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1721B1 - 압축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성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721B1
KR0151721B1 KR1019890016071A KR890016071A KR0151721B1 KR 0151721 B1 KR0151721 B1 KR 0151721B1 KR 1019890016071 A KR1019890016071 A KR 1019890016071A KR 890016071 A KR890016071 A KR 890016071A KR 0151721 B1 KR0151721 B1 KR 015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stic material
plastic
support member
condu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568A (ko
Inventor
가시와 무라야마
마사까즈 다쯔따
Original Assignee
다까사끼 요시로
도요 세이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사끼 요시로, 도요 세이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사끼 요시로
Publication of KR90000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43/0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mounted on chains, belts
    • B29C43/0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mounted on chains, belts with circular movement, e.g. mounted on rolls,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7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 B29C2043/328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for moving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7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 B29C2043/328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for moving moulds or mould parts
    • B29C2043/328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for moving moulds or mould parts using cam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33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4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pressurising feeding means located in the mould, e.g. plungers o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7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 B29C2043/3678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on cylindrical supports with moulds or mould cavities provided on the periphery
    • B29C2043/368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on cylindrical supports with moulds or mould cavities provided on the periphery opening and closing axially, i.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7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 B29C2043/3689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on a support table, e.g. flat disk-like tables having moulds on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4Moulding material on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preformed part, e.g. outsert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9Seal, bottle cap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압축 성형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압축 성형 장치를 전체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용기 덮개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덮개 몸체 및 압축 성형 파지링을 구비한 용기 덮개의 사시도 및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의 회전 압축 성형 장치의 주 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의 주형과 그 관련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부분 도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주형의 제1주형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주형의 제2주형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제5도에 A-A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5도에 B-B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제1도의 압축 성형 장치의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안에 위치한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의 부분 저면도.
제13a도 내지 제13d도는 압출 개구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저면도.
제14도는 제5도에 도시된 주형의 도관 구멍이 플라스틱 수용부에 수용된 플라스틱 재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의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의 압축 성형 영역의 상류부 및 하류부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의 배출 영역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몸체 4 :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
6 :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 8 : 배출 슈트
10 : 회전 지지부재 12 : 주형
16 :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 18 :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
20 : 압축 성형 영역 22 :배출 영역
24 : 용기 덮개 몸체 26 : 원형 상부 판넬
28 : 스커트벽 30 : 연결 돌출부
38 : 파지링 42 : 고정 지지블럭
44 : 고정 지지축 58 : 제1주형부
60 : 제2주형부 76 : 고정 안내부
90 : 주 승강부재 92 : 보조 승강부재
140 : 도관 구멍 174 : 압축 로드
188 : 압출기 190 : 압축 블록
204 , 240-A내지 204-D : 압출 개구부
208 : 플라스틱 재료 212 : 회전 디스크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압축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파지링을 성형하고 동시에 이를 성형 용기 덮개 몸체의 연결 돌출부에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손쉽게 사용가능한 압축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78730/1982호에는 간단히 개방가능한 용기 덮개의 적절한 예로서 금속 용기 덮개 몸체와 플라스틱 파지링으로 구성된 용기 덮개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 덮개 몸체는 알루미늄 기본합금의 얇은 판과 같은 적절한 얇은 금속판으로 성형되고, 원형 상부 판넬벽과 원형 상부 패널벽의 외주연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원통형 스커트벽과, 스커트벽의 자유단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연결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파지링은 용기 덮개 몸체의 연결 돌출부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자들은 (발명의 명칭이 압축 성형 장치인) 일본국 특허출원 제 138212/1987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종래의 압축 성형 장치로서 기술된) 상기 용기 덮개의 플라스틱 파지링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를 용기 덮개 몸체의 연결 돌출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압축 성형 장치를 이미 제시하고 있다. 종래의 압축 성형 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지지부재와, 회전 지지부재상에 원주방향 이격되어 장착된 다수의 주형들을 포함한다. 각 주형은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과 용기 덮개 공급 영역 그리고 압축 성형 영역 및 배출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주형에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는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은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에 위치하고, 주형에 용기 덮개 몸체 공급수단은 용기 덮개 공급 수단은 용기 덮개 공급 영역에 위치한다.
종래 압축 성형 장치의 각 주형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제 1 주형부와 제 2 주형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주형부는 서로 상호 작동하여 주형 공동을 형성한다. 제 2 주형부는 그 안에 주형 공동으로부터 연장된 도관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도관 구멍안으로 압축 로드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 개방된 플라스틱 수용부가 도관 구멍안에 형성된다. 한편,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은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의 이송통로와 면한 압출 개구부를 구비한 압출기로 구성된다.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는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수용되고 절단되어 주형에 공급된다.
