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3896B1 -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위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위한 이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896B1
KR0143896B1 KR1019900700418A KR900700418A KR0143896B1 KR 0143896 B1 KR0143896 B1 KR 0143896B1 KR 1019900700418 A KR1019900700418 A KR 1019900700418A KR 900700418 A KR900700418 A KR 900700418A KR 0143896 B1 KR0143896 B1 KR 014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ail
axis
workpie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430A (ko
Inventor
존 에이치. 메이허
Original Assignee
메이허 존 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210,368 external-priority patent/US4887446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365,202 external-priority patent/US496934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365,201 external-priority patent/US5003808A/en
Application filed by 메이허 존 에이치 filed Critical 메이허 존 에이치
Publication of KR90070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21D43/055Devices comprising a pair of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movable parallel transf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10)는 연속하여 선형으로 정열되고 동일하게 이격된 작업장소(14)로 공작물을 이송하여 연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업장소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동일한 이격거리에서 이송레일(24)상에 장착된 다수의 공작물 파지용 핑거 유닛(28)에 의해 공작물(X)은 X축선을 따라 이송된다. 이송레일(24)은 인접한 작업장소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서 X축선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독립적으로 지지된 작동기 유닛(30)은 이송레일(24)을 지지하기 위해 이송캐리지(34)를 구비한다. 공작물을 3축선상에서 이송시키는 수단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소정의 작업 순서에 따라서 작업이 행해지도록 등간격으로 동일선상에 정렬된 일련의 작업 장소들을 통하여 공작물을 운반하기 위한 공작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치내에서 공작물을 한 작업 장소에서 이와 인접한 다른 작업 장소로 자동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공작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련의 작업들중 각각의 작업이 행해지는 일련의 작업 장소들을 통하여 공작물을 운반하기 위한 자동화 및 부분 자동화 장치들이 금속 가공 산업 같은 제조업 분야에 있어서 빠른 시간내에 보편화 되었다. 금속 스탬핑(stamping)과 같은 생산작업에 있어서, 금속 평판을 예를들어 차량 바퀴뚜껑과 같은 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많은 스탬핑 작업들이 요구된다. 그와같은 부분을 찍어내기 위하여 다수의 분리된 프레스를 이용하기 보다는, 여러 작업장소에서 다양한 스탬핑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단일행정을 취한 이송공급 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한쌍의 다이들은 각각의 작업장소의 위아래로 배치된다. 프레스의 각 행정마다, 공작물은 한쌍의 다이들 사이에서 가압성형될 것이다. 각각의 공작물은 일련의 작업장소들을 지나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다이쌍에 의하여 완성된 가공품의 형태로 연속하여 성형된다.
명백하게, 이러한 이송 프레스의 효과적인 동작을 위하여, 프레스의 각각의 행정사이에 한 작업장소에서 다음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동시에 운반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이송 프레스의 다양한 다이에 공작물을 재배치하는 것이 자주 요구된다. 예를들면, 공작물은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하거나 또는 회전운동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공작물의 성형이 완성되기 전에 공작물을 여러번 재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작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방향으로 이송하고 재배치하기 위한 몇몇 장치가 미리 준비된다.
반복적인 공작물 운반 및 다수의 재배치 수행을 위한 장치중 하나는 각각의 인접한 작업장소 사이에서 공작물이 놓이는 작업장소들을 통하여 수평직선축(X축)의 양쪽을 따라 연장된 이송 레일들을 제공하는 워킹빔(walking-beam)장치가 있다. 이송 레일에는 공작물을 걸기 위한 핑거그리퍼(finger gripper)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에서, 각각의 레일들은 X축 및 Z축(수직축)들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계되었다. 그것은 공작물을 상승 및 하강시키고 한 작업장소로 부터 다른 작업장소로 직선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핑거 그리퍼는 공작물을 걸거나 공작물로 부터 분리되도록 측방향(Y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작동기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먼저 핑거 그리퍼들이 작동기의 동작에 의해서 공작물을 잡게 된다. 그런 다음, 이송 레일의 작동에 의하여 공작물이 다음 작업장소로 직선적으로 운반된다. 다음에는 공작물이 내려지고, 프레스의 작동을 위하여 핑거그리퍼들이 후퇴하여 공작물로 부터 분리된다.
비록, 이러한 이송 장치들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결점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소규모의 여러 스탬핑 제조자들 및 판 금형 기술자들이 상당한 투자가 요구되는 이송 프레스를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이의 시험을 위해서 또는 짧은 조업시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송 프레스의 움직임을 두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표준 이송 프레스는 중간에서 보다 오히려 X축의 양끝에서 레일을 지지하기 때문에 레일들은 매우 무겁고,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면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레일들을 제조속도에 맞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기어, 캠들이 필요하고, 그리고 안정성을 제공하고 기구를 지지하는 거대한 프레임 골격이 필요하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표준 이송 프레스는 표준화된 레일 위치들을 가지며, 상승위치에 있는 레일들 사이에 둘 또는 셋의 각기 다른 공간들을 제공한다. 표준 이송 프레스는 X축을 제한된 수의 부재를 가지며, 상하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가 없다. 표준화된 부재들은 각각의 제조업자들에게 고유한 것이고, 전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표준화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한 업체를 위한 이송 프레스를 여러 프레스 제조업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조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표준 이송 프레스가 가지는 더 심각한 문제는 다이를 교환하기 위해서 레일들을 쉽게 제거하기 위한 설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송 레일들은 프레스내로 공작물의 부하 및 무부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프레스의 기둥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공구가 제거될때 레일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커플링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따라, 다이를 교환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레일의 교환 및 제거가 어렵다.
