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9365B1 -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65B1
KR0139365B1 KR1019940025937A KR19940025937A KR0139365B1 KR 0139365 B1 KR0139365 B1 KR 0139365B1 KR 1019940025937 A KR1019940025937 A KR 1019940025937A KR 19940025937 A KR19940025937 A KR 19940025937A KR 0139365 B1 KR0139365 B1 KR 013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b
loading
dru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이관규
이운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65B1/ko
Priority to CN95106667A priority patent/CN1115681C/zh
Priority to US08/447,875 priority patent/US5699208A/en
Priority to JP23299195A priority patent/JP3359795B2/ja
Priority to CA002157985A priority patent/CA2157985C/en
Priority to ES95306390T priority patent/ES2160670T3/es
Priority to EP95306390A priority patent/EP0702362B1/en
Priority to RU95115539/28A priority patent/RU2155390C2/ru
Priority to DE69521952T priority patent/DE69521952T2/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65B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나 구성으로 제품을 소형·경량화할 수 있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6)으로 테이프를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작동이 하나의 캠기어(4)로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7)에 의하여 연계적으로 작동하며,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할 때 텐션 아암(19)과 리뷰 아암(16)이 메인 데크(1)에 안내되면서 로딩되게 구성하고,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끝부분의 비자성면을 감지하여 로딩이 가능하게 하는 엔드 센서모드와;
서브 데크가 드럼측에서 이탈하여 메인 데크에서 수평이동하고, 하우징이 개방되어 테이프를 추출시킬 수 있는 이젝트 모드와;
하우징에 카세트가 삽입된 하우징이 서브 데크에 고정되는 언로딩 모드와;
메인 데크 상에서 서브 데크가 이동하여 서로 일치되며, 폴 베이스가 일차로 이동을 개시하는 서브 로딩 모드와;
재생중인 화면을 정지시키고, 양측 릴 브레이크가 각각 양측의 릴에 제동력을 가하고, 핀치 로울러를 이격시키는 스톱 모드와'
화면을 재생토록 핀치 로울러를 압착시키고, 브레이크를 릴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레이 백 모드로 구동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메인 데크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서브 데크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주행계를 나타낸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엔드 센서 모드에서 슬라이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의 (a)(b)는 본 발명의 이젝트 모드를 나타낸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7도의 (a)(b)는 본 발명의 서브 로딩 모드를 나타낸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8도의 (a)(b)는 본 발명의 플레이 모드를 나타낸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모드별 작동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인 데크2:서브 데크
4:캠기어6:드럼
7:슬라이더8:텐션 폴
9:공급 로울러10:제1가이드 로울러
11:제1경사폴12:제2경사폴
13:제2가이드 로울러14:제3경사 폴
15:캡스턴 샤프트16:리뷰 아암
17,18:폴 베이스19:텐션 아암
21:드럼 베이스22,23:로딩홈
본 발명은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코더 데크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캠코더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카메라의 기능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장거리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게 됨에 따라 휴대하기에 용이하도록 가급적이면 부피가 작고, 무게 또한 가벼울 것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며, 생산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원가 절감과 함께 제품의 개발 추세도 상기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캠코더는 그리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원인은 종래의 캠모터가 특히 많은 부품이 집약되는 데크에서의 부품 절감과 작동구조의 개선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것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먼저 종래의 데크 구조를 살펴 봄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명확하게 될 것이다.
캠코더의 데크는 데크가 하나로 되는 형태, 그리고 메인 데크상에서 서브 데크가 이동하게 되는 두 가지의 형태로 양분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전자와 같이 하나의 데크로 구성되는 캠코더는 드럼과 로딩장치 및 릴에 수반하여 주변에 설치되는 장치, 그리고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장치들이 하나의 데크상에 모두 설치되어 테이프의 신호를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데크에 집약되는 장치는 필연적으로 데크의 크기가 대형화 됨에 다라 원자재의 소모가 많고, 제품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없다.