본 발명자의 경험에 의하면 종래의 압축 성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는 도관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 안에 이로부터 부풀지 않고 수용되어야만 하고,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주형으로 성형 성형영역이로 이송되어야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압축 성형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필요성은 정확히 그리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없었다.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정확히 수용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압축되는 압출 개구부의 단면적을 도관 구멍의 단면적보다 적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때때로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수용된 플라스틱 재료가 이에 정확히 유지되지 않고 떨어져 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압출 개구부의 단면적을 도관 구멍의 단면적보다 크게 한다면, 도관 구멍으로부터 플라스틱 재료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킥 재료는 플라스틱 수용부안으로 전진 할 수 없고 플라스틱 수용부 밖으로 부풀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압축 성형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압축 성형 장치에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가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이로부터 부풀어 오르지 않고 정확히 수용되며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주형에 의해 성형 영역에 정확히 이송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광범위한 연구 결과, 상기 목적은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가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의 이송 방향으로(따라서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으로)가늘게 연장되고 이송 방향에서 볼 때 폭 하류에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을 갖도록,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그리고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형상시킴으로써 성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지지부재와, 회전 지지부재상에 장착된 동시에 각각이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과 압축 성형 영역 그리고 배출 영역을 통해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원주방향 이격된 주형과,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에 위치한 각 주형에 열연화 상태의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시키는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을 공급하고, 상기 각 주형이 설정된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되도록 구성된 제 1 주형부와 제 2 주형부를 포함하고, 제 1 주형부와 제 2 주형부가 서로 상호 작동하여 주형 공동을 한정하고, 주형 공동으로부터 연장된 도관 구멍이 제 2 주형부 안에 형성되며, 각 주형이 도관 구멍안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 압축 로드를 포함하고, 도관 구멍이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플라스틱 수용부를 구비하고,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이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를 이송시키도록 통로에 대향한 압출 개구부를 구비한 압출기로 구성되고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가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수용되고 절단되도록 구성되고,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가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의 이송 방향으로 길쭉하게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보아 하류에서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통상 도관 구멍은 이송 방향으로 중간 부분의 폭이 최소이고, 최소폭이 압출 개구부의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에 대응하는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의 부분의 이송방향의 상류 단부의 폭보다 크지만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의 상기 부분의 이송방향의 하류 단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규정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압축 성형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의 전체적인 개요]
압축 성형 장치를 전체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에 의하면, 도시된 압축 성형 장치는 주몸체(2)와, 압출기로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과, 회전 터릿 형태의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과, 배출 슈트(8)로 구성된다.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된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는 제1도의 도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중심축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된 회전 지지부재(10)와, 회전 지지부재(10) 상에 외주연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다수의 주형(12)을 포함한다. 회전 지지부재(10)는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각 주형(12)은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과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 그리고 압축 성형 영역(20) 및 배출 영역(22)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에 의해 각 주형(12)안으로 공급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에서, 용기 덮개 몸체는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에 의해 각 주형(12)안으로 공급된다. 압축 성형 영역(20)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파지링으로 성형되고, 파지링은 용기 덮개 몸체에 일체로 동시에 연결된다, 파지링을 구비한 용기 덮개는 각 주형(12)으로보터 배출 영역(22)안의 배출 슈트(8)로 배출된다.
[용기 덮개]
제2a도 및 제2b도에는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으로부터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의 각 주형(12)안으로 공급될 공지 형태의 용기 덮개 몸체(24)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알루미늄 기본 합금의 얇은 판 또는 크롬 처리강의 얇은 판 또는 주석판과 같은 적절한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용기 덮개(24)는 원형 상부 패널(26)과, 상부 패널(26)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원통형 스커트 벽(28)과, 스커트 벽(28)의 자유단부 일부로부터 돌촐된 연결 돌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돌출부(30)는 스커트 벽(28)의 자유단부 일부로부터 축방향 또는 방사상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편하게 이는 15 내지 60°의 경사각(a)으로 하향 경사 방향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다. 양호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인)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부(32)를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파지링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결 돌출부(30)의 자유 단부에 형성한다. 용기 덮개 몸체(24)에서, 연결 돌출부(30)의 기저 단부의 양 측면상의 스커트 벽(28)안에 삼각형 절개부(34)를 형성한다. 약 90°로 양방향으로 각지게 이격된 각 위치에, 스커트 벽(28)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B도의)절개선(36)을 형성한다. 절개선(36)을 소위 새김눈이라 한다. 상부 패널(26)의 외주연 모서리부는 상방으로 돌출하고, 돌출 외주연 모서리의 내부면안에 플라스틱 환상 라이너(37)를 마련한다.
제3a도 및 제4b도에는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 안에서 성형된 플라스틱 파지링(38)을 구비한 용기 덮개가 도시되어 있다. 파지링(38)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하며, 기저부(40)와 기저부(40)로부터 하향 연장된 링 형상부(41)를 갖고 있다. 파지링(38)의 기저부(40)는 적어도 연결 돌출부(30)의 자유 단부를 둘러싸고 이에 일체로 연결된다.