스체퍼(Schafer)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21,516호에는 이러한 문제들중 일부 해결책이 기재되어 있다. 즉, 이송 레일이 한 작업장소로부터 다른 작업장소로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2차 레일이 레일 위에 부착되고, 핑거 유닛들이 2차 레일 위에 차례로 부착된다. 2차 레일은 이웃한 작업공간 사이에서 X축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운동은 2차 레일 위에 지지된 서보모터에 의해 가동된다. 핑거 유닛은 공작물쪽으로 이동하고 공작물로부터 멀어지도록 설계되었으며, 보조 서보 모터들에 의해 작동된다. 공작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서, 이송레일이 장착된 위치에 리프트 칼럼들이 제공된다. 이 리프트 칼럼들은 전기 서보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스체퍼의 설계에 따르면, 핑거 유닛들의 측면 움직임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들은 2차 레일을 따라 정확하게 운반된다. 이에따라, 레일의 크기가 감소되고, 장치가 간편해지며, 오작동이 줄어들게 된다. 적은 수의 기구가 프레스내에 위치하므로 방해를 덜 받는 프레스의 작동이 제공된다. 그러나, 스체퍼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구가 여전히 이송 레일에 배치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개선을 위한 장치의 변경을 어렵게 만든다.
작은 레일 단면을 갖도록 중심에서 지지되는 이송 레일을 제공하고, 이송장치가 소정길이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러 장치는 현재 가능한 것보다 더 긴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레일 위치를 제공하고 3가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핑거 유닛을 조정할 수 있는 보다 유연성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 프레스를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때, 다이 설치 및 시운전동안에 핑거 유닛들이 공작물에 관련해서 레일위에 배치될 수 있는 개선된 경제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는 보수를 위해서 다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공작물에 대하여 레일을 적당한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제거될 수 있는 작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 프레스내의 다이들을 실제적으로 셋팅할 필요없이, 이송레일, 핑거 유닛 및 공작물의 이동 경로에 관련하여 다이의 움직이는 부분들의 적절한 틈새를 검사하기 위해서 다이 공장에서 사용되는 이송 프레스의 작동을 따라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러 장치는 모듈들이 제한된 개수 및 크기로 제조될 수 있고, 프레스 설계 또는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 및 구성을 갖는 프레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련의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정렬된 작업장소들을 따라서 공작물을 운반하는데 특히 유용한 모듈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송 프레스를 사용하는데, 이 장치는 축을 따라 직선으로 정렬되고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공작물에 소정의 순서로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장소를 갖는 모든 장치에서 공작물을 운반하기에 유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이송 레일들이 정렬된 작업장소들의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한쌍의 레일은 프레스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하여 측면에 장착된다. 공작물을 잡아서 이웃한 작업장소들 사이로 운반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공작물 그리핑 핑거 유닛들이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핑거 유닛 레일상에 장착된다. 핑거 유닛 레일은 각각의 이송레일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핑거 유닛은 그 핑거 유닛에 연관된 작업장소들 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핑거 유닛에 부착된 공작물 결합기구를 갖춘 자유단부에서 종결된다. 공작물 결합 기구는 공작물을 걸거나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이웃한 작업장소 사이에 공작물을 운반한다. 실시예에서, 공작물 결합 기구는 아래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기에 적합한 수평으로 연장된 핑거들로 구성된다.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공작물 결합 기구의 수평으로 연장된 핑거 형태로 인하여, 두개의 나란한 레일 및 인접한 핑거 유닛 레일들이 공작물을 양측면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이송 프레스에서 스탬핑 작동을 거치게 되는 크고 무거운 공작물을 옮기게에 적당하다.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수단은 공작물이 일련의 정렬된 작업장소를 통해 통과함에 따라 공작물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핑거 유닛 레일을 왕복직선운동 시킨다. 핑거 유닛 레일들은 이송 레일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 유닛은 이송 레일로 부터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작업 장소들 맞은편의 이송 레일의 한쪽위에 이송 레일로 부터 측면방향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된다. 한쌍의 이송 레일이 제공되면, 적어도 한쌍의 작동기들이 각각의 이송 레일 측면에 제공될 것이다. 각각의 작동기 유닛은 측면으로 연장된 아암 또는 캐리지를 갖는다. 아암 또는 캐리지는 이송 레일을 지지하고, 이송 레일에 상하 및 측면운동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측면운동은 공작물과 결합 및 분리되는 핑거 유닛들의 운동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Y축을 따라 진행된다. 상하 운동은 공작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핑거 유닛의 운동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Z축을 따라 움직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기 유닛은 이중 축 유압 작동기를 포함하는데, 이 작동기는 공작물을 잡아서 들어올리도록 아암을 X축 및 Y축으로 작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핑거 유닛 레일에 의해서 다음 작업장소로 운반되는 공작물을 내려서 후퇴시킨다. 유압 작동기는 독립적인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단일 유체 공급원에 병렬로 연결된 한쌍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먼저 아암이 멈추개(stop)에 도착할때까지 최소의 저항을 제공하도록 축을 따라 움직일 것이다. 그 다음에는 두번째축을 따라 움직인다. 왜냐하면, 두번째 축이 움직임에 대하여 최소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작동기 유닛은 부가적인 타이밍(timing) 장치가 필요없이 일련의 구동력을 얻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기 유닛 및 작동 모터는 독립적으로 지지되며, 이송 레일들에 대하여 고정되게 유지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작동기 유닛들은 이송 레일에 관련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모듈러 유닛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공작물의 효과적인 이송 및 이송 레일의 재정렬에 필요한 3가지 방향으로 핑거 유닛을 이동시킨다는 잇점이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3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기 혹은 모터는 이송 레일 또는 핑거 유닛 레일 상에 놓여진다. 이에따라, 이송 레일을 소형으로 가볍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작동기 유닛들이 이송 레일들과는 별도로 지지된다. 그결과, 효과적인 모듈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송 장치는 이송 메카니즘과 동시에 작동을 하게 하기 위해 관련 생산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수단을 포함한다. 이송 프레스의 경우에, 센서 수단은 프레스의 각 행정 동안에 램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프레스 램위에 부착되어진다. 센서는 일련의 동작을 제때에 수행하도록 연관된 연속적인 작업장소들을 통해 공작물들을 이동을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핑거 유닛 유닛 레일, 및 이송 레일의 운동을 제어하는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중앙제어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복잡한 운반 및 다중의 재배치가 빠르고 정확하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프레스의 작동과 함께 동시에 수행된다.
