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0540Y1 -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40Y1
KR0140540Y1 KR2019950020579U KR19950020579U KR0140540Y1 KR 0140540 Y1 KR0140540 Y1 KR 0140540Y1 KR 2019950020579 U KR2019950020579 U KR 2019950020579U KR 19950020579 U KR19950020579 U KR 19950020579U KR 0140540 Y1 KR0140540 Y1 KR 0140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lectric motor
brake
brake means
brak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384U (ko
Inventor
조윤호
장준현
조성훈
김균영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5002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40Y1/ko
Publication of KR970011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의 관성회전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전동기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전동기의 출력축(1)을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고, 이 출력축으로 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출력단(4)이 구비되며, 상기 출력단(4)의 관성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수단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브레이크 수단이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순간에 작동하도록 이루어져, 일반전동기를 간단하게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 전동기로 개조 및 복원할 수가 있어, 전동기의 사용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A brake unit for electric moto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용 유니트를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용 유니트가 일반전동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부착형 전동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기출력축 2 : 삽입구
3 : 출력단 4 : 회전축
5 : 전자식브레이크 6 : 연결브라켓트
7 : 고정플랜지
본 고안은 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브레이크 유니트가 전동기와 별개로 만들어져 필요에 따라 전동기에 조립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각종 기기들을 구동시키는데 사용하는 전동기는, 동력발생원으로서 내연기관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산업기기이다.
그런데, 통상 전동기는 그 구조적 및 원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이 시작되고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구동력이 없어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구동력이 없어지기는 하지만, 전동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자는 관성력으로 인해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므로, 비록 토오크는 없지만 전동기의 구동축이 상기한 회전자의 관성력으로 인해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피구동체의 회전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전동기를 피구동체에 직접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가 없고, 전동기와 피구동체의 중간에 회전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한편, 전동기 자체에 회전자의 관성력을 제어해 주기 위한 수단이 내장된 정밀제용 전동기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전동기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근본적인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전동기의 회전자가 관성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차단시켜 주기 위해, 전동기 자체에 브레이크수단을 설치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어지면 상기 브레이크 수단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회전자의 회전을 그 상태에서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종래의 전동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수단이 전동기를 제작할 때 일체로 만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동기를 선택할 때 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된 것인지 아닌지를 선별하여 구매하여야 하고, 또한 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된 전동기를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동기의 용량에 따른 규격별로 많은 종류의 전동기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하므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여러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브레이크가 구비된 전동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브레이크 기능이 없어야 하는 일반적인 전동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수단을 해제작동시켜 사용하던지 아니면, 새로운 전동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내장형 전동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브레이크나 전동기부 중에서 어느 한쪽에 파손이 일어나거나, 불량 또는 고장이 난 경우에는 전동기전체를 교환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크수단이 없는 일반전동기에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반 전동기에 브레이크 수단을 간단하게 구비시킬 수가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 브레이크 수단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는, 일반전동기의 출력축과 결합브라켓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일반전동기의 회전자가 관성회전하는 것을 제어해 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브레이크 유니트는, 일반전동기의 출력축을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기의 출력축 결합구와, 상기 전동기의 출력을 전달받아 그대로 전달하는 출력단, 상기 결합구와 출력단사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측방에 설치되어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브레이크, 일반전동기의 플랜지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 및 전동기고정용 브라켓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랜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브레이크 유니트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일반전동기의 출력축에 연결시키거나 이로부터 분리시키므로써, 일반전동기를 브레이크수단이 구비된 전동기로 개조해 줄 수가 있고, 또한 브레이크수단이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를 분리하므로써 간단히 일반전동기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설치된 브레이크는 전자식브레이크장치를 사용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이 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어서 전동기의 회전자가 관성회전하는 것을 