[회전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
제4도에 의하면, 회전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는 디스크 형상의 고정 지지블럭(42)과 수직 연장된 고정 지지축(44)으로 구성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환상 플렌지(46)는 지지축(44)의 하단부 안에 형성된다. 플렌지(46)는 지지블록(42)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48)안으로 삽입되어 볼트(49)에 의해 지지블록(42)에 고정된다. 지지축(44)을 에워싼 원통형 회전 지지부재(10)는 고정 블록(42)과 이에 고정된 지지축(44)을 구성된 지지 구조물상에 상부 베어링(50)과 하부 베어링(52)에 의해 장착된다. 입력 기어(54)는 회전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적절한 변속 기구(도시되지 않은)를 통해 전기 모터인 구동원(56)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원(56)이 여기될 때 회전 지지부재(10)는 제1도의 화살표(14) 방향으로 설정 속도로 연속 회전된다.
외주연으로 서로 동간격으로 이격된(제1도에서는 12개인)인 주형(12)은 회전 지지부재(10)상에 장착된다. 각 주형(12)은 제 1 주형부(58)와 제 2 주형부(60)를 포함한다. 환상지지 플렌지(62)는 회전 지지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각 주형(12)의 제 1 주형부는(58) 환상지지 플렌지(62)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형부(58)는 팬 형상이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볼트(68)를 회전 지지부재(10)의 환상지지 플랜지(62)를 통해 제 1 주형부(58)의 하부면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제 1 주형부(58)는 지지 플랜지(62)에 고정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원호형으로 연장된 상대적으로 깊은 홈(70)을 제 1 주형부(58)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된다(홈(70)의 기능은 후술한다). 덮개 몸체(24)의 스커트 벽(28)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 오목부(72)는 제 1 주형부(58)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된다.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 상에는 수평 연장 주요부분(73)과, 주요부분(73)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약간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75)이 존재한다. 링형상으로 경사부분(75)으로부터 주요부분(73)으로 연장된 제 1 성형 오목부(74)는 제 1 주형부(58)의 외주연 표면상에 형성된 상기 원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설정폭의 얕은 오목부(75)는 상부면의 전방 모서리가 제 1 주형 오목부(74)에 연결되도록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상에 형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으로부터 주형(12)으로 공급된 용기 덮개 몸체(24)는 제5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제 1 주형부(58)안에 수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덮개 몸체(24)의 스커트 벽(28)의 자유단부는 원형 오목부(72)안에 수용되고, 용기 덮개 몸체(24)의 연결 돌출부(30)는 오목부(75)를 통해 제 1 주형 오목부(74)안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 1 주형부(58)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72)는 용기 덮개 몸체와 조화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용기 덮개 몸체(24)의 방사상 외측 이동은 제 1 주형부(58)의 외주연 표면에 인접하여 호형으로 연장된 고정 안내부(76, 제1도)에 의해 방지된다(고정 안내부(76), 특히 그 상류 단부와 하류 단부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외주연 방향으로 제 1 주형 오목부(74)의 양측면상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짧은 로드(78)가 제 1 주형부(58)안에 마련된다.
제4도에 의하면, 회전 지지부재(10)의 상부에 비교적 두꺼운 지지 플랜지(8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12개인) 다수의 수직 연장홈(82)은 지지 플랜지(80)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위치에 형성된다. 각각의 홈(82)은 제 1 주형부(58)와 수직 정렬되어 위치한다. 각 홈(82)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외측면을 개방되어 있다. 판형부재(84)는 홈(82)에 대응하여 지지 플랜지(80)의 외주연 표면에 고정된다. 판형 부재(84)는 각각 홈(82)의 외측면에 인접한다. 수직 연장홈(86)은 각 판형 부재(84)의 외측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홈(86)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외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홈(86)의 외측면에 인접한 판형부재(88)는 판형부재(84)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홈(82)은 방사상 방향으로 홈(86)과 정렬된다. 주 승강부재(90)는 자유롭게 승강 및 하향되도록 각 홈(42)안에 수용되고, 보조 승강부재(92)는 자유롭게 승강 및 하향되도록 각 홈(86)안에 수용된다. 각각의 주 승강부재(90)와 보조 승강부재(92)는 지지 플랜지(80)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부에 수평 연장축(94 또는 96)이 고정된다, 롤러(98,100)는 축(94)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롤러(102)는 축(96)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98,100,102)는 캠 종동자를 구성한다. 