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9005Y1 -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05Y1
KR0139005Y1 KR2019960010905U KR19960010905U KR0139005Y1 KR 0139005 Y1 KR0139005 Y1 KR 0139005Y1 KR 2019960010905 U KR2019960010905 U KR 2019960010905U KR 19960010905 U KR19960010905 U KR 19960010905U KR 0139005 Y1 KR0139005 Y1 KR 0139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ush
rear bracket
engin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349U (ko
Inventor
이경형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10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005Y1/ko
Publication of KR970064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를 엔진에 장착시킴에 있어 고정구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에 발전기(1)를 장착시킴에 있어 고정구(3)로 조립되는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에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측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시를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에 삽입되는 부시(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고정구(3)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70)를 형성하여 상기 부시(7)에 고정구(3)를 직접 체결하도록 되고, 상기 부시(7)의 일단부(72)에는 리어 브라켓(1a)에 끼워지는 부시(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제1도는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 브라켓의 프렌지 바깥쪽에 고정구와 체결되는 체결너트가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제2도는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 브라켓의 프렌지 내측에 고정구와 체결되는 체결너트가 조립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제3도는 발전기의 리어 브라켓 프렌지부에 종래의 체결너트와 부시가 취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부시가 발전기의 리어 브라켓 프렌지부에 취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
제6도는 발전기 리어 브라켓의 일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부시에 의해 발전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전기 1a : 리어 브라켓
1b : 후론트 브라켓 2 : 발전기 조립부
3 : 고정구 4 : 체결너트
5,7 : 부시 10 : 프렌지부
70 : 암나사 71 : 회전방지구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를 엔진에 장착 고정함에 있어 고정구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성을 개선한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차량용 발전기(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발전기 조립부(2)를 형성하여 상기 발전기 조립부(2)에 차량용 발전기(1)를 장착한 다음, 고정구(3)와 체결너트(4)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있다.
종래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차량용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에 체결너트(4)를 배치한 다음, 발전기(1)의 후론트 브라켓(1b) 측으로부터 끼워지며 발전기 조립부(2)의 구멍(20)을 관통하는 고정구(3)의 끝단(30)이 상기 체결너트(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엔진에 발전기(1)를 장착하고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체결너트(4)가 배치되는 리어 브라켓(1a)측이 엔진 주변 부품들의 간섭으로 인해 체결너트(4)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공구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비교적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체결너트(4)를 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에 별도의 프렌지부(10)를 형성하여 상기 프렌지부(10)에 체결너트(4)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후론트 브라켓(1b)측으로 끼워지는 고정구(3)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고정구(3)에 체결너트(4)가 체결되는 조립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상 리어 브라켓(1a)측 프렌지부(10)는 이에 끼워지는 체결너트(4)와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조립공차를 구비하는 관계로 프렌지부(10)에 끼워지는 체결너트(4)가 좌·우로 유동되거나 그 중심이 한쪽으로 편심되게 되어 고정구(3) 체결시, 고정구(3)의 끝단(30)과 체결너트(4)의 중심 또는 발전기 조립부(2)에 형성되는 구멍(20)의 중심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조정하게 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한편, 발전기(1)가 장착되는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와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간에 형성되는 간격을 보상하기 위하여 리어 브라켓(1a)에 별도의 부시(5)를 삽입하고 있다.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에 끼워지는 부시(5)는 고정구 체결시, 고정구(3)와 체결되는 체결너트(4)와의 체결력에 의해 리어 브라켓(1a)측 프렌지부(10)에서 미끄러져 나와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와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간의 간격을 보상하여 발전기(1)가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에 완전히 밀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부시(5)는 프론트 브라켓(1b)의 프렌지부에 고정되게 조립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발전기(1)의 풀리(6)와 엔진의 발전기 구동용 풀리(도시하지 않음)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는 관계로 리어 브라켓(1a)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엔진에 발전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에 체결너트(4)와 부시(5)를 따로 따로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체결너트(4)와 부시(5)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부품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엔진에 발전기를 장착하기 위한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엔진에 발전기를 장착시킴에 있어 발전기가 장착되는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와 리어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보상하도록 된 부시와 고정구가 체결되는 체결너트가 단일 부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에 발전기(1)를 장착시킴에 있어 고정구(3)로 조립되는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에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측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시를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어 브라켓(1a)에 취부되는 부시(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고정구(3)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70)를 형성하고 외주면 일단부(72)는 리어 브라켓(1a)에 끼워지는 부시(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71)를 형성하여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부시(7)는 제4도에 묘사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엔진에 발전기(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조립하는데 이용되었던 종래의 체결너트와 부시를 더한 길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고정구(3)가 체결되는 암나사(70)가 구비되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한다.
