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0233B1 -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 Google Patents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233B1
KR0150233B1 KR1019930030494A KR930030494A KR0150233B1 KR 0150233 B1 KR0150233 B1 KR 0150233B1 KR 1019930030494 A KR1019930030494 A KR 1019930030494A KR 930030494 A KR930030494 A KR 930030494A KR 0150233 B1 KR0150233 B1 KR 015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ignal
node
occupancy
a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07A (ko
Inventor
최억우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3003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233B1/ko
Publication of KR95002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2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84Bus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용버스를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가상점유신호를 이용하여 한 노드의 버스하용후 다른 노드가 버스를 다시 점유하기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버스의 이용도를 최대호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용버스상에 접속되는 모든 노드들의 버스중재를 위한 동기클럭을 발생시키는 공용버스동기클럭 발생수단과, 중재카운터수단을 초기화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과, 각 노드의 중재어드레스를 초기화하며 중재어드레스가 소정값이 되면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하는 중재카운터수단과,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점유된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스점유결정수단과, 중재카운터수단을 증지시키기 위한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키는 제1 가상점유발생수단 및, 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도중 다음 순서에 버스를 점유한다는 가상점유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버스점유에 대한 일실시예 타이밍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구성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마스터
11,110 :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
12,120 : 프레임동기신호 발생부
13 :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부
20,200 : 노드 21,210 : 중재카운터
22,220 : 버스점유 결정부 23 :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노드(Node)가 공유하는 공용버스를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가상점유신호를 이용하여 한 노드의 버스 사용후 다른 노드가 버스를 다시 점유하기 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버스의 이용도를 최대로 활용하도록한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마스터(100)측에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0)와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0)가 구비되고, 노드(200)측에 중재카운터(210)와 버스점유 결정부(220)가 구비되는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0)는 버스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버스중재를 위한 동기클럭인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을 발생시키고,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0)는 각 노드(200)에 위치하는 중재카운터(210)를 초기화 시키기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킨다. 중재카운터(210)는 마스터(100)의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인가되는 프레임 동기신호(FRS)에 따라 인가되는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 되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의해 카운트를 진행하여 특정 값을 갖게되면 버스점유 결정부(220)에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인가한다. 버스점유 결정부(220)는 중재카운터(210)로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전송할 데이타가 인가되면 버스점유신호(AST)를 출력한후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버스점유 중재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제2도와 함께 설명한다. 예를들어, 2개의 노드가 있는데 제1노드의 중재어드레스는 0×04로 설정되어 있고 제2노드의 중재어드레스는 0×0d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노드에 구비된 중재카운터(210)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킨다고 가정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2의 타이밍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100)의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0)에서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면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각각의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되는 바,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0×04로 초기화되고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0×0d로 초기화 된다. 이후에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터를 하게 된다. 따라서, 2주기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한 후에는 중재어드레스가 0×0d인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0)에서 카운트 한 값이 0×0f가 되므로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켜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측으로 인가한다. 이에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에서는 전송할 데이타가 있을 경우, 공용버스에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킴으로써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재어드레스가 0×04인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로부터 버스점유신호(AST)가 수신됨과 동시에 카운트를 정지하는 바,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값은 2주기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했으므로 0×06이 된다. 이후에, 제2노드의 데이터전송이 종료되면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는 공용버스로 발생시키던 버스점유신호 (AST)를 해제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0×06의 카운트값으로부터 카운트를 계속 수행하는 바, 제2노드의 공용버스점유해제 후, 10주기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한 후에는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에서 카운트 한 값이 0×0f가 되므로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0)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켜 제1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에 인가함으로써, 제1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0)에서는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공용버스에 버스 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면 다른 노드의 중재카운터는 카운트를 중지하는 바,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중인 노드가 공용버스의 점유를 종료한후 다음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기 까지는 소정갯수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한 후에나 공용버스의 점유가 가능하므로 데이타 전송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공용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타 전송을 완료한후 다음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기 까지의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버스의 이용한도를 최대로 활용하며, 데이타의 전송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터와 다수의 노드를 구비하여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용버스 상에 접속되는 모든 노드들의 버스중재를 위한 동기클럭(ASTCLK)을 발생시키는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과 :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 하여 소정의 카운트값이 되면 프레임 동기신호(FRS)발생하되,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기전에 선행동기신호(Pre-FRS)를 먼저 출력하고,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시중지하는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FRS)가 인가되면 상기 각 노드에 대하여 기설정 되어있는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한 후,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하여 중재어드레스가 소정의 값이 되면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하되,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시 중지하는 중재카운터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으로 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되고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된 상태에서,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한 노드가 없고 전송할 데이타가 존재하면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점유된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스점유결정수단과 :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선행동기신호(Pre-FRS)가 인가되었을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타를 전송하는 노드가 존재하면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의 카운트동작 및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의 카운트동작을 중지시키는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공용버스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고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으로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될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노드가 존재할 경우 다음 순서에 공용버스를 점유한다는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키는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중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 타이밍도이다.