한편, 원통형 캠 블록(104)은 고정 지지축(44)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캠 홈(106,108)은 캠 블록(104)의 외주연 표면상에 형성 된다. 주 승강부재(90)안에 위치한 롤러(98,100)는 캠 홈(106)의 각 하부면과 상부면의 작용을 받으며, 보조 승강부재(92)안에 위치한 롤러(102)는 캠(108)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작용을 받는다. 회전 지지부재(10)가 제1도의 화살표(14)방향으로 회전할 때, 주 승강 부재(90)와 보조 승강부재(92)는 상승 또는 하향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의하면,하향 연장축(110)은 주 승강부재(9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주 승강부재(90)에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부 나사구멍(112)이 형성되고, 하향 연장축(110)의 상부에는 외부 나사가 형성된다. 하향 연장축(110)은 내부 나사구멍(112)안에 그 외부 나사를 끼우고 그 외부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나사(113) 결합함으로써 주 승강 부재(90)에 고정된다. 연결부재(114, linking menber)는 하향 연장축(110)의 하부상에 장착된다. 연결 부재(114)는 수평 상부벽부(116)와, 수직벽부(118) 그리고 수평 하부벽부(120)를 갖는다. 수직 연장 관통 구멍(122)은 수평 상부벽부(116)안에 형성되고, 하향 연장축(110)의 하부는 관통구멍(122)안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하향 연장축(110)의 하단부에는 외부 나사가 형성된다. 외부 나사에 너트(124,126)를 결합함으로써, 연결부재(114)가 하향 연장축(110)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확장(bulged) 플랜지(128)는 하향 연장축(110)의 수직 방향으로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판 스프링(130)이 플랜지(128)와 연결부재(114)의 수평 상부벽부(116)의 상부면사이에 위치한다. 이 판 스프링(130)은 연결부재(114)를 하향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수평 상부벽부(116)의 상부면이 너트(124)와 접촉되는 도시된 위치에 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 2 주형부(60)는, 클램프 볼트(도시되지 않은)를 연결부재의 수평 하부벽부(120)를 통해 제 2 주형부(60)의 상부면으로부터(제9도의) 하향 연장 내부 나사구멍(132)안으로 끼움으로써 연결부재(114)의 수평 하부 벽부(12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제5도와 관련하여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하면, 제 2 주형부(6)는 제 1 주형부(58)와 같이 거의 팬형상이다. 수평 연장 주부분(134)과, 주부분(134)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약간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136)은 제 2 주형부(60)의 상부면안에 존재한다. 주부분(134)과 경사부분(136)은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안의 주부분(73)과 경사부분(75)에 각각 대응한다. 링 형상으로 연장된 제 2 주형부 오목부(138)는 제 2 주형부(60)의 상부면안에 형성된다. 제 2 주형부(60)가 후술될 방법으로 하향하고 그 상부면이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면, 제 2 주형부(60)안에 형성된 제 2 주형 오목부(138)는 제 1 주형부(58)안에 형성된 제 1 주형 오목부(74)와 상호 작동하여 주형 공동을 형성한다. 제 1 주형부(58)로 공급된 덮개 몸체(24)의 연결 돌출부(30)는 외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주형 공동에는 돌출한다. 용기 덮개 몸체(24)는 연결 돌출부(30)는 주형 공동의 수직 방향으로 연결 돌출부(30)의 상부 및 하부 양측면상에 공간이 남게 된다. 제 2 주형 오목부(138)의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도관구멍(140)은 제 2 주형부(60)`안에 형성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구멍(140)은 거의 사다리꼴 단면이며, 호형 돌출부(142)가 방사상 내측면(사다리꼴의 바닥면인)의 중앙에 존재한다. 따라서, 도관구멍(140)은 제 2 주형부(60)의 화살표(14) 방향인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중간부분안에 최소폭(Wa)을 갖는 최소폭부를 갖는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절개부(144)가 제 2 주형부(60)의 외주연 표면안에 형성된다. 절개부(144)는 전체적으로 거의 L형상이며, 제 2 주형부(60)의 전외주연 표면을 따라 원주형으로 연장된 전외주연 절개부(146)와, 전외주연 절개부(146)아래의 이송 방향으로 제 2 주형부(60)의 외주연 표면의 전방 단부에만 존재하는 반외주연 절개부(148)를 갖는다. 전외주연 절개부(146)는 도관 구멍(140)의 전반 절반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송 방향으로 그 전방 측면부가 반외주연 절개부(148)에 의해 개방된 채로 되는 도관 구멍(140)부분은 후술되는 방법으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료 수용부(150)를 구성한다. 제7도 및 제8도와 함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 2 주형부(60)의 상부면의 주부분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구멍(152)은 제 2주형부(60)의 하부면에 제 2 주형 오목부(138)의 외주연 방향으로 양측면상에 형성된다. 금속 부쉬(152)가 각 구멍 안에 가압 끼워진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형부(58)안에 마련되 짧은 로드(78)쌍은 이 부쉬(154)안에 삽입된다. 그 결과, 서로 상호 작동하는 제 1 주형부(58)와 제 2 주형부(60)는 서로에 대하여 위치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의하면, 하향 연장부재(158)는 조정기구(156)를 통해 보조 승강부재(9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보조 승강부재(92)는 그 안에 그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내부 나사 구멍(160)이 형성되며, 하부 연장부재(152)는 그 안에 그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내부 나사구멍(162)이 형성된다. 