핑거 유닛 레일에 왕복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직선형 작동기는 이송 레일과 연관하여 운동하지만, 이송 레일로 부터 독립적으로 지지된다. 선형 작동기를 가동하는 모터는 이송 레일과는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이송 레일의 운동에 대하여 무관하게 유지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직선형 작동기는 이송 레일로 부터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그것과 함께 움직이도록 연관된 밸트 구동장치로서, 핑거 유닛 레일에 왕복운동을 제공한다. 벨트의 구동장치는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들이 작동하는 동안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독립적인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벨브 구동장치는 공작물의 이동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도록 이동 레일에 부착된 벨트를 포함한다. 벨트는 횡방향 스플라인축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스플라인은 축은 작업장소쪽으로 이송 레일의 축방향 이동을 제공한다. 공작물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횡방향 스플라인축은 이송 레일에 수직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수직 스플라인 축에 의하여 구동된다. 수직 스플라인 축은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들에 대하여 고정유지되는 모터에 의해서 가동된다.
한 실시예에서,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들을 위한 작동기 유닛들 및 모터들은, 다이 및 작업장소들에 방해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게 이송 프레스의 크라운위에 장착된다.
실시예에서, 이송 레일 및 이와 연관된 핑거 유닛 레일등은 이송 프레스의 각각의 측면에 제공된다. 각각의 측면은 서로 기계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나, 프레스 램 센서와 전기적으로 동기화 되어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지만, 작업장소들 사이로 공작물을 전달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송 프레스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이송 프레스로 부터 분리시켜 도시한 제1도의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의 이송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3도는 핑거 유닛 레일을 왕복작동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와 연관된 모터 및 벨트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제4a도 및 제5도는 핑거 유닛 레일과 왕복 구동벨트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2b도의 선4-4 및 5-5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제4b도는 구동벨트에 연결된 브래킷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이중축 작동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선6-6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작동기에 의해서 이송 레일에 가해진 운동을 보여주는 제6도의 작동기의 측면도이다.
제9도는 제6도의 작동기에 대한 모터 및 유압식 작동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유압식 작동장치의 외부구조물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유압식 작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측면도이다.
제12도는 이송 프레스 작업 장소로 부터 공작물을 잡아서 들어올리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기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3도는 프레스의 오버헤드(overhead) 고정 크라운으로 부터 장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같은 참조부호는 여러 도면들에 표시된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이제 도면들, 특히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이송 프레스(12)에 설치된 공작물 이송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 프레스(12)에는 연속적인 공작물에 대해 일련의 스탬핑작업이 수행되는 다수의 작업장소(14)가 있다. 램(16)은 다수의 상부다이(20a) 절반부를 지지한다. 램(16)의 각 행정에 따라서, 공작물(W)은 상부다이(20a)와 이에 관련된 하부다이(20b) 사이에서 고정된다. 그러므로서, 공작물(W)이 성형된다. 하부다이(20b)는 볼스터(22)위에 장착되고, 상부다이(20a)는 램(16)에 장착된다. 이송 프레스(12)는 상부고정부는 크라운(18)이라 언급된다.
제2도에 있어서, 이송 장치는 이송 프레스(12)에 있는 여러 작업장소(14)의 양쪽을 따라서 평행하게 이격된 방식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마주보는 한 쌍의 이송장치가 예시되었지만, 이송되는 공작물의 크기나 유형에 따라서,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일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송장치(10)는 작업장소(14) 및 다이(20)의 바깥쪽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작업장소 및 다이들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 이송 레일(24)을 포함한다. 작업장소(14)의 근처의 이송 레일(24)의 안쪽 측방향으로 핑거 유닛 레일(26)이 한쌍의 이송 레일(24)의 양쪽에 설치된다. 핑거 유닛 레일(26)상에는 다수의 핑거 유닛(28)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 핑거 유닛은 공작물(W)쪽의 측방향으로 뻗어있다. 다수의 핑거유닛(28)은 공작물 결합부(31)에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작물 결합부(31)는 공작물이 한 인접 작업장소(14)에서 다른 작업장소(14)로 연속적으로 이송될때 다수의 공작물(W) 각각의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장소를 제공한다. 다수의 공작물 결합부(31)는 예를들어 고정 핑거들과 같은 다양한 형상 및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다수의 핑거 유닛(28)은 이송 레일(24)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동등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공작물(W)의 경우에서, 핑거 유닛(28)은 작동기 유닛(30)이 공작물(W)의 각 모서리에 지지하도록 쌍을 이루어 배열된다. 핑거 유닛(28)의 인접 쌍들 사이의 간격은 작업장소들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핑거 유닛 레일(26)은 이송 레일(24)에 대해서 X축을 따르는 방향 즉, 작업장소(14)라인 아래쪽의 공작물(W)의 이동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송 레일(24)의 레이스웨이(raceway, 25)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핑거 유닛 레일(26)의 이러한 왕복직선운동은 이송 레일(24)위의 하우징(52)에 설치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벨트구동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벨트(56)에 의해 이루어진다. 벨트구동장치 및 벨트는 적절히 제어된 전류에 의해 구동될때, 이송 레일(24)과 함께 핑거 유닛 레일(26)을 왕복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송 레일(24)을 따르는 핑거 유닛 레일(26)의 직선왕복운동은 제2도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이 핑거 유닛(28)을 X축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한다. 핑거 유닛(28)을 Z축방향(상하방향) 및 Y축방향으로(공작물(W)과 결합 및 분리되는 측방향)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 유닛(30)이 제공된다. 작동기 유닛(30)은 이송 레일(24)과 별도로 지지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기 유닛(30)은 이송 프레스의 측면을 따라서 평행하게 뻗은 길이방향 지지 프레임(32)에 의해서 장착된다.
작동기 유닛(30)은 이 작동기 유닛(30)이 이송 프레스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쉽게 이동하게 되는 수단, 예를들면, 롤로나 캐스터같은 것이 설치된 모듈러 하우징에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기 유닛(30)은 옆으로 뻗어 있는 아암 또는 이송 캐리지(34)를 포함하는데, 이송 캐리지(34)는 공작물 방향으로 뻗어있고 이송 레일(24)를 지지한다.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 레일(24)을 적당히 지지하기 위해서 한쌍의 작동기 유닛(30)과 그것에 연관된 이송 캐리지(34)가 제공된다. 각각의 이송 레일(24)에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 유닛(30)이 필요하고, 통상적으로, 각각의 이송 레일(24)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작동기 유닛(30)이 필요하다.