제3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와 프레인 동기신호 발생부(12) 및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부(13)를 구비하는 마스터(10)와, 중재카운터(21)와 버스점유 결정부(22) 및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를 구비하는 노드(20)로 구성된다.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는 상기 공용버스 상에 접속되는 모든 노드들의 버스중재를 위한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을 발생시킨다.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는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로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하여 소정의 카운트값이 되면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하되,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기 전에 선행동기신호(Pre-FRS)를 발생시켜 상기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부(13)측으로 인가하고,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시중지한다.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부(13)는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로부터 선행동기신호(Pre-FRS)가 인가되었을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타를 전송하는 노드가 존재하면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의 카운트동작 및 상기 중재카운터(21)의 카운트동작을 중지시킨다. 중재카운터(21)는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FRS)가 인가되면 상기 각 노드에 대하여 기설정 되어있는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한 후,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로 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하여 중재어드레스가 소정의 값이 되면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하되,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시 중지한다. 버스점유 결정부(22)는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중재카운터(21)로 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되거나,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된 상태에서,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한 노드가 없고 전송할 데이타가 존재하면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점유된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한다.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는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공용버스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고 상기 중재카운터(21)로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될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노드가 존재할 경우 다음순서에 공용버스를 점유한다는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노드가 있으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로부터 인가되는 프레임 동기신호(FRS)에 의해 각 노드에 구비된 중재 카운터(21)의 초기화시,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0×04의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되고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0×0d의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 되며,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에서 카운트한 중재어드레스가 0×0f가 되었을 때 각 중재카운터(21)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킨다고 가정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4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10)의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에서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면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각각의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되는 바,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0×04로 초기화 되고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0×0d로 초기화 된다. 이후에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부(11)로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를 하게된다. 따라서, 2주기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한 후에는 중재어드레스가 0×0d인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에서 카운트 한 값이 0×0f가 되므로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켜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 및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측으로 인가한다. 이에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에서는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공용버스에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키면서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재어드레스가 0×04인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로부터 버스점유신호(AST)가 수신되어도 카운트를 정지하지 않고 계속 카운트하는 바, 제2노드의 버스점유후 10주기의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이 경과한 후에는 중재어드레스 0×04인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에서 카운트 한 값이 0×0f가 되므로 제1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시켜 제1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 및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측으로 인가한다. 이때. 제1노드의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는 공용버스에 버스점유신호(AST)가 발생되어 있으므로 현재 특정노드(본 실시예에서는 제2노드)가 버스를 점유하고 있음을 인지하며 또한 제1노드의 중재 카운터(21)에서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발생되어 있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므로 다음순서에 제1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한다는 가상점유신호(V-AST)를 공용버스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와 제1노드 및 제2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카운트를 일시 중지하게 된다.
한편, 제2노드의 데이터전송이 종료되면 제2노드의 버스점유 결정부(22)는 공용버스로 발생시키던 버스점유신호(AST)를 해제 시키게 되며, 이때 제1노드의 버스점유결정부(22)는 제1노드의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로부터 가상점유신호(V-AST)가 발생되어져 있으므로 바로 다음 주기의 공용버스동기클럭(ASTCLK)에 공용버스로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제1노드의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는 가상점유신호(V-AST)를 해제 시킨다. 따라서, 제2노드가 버스의 점유를 종료한 후 제1노드가 버스를 점유하기 까지는 1주기의 공용버스동기클럭(ASTCLK)이 소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프레임 동기 신호 발생부(12)는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계속 카운트하게 되는 바, 카운트값을 검사하여 마지막 노드임을 인지하고 턴사이클의 재시작을 알리는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기 전에 제1 점유신호 발생부(13)측으로 선행동기신호(Pre-FRS)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부(13)는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로 부터 선행동기신호(Pre-FRS)가 인가되므로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타를 전송하는 노드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바, 현재 마지막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전송중이므로 가상점유신호(V-SAT)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의 카운트동작 및 상기 중재카운터(21)의 카운트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는 마지막 노드가 공용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전송중일 때, 다른 노드는 이미 자신의 공용버스 점유순서가 지나갔으므로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부(23)로부터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내의 카운터 및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는 계속 카운트를 수행하게 되므로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12)는 턴사이클의 재시작을 알리는 프레임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킴에 기인하여 마지막 노드가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노드의 중재카운터(21)가 초기화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용버스를 특정 노드가 점유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할때 다른 노드의 중재카운터는 계속 카운트를 진행하고, 가상점유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한 노드의 버스사용후 다른 노드가 다시 버스를 점유하기 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버스의 이용도가 최소화되며 데이타 전송의 신속성이 확보된다.