후자의 경우, 즉 데크가 메인 데크와 서브 데크로 양분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테이프를 재생시키는 각종 장치들이 메인 데크와 서브 데크에 효율적으로 분리 설치되어 데크의크기를 다소 소형화 할 수 있었으나, 이는 메인 데크에 드럼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테이프 로딩을 하기 위하여 서브 데크가 드럼쪽으로 접근할 때 서브 데크상에 고정된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 케이스의 선단이 드럼과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테이프 주행장치를 구성하게 됨에 따라 서브 데크를 드럼쪽으로 근접되게 구성하여 제품을 소형화 하는 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캐코더 데크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원가를 절감하므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캠코더 데크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메인 데크 상에서 서브 데크가 이동하는 캠코더 데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직경이 40mm인 드럼을 데크의 평면상에서 사분면의 제3상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적은 이동량으로 테이프가 드럼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전방으로 경사진 드럼에 적합하도록 주행계와 각각의 구동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로딩되는 폴 베이스를 안내하는 로딩홈이 상하로 분리되게 하여 상부의 로딩홈은 메인 데크측에 형성되고, 하부의 로딩홈은 서브 데크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으로 테이프를 로딩하고 언로딩하는작동이 하나의 슬라이더에 의하여 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부의 로딩홈은 드럼 베이스의 양쪽에 형성되며, 그 상단부는 폴 베이스의 선단이 밀착되며 고정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 로딩홈의 좌측 상단은 분기홈이 형성되어 폴 베이스의 저면쪽에 형성한 캡부 및 레일부에 의하여 폴 베이스가 회전하며 로딩을 완료하게 된다.
드럼으로 테이프를 안내하는 주행계는 텐션 폴-공급 로울러-제1가이드 로울러-제1경사 폴-드럼-제2경사 폴-제2가이드 로울러-제3경사폴-캡스턴 샤프트-리뷰암 폴의 순서로 배열된다.
이러한 주행계에서 텐션 폴은 서브 데크에 설치된 텐션 아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로울러는 드럼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제1경사 폴, 제1가이드 로울러는 폴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가이드 로울러, 제2·제3경사 폴은 우측의 폴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방법은 서브 데크가 메인 데크에서 출몰되고,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끝부분의 비자성면을 감지하여 로딩이 가능하게 하는 앤드 센서모드와;
테이프를 추출시킬 수 있는 이젝트 모드와;
하우징에 카세트가 삽입되어 서브 데크에 하우징이 고정되는 언로딩 모드와;
모드 데크 상에서 서브 데크가 이동하여 서로 일치되며 폴 베이스가 일자로 이동을 개시하는 서브 로딩 모드와;
재생중인 화면을 정지시키고, 양측 릴 브레이크가 각각 양측의 릴에 제동력을 가하고, 핀치 로울러를 캡스턴 샤프트에서 이격시키는 스톱 모드와;
화면을 재생토록 핀치 로울러를 캡스턴 샤프트에 압착시키고, 브레이크를 릴 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레이 백 모드를 포함하는 캠코더 데크의 제어 방법에 특징이 있다.
서브 로딩 모드는 서브 데크가 이동하면서 메인 슬라이더의 캠홈에 의하여 폴 베이스가 일차로 로딩을 하고, 서브 데크가 이동을 완료한 다음 메인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는 로딩 아암에 의하여 폴 베이스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부품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소형·경량화가 되고 있는 제품 개발 추세에 특히 적합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다음의 실시예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의 평면도이고,
제2도와 제3도는 메인 데크와 서브 데크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데크(1)의 상부에는 서브 데크(2)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서브 데크(2)의 이동은, 한쪽은 메인 데크(1)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서브 데크(2)에 연결되며, 메인 데크(1)에 고정된 구동모터(3)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캠기어(4)에 연동하는 서브 데크 작동용 레버(5)에 의하여 드럼(6)에 근접하게 출몰되며, 상기 서브 데크 작동용레버(5)와 함께 캠기어(4)에 연동하는 슬라이더(7)에 의하여 테이프가 로딩 및 언로딩되는 주행계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주행계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텐션 폴(8), 공급 로울러(9), 제1가이드 로울러(10), 제1경사 폴(11), 드럼(6), 제2경사 폴(12), ,제2가이드 로울러(13), 제3경사 폴(14), 캡스턴 샤프트(15), 리뷰암 폴(16)의 순서로 구성된다.
텐션 폴(8)과 리뷰 아암 폴(16)은 서브 데크(2)의 선단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가이드 로울러(10)와 제1경사 폴(11)은 좌측의 폴 베이스(17)에 고정되며, 제2경사 폴(12)과 제2가이드 로울러(13) 및 제3경사 폴(14)은 우측의 폴 베이스(18)에 고정되고, 캡스턴 샤프트(15)는 메인 데크(1) 상에 고정되어 있다.