저지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유니트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로서, 이 브레이크 유니트는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일반전동기(M)의 출력축(1)이 삽입되는 삽입구(2)와, 상기 삽입구(2)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인출하는 출력단(3), 상기 삽입구(2)와 출력단(3)을 연결시키는 회전축(4), 상기 회전축(4)의 주변에 이 회전축(4)과 일체로 고정설치된 마찰판(4a), 상기 마찰판(4a)의 주위에 설치되어 이 마찰판(4a)이 고정설치된 회전축(4)의 관성회전을 저지시키는 브레이크수단(5), 상기 일반전동기(M)의 설치브라켓트(B)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트(6) 및, 상기 전동기(M)와 연결된 브레이크 유니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브라켓트(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수단(5)은 전기적으로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상기 전동기(M)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이 차단되면 이와 동시에 릴레이등의 작동에 의해, 이 브레이크 수단(5)이 작동되게 하도록 할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동기브레이크 유니트는, 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일반전동기에 브레이크수단이 필요한 경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트(6)를 일반전동기(M)의 설치브라켓트(B)에 연결시키면서 이 일반전동기의 출력축(1)을 상기 삽입구(2)에 끼워 넣어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5)에 전기신호를 인가해 주기 위한 케이블(8)을 전원과 연결시키면, 세팅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하여 전동기를 사용하면서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전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전동기(M)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신호가 상기 케이블(8)을 통해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수단(5)에 전달되어져, 이 브레이크수단(5)이 상기 회전축(4)에 고정설치된 마찰판(4a)의 회전을 저지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회전축(4)의 관성회전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전동기(M)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브레이크수단(5)이 작동하게 되어, 브레이크 수단(5)이 회전축(4)을 정확하게 제자리에 정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를 전동기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역순으로 하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유니트의 선정은, 전동기의 구동토오크와 브레이크의 제동토오크를 상호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하는데, 브레이크 유니트의 제동토오크가 전동기의 구동토오크보다 약 2.5배 이상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유니트를 사용하므로써 일반전동기를 브레이크가 설치된 전동기로 간단하게 개조할 수가 있고, 또한 이 브레이크 유니트가 설치된 전동기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일반전동기로 개조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가 있어서, 여러가지의 전동기를 구비해 둘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일반전동기와 브레이크가 구비된 전동기를 개조사용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브레이크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전동기(M)의 출력축(1)과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시키기 위한 삽입구(2)를 갖추고, 이 삽입구(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4)의 주변에 회전마찰판(4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마찰판(4a)에는 회전축(4)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브레이크 수단(5)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회전축(4)의 삽입구(2)쪽의 반대편 선단에 출력단(3)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삽입구(2)측 선단에 전동기(M)의 설치브라켓트(B)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트(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단(3)쪽의 선단에 전동기 고정용 브라켓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플랜지(7)가 갖추어져, 일반전동기에 간단하게 연결 또는 분리시키므로써, 일반전동기에 브레이크 수단을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기의 브레이크 유니트.
KR2019950020579U 1995-08-09 1995-08-09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KR0140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79U KR0140540Y1 (ko) 1995-08-09 1995-08-09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79U KR0140540Y1 (ko) 1995-08-09 1995-08-09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384U KR970011384U (ko) 1997-03-29
KR0140540Y1 true KR0140540Y1 (ko) 1999-05-15

Family

ID=194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579U KR0140540Y1 (ko) 1995-08-09 1995-08-09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384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4227A (en) Dental handpiece set
JP4721535B2 (ja) 電動回転工具
JP2005305647A (ja) 回転駆動装置及び/又は打撃駆動装置を備えた手持ち式工作機械
DE59706649D1 (de) Elektrischer Einzelradantrieb für ein Arbeitsfahrzeug
WO1998029635A3 (en) Motorized window shade system
EP1486596A3 (de) Antriebsanordnung für eine Web- oder Fachbildemaschine
ATE192722T1 (de) Antriebseinheit für ein hebezeug
JP3448229B2 (ja) モータ内蔵ハンドピース
AR014993A1 (es) Accionador operado por electricidad para operacion de una valvula o una persiana
KR0140540Y1 (ko) 전동기용 브레이크 유니트
US5557930A (en) Drive unit having an electric motor
WO2007043276A1 (ja) 自動変速機とレンジ切換え装置
KR102119592B1 (ko) 브레이크 내장형 스텝 서보모터
JP3983079B2 (ja) 電動レンチ
WO2002084841A3 (en) Coupling and brake combination
DK1315280T3 (da) Sensorsystem til styring af en motor
JP2001238399A (ja) 電機子軸の回転速度を測定する磁気リングを備えた、車両の機能装備用の電動減速機
KR100896935B1 (ko) 도어락 제어장치
JPH1084651A (ja) 電動シリンダ
JP4287254B2 (ja) モータ
EP1598305A3 (en) Powered winch handle for operating rotary winches on sailboats and a winch
JPS584335A (ja) 旋盤主軸の駆動装置
KR0121301Y1 (ko) 브레이크 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 모타카바
KR100602669B1 (ko) 사이드미러의 교환장치
KR200355362Y1 (ko) 콤프레셔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8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