제2b도 및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X축을 따라서 핑거 유닛 레일(26)을 왕복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구동장치 및 벨트구동모터가 상세히 나타나 있다. 벨트구동장치는 왕복 회전모터(36)에 의해서 구동되는데, 왕복회전 모터는 수직한 스플라인축(42)과 미끄러지듯이 결합하는 구동휘일(40)에 벨트(38)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모터(36)에 의해서 수직 스플라인축(42)에 제공된 왕복회전 운동은 기어박스(44), 벨트(46) 및 구동휘일(48)을 통해 횡방향 스플라인축(50)에 전달된다. 횡방향 스플라인축(50)은 이송 레일(24)상의 하우징(52) 벽을 통해서 구동휘일(54)에 연결된다. 구동휘일(54)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내에 위치된다. 구동휘일(54)은 하우징(52)내에서 구동휘일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비구동 카운터부를 갖는다. 2개의 휘일들 사이에는 구동벨트(56)가 설치된다. 모터(36)의 왕복회전운동은 벨트구동장치에 의해 이송 레일(24)상의 하우징(52)에 설치된 구동벨트로 전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면, 핑거 유닛 레일(26)은 베어링 Y축을 따라서 이송 레일(24) 안쪽의 측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베어링 블록은 이송 레일(24)에 설치된 레이스웨이(25)블록과 결합하는 다수의 베어링 또는 로울러(61)를 갖추고 있다. 적절한 설치 구조물(64)에 의해 구동벨트(56)부에 체결된 지지 브래킷 아암(62)은 이송 레일(24)위를 가로질러 뻗어있고, 핑거 유닛 레일(26)에 단단히 부착된다. 구동벨트(56)가 하우징내에서 왕복운동하는 경우, 구동벨트에 연결된 지지브래킷 아암(62)은 구동벨트의 운동방향, 즉 X축을 따라서 핑거 유닛 레일(26)을 이송 레일에 대하여 왕복 운동시킨다.
모터(36), 구동휘일(40) 및 벨트(38)로 구성된 벨트구성장치는 이송 레일에 고정된 별도의 길이방향 지지 프레임(32)의 표면(33)상에 지지된다. 수직 스플라인축(42), 기어박스(44), 벨트(46), 휘일(48), 및 횡방향 스플라인축(50)으로 구성된 벨트구동장치는 Z축을 따라 함께 이동하기 위해서, 장치의 하우징(49)을 통하여 작동기 유닛(30)에 이송되는 이송 캐리지(34)의 캐리지 지지부(68)에 연결된다.
이송 레일(24)의 Y축을 따라 측면 안쪽으로 연장되면, 상부구동기어 휘일(48)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링크 어셈블리(51)를 거쳐서 하우징(52)내의 구동벨트에 연결된 횡방향 스플라인축(50)은, 상부 구동기어 휘일(48)과 미끄럼 결합함으로 인해서 당겨진다. 이송 레일이 작동기 유닛(30)에 의해 Z축을 따라 들어올려질때, 예를들어 작업장소로 부터 결합된 공작물을 들어올릴때, 벨트구동장치는 수직 스플라인축(42)이 구동휘일(40)을 통해 미끄러짐에 따라 작동기 유닛에 함께 올려진다.
벨트구동장치가 이송레일과 함께 Y축 및 Z축을 따라 직선 운동할때, 즉 공작물이 핑거 유닛에 의해 물려서 작업장소로부터 들어올려질때, 고정벨트구동의 모터(36)는 핑거 유닛 레일(26) 및 공작물을 인접한 작업장소사이에서 X축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송 레일(24) 및 핑거 유닛 레일(26)에 관련된 벨트 구동모터 및 벨트 구동장치가 별도로 지지되고 설치됨으로써, 지지되는 중량이 감소되어서, 레일의 크기 및 중량이 감소되고 작동율이 높아진다.
이제, 제6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면, X축 및 Y축에 따른 운동을 이송 레일에 제공하기 위한 작동기 유닛(30)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송 레일(24)을 지지하는 이송 캐리지(34)는 Y축에 따라서 캐리지 지지부(68)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의해, 작동기 유닛의 기저부(70)에 대하여 Z축을 따라 차례로 미끄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기 유닛은 각각의 공작물 이송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이중축 작동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필수적으로 상승(lifting)의 제2유압 실린더(72) 및 직동(translating)의 제2유압 실린더(74)로 구성된다.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는 작동기 유닛의 기저부에 부착되고, 이것의 실린더 로드(73)는 캐리지 지지부에 연결된다.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는 캐리지 지지부에 부착되고, 이것의 실린더로드(75)는 이송 캐리지에 연결된다.
이제,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작동기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이중 축 작동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실린더 로드(75)에 의해서, 이송 캐리지(34)는 지지부(68)에 대하여 Y방향으로 움직인다. 제7도의 실선은 공작물이 물려있는 위치에서의 이송 캐리지(34)를 나타내고, 점선은 공작물의 후퇴위치를 나타낸다. 이송 캐리지(34) 및 캐리지지지부(68)를 Z방향으로 움직이는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 및 실린더로드(73)의 작동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실선은 최고 위치에 있을때의 이송 캐리지(34)를 나타내고, 점선은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최저위치를 나타낸다. 이송 캐리지(34)가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이송 레일(24), 핑거 유닛 레일(26) 및 다수의 핑거 유닛(28)들이 이에 상응해서 움직인다. 이러한 직선운동은 공작물이 X축 방향으로 다음 작업장소(14)로 이동하기 전에 공작물(W)과 결합하여 이를 들어올린다. 다음에는 프레스의 다음 행정을 위한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공작물(W)을 낮추어서 철수시킨다.