텐션 폴(8)은 서브 데크(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 아암(19)의 선단에 고정되어, 테이프가 로딩될 때 공급측 릴(20)에서 풀려 나오는 테이프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를 인출하고 안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급 로울러(9)는 메인 데크(1)에 설치된 드럼 베이스(21)에 설치되어 텐션 폴(8)을 거쳐서 나오는 테이프를 안내하게 된다.
제1가이드 로울러(10), 제1경사 폴(11), 제2경사 폴(12), 제2가이드로울러(13), 제3경사 폴(14)은 로딩홈(22)(23)을 따라 이동하는 양쪽의 폴 베이스(17)(18)에 설치되어, 캠코더 샤프트(15)와 리뷰 아암 폴(16)을 거쳐서 권취측 릴(24)에 감겨지게 된다.
다음에서는 메인 데크(1)와 서브 데크(2)를 구분해서 설명한다.
메인 데크(1)는 제2도에서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메인 데크(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드럼(6)은 지름이 약 40mm로 되어 메인 데크(1)상에서 좌측 하방, 즉 사분면으로 분할하였을 때 제3상한의 방향으로 상부가 기울어진 형태로 고정되어 주행계를 구성하고 있고, 드럼(6)이 고정된 드럼 베이스(21)에는 폴 베이스(17)(18)가 안내되는 로딩홈(22)(23)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로딩홈(22a)(23b)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6)의 좌측 상부에는 구동 모터(3)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3)에 의하여 구동되어 서브 데크 작동용 레버(5)와 슬라이더(7)를 작동시키는 캠기어(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캡스턴 모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캠코더(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는 구동 모터(3)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어(25)로부터 제1전동기어(26)와 제2전동기어(27)를 거쳐서 캠기어(4)로 전달된다.
제2전동기어(27)에는 각 모드별 신호를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28)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모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있다.
캠코더(4)는 서브 데크 작동용 레버(5)가 회전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제1캠홈(29)과, 슬라이더(7)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캠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는 메인 데크(1)상에 고정된 캠기어(4)에 연동하여 테이프의 로딩을 위하여 폴 베이스(17)(18)와 핀치 로울러(73)를 작동시키고, 서브 브레이크(47)와 메인 브레이크(54)의 제동력을 해제하며, 하우징을 이젝트 할 수 있도록 이젝트 레버(8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메인 데크(1) 위에서 돌기(31)(31a)에 안내되어 캠기어(4)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할 때 폴 베이스(17)(18)와 핀치 로울러 레버(32)가 테이프의 로딩을 위하여 이동하고, 로딩을 완료할 수 있게 하는 제3캠홈(33), 제4캠홈(34) 및 제4캠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제3캠홈(33)과 제4캠홈(34)은 폴 베이스(17)(18)가 설치되는 로딩 아암(43)(44)을 안내하고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 메인 데크(1)상에 고정되는 캠기어(4)에 의하여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하기 직전에 서브 데크(2)에 고정된 로딩아암(43)(44)의 회전 안내축(75)(75a)이 삽입된 상태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좌우 이동 구간(90)(91)과, 상기 좌우 이동 구간(90)(91)에 연속되어 테이프의 로딩과 언로딩시 서브 데크(2)가 이동할 때 회전 안내축(75)(75a)이 안내되는 상하 이동 구간(92)(93)과, 상하 이동 구간(92)(93)에 연속 형성되어 서브 데크(2)가 이동하여 메인 데크(1)와 일치되면 폴 베이스(17)(18)가 드럼 베이스(21)쪽의 상부 로딩홈(22a)(23a)을 타고 테이프를 드럼(6)에 감아줄 수 있도록 로딩아암(43)(44)이 안내되는 경사 이동 구간(94)(95)를 가지는 좌우 이동 구간(96)(97)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5캠홈(35)은 서브 데크(2)에 고정된 핀치 로울러 레버(32)의 회전단부에 형성된 돌기(64)가 삽입된 상태로 수평이동하는 좌우 이동 구간(98)과, 이 좌우 이동 구간(98)에 연속되어 테이프가 로딩되고 언로딩되며 서브 데크(2)가 이동할 때 핀치 로울러 레버(32)의 돌기(64)가 안내되며 이동하는 상하 이동 구간(99)과, 상기 상하 이동 구간(99)의 상부에 연속되어 서브 데크(2)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핀치 로울러 레버(3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경사 이동 구간(100)과, 이 제1경사 이동 구간(100)에 연속되어 서브 데크(2)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슬라이더(7)가 이동하여 핀치 로울러 레버(32)를 캡스턴 샤프트(15)를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경사 이동 구간(100)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 이동 구단(101)으로 되어 있다.