내부 나사구멍(160)에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내부 나사 구멍(162)에는 왼 나사가 형성된다. 그 수직 중간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오각 플랜지부(164)를 구비한 축부재(166)는 그 상반부에 외부 오른 나사를 그 하반부에 외부 왼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축부재(166)의 상반부는 보조 승강부재(92)의 내부 나사 구멍(160)안에 나사 결합되고 너트(168)에 의해 클램프된며,그 하반부는 하향 연장부재(158)의 내부 나사구멍(162)안에 나사결합되고 너트(170)에 의해 클램프된다. 너트(168,170)가 헐겁게 되고 축부재(166)를 오른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향 연장부재(158) 그리고 후술될 압축 로드(174)는 보조 승강부재(92)에 대하여 상승한다. 축부재(166)가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향 연장부재(158)와 후술될 압축 로드(174)는 보조 승강부재(92)에 대하여 하향한다. 하향 개방된 절개부(172)는 하향 연장부재(158)의 방사상 내측 하부안에 형성되고, 압축 로드(174)의 확대 헤드부(176)는 절개부(172)안에 끼워진다. 수직 하향 연장 축부를 구비한 안내핀(178)은 절개부(172)의 내측에 고정된다. 한편, 수직으로 연장된 안내 구멍(180)은 압축 로드(174)의 확대 헤드부(176)안에 형성되고, 안내 핀(178)의 축부는 안내 구멍(180)을 통해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다수의 판 스피링(182)이 안내 핀(178)의 축부둘레에 위치한다. 판 스프링(182)은 압축 로드(174)를 하향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시킨다. 압축 로드(174)의 확대 헤드부(176) 아래에 위치한 멈춤 판(184)은 볼트(185)의 수단에 의해 하향 연장부재(158)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멈춤부재(184)가 압축 로드(174)의 확대 헤드부(176)의 상부면과 접촉할 때, 압축 로드(174)의 하강이 저지된다. 압축 로드(174)는 멈춤판(184)을 지나 하향 연장된 주 로드부(186)를 갖는다. 주 로드부(186)는 도관 구멍(140)을 통해 삽입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로드부(186)는 도관 구멍(140)의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
제1도와 관련하여 제10도 및 제11도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에 상대 위치한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은 압출기(188)와 압출기(188)의 한 단부에 고정된 압출 블록(190)을 포함한다. 압출 블록(190)은 수직 연장 기저부(192)와 기저부(192)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연장된 돌출부(194)를 갖는다. 클램프 볼트(196)는 압축 블록(190)을 압출기(188)의 단부에 고정시키도록 기저부(192)의 하부를 통해 압출기(188)의 단부면상에 나사 결합된다. 압출 블록(190)의 돌출부(194)는 수평 연장된 하부면(198)을 갖는다. 압출 통로(202)는 압출기(188)안에 형성된 압출 통로(202)의 하류단에 연결된 그 입구 단부로부터 돌출부(194)안에 연장된 압출 블록(192)안에 형성된다. 압출 통로(202)는 입구 단부로부터 돌출부(194)의 단부로 수평으로 돌출부(194)안에 연장되어, 하부면(198)으로 하향 연장되고, 하부면(198)으로 개방된다. 하부면(198)으로 개구된 압출 통로(202)의 압출 개구부(204)는 제 2 주형부(60)의 화살표(14)로 도시된 이송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되고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점진적으로 하류가 넓어지는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을 가져야만 한다. 제12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압출 개구부(204)는 이송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된 고치 형상이며, 이송 방향으로 그 상류 및 하류 단부는 모두 반원형이다. 두 단부사이의 주부분은 이송 방향으로 볼 때 하류쪽으로 Wb-1에서 Wb-2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가져서,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폭부(206)를 형성한다. 열용융 상태의(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플라스틱 재료(208)는 압출 블록(192)의 압출 통로(202)를 통해 전진하여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하향 압출된다. 분 분야에 속한 사람이면 아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208)는 압출시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약간 팽창된다. 따라서, 제12도에서 2점괘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의 단면 형상은 압출 개구부(204)의 단면 형상과 거의 대칭이지만 이보다 크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의 단면은 이송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된 고치 형상이다. 이송 방향으로 그 상류 및 하류 단부는 반원형이다. 두 단부상이의 주부분은 이송 방향으로 볼 때 Wc-1으로부터 Wc-2로(Wc-1이 Wb-1보다 약간 크고 Wc-2가 Wb-2보다 약간 큼)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폭의 하류를 갖는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10)를 형성한다. 양호하게는, 제 2 주형부(60)안에 위치한 도관 구멍(140)의 이송방향으로 중간부분에 최소폭 위치의 최소폭(Wa)은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의 폭(Wc-1)보다 크고, 그 폭(Wc-2)보다 적다.