공작물 이송장치(10)에서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 및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 각각을 구동하도록 유체 도관을 통해 압축유체를 공급시키는 중앙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이송 레일을 지지하는 작동기 유닛(30)을 모두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두개의 서로 다른 작동기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 및 작동의 제2유압 실린더(74)가 제9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래크(78)와 피니언기어(80)에 부착된 실린더 로드(77)를 갖춘 소스(source)의 제3유압 실린더(76)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모터(82)는 래크(78)와 피니언기어(80)를 거쳐서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의 실린더로드(77)를 왕복운동 시킨다.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 회전모터(82) 및 서로 맞물리는 래크와 피니언이 제10도 및 11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0도 11도의 모든 구조물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에 인접한 종방향 지지 프레임(32)에 부착된다.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와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는 각각의 피스톤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유체 포트에이(A) 및 비(B)를 갖는다. 이 유체 포트들은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의 양측면에 유사하게 표시된 포트와 연결된다.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의 피스톤이 에이(A)로 표시된 유체포트를 향해 작동됨으로서, 유체는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와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유체 포트 에이(A)를 통해 밖으로 나간다. 초기에는, 이송 레일(24), 핑거 유닛 레일(26), 및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에 의해 내려지고 올려져야하는 공작물(W)를 잡기위한 핑거 유닛(28)의 중량때문에,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로드(75)는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의 로드(75) 보다 이동에 대한 작은 저항을 갖게된다. 그결과, 작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로드(75)는 핑거 유닛(28)이 공작물(W)를 잡을 수 있도록 연장된다. 일단, 작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로드(75)가 완전하게 연장되면 운동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의 로드(73)가 연장된다. 그 결과, 이송 레일(24), 핑거 유닛 레일(26) 및 공작물(W)를 잡고 있는 핑거유닛이 올라간다.
싸이클의 제2과정동안에는, 래크(78)와 피니언기어(80)을 거쳐 작동하는 회전모터(82)에 의해,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의 로드(77)가 비(B)로 표시되는 유체포트 쪽으로 밀린다. 그리하여 유체는 비(B)로 표시되는 유체포트를 통해 유체도관(84)내로 들어간다. 유체도관은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 및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의 유체포트(B)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 싸이클 과정에서, 이송 레일(24), 핑거 유닛 레일(26), 핑거 유닛(28) 및 이와 연관된 공작물(W)의 중량은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의 로드(73)을 철수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운동에 대한 저항이 적기 때문에, 먼저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의 로드(73)가 후퇴하고, 다음에는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로드(75)가 후퇴한다. 그리하여, 작동기유닛은 공작물(W)을 아래위치로 놓고 그 다음에 핑거 유닛(28)을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작동기 유닛(30)에 위치된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 및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의 모든 셋트에 유체를 공급하는데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 하나가 사용된다. 그 결과, 이송 프레스의 모든 작동기 유닛은 기어, 캠, 복잡한 기계적 타이밍장치, 또는 복잡한 전자식 서보기구없이 자동적으로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6)의 하나를 사용하는 방식 외에도, 작은 직경을 갖는 일련의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을 사용하여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 및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래크(78)를 갖춘 모든 소스의 제3유압 실린더(77)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동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든 유압 실린더는 단일로드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단일 로드 유압 실린더는 각각의 단부에서 뻗어있는 로드를 갖춘 이중 로드 유압실린더로 교체될 수 있다. 이와같은 단일 로드 유압 실린더 및 이중 로드 유압실린더는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장치는 다수의 공작물(W)을 3개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제, 이송 프레스(12)의 통상적인 싸이클 동안에 진행되는 단일 공작물(W)의 이동을 설명한다. 공작물(W)을 이송 프레스 위에 적재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한쌍의 핑거 유닛 레일(26)을 장치 나머지 부분보다 길게 만든다. 공작물 핑거 유닛이 제12도의 실선으로 표시딘 결합 위치로 상승하였을때, 위와같은 적재가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는 연장 위치에 놓이고,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 및 이송 캐리지 또한 연장된다. 위에서 언급한 벨트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공작물(W)은 첫번째 작업장소(14) 쪽으로 X축을 따라 이동된다. 공작물이 상부다이(20a) 및 하부다이(20b)에 적절히 정렬되도록 X축을 따라 소정의 정확한 위치에 도착하자마자, X축의 방향의 이동은 중지되고, 상승 실린더가 후퇴하게 된다. 공작물(W)이 작업위치로 낮추어지게 된다. 직동의 제2유압 실린더(74) 및 이송 캐리지(34) 역시 핑거 유닛(28)으로부터 공작물(W)을 분리시키기 위해 후퇴된다. 이때, 램(16)은 상부다이(20a) 및 하부다이(20b) 사이에 공작물(W)을 고정시키도록 작동한다. 램의 작동이 완료된 후 램(16)은 상승된다. 램이 작동하는 동안에 핑거 유닛이 공작물(W)로 부터 분리되면, 벨트구동장치가 핑거 유닛 레일(26)을 반대 방향으로 X축을 따라 왕복하도록 다이는 형성된다. 그러므로서, 새로운 핑거 유닛장치가 공작물(W)과의 결합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이송 캐리지(34)는 Y축을 따라서 연장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핑거 유닛(28)이 공작물(W)과 결합하게 된다. 상승의 제1유압 실린더(72)는 공작물을 제12도에 도시된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Z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위치로 움직인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핑거 유닛(28)이 공작물을 잡아서 들어올린후, 벨트구동장치는 다음 작업장소(14)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작물(W)을 X축을 따라 충분한 거리로 이동시킨다. 이 싸이클이 계속 반복된다. 공작물 이송장치(10)의 각 싸이클에서, 다수의 공작물들은 각각의 인접한 작업장소 사이에서 운반된다. 다수의 모든 작업장소(14)를 거쳐서 단일 공작물(W)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작업장소(14)가 있는 수만큼 여러번의 싸이클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명백하게, 장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3가지 축의 모든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작물의 단일 이동이 이동거리 및 시간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결국, 각각의 이송 레일, 그에 따른 다수의 작동기 유닛(30) 및 거기에 연관된 벨트구동장치들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이송장치의 각 측면에 대한 독립제어장치(도시안됨)는 제1도에 도시된 중앙 제어기(60)에 연결된다. 