서브 브레이크(47)와 메인 브레이크(54)의 제동력 해제는 서브 브레이크(47)에 접촉하는 접촉부(53), 메인 브레이크(54)와 아암 클러치(55)에 접촉하는 브레이크 레버(70)를 회전시키는 접촉부(53a), 메인 브레이크(54)에 접촉하는 접촉부(53c)로 되고, 하우징의 이젝트는 이젝트 레버(80)에 접촉하는 접촉부(53b)로 가능하게 된다.
접촉부(53)(53a)(53b)(54c)는 모두 서브 데크(2)를 향하여 상부로 절곡되어 있다.
캡스턴 모터(24)의 아래쪽에는 이 캡스턴 모터(24)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 캡스턴 기어(25)가 설치되어 서브 데크(2)의 윗쪽에 놓여져서 공급측 릴(20)과 권취측 릴(24)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아이들러(36)를 동작시키기 위한 폴리(37)와 벨트(38)로 연결되어 있다.
드럼(6)의 양쪽에 위치하는 로딩홈(22a)(23a)의 상부에는 테이프를 로딩하며 이동한 폴 베이스(17)(18)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V홈이 형성되는 스토퍼(39)(40)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의 로딩홈(22a)에는 폴 베이스(17)가 로딩을 완료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돌기(41)가 분기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데크(2)는 제3도에서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서브 데크(2)의 선단은 드럼(6)에 근접하게 이동하였을 때 메인 데크(1)와 일치하게 되며, 일치하였을 때 메인 데크(1)에 형성된 상부 로딩홈(22a)(23a)과 일치하는 하부 로딩홈(22b)(22b)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하부 로딩홈(22b)(23b) 사이의 상부면에는 로딩 아암(43)(4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로딩 아암(43)(44)에 폴 베이스(17)(18)가 각각 하나의 연결레버(45)(46)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 즉 서브 데크(2)의 중앙 양쪽에는 공급측 릴(20)과 권취측 릴(24), 그리고 이 양측 릴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하우징을 이젝트시키기 위한 이젝트 레버(8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측 릴(20)의 제동 장치는 캠기어(4)에 의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7)에 접촉되어 제동 및 해제되는 서브 브레이크(47)로 이루어진다.
서브 브레이크(47)는 탄성부재(48)를 가지고 밴드 브레이크(49)에 접촉되는 제동부(50)가 형성되어 서브 데크(2)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하는 단부에는 서브 데크(2)의 저면쪽으로 돌기(51)가 돌설되어 슬라이더(7)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더(7)에 형성된 접촉부(53)에 접촉되어 회전하므로써 제동력이 해제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권취측 릴(24)의 제동 장치는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7)의 접촉부(53a)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레버(70)에 의하여 작동되는 메인 브레이크(54)와 아암 클러치(55)로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레버(70)는 한쪽이 서브 데크(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쪽의 회전단부는 두 갈래로 나누어져서 각각 메인 브레이크(54)와 아암 클러치(55)의 회전단부와 접촉되게 놓여져 있다.
메인 브레이크(54)는 권취측 릴(24)의 오른쪽에서 중앙부가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탄성부재(56)가 일체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의 제동부(57)를 권취측 릴(24)을 향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다른 한쪽의 회전단부에는 서브 데크(2)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돌기(58)가 형성되어 서브 데크(2)가 메인 데크(1)에서 이탈되었을 때에는 브레이크 레버(70)의 한쪽 회전단부에 접촉되고, 서브 데크(2)가 메인 데크(1)와 일치되었을 때에는 슬라이더(7)의 접촉부(53c)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아암 클러치(55)는 서브 데크(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재(59)로써 권취측 릴(24)의 역회전시 제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탄성부재(48)(56)의 자유단부는 서브 데크(2)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서브브레이크(47)와 메인 브레이크(54)의 제동부가 각각 공급측 릴(20)과 권취측 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탄성부재(59)는 권취측 릴(24)과 탄성으로 접촉하여 권취측 릴(24)을 가압하고 있다.