제13a도 내지 제13d도에는 압출 개구부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3A도에 도시된 압출 개구부(204-A)는 사다리꼴이며 이송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된다. 그 폭은 이송 방향으로 그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압출 개구부(204-A) 전체는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06-A)를 형성한다. 제13B도에 도시된 압출 개구부(204-B)는 상류부에 위치한(약 1/4 부분인)일부만이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06-B)를 한정하는 형상이다. 제13C도에 도시된 압출 개구부(204-C)에서, 그 상류 절반부는 삼각형이고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306-C)를 한정한다. 제13D도에 도시된 압출 개구부(204-D)에서, 그 하류부에 위치한 (약 1/4 부분인)일부만이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06-D)를 한정하고,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06-D)는 이송 방향으로 한 측면상에만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폭을 갖는다.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에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을 통과하는 동안 주형(12)의 구성 요소는 제11도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 승강부재(90)상에 장착된 제 2 주형부(60)는 제 1 주형부(58)로부터 상방으로 멀리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고, 보조 승강부재(92)상에 장착된 압축 로드(174)는 그 주 로드(186)부의 하단부가 제 2 주형부(60)안에 형성된 도관 구멍(140)의 플라스틱 수용부(150)위에 위치하도록 상승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안의 압출 블록(190)의 돌출부(194)는 제 2 주형부(60)의 외주연 표면안에 형성된 전외주연 절개부(146)안으로 돌출되고, 그 안에 압출 개구부(204)를 형성한 하부면(198)은 도관 구멍(140)의 플라스틱 수용부(150)의 상부면에 인접 또는 이와 접촉하여 위치한다. 도관 구멍(140)의 플라스틱 수용부(150)가 회전 지지부재(10)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14)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출 블록(190)의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하향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플라스틱 수용부(150)의 이송방향으로 개방 전방 측면반부로 안내된다. 플라스틱 수용부(150)가 화살표(14) 방향으로 좀 더 이동하면, 플라스틱 수용부(150)안에 수용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서로 상호 작동하는 압출기(188) 블록(190)의 돌출부(194)의 하부면과 플라스틱 수용부(150)의 상부면과의 절단 작용에 의해 절단된다. 그 결과, 절단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플라스틱 수용부(150)안으로 공급되고 이와 함께 이동된다.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이송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송 방향으로 하류에서 점진적으로 넓어진 폭부(210)를 포함한다. 도관 구멍(140)은 이송 방향으로 그 중간 부분에 최소폭 위치를 갖도록 단면 형상을 가지며, 최소폭 위치의 최소폭(Wa)은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의 단면의 점진적으로 넓은 폭부(210)의 이송 방향으로 상류 단부의 폭(Wc-1)보다 크고 이송 방향으로 하류 단부의 폭(Wc-2)보다 적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제8도 및 제12도와 제14도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부풀지 않고 플라스틱 수용부(150)안에 손쉽고 정확히 수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수용부(150) 안에 한번 수용된 플라스틱 재료(208)는 플라스틱 수용부(150)의 중간 부분의 최소 폭 위치의 지지 작용에 의해 떨어짐이 없이 그 안에 정확히 지지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
제1도에 의하면,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에 상대 위치한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은 수직으로 연장된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자재로 장착된 회전 디스크(212)를 포함한다. 원주로 균등하게 이격 배치된 대수의 용기 덮개 몸체 수용 오목부(도시되지 않은)는 회전 디스크(212)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된다. 회전 디스크(212)는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의 회전 지지부재(10)의 회전과 동기하여 화살표(214)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디스크(212)가 화살표(214)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용기 덮개 몸체(24)는 수용 영역에서 공급 슈트(218)로부터 회전 디스크(212)상의 수용 오목부로 공급된다. 회전 디스크(212)의 회전에 의해, 용기 덮개 몸체(24)는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으로 이송된다. 이 동안에 용기 덮개 몸체(24)는 수용 영역(216)으로부터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으로 회전 디스크(212)의 외주연을 따라 호형으로 존재하는 고정 안내부(220)에 의해 수용 오목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에서, 용기 덮개 몸체(24)는 회전 디스크(212)의 수용 오목부로부터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안의 주형으로 이동된다. 제15도에 의하면,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의 상류측에서, 고정 안내부(220)의 하류 단부는 그 수직 크기가 감소되고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안의 주형(12)의 제 1 주형부(58)안에 형성된 홈(70)의 깊은 부분으로 전진된다. 한편,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안의 고정 안내부(76)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의 하류측으로부터 배출 영역으로 연장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에서, 회전 디스크(212)의 각 수용 오목부는 제 1 주형부(58)안에 형성된 각 원형 오목부(72)에 대항하여 위치하고, 용기 덮개 몸체(24)는 수용 오목부와 원형 오목부(72)에 걸쳐 위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덮개 몸체(24)의 상부 판널측 절반부는 수용 오목부(72)에 수용되고, 스커트 벽의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다른 절반부는 원형 오목부안에 수용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영역(18)의 하류측에서, 용기 덮개 몸체(24)가 수용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할 수는 있지만 고정 안내부(76)에 의해 원형 오목부(72)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용기 덮개 몸체(24)는 수용 오목부(72)로부터 원형 오목부(72)로 전달되고, 원형 오목부안에 수용되고 제 1 주형부(58)와 함께 이동된다.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 자체는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91532/1984호 및 제 191533/1984호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보는 용기 덮개 몸체 공급 수단(6)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함에 있어 참조하였다.
