 수리 점검등에 부주의로 무용한 외부 도체(드라이버나 다른 공구)가 클램핑편이나 이것에 클램핑된 직관 램프나 글래스관 퓨즈의 도전부에 접촉하면 단락 사고가 발생한다는 제1 문제점이 이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클램핑편만으로 램프 등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것이고, 또한, 램프나 퓨즈를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없으므로 웨지 베이스 벌브와 같은 램프의 급전 베이스가 낮고, 급전 베이스부로부터 관구가 크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그 베이스부에 있어서 클램핑편만으로 지지 사용하면 클램핑편에 큰 외력이 가해질 때 또는 큰 진동등의 외부 교란으로 램프나 퓨즈가 떨어지고 만다는 제2 문제점도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술한 각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웨지 베이스 밸브등을 내열성 원통형 홀더를 거쳐서 비내열성 부재에 방열성 좋게 부착하는 것으로 저렴하고 확실한 내열과 절연 구조를 확보하고 또한 벌브나 퓨즈를 견고하게 클램프하며 또 접속구를 상기 홀더의 피부착부재에 장착하여 자동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구를 부착한 절연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부착한 것으로, 내열 플라스틱으로 거의 사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위로 향하는 클램핑 지지 탄광편을 대향 돌출 설치한 절연 실린더와, 이 절연 실린더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과, 상기 절연 실런더의 양측에 형성된 대향편과, 이들 대향편의 내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하여 한쌍의 클램핑편 및 베이스부에 플러그인 접속편이나 리드선등의 도출 부재를 각각 구비한 2개의 접속구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의 그 클램핑편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을 통해서 상기 돌기를 거쳐서 상기 대향편 사이에 각각 절연 실린더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장착한 절연 벌브 홀더와, 상기 절연 실린더의 평면 윤곽 보다도 약간 큰 장착 구멍을 형성한 피부착체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 벌브 홀더를 상하 록킹탭에 의해 피부착제에 그 장착 구멍을 통해서 장착한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응용예로선 접속구를 부착한 절연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장착한 것으로, 내열 플라스틱으로 거의 사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위로 향하는 클램핑지지 탄성편을 대향 돌출 설치한 절연 실린더와, 이 절연 실린더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과, 상기 절연 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측변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가늘고 긴 측변 해제 구멍을 가지고서 형성한 대향편과, 이들 대향편의 내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하여 한쌍의 클램핑편 및 베이스부에 플러그인 접속편이나 리드선등의 도출 부재를 각각 구비한 2개의 접속구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를 클램핑 편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을 통해서 상기 돌기를 거쳐서 상기 대향편 사이에 각각 절연 실린더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장착한 절연 벌브 홀더와, 상기 절연 실린더의 평면 윤곽 보다도 약간 큰 부착 구멍을 형성한 피부착체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 벌브 홀더를 상하 록킹 탭에 의해 피부착체에 그 장착 구멍을 통해서 부착한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절연 실린더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중에 상하 어느 한쪽의 록킹 탭의 경사면을 피부착체의 장착 구멍의 외주변 사이에 압입할 때, 상기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해서 내측으로 향해 상기 경사면이나 외력에 의해 밀어놓은 후 록킹 탭이 장착 구멍의 외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이 그 탄력으로 원상태로 복귀 또는 측벽 외력을 제거하여 측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스냅핑 작용(snapping action )에 의해 벌브 홀더를 피부착체에 그 장착 구멍을 통해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측변 해제 구멍을 설치한 것은 그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해서 측변 해제 구멍이 좁게되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면이나 외력에 의해 밀어 놓은 후, 록킹편이 장착 구멍의 외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이 원상태로 복귀 또는 측변 외력을 제거하여 측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스냅핑 작용에 의해 벌브 홀더를 피부착체에 그 장착 구멍을 통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변 해제 구멍은 라지에이터 작용과 연기 돌출 효과를 나타내고, 자연공냉에 의해 절연 실린더를 시초로하여 클램핑지지 탄성 탭을 양호하게 방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절연 실린더와 피부착체를 별도의 구성으로 한 것으로, 가격이 비싼 고급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절연체를 사용하는 것은 절연 실린더만으로 좋고, 수지량이 그것보다 훨씬 많게되는 피부착체에는 가격이 비싸지 않은 내열성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종래보다 저렴하다.