서브 데크(1)의 왼쪽 상부, 즉 공급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텐션 아암(19)의 하단에는 상향 돌설되는 안내핀(60)이 형성되어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할 때 메인 데크(1)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홈(61)에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테이프를 카세트로부터 인출시키게 되고, 한쪽으로는 공급측 릴(20)에 감겨진 밴드 브레이크(49)의 한쪽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사이로는 모드 스위치(28)의 캠(62)에 접촉하는 부위(63)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데크의 오른쪽 상부, 즉 권취측에는 메인 슬라이드(7)에 형성된 제5캠홈(35)에 안내될 수 있도록 돌기(64)가 슬라이더(7)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돌설되어 핀치 로울러 레버(3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한편으로는 메인 데크(1)의 안내홈(65)에 안내되어 회전하는 리뷰 아암(16)이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 레버(80)는 공지의 하우징 로킹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회전 고정축(81)의 윗쪽에는 슬라이더(7)를 향하는 돌기(82)가 형성되어 서브 데크(2)가 드럼(6)에서 멀어져 메닝 데크(1)에서 밀려 나왔을 때 슬라이더(7)의 접촉부(53b)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이 작동하는 상태를 모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모드별 상태를 나타낸 데크의 평면도이고,
제9도는 모드별 작동 선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모드별 구동은 엔드 센서 모드, 이젝트 모드, 언로딩 모드, 서브 로딩 모드, 스톱 모드, 플레이 백 모드로 진행된다.
서브 데크(2)의 이동은 구동모터(3)가 구동하면 이 동력이 감속기어(25)에서 감속되어 제1전동기어(26)와 제2전동기어(27)를 거쳐서 캠기어(4)에 전달된다.
캠기어(4)가 회전하면 슬라이더(7)는 제2캠홈(30)에 안내되어 약간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캠홈(29)에 안내되는 서브 데크 작동용 레버(5)의 회전단부가 데크의 안쪽으로 회전이동하면서 로딩 아암(43)(44)의 회전 안내축(75)(75a)이 제3·제4캠홈(33)(34)의 상하 이동구간(92)(93)에 안내되고, 핀치 로울러 레버(32)의 돌기(64)는 제5캠홈(35)의 상하 이동 구간(99)에 안내되면서 서브 데크(2)가 메인 데크(1)상에서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한다.
엔드 센서 모드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가 릴 허브에 완전히 감겨져서 테이프의 비자성면이 노출된 상태로 하우징에 장착되어 텐션 아암(19)과 핀치 로울러 레버(32)와 리뷰 아암(16)이 테이프 로딩을 위하여 로딩을 시작하는 순간에 작동하는 모드로, 데크 상에 설치되는 엔드 센서(68)에 의하여 테이프 끝부분의 비자성면을 감지하여 테이프의 로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아이들러(36)를 공급측 릴(20)에 접촉시켜서 로딩에 필요한 만큼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감아주기 위하여 구동 모터(3)를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테이프를 감아줄 수 있도록 슬라이더(7)가 캠기어(4)에 형성된 제2캠홈(30)의 변위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접촉부(53a)가 브레이크 레버(70)를 회전시켜서 메인 브레이크(54)와 아암 클러치(55)를 회전시킴으로서 제동 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이 때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는데, 다시 안착시키면 테이프를 공급측 릴(20)에 감아서 로딩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아이들러(36)의 이동은 캡스턴 모터(24)의 회전으로 캡스턴 기어(25)와 벨트(38)를 통해서 아이들러(36)가 고정된 폴리(37)에 전달되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젝트 모드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브 데크(2)가 드럼(6)쪽에서 이탈하여 메인 데크(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로 테이프를 추출시키는 상태이다.
언로딩 모드는 하우징에 테이프가 삽입되고, 이 하우징이 서브 데크(2)상에 고정되어 테이프의 로딩이 시작되기 직전의 상태이다.
서브 로딩 모드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부 로딩홈(22a)(23a)과 하부 로딩홈(22b)(23b)이 일치되고, 폴 베이스(17)(18)가 테이프 로딩을 시작하게 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서브 데크(2)의 이동은 테이프를 하우징에 안착시키면 하우징에 설치되는스위치에 의하여 구동모터(3)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 동력이 감속기어(25), 제1전동기어(26), 제2전동기어(27), 모드 스위치(28), 캠기어(4)의 순서로 전달되어 회전하는 캠기어(4)의 제1캠홈(29)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서브 데크 작동용 레버(5)가 서브 데크(2)를 드럼(6)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서브 데크(2)가 이동하면 텐션 아암(19)과 리뷰 아암(16)은 메인 데크(1)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홈(61)(65)에 각각 안내되어 회전하여 테이프를 인출시킨다.