절대위치변환기(도시안됨)와 같은 센서수단은 잘 알려진 방식으로 프레스 램에 결함되어 있는데, 램(16)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센서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중앙 제어기(60)에 제공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독립된 장치(10)의 각 부분의 작동은 다수 공작물(W)의 운반과 정렬이 이송 프레스(12)의 작동과 함께 서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전자적으로 통합된다. 이것은 작동기 유닛(30)의 다양한 모터수단 및 프레스의 양측에 있는 각각의 이송장치에 대한 벨트구동장치를 적절한 순서로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송 프레스(12)의 양쪽에 있는 각각의 이송장치(10)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이송장치(10)는 각각의 고정 작업에 필요한 다수 공작물(W)의 재정렬 및 재배치에 사용된다. 예를들어, 한쌍의 핑거 유닛 레일(26)의 우측부재는 좌측부재보다 빠른 비율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공작물을 어느정도 회전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작동기 유닛(30)의 운동은 작동조건에 맞게 조정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기 유닛(30)은 이중축의 유체 작동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식의 작동기로 제한하지는 않지만, 직선운동을 부여하는 다른 적합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이송장치는 크기에 따라 폭넓게 설계된 다양한 이송 프레스에서도 작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송 프레스를 가진 설비에서, 한 이송 프레스에서 다른 이송 프레스로 이송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조립식 이어서, 프레스의 크기 및 작업장소의 수에 적응하여 필요한만큼의 부품들을 추가할 수 있다. 작동기 유닛(30)은 이송레일에 장착된 다이를 갖춘 현존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송레일은 횡단 미끄럼 브래킷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현존장치의 장치 분리는 비용이 적게들고 용이하다. 더우기, 다이를 바꾸어야할때, 종래기술의 장치보다 훨씬 용이하다. 또한, 여러개의 작동기, 모터 및 구동부품들이 이송 레일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어서 프레스, 작동기 모터 및 구동부품들의 작동기 서로 간섭을 받게 되는 선행기술의 장치에 비해서 프레스 자체의 바깥보드에 배치되고 이송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로 부터 독립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레일의 체적이 감소될 뿐아니라, 쉽게 작동될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변경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지지프레임(29)을 통해 상부 프레스 크라운(제1도에 도시됨)에 장착되거나 매달린다. 이러한 이송 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이송 프레스에 인접한 바닥공간의 이용을 크게 증가시키고, 그곳으로의 접근을 방해받지 않게 한다. 지지 프레임(29)에 다양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고 작동기 유닛의 크기를 상부 장착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력된 당업자는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의 실시예는 이송 프레스에 설치된 이송 장치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것은 다수의 공작물들을 한 작업장소에서 다른 작업장소로 반복하여 운반할 필요가 있는 모든 장치에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반복 이송은 펀치프레스, 코팅장치, 페인트 스트레이어등을 작동시킬때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응용이 가능함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영역은 상기의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Z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구동되기에 적합하며 볼스터(22)로 지지된 하부다이(20b)와 맞물리며 상기 하부다이와의 사이에 삽입된 공작물을 성형하기 위한 상부다이(20a)를 가지는 램(16)을 포함하는 제품성형 이송프레스(12)와 공동으로 사용되며, 상기 공작물에 대해 소정의 연속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Z축에 수직한 중앙 X축을 따라 직선으로 이격되어 정렬된 작업장소(14)들 사이로 상기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X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이송레일로서, 상기 X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레일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핑거 유닛 레일(26)을 가지는 이송레일(24)과, 상기 작업장소(14)들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동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상기 핑거 유닛 레일(26)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X축 및 Z축에 수직한 Y축 상에서 X축 및 Z축을 항해 이송레일(24)로 부터 측방향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공작물들과 결합하여 상기 공작물들을 인접한 상기 작업장소들 사이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공작물 결합 구간을 갖는 자유단부에서 각각 종결되는, 다수의 공작물 파지용 핑거 유닛(28)과, 상기 이송 레일(24)과 독립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Y축 및 Z축을 따라 상기 이송 레일(24)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이송 캐리지(3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 유닛(30)과, 상기 이송 레일(24)과 독립적으로 지지된 핑거 유닛 레일(26)용으로, 상기 작동기 유닛(30)과 함께 회전모터(36,82)로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핑거 유닛 레일(26)은 상기 이송 레일(24) 및 X축 사이 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 유닛(30)은 물품형성 프레스(12)로부터 Y축을 따라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 설정되고, 상기 이송 캐리지(34)는 Y축을 따라 작동기 유닛 및 프레스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일부는 상기 이송 레일(24)과 함께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장치용 회전모터(36)는 핑거 유닛 레일(26) 및 이송 레일(24)의 이동에 대해 정지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작업들의 수행시간과 관련하여 연속적인 작업 장소들을 통과하는 공작물들의 이동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의 운동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제어기(60)로 구성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장치들중 하나가, 상기 X축을 따라서 상기 작업 장소들 사이로 공작물들을 결합하여 이송시키도록 평행하게 연장된 제품 성형 이송프레스의 각각의 측면상에 Y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성형 이송프레스의 각각의 측면상에 측방향으로 위치된 각각의 상기 이송장치가 서로 기계적인 독립적이고, 작업장소들 사이로 공작물을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서로 전자적으로 등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들이, 작업 장소들에 대해서 Z축을 따라 램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동 입력 신호에 전자적으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유닛(30)은 Y축 및 Z축 상으로 이송 캐리지(34)를 구동시키는 이중축의 유압식 작동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압식 작동기는, 상기 축들중 하나를 따라서 이송 캐리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 캐리지에 구동 연결된 실린더 로드(73) 및 내부 피스톤, 그리고 단일의 유입 유체포트(A)를 가지는 제 1 유압 실린더(72)와, 상기 축들중 제 2의 축을 따라서 상기 이송 캐리지를 이동시키도록 이송 캐리지에 구동 연결된 실린더 로드(75) 및 내부 피스톤, 그리고 상기 제1유압 실린더의 유입 유체포트와 평행하게 연결된 단일의 유입 유체포트(A)를 가지는 제2유압실린더와, 그리고 동일압력하에서 두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들의 상기 유입포트들에 연결된 유체 소오스(source) 수단으로서, 운동에 대한 최소 저항을 받는 실린더 로드가 다른 실린더 로드의 운동에 대한 저항보다 초과하는 저항을 가질때까지 연장되고, 그 다음에 상기 다른 실린더 로드가 연장되는 유체 소오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캐리지(34)는 각각의 상기 축들을 따르는 운동에 대해서 각기 다른 저항을 받으며, 상기 제1실린더 피스톤 및 실린더 로드(73)는 제2실린더 피스톤 및 