또한, 거의 사각 원통형의 절연 실린더의 상하 대향면 사이에 U자형의 클램핑편을 절연 실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내설한 것은 절연 실린더의 상하 각면으로부터 램프나 퓨즈의 상부 이외는 돌출하는 것이 없고, 더구나 클램핑편의 주위를 전기적 보호 부재인 절연 실린더로 에워싼 것으로, 차 수리나 보수 점검등에 있어서 부주의로 무용한 외부 도체(드라이버나 그외 다른 공구류)가 클램핑편이나 이것에 클램핑된 램프의 도전부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단락 사고는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램프나 퓨즈의 베이스부를 끼워넣어서 클램핑지지 탄성편을 실린더 상부에 돌출 설치한 것으로, 웨지 베이스 벌브와 같은 램프의 급전 베이스부로부터 관구가 크게 돌출하고 있는 것에서도 확실히 안정하게 보강하여 지지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피부착체에 대한 절연 베이스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록킹 탭의 대향 외주가 각각 피착부체의 상하 양면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덜컥거림이 없고, 절연 베이스부의 수평 이동은 피부착체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서 규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접속구를 부착한 절연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를 구성하는 것으로, 66 나이론(Nylon)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을 제 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원통형으로 형성한 절연 실린더(1)의 좌우 양측변에 록킹 탭(tab;2)과, 위로 돌출하는 클램핑지지 탄성탭(1A)을 각각 공지의 3방(three-way) 개폐 금형등으로 제1a도와 같이 형성한다.
또한, 상하 록킹 탭(2)중에 예를들면 상측 2개의 록킹탭(2)의 상부에는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a)을 형성했지만 이 경사면은 하측 로킹 탭(2)의 하부에도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절연 실린더(1)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한 대향편(piece;3) 사이에 있어서 절연 실린더 대향면의 양쪽 또는 일면에 제3a도 및 제4a도와 같은 돌기를 돌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 베이스(1)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측변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가늘고 긴 측변 해제구멍(3a)을 제1b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서 형성한 대향편(3) 사이에서 절연 실린더 대향면의 양쪽 또는 일면에 제3b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를 돌출 설치한다.
또한, 인청동등으로 만들어진 탄성 도전판을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U형으로 형성하여 한쌍의 클램핑편(5) 및 베이스에 안경(eyeglass) 형상의 플러그인 접속편(6)을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한 두 개의 접속구(7)를 상기 절연 베이스(1)내에 제3a도 내지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한다. 즉, 이때는 상기 클램핑편(5)의 상부를 그 탄력에 저항하여 좁아지면서 그 베이스에 형성한 부착 구멍(5)내에 상기 쌍의 돌기(4)를 맞물림시킨후 탄력 복귀시켜서 이들 접속구(7)를 절연 실린더 대향면 사이에 각각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하여 벌브 홀더를 구성한다.
더욱이, 상기 절연 실린더(1)의 평면 윤곽보다도 약간 큰 부착 구멍(10)을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한 피부착체(11)에 상기 벌브 홀더(9)를 상기 록킹 탭(2)을 그 경사면(2a)을 이용하는 등으로 하여 피부착체(11)에 상기 부착 구멍(10)을 통하여 제2a도 내지 제7도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 부착 구성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절연 실린더(1)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한 복수개의 록킹 탭(2)등에 상하 어느쪽의 록킹 탭(2)의 외면을 그 경사면(2a)을 이용하여 피부착체(11)의 부착 구멍(10)의 외주면 사이에 압입할 때, 상기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하여 서로 내측 방향으로 밀어올린후, 록킹 탭(2)이 부착 구멍(10)의 외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의 그 탄력으로 원상태로 복귀하고, 스냅핑 작용에 의해 벌브 홀더(9)를 피부착체(11)에 그 부착구멍(10)을 통해서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4a도, 제5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부호 33으로 도시한 부분은 대향편(3)을 구부리기 쉽게하기 위한 해제홈(relief groves)이지만 대향편(3)이 얇은 경우에는 해제홈(33)은 불필요하고, 도한 클램핑편(5)의 베이스에 일체 형성한 플러그 인 접속편(plug-in receptache;6) 대신에,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이나 버스 바(bus bar) 등의 도출 부재(lead member;6a)로 접속구(7)를 다른 곳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측변 해제 구멍(3a)을 합체한 것을 제1b도, 제2b도, 제3b도 및 제4b도에 도시한다.