이 때, 서브 데크(2)에 고정된 핀치 로울러 레버(32)는 돌기(64)가 슬라이더(7)의 제5캠홈(35)에 안내되어 로딩 작동을 하게 되고, 서브 데크(2)가 메인 데크(1)에 일치된 다음 캠기어(4)의 제2캠홈(30)에 의하여 슬라이더(7)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72)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73)가 캡스턴 샤프트(15)에 압착된다.
폴 베이스(17)(18)는 서브 데크(2)에 고정되어 슬라이더(7)의 제3캠홈(33)에 연결된 로딩아암(43)과, 제4캠홈(34)에 연결된 로딩아암(44)이 서브 데크(2)가 드럼축(6)으로 이동할 때 제3·제4캠홈(33)(34)에 안내되면서 회전하며 로딩을 시작하고, 슬라이더(7)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로딩을 완료하게 되는 것으로, 공급측의 로딩 아암(43)은 슬라이더(7)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제3캠홈(33)의 아래쪽 캠홈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하부 로딩홈(22b)으로부터 상부 로딩홈(22a)으로 진입하면서,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 축이 메인 데크(1)의 회전 돌기(41)부위에서 분기홈(42)에 각각 안내되면서 탄성부재(74)의 압착력으로 로딩을 완료하고, 권취측의 로딩 아암(44)은 제4캠홈(34)에 안내되면서 바깥쪽의 회전 안내축(75)이 상부로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하부 로딩홈(23b)으로부터 상부 로딩홈(23a)으로 진입하고, 탄성부재(76)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로딩을 완료하게 된다.
스톱 모드는 폴 베이스(17)(18)의 로딩 작동이 완료된 다음 핀치 로울러(73)가 캡스턴 샤프트(15)에서 약간 이격되고, 공급측 릴(20)과 권취측 릴(24)이 제동되며, 텐션 아암(19)은 캠에 접촉하는 부위(63)가 모드 스위치(28)상부에 형성된 캠(62)에 접촉하면서 뒤로 후퇴하여 로딩된 테이프가 약간 느슨하게 되는 동작상태이다.
플레이 백 모드는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 및 재생시키기 위하여 메인 데크(1)와 서브 데크(2)가 일치되고, 공급측 릴(20)에서 권취측 릴(24)로 테이프를 감을 수 있도록 텐션폴(8)과 리뷰아암 폴(16)이 테이프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핀치 로울러(73)가 캡스턴 샤프트(15)에 압착되며, 서브 브레이크(47)는 슬라이더(7)의 접촉부(53)의 접촉부(53)가 돌기(51)를 밀어서 공급측 릴(20)에서 이탈하여 제동력을 해제하고, 메인 브레이크(54)는 접촉부(53c)에 의해 회전하여 권취측 릴(24)에서 이탈하여 제동력이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테이프의 로딩을 위한 텐션 아암과, 리뷰 아암이 메인 데크에 형성된 안내홈에 의하여 회전하여 테이프를 인출하게 되고, 로딩 아암과 양측 릴 브레이크를 캠기어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하나의 슬라이더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양측 릴 브레이크가 탄성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로딩 장치와 제동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하고 데크 크기를 소형화하고 무게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메인 데크(1) 상에서 서브 데크(2)가 이동하는 캠코더 데크로써, 드럼(6)의 상부가 서브 데크(2)를 향하여 경사 설치되고, 폴 베이스(17)(18)가 안내되는 로딩홈이 (22)(23) 메인 데크(1)와 서브 데크(2)에 분리 설치되어 주행계를 구성하는 캠코더 데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드럼(6)으로 테이프를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작동과 핀치 로울러(73)의 동작이 하나의 캠기어(4)로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7)에 의하여 연계적으로 작동하며, 서브 데크(2)가 드럼(6)을 향하여 이동할 때 텐션 아암(19)과 리뷰 아암(66)이 메인 데크(1)에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럼(6)이 3상한 방향으로 경사설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 데크(1)의 로딩홈(22a)(23b)이 드럼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주행계가 텐션 폴(8), 공급 로울러(9), 제1가이드 로울러(10), 제1경사 폴(11), 드럼(6), 제2경사 폴(12), 제2가이드 로울러(13), 제3경사 폴(14), 캡스턴 샤프트(15), 리뷰암 폴(16)의 순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3경사 폴(14)이 폴 베이스(18)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 로울러(9)가 드럼 베이스(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7. 메인 데크(1) 상에서 서브 데크(2)가 이동하는 캠코더 데크로써, 드럼(6)의 상부가 서브 데크(2)를 향하여 경사 설치되고, 폴 베이스(17)(18)가 안내되는 로딩홈이(22)(23) 메인 데크(1)와 서브 데크(2)에 분리 설치되어 주행계를 구성하는 캠코더 데크에 있어서,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끝부분이 비자성면을 감지하여 로딩이 가능하게 하는 엔드 센서 모드와; 서브 데크가 드럼측에서 이탈하여 메인 데크에서 수평이동하고, 하우징이 개방되어 테이프를 추출시킬 수 있는 이젝트 모드와; 하우징에 카세트가 삽입된 하우징이 서브 데크에 고정되는 언로딩 모드와; 메인 데크 상에서 서브 데크가 이동하며 서로 일치되며, 폴 베이스가 일차로 이동을 개시하는 서브 로딩 모드와; 재생중인 화면을 정지시키고, 양측 릴 브레이크가 각각 양측의 재동력을 가하고, 핀치 로울러를 이격시키는 스톱 모드와; 화면을 재생토록 핀치 로울러를 압착시키고, 브레이크를 릴 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레이 백 모드를 포하하는 캠코더 데크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서브 로딩 모드는 서브 데크(2)가 드럼(6)를 향하여 이동할 때 폴 베이스)17)(18)가 슬라이더(7)에 안내되어 로딩을 개시하고, 서브 데크(2)가 이동을 완료하여 로딩홈(22)(23)이 일치될 때 캠기어(4)에 연동하는 슬라이더(7)가 측면 이동하여 폴 베이스(17)(18)가 회전되므로써 로딩을 완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데크의 제어 방법.