실린더 로드(75)보다 이동에 대해 적은 저항으로 초기에 작동하도록 제조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73) 및 피스톤의 작동이 제2실린더의 실린더 로드(75) 및 피스톤의 작용축을 변화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72,74)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소오스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72,74)들의 유입 유체포트들의 평행한 조합에 연결된 유출 유체포트를 갖춘 내부 피스톤 및 로드(77)를 가지는 제3유압 실린더(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작동기 유닛(30)을 가동시키기 위한 모터 수단은, 상기 제3유압 실린더(76)의 상기 로드(77)의 단부에 연결된 래크(78)와, 상기 래크(78)와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80)와,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을 갖는 회전식 모터(82)로 구성되며, 상기 제3유압 실린더(76)의 로드 및 내부 피스톤은 제3유압 실린더의 상기 유출 유체포트를 통해 유체를 밀어내도록 상기 유출포트(A)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 프레스에 대해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모듈러 지지물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스(12)가 상기 램(16) 위에 있는 고정 프레스 크라운(18)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프레스 크라운으로 부터 의존되고 크라운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1. 관련된 램(16)을 가지는 이송 프레스(12)의 중심축에서 동등하게 이격되어 정렬된 일련의 작업장소(14)들을 따라서 공작물(W)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로서, 상기 작업장소들의 측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이송 레일(24)과, 상기 이송 레일(24)에 장착되어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핑거 유닛 레일(26)로서, 인접한 작업 위치들 사이의 간격에 동일한 거리로 상기 X축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 레일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작업 장소들을 통과하는 공작물의 이동 방향을 한정하는 핑거 유닛 레일(26)과, 상기 이송 레일(24) 및 상기 이송 레일과 관련된 핑거 유닛 레일(26)에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핑거 유닛의 이동을 유발시키도록 작동하는 벨트(38) 및 구동휘일로 구성된 구동 장치와, 일련의 상기 작업장소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동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상기 핑거 유닛 레일(26)상에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공작물 결합 핑거 유닛(28)으로서, 상기 X축에 수직한 Y축을 따라 X축을 향해 상기 이송 레일(24) 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공작물들과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설치된 공작물 결합기구를 갖춘 자유단부에서 종료되는 다수의 공작물 결합 핑거 유닛(28)과, 그리고 상기 이송 레일(24)과 관련되며 Y축을 따라서 배치된 작동기 유닛(30)으로서, 상기 이송 레일을 지지하고, 상기 X축과 상기 Y축 수직한 Z축 및 상기 Y축의 양쪽 방향으로 상기 이송 레일에 왕복운동을 제공하고, 상기 공작물과 결합 및 분리되는 상기 핑거 유닛의 운동 방향, 및 상기 공작물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핑거 유닛(28)의 이동 방향 직각을 한정하는 작동기 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 유닛(30) 및 상기 구동장치가 핑거 유닛 레일(26) 및 이송 레일(24)과 독립적으로 장착된 회전모터(36,82)수단으로 구동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핑거 유닛 레일(26)은 이송 레일(24) 및 중앙축 사이 전체에 상기 이송 레일(24)의 내측면상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기 유닛(30)은 일련의 작업장소에 대향된 이송 레일(24)의 한측면상에 배열되고, 상기 구동 장치용 모터(36)수단은 상기 핑거 유닛 레일(26) 및 이송 레일(24)의 이동에 대해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작업들의 수행시간과 관련하여 연속적인 상기 작업 장소들을 통과하는 공작물의 이동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 이송 레일 및 핑거 유닛 레일의 이동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60)로 구성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들중의 하나가, X축을 따라서 상기 작업장소들 사이로 공작물들을 결합하여 이송시키도록 평행하게 연장된 이송 프레스의 각 측면의 Y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4.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스의 각각의 측면상에 측방향으로 위치된 각각의 상기 이송장치는 작업장소들을 사이로 공작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서로 기계적으로 독립적이고 전자적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으로 독립된 이송장치들이 Z축을 따라서 램의 위치를 신호표시하는 입력 신호형성수단에 전자적으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이송 레일과 별도로 지지되며, 이송 레일과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벨트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핑거 유닛(26), 벨트(38), 스플라인 축(5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유닛(30)은 이중측의 유압식 작동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식 작동기는, 피스톤, 부착된 로드(73), 및 상기 피스톤의 양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유포트(A,B)를 가지는 제1유압 실린더(72)와, 피스톤, 부착된 로드(75), 및 상기 피스톤의 양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유포트(A,B)를 가지는 제2유압 실린더(74)와, 피스톤, 부착된 로드(77), 및 상기 피스톤의 양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유포트(A,B)를 가지는 제3유압 실린더(76)와, 상기 제1, 제2 및 제3유압 실린더(72,74,76)들의 상기 제1유체포트(A)과, 상기 제1, 제2 및 제3유압 실린더들의 상기 제2유체포트(B)를 연결하는 도관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3유압 실린더의 로드(77)의 단부를 전진행정 및 복귀행정으로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진 행정중에 동일한 유압이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72,74)의 제1유체포트(A)들에 제공되고, 상기 제2유압 실린더의 로드(75)가 상기 제1유압 실린더의 로드(73)에 대한 이동에 대해 보다 큰 저항으로 작동할때, 상기 제1유압 실린더의 로드는 멈추개에 도달할때까지 연장되며, 그 다음에 상기 제2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연장되고, 상기 복귀 행정중에 동일한 유압이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72,74)의 제2유체포트(B)들에 제공되고, 상기 제2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제1유압 실린더 로드에 대해 수축방향으로 이동을 가속시키는 보다 큰 편향된 힘으로 인하여 수축되고, 그 다음에 상기 제1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수축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압 실린더(72), 피스톤 및 로드(73)는 제2유압 실린더(74), 피스톤 및 로드(75)보다 이동에 대해 작은 저항으로 초기 작동하도록 제조되고, 상기 제1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및 로드(73)의 작동이 제2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및 로드(75)의 작동축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72,74)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압 실린더 로드(76)의 왕복 운동이 공작물과의 결합순서에 따라 작동기 유닛(30)을 작동시키고, 이에의해 공작물이 상승되고 하강하며, 최종적으로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압 실린더(76)의 로드(77) 단부를 왕복 구동시키는 상기 수단은, 회전식 모터(82), 상기 제3유압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된 래크(78), 및 상기 래크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식 모터의 축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80)로 구성되고, 제3유압 실린더 로드의 이동은 회전식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프레스 자동화 장치.