Claims (1)

  1. 마스터와 다수의 노드를 구비하여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용버스 상에 접속되는 모든 노드들의 버스중재를 위한 동기클럭(ASTCLK)을 발생시키는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과 :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 하여 소정의 카운트값이 되면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하되, 프레임 동기신호(FRS)를 발생시키기 전에 선행동기신호(Pre-FRS)를 먼저 출력하고,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지중지하는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FRS)가 인가되면 상기 각 노드에 대하여 기설정 되어있는 중재어드레스로 초기화한 후, 상기 공용버스 동기클럭 발생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공용버스 동기클럭(ASTCLK)에 따라 카운트하여 중재어드레스가 소정의 값이 되면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를 발생하되,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일시 중지하는 중재카운터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으로 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되거나 가상점유신호(V-AST)가 인가된 상태에서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한 노드가 없고 전송할 데이타가 존재하면 버스점유신호(AST)를 발생시켜 점유된 공용버스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스점유결정수단과 :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선행동기신호(Pre-FRS)가 인가되었을 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데이타를 전송하는 노드가 존재하면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수단의 카운트동작 및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의 카운트동작을 중지시키는 제1 가상점유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각 노드에 구비되며, 공용버스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고 상기 중재카운터수단으로부터 버스점유허가신호(Pre-AST)가 인가될때 현재 공용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노드가 존재할 경우 다음순서에 공용버스를 점유한다는 가상점유신호(V-AST)를 발생시키는 제2 가상점유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중재장치.
KR1019930030494A 1993-12-28 1993-12-28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5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94A KR0150233B1 (ko) 1993-12-28 1993-12-28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94A KR0150233B1 (ko) 1993-12-28 1993-12-28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07A KR950023107A (ko) 1995-07-28
KR0150233B1 true KR0150233B1 (ko) 1998-11-02

Family

ID=1937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494A Expired - Fee Related KR0150233B1 (ko) 1993-12-28 1993-12-28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426A (ko)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공통버스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 중재 제어장치
KR100487542B1 (ko) * 2000-07-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로벌 버스의 버스 사용권 예약 중재방법
KR100475735B1 (ko) * 2002-07-12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채널을 이용한 공유버스 중재방법 및 그 장치
WO2018236883A1 (en) * 2017-06-19 2018-12-27 Stangenes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 FOR PARALLEL IDENTICAL MARX 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07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880B1 (ko) 순환데이타 전송방법
US4458314A (en) Circuitry for allocating access to a demand shared bus
RU21108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тимизации организации доступа к общей шине во врем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прямым доступом к памяти
US4785396A (en) Push-pull serial bus coupled to a plurality of devices each having collision detection circuit and arbitration circuit
EP0051794A1 (en) Distributed-structure message switching system on random-access channel for message dialogue among processing units
JPH01125652A (ja) デ−タバスにおけるデ−タ調停及び衝突検知方法
JPS62500891A (ja) 多フェ−ズパケット交換方式
JP4063529B2 (ja) バスシステムおよびリトライ方法
JPH0748739B2 (ja) 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多重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US6763413B2 (en) Method for the serial transfer of data between two electronic bus stations and bus station for use in said method
KR0150233B1 (ko) 공용버스에서의 버스점유 중재장치
JPH0652900B2 (ja) マルチマスター通信バス
US5742239A (en) Background arbitration monitoring to improve access on lightly consumed network
US4701911A (en) Media ac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JP3832733B2 (ja) ポーリング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S6217779B2 (ko)
JPS61161842A (ja) 信号送出方式
US7023801B1 (en) Speculative packet selection for transmission of isochronous data
US5661736A (en) Multiple use timer and method for pulse width generation, echo failure detection, and receive pulse width measurement
EP0756402A1 (en) Distributed serial arbitration system
JP4190217B2 (ja) クロック生成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処理装置
WO1995020193A1 (en) Improved bus protocol using separate clocks for arbitration and data transfer
KR950001514B1 (ko) 공유버스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장치
EP1128272B1 (en) Method for the serial transfer of data between two electronic bus stations and bus station for use in said method
JPS5818727A (ja) 分散形優先競合の自己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61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