KR1019940025937A 1994-09-15 1994-10-08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013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937A KR0139365B1 (ko) 1994-10-08 1994-10-08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95106667A CN1115681C (zh) 1994-09-15 1995-05-22 磁录/放设备的走带机构
US08/447,875 US5699208A (en) 1994-09-15 1995-05-23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component operating slide member between main deck and sub-deck
JP23299195A JP3359795B2 (ja) 1994-09-15 1995-09-11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デッキメカニズム
CA002157985A CA2157985C (en) 1994-09-15 1995-09-11 Deck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S95306390T ES2160670T3 (es) 1994-09-15 1995-09-12 Mecanismo de platina de un aparato de grabacion/reproduccion magnetica.
EP95306390A EP0702362B1 (en) 1994-09-15 1995-09-12 Deck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U95115539/28A RU2155390C2 (ru) 1994-09-15 1995-09-12 Лентопротяжный механизм устройства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DE69521952T DE69521952T2 (de) 1994-09-15 1995-09-12 Antriebsmechanismus von magnetischem Aufzeichnungs-/Wiedergabeger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937A KR0139365B1 (ko) 1994-10-08 1994-10-08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9365B1 true KR0139365B1 (ko) 1998-06-15

Family

ID=1939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937A KR0139365B1 (ko) 1994-09-15 1994-10-08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4157B2 (ja) カムコーダデッキの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4642712A (en)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modes
US569920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component operating slide member between main deck and sub-deck
JP2509037B2 (ja) テ―プレコ―ダ―のブレ―キ駆動装置
US6215610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ingle motor for operating tape loading mechanism, pinch roller driving mechanism, reel driving mechanism, brake mechanism, and mode identifying mechanism
KR0139365B1 (ko)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940006382B1 (ko)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S6362811B2 (ko)
KR920005245B1 (ko) 자기테이프 카셋트용 릴 및 테이프 구동장치
JPH026507Y2 (ko)
JPH0728249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9547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ム操作機構
JPH0528585Y2 (ko)
JPH0427618B2 (ko)
KR96000667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진행방법
JP2694624B2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421262B2 (ko)
KR0120091Y1 (ko) 캠코더의 핀치 로울러 구동 및 압착 장치
KR95000850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구동장치
JPS588016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92956B2 (ja) 磁気テ−プ装置
JPS6218055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98570A (ja) 磁気テープ装置
JP200520929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68551A (ja) リール台の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