KR1019900700418A 1988-06-23 1989-06-23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위한 이송장치 KR0143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0,368 1988-06-23
US07/210,368 US4887446A (en) 1988-06-23 1988-06-23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US07/365,202 US4969349A (en) 1988-06-23 1989-06-15 Synchronized dual axis actuator
US07/365,201 US5003808A (en) 1988-06-23 1989-06-15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US365,201 1989-06-15
US365,202 1989-06-16
PCT/US1989/002771 WO1990000099A1 (en) 1988-06-23 1989-06-23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430A KR900701430A (ko) 1990-12-03
KR0143896B1 true KR0143896B1 (ko) 1998-08-17

Family

ID=2739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418A KR0143896B1 (ko) 1988-06-23 1989-06-23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위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26707B1 (ko)
JP (1) JP2708918B2 (ko)
KR (1) KR0143896B1 (ko)
AU (1) AU3963489A (ko)
CA (1) CA1311438C (ko)
DE (1) DE68908562T2 (ko)
ES (1) ES2016894A6 (ko)
IL (1) IL90716A0 (ko)
WO (1) WO1990000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607A (en) * 1991-06-07 1993-07-20 Tvp, Inc. Rack mountable on a trailer hitch ball
DE20020855U1 (de) * 2000-12-08 2001-03-08 Blechformwerke Bernsbach GmbH, 08315 Bernsbach Transfervorrichtung für Großpressensystem
KR100458201B1 (ko) * 2001-08-09 2004-11-26 대명전기주식회사 프레스성형제품의 파지이동장치
KR100761434B1 (ko) * 2005-11-01 2007-09-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용기 스커트 복원장치
CN102173097B (zh) * 2011-02-12 2014-07-30 中国农业大学 一种多工位自动送料方法及送料装置
CN103191978B (zh) * 2013-04-03 2015-04-22 舟山市上舟柴油机厂 冲压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7961A (en) * 1972-01-10 1973-09-11 East Dayton Tool & Die Co Article transfer apparatus
JPS53136775A (en) * 1977-05-02 1978-11-29 Honda Motor Co Ltd Transfer apparatus for press machine
DE2746161A1 (de) * 1977-10-14 1979-04-19 Pressen Automation Ges Fuer Verfahren zum steuern des antriebs einer werkstueckfoerdereinrichtung
JPS55106546U (ko) * 1979-01-22 1980-07-25
US4540087A (en) * 1982-08-19 1985-09-10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Three-dimensional work transfer apparatus
US4607516A (en) * 1982-09-03 1986-08-26 Danly Machine Corporation Transfer feed press with improved transfer feed system
DE3245317A1 (de) * 1982-12-08 1984-06-14 Eumuco Aktiengesellschaft für Maschinenbau, 5090 Leverkusen Hubbalkenmanipulator fuer gesenkschmiedepressen u. dgl.
CA1246313A (en) * 1984-01-20 1988-12-13 Honda Motor Co Ltd CONVEYOR FOR PLASTIC WORKING MACHINE
JPS61283426A (ja) * 1985-06-10 1986-12-13 Intetsuku:Kk プレス機械用トランスフア装置
US4653311A (en) * 1986-01-31 1987-03-31 Avondale Industries, Inc. Short stroke press with automated feed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6707A4 (en) 1991-08-21
JP2708918B2 (ja) 1998-02-04
JPH03505847A (ja) 1991-12-19
CA1311438C (en) 1992-12-15
AU3963489A (en) 1990-01-23
EP0426707A1 (en) 1991-05-15
WO1990000099A1 (en) 1990-01-11
KR900701430A (ko) 1990-12-03
DE68908562T2 (de) 1994-03-10
ES2016894A6 (es) 1990-12-01
EP0426707B1 (en) 1993-08-18
DE68908562D1 (de) 1993-09-23
IL90716A0 (en)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021A (en) Lifting beam manipulator assembly for forging presses
US4887446A (en)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KR100878652B1 (ko)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
CN1040748A (zh) 输送工件通过一系列工位的系统
US5105647A (en)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KR0143896B1 (ko) 일련의 작업장소로 공작물을 이송하기위한 이송장치
CN109079047B (zh) 冲压机器人自动上下料设备
US5003808A (en) System for transferring workpieces through a series of work stations
US5006028A (en) Cam lift and carry parts transfer apparatus
CN100387422C (zh) 多台压机传送装置
US7841274B2 (en) Transfer press with non-uniform station spacing
US6192285B1 (en) Controller for work transfer system
JP3219225B2 (ja) ワーク搬送装置
US5617756A (en) Transfer device in a metal-forming machine
RU203023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овместно с прессом для штамповки изделия
CN211679541U (zh) 一种用于对汽车纵梁平板进行冲孔的数控生产线
EP1369189B1 (en) Transfer device for blanks
US6910362B2 (en) Tilt mechanism for a transfer rail in a press transfer system
CN113828699A (zh) 基于机器人柔性传输的大型多工位压力机
US5127787A (en) Lift and carry mechanism and method
JP4951445B2 (ja) プレス設備のワーク自動搬送装置
WO1994021404A1 (en) Transfer feeder
CN221026279U (zh) 一种自动下料夹持机构
CN218230862U (zh) 一种轮胎码垛定位装置
CN205111823U (zh) 一种双工位往复移动式物料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