즉, 절연 실린더(1)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한 복수의 록킹 탭(2)중에 상하 어느것의 록킹 탭(2)의 외면을 그 경사면(2a)을 이용하여 피부착체(11)의 부착 구멍(10)의 외주변 사이에 압입할 때, 상기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하여 측변 해제 구멍(3a )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밀어올린후, 록킹 탭(2)이 부착구멍(10)의 외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이 그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스냅핑 작용에 의해 벌브 홀더(9)를 피부착체(11)에 그 부착 구멍(10)을 통해서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그 사용예를 설명한다.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 리드부(12)를 갖는 공지의 웨지 베이스 벌브 램프(wedge base bulb lamp;12)를 그 베이스(12b)에서 벌브 홀더(9)내에 제4a도에 파선상태로부터 실선 및 제3a도 및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할 수 있지만, 이때에는 먼저 밸브(12)의 상기 리드부(12a)에 접속구(7)의 클램핑편(5) 사이에 이들 각 편의 탄력에 저항하여 밀어 넓히면서 벌브 베이스(12b)가 홀더 레지(ledge;9a)에 맞닿을때까지 삽입하는 것으로 벌브(12)를 홀더(9)에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할 수 있다.
이어서, 제1a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착체(11)의 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버스 바(13)를 그 굴곡부(13a)에서 접속구(7)의 플러그 인 접속부(6)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밀어넣어서 통전하고, 도출 부재(6a;제8도 및 제9도)에 의해 통전하는 것으로 웨지 베이스 벌브(12)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12) 대신에 공지의 편평 퓨즈를 끼워넣어도 좋지만, 이때에는 벌브 홀더(9)를 퓨즈 홀더로 판독하는 것이고, 또한 록킹 탭(2)의 경사면(2a )은 생략할 수 있지만, 이 생략시에는 실린더 측변을 외력에 의해 구부려 만드는 피부착체(11)에 그 부착구멍(10)을 통해서 벌브 홀더(9)를 장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절연 실린더와 피부착체를 각각 구성했으므로, 가격이 비싼 고급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절연체를 사용하는 것은 절연 실린더만으로 좋고, 수지량이 그것에 의해 매우 많게 되는 피부착체에는 가격이 비싸지 않는 내열성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비용시 종래보다 저렴하다.
또한, 웨지 베이스 벌브나 편평 퓨즈의 베이스를 끼워넣어서 안내하는 클램핑지지 탄성 탭(1A)을 실린더 상부에 일체로 돌출 설치한 것으로, 웨지 베이스 벌브와 같은 램프를 급전 베이스부로부터 관구가 크게 돌출되어 있는 것에서도 확실하고 안정하게 보강하여 지지사용할 수 있고, 진동 등의 외부 방해로 램프나 퓨즈가 벗어나지 않아서 안전하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절연 베이스(1)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한 복수개의 록킹 탭(2) 중에 상하 어느쪽의 경사면의 록킹 탭(2)의 외면을 그 경사면(2a)을 이용하는 등으로 하여 피부착체(11)의 부착 구멍(10)의 외주변 사이에 압입할 때, 상기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하여 서로 내측 방향으로 밀어올린후, 록킹 탭(2)이 부착 구멍(10)의 외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이 그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스냅핑 작용에 의해 벌브 홀더(9)를 피부착체(11)에 그 부착구멍(10)을 통해서 용이하게 자동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 상태에서는 클램핑지지 탄성편(1A )에 의한 라지에이터 작용에 의해 공냉효과를 얻고, 벌브 퓨즈로부터의 열 침입을 양호하게 방열하기 때문에, 벌브 홀더(9)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안전하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응용예에 있어서는 피부착체(11)의 부착 구멍(10)을 외주변 사이에 압입할 때, 측변은 그 탄력에 저항하여 측변 해제 구멍(3a)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밀어올린후, 록킹 탭(2)이 부착 구멍(10)의 측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상기 측변이 그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스냅핑 작용에 의해 벌브 홀더(9)를 피부착체(11)에 그 부착 구멍(10)을 통해서 용이하게 자동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측변 해제 구멍(3a)에 의한 라지에이터 작용에 의해 공냉 효과를 얻고, 제3b도에 도시한 종방향 설치 상태에서는 연소 돌기 효과에 의한 상승 기류도 생기고, 절연 실린더(1)를 시초로 하여 벌브 클램핑 지지탄성편(1A)에 대한 벌브나 퓨즈로부터의 열침입은 더욱 양호하게 방열한다.