[압축 성형 영역]
제1도 및 제5도와 관련하여 제16도 및 제17도에 의하면, 압축 성형 장치의 주몸체(2)안의 주형(12)이 압축 성형 영역(20)을 통과할 때 주승강 부재(90)와 보조 승강부재(92)는 적절히 하향된다. 제1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2 주형부(60)는 주 승강부재(90)의 하강에 의해 하강되고, 제 2 주형부(60)의 하부면은 제 1 주형부(58)의 상부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며,제 1 주형부(58)의 제 1 주형 오목부(74)와 제 2 주형부(60)의 제 2 주형 오목부(138)의 상호 작동에 의해 링형 주형공동이 한정된다. 제1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압축 로드(174)의 주로드부(186)의 하단부는 도관 구멍(140)안의 플라스틱 수용부(150)(이미 플라스틱 재료(208)가 수용된)위에 위치한다. 보조 승강수단(92)이 계속 하향하고, 압축 로드(174)는 제17도에 도시된 위치로 하향된다. 이때에, 압축 로드(174)의 주 로드부(186)는 플라스틱 수용부(150)안에 존재하는 플라스틱 재료(208)상에 작용하고, 플라스틱 재료(208)를 주형 공동상에 가압한다. 그 결과, 플라스틱 재료(208)는 주형 공동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제3A도에 도시된 형태의 파지링(38)으로 성형된다. 동시에, 성형된 파지링(38)의 기저부(40)는 연결 돌출부(30)를 둘러싸고, 파지링(38)은 용기 덮개 몸체(24)의 연결 돌출부(30)가 주형 공동안으로 돌출되므로 연결 돌출부(30)에 연결된다.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플라스틱 수용부(150)로 공급될 플라스틱 재료(208)의 양을 소정의 정도로 정확히 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플라스틱 재료(208)량에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될 플라스틱 재료(208)의 양을 약간 많은 양으로 세트하고, 과잉량은 압축 성형 말기에 판 스피링(182)의 탄성 바이어스 작용에 대한 압축 로드(174)의 약간의 상승으로 보상한다.
[배출 영역]
제1도와 관련하여 제18도에 의하면, 주형(12)이 압축 성형 영역(20)으로부터 배출 영역(22)으로 이동할 때, 주 승강부재(90)와승강부재(92)(제5도의)상승하고, 제 2 주형부(60)와 압축 로드(174)는 제18도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한다. 그 결과, 주형 공동은 개방된다. 배출 영역(22)에서, 용기 덮개 몸체(24)와 파지링(38)을 구비한 용기 덮개는 주형(12)으로부터 배출 슈트(8)로 배출된다. 제18도와 제19도에 의하면, 제 1 주형부(58)의 원형 오목부(72)로부터 용기 덮개(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안내 레일(76)은 배출 영역(22)의 상류측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용기 덮개는 제 1 주형부(58)의 원형 오목부(72)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식 용기 덮개 배출 수단(222) 또한 배출 영역(22)에 대하여 위치한다. 이 배출 수단(222)은 제 1 주형부(58)안에 형성된 흠(70)의 깊은 부분 안으로 전진하고 배출 영역(22)안의 용기 덮개의 내측으로 위치한 레일형 전방 단부를 구비한 고정부재(224)를 포함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덮개에 대향하여 위치한 고정부재(224)의 전방 단부의 이러한 위치부분은 용기 덮개쪽으로 개구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사구멍(226)을 형성하고 있다. 분사 구멍(226)은 고정부재(224)안에 형성된(도시되지 않은)공기 통로를 통해(도시되지 않은)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제 1 주형부(58)의 원형 오목부(72)안에 위치한 용기 덮개에 대하여 분사 구멍(226)으로부터 분사된다. 그 결과, 용기 덮개는 제 1 주형부(58)의 원형 오목부(72)로부터 정확히 외측으로 배출되어 배출 슈트(8)로 공급된다. 그 연후에 용기 덮개는 배출 슈트를 통해 수집 영역과 같은 적절한 위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압축 성형 장치의 한 특정예를 들어 상세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에서 청구되고 기술된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지지부재(10)와, 회전 지지부재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그 각각이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과 압축 성형 영역(20) 그리고 배출 영역(22)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수의 주형(12)과. 플라스틱 재료 공급 영역(16)에 위치하여 각각의 주형에 열연화 상태의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는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주형(12)은 설정된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도록 구성된 제 1 주형부(58)와 제 2 주형부(60)를 포함하고, 상호 협력 관계의 제 1 주형부와 제 2 주형부는 주형 공동을 한정하고, 상기 제 2 주형부에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연장된 도관 구멍이 형성되며, 각각의 주형은 도관 구멍안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 압축 로드를 포함하고, 도관 구멍은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플라스틱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 재료 공급 수단(4)은 회전 지지부재(10)의 회전에 의해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를 이송시키도록 통로에 대향한 압출 개구부(204)를 구비한 압출기로 구성되고,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압출된 열연화성 플라스틱 재료(208)가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안에 수용되고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절단되도록 구성된 압축 성형 장치에 있어서, 압출기의 압출 개구부(204)는 도관 구멍의 플라스틱 수용부의 이송 방향으로 점차 가늘게 그리고 이송 방향에서 보아 하류에서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구멍(140)은 이송 방향으로 중간부분에 최소폭 위치부를 갖고, 최소폭 위치부는 압출 개구부의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에 대응하는 압출 개구부로부터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208)의 부분의 이송방향의 상류 단부의 폭보다 크지만 압출 개구부(204)로부터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의 상기 부분의 이송방향의 하류 단부의 폭보다 적은 크기로 규정된 압축 성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회전 지지부재(10)의 회전축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 주형(12)의 제 1 주형부(58)와 제 2 주형부(60)는 거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되고, 도관구멍(140)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압축 성형 장치.