회전방지구(71)는 제6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에 형성되는 조립부(12)의 모양과 동일하게 사각 또는 육각 단면으로 형성하여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 조립부(12)로 끼워지는 부시(7)가 고정구(3)와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와 리어 브라켓(1a)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보상하도록 된 부시(7)에 고정구(3)가 직접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정구(3)를 체결하는 별도의 체결너트가 불필요하며 소요 부품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리어 브라켓의 프렌지부에 부시 하나만을 조립함으로써 발전기 장착시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의 구멍과 부시의 구멍이 어긋남이 없이 항상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고정구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종래에는 리어 브라켓의 프렌지부(10)에 체결너트와 부시를 각기 조립하던 두 가지 조립 공정이 한 번의 작업만으로 조립될 수 있어 조립 공수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시의 일측단부를 사각 또는 육각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내측에 형성되는 암나사에 고정구가 체결되더라도 부시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에 발전기를 장착시킴에 있어, 특히 엔진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정구가 끼워지는 상대편쪽 즉, 리어 브라켓 쪽에 위치하게 되는 체결너트를 공구로 잡아 줄 수 없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엔진에 발전기(1)를 장착시킴에 있어 고정구(3)로 조립되는 엔진의 발전기 조립부(2)에 발전기(1)의 리어 브라켓(1a)측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시를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에 삽입되는 부시(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고정구(3)가 결합되는 암나사(70)를 형성하여 상기 부시(7)에 고정구(3)를 직접 체결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7)의 일단부(72)에는 리어 브라켓(1a)에 끼워지는 부시(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구(71)는 리어 브라켓(1a)의 프렌지부(10)에 형성되는 모양과 동일하게 사각 또는 육각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KR2019960010905U 1996-05-06 1996-05-06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KR0139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905U KR0139005Y1 (ko) 1996-05-06 1996-05-06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905U KR0139005Y1 (ko) 1996-05-06 1996-05-06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49U KR970064349U (ko) 1997-12-11
KR0139005Y1 true KR0139005Y1 (ko) 1999-05-15

Family

ID=1945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905U KR0139005Y1 (ko) 1996-05-06 1996-05-06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0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39B1 (ko) * 2001-05-30 2004-04-08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발전기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39B1 (ko) * 2001-05-30 2004-04-08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발전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49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005Y1 (ko)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KR0134195Y1 (ko) 자동차의 차축과 허브의 풀림방지구조
JPH0214556Y2 (ko)
KR930002864Y1 (ko) 모터 장착용 서포트 너트(support nut)
KR19980030660U (ko) 자동차의 스피커 장착 구조
KR200261498Y1 (ko) 어더져스터스크류의압입고정구조
KR19980045546U (ko) 캠 샤프트고정용 캡의 체결구조
KR100383968B1 (ko) 도어 트림의 고정 구조
KR0123033Y1 (ko) 자동차용 엔진멤버의 고정구조
KR0126078Y1 (ko) 자동차용 파이프 취부구조
JPH0521483Y2 (ko)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970041116A (ko) 체결 구조를 개선시킨 엔진 마운팅 부재와 차체 보디 프레임
JPS62233564A (ja) 変速機ケ−スのベアリング取付構造
KR100378483B1 (ko) 엔진변속기결합체
KR200155479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고정용 브라켓트
JPS6312271Y2 (ko)
KR200277983Y1 (ko) 허브 스페이서의 결합 구조
KR200144361Y1 (ko) 모터 조립구조
KR0134325Y1 (ko) 라이센스 램프용 나비 너트의 유동방지구조
KR19980062308A (ko) 차량용 피벗(Pivot)구조
KR200152002Y1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용 너트
KR970005197Y1 (ko) 트럭용 리어 콤비램프의 취부구조
KR19980023025U (ko) 차량용 텐션로드와 로어아암의 결합구조
KR19980040699U (ko) 자동차의 플라스틱 부품 조립용 인서트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5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