Claims (6)

  1. 접속구가 부착된 절연 벌브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끼워넣어 사용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에 있어서, 내열 플라스틱으로 거의 사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실린더(1)와, 이 절연 실린더(1)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2)과, 상기 절연 실린더(1)의 내측에 형성된 대향편(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측내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4)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한 2개의 접속구(7)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7)의 클램핑편(5)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8)과, 상기 돌기(4)를 거쳐서 상기 대향편(3) 사이에서 각각 절연 실린더(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접속구(7)를 장착하여 구성한 절연 벌브 홀더(9)와, 상기 절연 실린더(1)의 평면 윤곽 보다도 약간 큰 장착 구멍(10)을 형성한 피부착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벌브 홀더(9)를 상기 상하 록킹 탭(2)에 의해 피부착체(11)에 그 장착 구멍(10)을 통해서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실린더(1)의 양측에 클램핑 지지탄성편(1A )을 대향 돌출 설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지지 탄성편(1A )이 절연 실린더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4. 접속구가 부착된 절연 벌브 홀더를 피부착 부재에 끼워넣어 사용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에 있어서, 내열 플라스틱으로 거의 사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실린더(1)와, 이 절연 실리더(1)의 측변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 탭(2)과, 상기 측변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가늘고 긴 측변 해제 구멍(3a)을 가지고서 형성한 대향편(3)과, 상기 대향편(3)중 어느 한쪽 또는 양측내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4)와, 탄성 도전판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한 2개의 접속구(7)와 이들 두 개의 접속구(7)의 클램핑 편(5)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8)과, 상기 돌기(4)를 거쳐서 상기 대향편(3) 사이에서 각각 절연 실린더(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접속구(7)를 장착하여 구성한 절연 벌브 홀더(9)와, 상기 절연 실린더(1)의 평면 윤곽 보다도 약간 큰 장착 구멍(10)을 형성한 피부착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벌브 홀더(9)를 상기 상하 록킹 탭(2)에 의해 피부착체(11)에 그 장착 구멍(10)을 통해서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실린더(1)의 양측에 클램핑 지지탄성편(1A)을 대향 돌출 설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지지 탄성편(1A )이 절연 실린더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부착 구성체.
KR1019950032006A 1994-09-30 1995-09-27 접속구 부착 구성체 KR0159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2107A JP3000192B2 (ja) 1994-09-30 1994-09-30 ウェッジベースバルブ用ソケット
JP94-262107 1994-09-30
JP94-266350 1994-10-05
JP6266350A JPH08106966A (ja) 1994-10-05 1994-10-05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630A KR960012630A (ko) 1996-04-20
KR0159151B1 true KR0159151B1 (ko) 1999-02-18

Family

ID=2654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006A KR0159151B1 (ko) 1994-09-30 1995-09-27 접속구 부착 구성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95367A (ko)
KR (1) KR0159151B1 (ko)
CN (1) CN1091965C (ko)
CA (1) CA2157952C (ko)
DE (1) DE19536455C2 (ko)
GB (1) GB2293701B (ko)
HK (1) HK10002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0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파워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907B2 (ja) * 1996-07-04 2004-02-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
US6231370B1 (en) * 1998-03-19 2001-05-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leaded electronic component
US20020098743A1 (en) * 1998-04-17 2002-07-25 Schell Mark S. Power connector
DE29906559U1 (de) * 1999-04-14 1999-07-22 Bender & Wirth GmbH & Co., 58566 Kierspe Lampenfassung für Mehrstiftlampen
DE19917140C2 (de) * 1999-04-16 2002-01-17 Bjb Gmbh & Co Kg Fassung für Halogenlampen
US7063575B2 (en) * 2001-10-04 2006-06-20 Guide Corporation Terminal alignment features for bulb sockets