KR1019890016071A 1988-11-07 1989-11-07 압축 성형장치 KR0151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9495 1988-11-07
JP63279495A JP2724602B2 (ja) 1988-11-07 1988-11-07 圧縮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68A KR900007568A (ko) 1990-06-01
KR0151721B1 true KR0151721B1 (ko) 1998-10-15

Family

ID=1761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071A KR0151721B1 (ko) 1988-11-07 1989-11-07 압축 성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71339A (ko)
JP (1) JP2724602B2 (ko)
KR (1) KR0151721B1 (ko)
CA (1) CA20022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018B2 (ja) * 1989-12-07 1999-08-0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
JP2785053B2 (ja) * 1989-12-27 1998-08-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金属製本体と合成樹脂製把持片とを具備する容器蓋
JP3062829B2 (ja) * 1991-02-13 2000-07-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環状ライナー成形装置
ITBO940242A1 (it) * 1994-05-23 1995-11-23 Sacmi Apparecchiatura per lo stampaggio a pressione di articoli in materiale plastico, come capsule per la chiusura di contenitori e simili.
US20030116879A1 (en) * 2001-12-21 2003-06-26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Compression molding process and article made by the process
US7399174B2 (en) * 2004-04-08 2008-07-15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molding plastic articles
ITRE20040040A1 (it) * 2004-04-23 2004-07-23 Sacmi Metodo ed aparecchiatura per trasferire corpi dosati di materiale polimerico alle cavita' di matrice di una macchina di stampaggio
US7407376B2 (en) * 2005-07-21 2008-08-05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ITUA20161621A1 (it) 2016-03-14 2017-09-14 Sacmi Apparato e metodo di formatura
CN110406014A (zh) * 2019-08-28 2019-11-05 东莞市鼎通精密五金股份有限公司 一种拉料机的注塑模具用送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507A (en) * 1900-06-20 1902-03-18 Frank D Strang Jeweler's mold.
US1262385A (en) * 1917-09-10 1918-04-09 Frederick Penza Die-pin for macaroni-machines.
US3458907A (en) * 1966-12-06 1969-08-05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Slurry pouring means and mold
US4312687A (en) * 1980-12-15 1982-01-26 Chevron Research Company Solar collector headers
US4424015A (en) * 1981-03-12 1984-01-03 Pemco-Kalamazoo, Inc.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JPS57178730A (en) * 1981-04-28 1982-11-04 Japan Crown Cork Co Ltd Manufacture of readily openable container cover
JPS59191533A (ja) * 1983-04-15 1984-10-30 Toyo Seikan Kaisha Ltd 金属製引張リングを成形すると同時に容器蓋に結合する装置
JPS59191532A (ja) * 1983-04-15 1984-10-30 Toyo Seikan Kaisha Ltd 金属製引張リングを成形すると同時に容器蓋に結合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2228A1 (en) 1990-05-07
CA2002228C (en) 1995-01-17
JPH02127016A (ja) 1990-05-15
US5071339A (en) 1991-12-10
JP2724602B2 (ja) 1998-03-09
KR900007568A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721B1 (ko) 압축 성형장치
JPH0155084B2 (ko)
US4755125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EP0635344B1 (en) Plastic pelle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90558A1 (en) Method for Compression Molding Plastic Articles
US5259745A (en) Device for forming annular liner
JPH04259514A (ja) 環状ライナー成形装置
US5035594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US5118273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KR100190201B1 (ko) 용기 뚜껑의 플래스틱 파지부재 성형 장치 및 용기 뚜껑
JPH07276394A (ja) 合成樹脂製容器蓋製造装置
US7566215B2 (en) Apparatus for placing mold charges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US7293656B2 (en) Adjustable sorter dis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H0223313B2 (ko)
EP0399904A1 (fr) Extrudeuse-souffleuse dont le moules sont protés par une roue verticale
JP2668575B2 (ja) 合成樹脂供給装置
JP2952693B2 (ja) 環状ライナー成形装置
JPH04239609A (ja) 圧縮成形装置
US6811390B1 (en) Rotary extrusion-blow moulding machine with tilting moulds
JPH04235011A (ja) 容器蓋本体離隔機構を備えた成形装置
JPH04235009A (ja) 圧縮成形装置
CN220501768U (zh) 一种瓶盖自动分料机以及瓶盖自动组装装置
JP3208613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における縦スリット成形方法及び装置
JP3595943B2 (ja) 容器蓋に軸線方向破断ライン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JPH0722936B2 (ja) 圧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12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