DE10226489B4 (de) * 2002-06-14 2004-10-28 Wieland Electric Gmbh Anschlussverbinder
DE10305647B4 (de) 2003-02-12 2004-12-30 Vossloh-Schwabe Gmbh Fassung für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JP2005329883A (ja) * 2004-05-21 2005-12-02 Yazaki Corp 車両用室内照明灯
US7025634B1 (en) * 2005-05-16 2006-04-11 Osram Sylvania Inc. Lamp socket
US7494262B2 (en) * 2007-05-04 2009-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alogen burner and receptacle assembly
CN102306618B (zh) * 2011-09-09 2014-03-19 宁波卓明电子有限公司 一种卤素灯泡
US8956019B2 (en) * 2012-08-27 2015-02-17 Ideal Industr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n electrical device via a lampholder
KR102748301B1 (ko) 2019-08-27 2024-12-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973A (en) * 1981-09-04 1983-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Wedge base lamp socket assembly
US5035645A (en) * 1988-01-15 1991-07-30 The Siemon Company Bracket for terminal block
US5035643A (en) * 1989-05-17 1991-07-30 Zanxx, Inc. Axial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JPH079351Y2 (ja) * 1989-06-20 1995-03-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Spg基板用のウェッジベースソケット
CA2020829C (en) * 1989-07-21 1993-08-31 Tsunesuke Takano Connector attachment device
US5108314A (en) * 1990-04-25 1992-04-28 Daiichi Denso Buhin Co., Ltd.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JPH0616431Y2 (ja) * 1990-04-25 1994-04-27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CA2105367C (en) * 1992-09-02 1996-01-09 Tsunesuke Takano Connector for electrical components
JPH0737272Y2 (ja) * 1993-06-16 1995-08-23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US5597329A (en) * 1993-11-15 1997-01-28 Daiichi Denso Buhin Co., Ltd.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JP2590046B2 (ja) * 1994-03-02 1997-03-12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接続具の取付構成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0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파워 모듈
US12245388B2 (en) 2020-07-31 2025-03-04 Lg Innotek Co., Ltd. Pow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669A (zh) 1996-11-13
GB2293701A (en) 1996-04-03
CA2157952A1 (en) 1996-03-31
DE19536455A1 (de) 1996-04-04
DE19536455C2 (de) 2001-04-26
HK1000269A1 (en) 1998-02-13
KR960012630A (ko) 1996-04-20
CN1091965C (zh) 2002-10-02
CA2157952C (en) 2000-01-11
GB2293701B (en) 1996-11-20
GB9519629D0 (en) 1995-11-29
US5695367A (en) 1997-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151B1 (ko) 접속구 부착 구성체
US5049092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US5082452A (en) Clamp-type electrical connectors
US5108314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US5558543A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KR19980032405A (ko) 스위치 접속 구조
KR0152569B1 (ko) 커넥터 설치구성체
KR970004157B1 (ko) 전기 부품용 커넥터
KR100289215B1 (ko) 스위치 접속 구조
GB2283868A (en) A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KR100289217B1 (ko) 스위치
KR100401902B1 (ko) 콘택스프링
SK282307B6 (sk) Zariadenie na spojenie elektromotorčeka aspoň s dvoma elektrickými vývodmi
JPH0616431Y2 (ja)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US5142609A (en) Plug-in quartz infra-red radiator
JPH08106966A (ja)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JPH0719106Y2 (ja) 接続具の取付構成体
JP3000192B2 (ja) ウェッジベースバルブ用ソケット
KR200144260Y1 (ko) 자동차용 슬로우 블로 퓨즈
JPH0719105Y2 (ja) 接続具の取付構成体
JPH0644047Y2 (ja)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JPH0648775Y2 (ja) ランプの取付け構成体
JP2758381B2 (ja) コネクションヒューズ端子
JPH0719107Y2 (ja) 接続具の取付構成体
JPH0633670Y2 (ja)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