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5761B1 - 적응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 처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61B1
KR0135761B1 KR1019890002608A KR890002608A KR0135761B1 KR 0135761 B1 KR0135761 B1 KR 0135761B1 KR 1019890002608 A KR1019890002608 A KR 1019890002608A KR 890002608 A KR890002608 A KR 890002608A KR 0135761 B1 KR0135761 B1 KR 013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detector
input terminal
valu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615A (ko
Inventor
죠한 웨큰부럭 허만
Original Assignee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ublication of KR89001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적응 처리 장치
제1도는 동작 적응 색도/휘드 분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호 확장 시스템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영상 동작 검출기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신호 확장기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4a,b,c 및 d도는 영상의 한 필드에서 화소의 공간 표시를 도시하고, 제3도에서 도시된 신호 확장기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화소 동작 검출기 34 : 감산기
40 : 제어 신호 발생기 50 : 신호 확장기
531, 536, 565 : 감소 함수 발생기
537, 557 : 증가 함수 발생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의 영역간의 천이에 있어서, 제1방법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과, 제2의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는 영역 간의 천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나타내는 표준 텔레비젼 신호(NTSC 또는 PAL과 같은) 처리는 종종 신호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변화된다. 이 적응 처리는 한 방법으로 처리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과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는 다른 인접 영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처리의 차이가 시청자에 의해 지각되고, 다른 영역 및 그들 영역 사이의 변화가 식별될 수 있다면,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
예를들어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색도 및 휘도 성분을 분리할 때, 플레임콤(comb)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 프레임 시간 간격에 대한 영상에서 변화가 없는 한, 휘도 및 색도 성분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프레임 시간 간격에 대해 장면이 변화되면, 일부의 칼라 정보는 분리된 휘도 성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일부의 밝기 정보는 색도 성분 내에 존재하게 된다.
라인 콤 필터는 또한 상기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색도 및 휘도 성분을 분리하고, 영상 동작의 존재시 상당히 저하된 성분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라인 콤 필터는 프레임 콤 필터에 관하여 재생된 영상의 수직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덧붙이면 수직 변화가 발생하는 위치에서, 라인 콤 필터에 의해 처리된 영상은 휘도 성분 내에 삽입되는 칼라 정보로 인해 질이 저하될 수 있고, 해잉 돗트(hanging dots)로 공지된 영상의 인공물(artifact)을 발생하며, 밝기 정보가 색도에 삽입되어, 천이의 근접부에서 부정확한 칼라를 발생한다.
상기 텔레비젼 신호는 영상 동작의 부재 또는 존재를 검출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영상이 정지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프레임 콤 필터가 사용되고, 영상이 변화되는 영역에서는, 라인 콤 필터가 사용된다.
그러한 적응 처리에 또 다른 예는 적응 이중 주사 비-비월 주사 변환기를 들 수 있다. 그러한 변환기에서, 보간 라인은 현재 필드의 라인간에 표시된다. 보간라인은 선행 필드로부터의 라인일 수 있지만, 영상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톱니 모양의 에지와 같은 명백한 인공물이 발생한다. 보간 라인은 또한 현재의 필드내의 라인으로부터 보간될 수 있지만, 수직 해상도가 감소되고 라인 플리커가 발생할 수 있다. 영상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에서 필드 내의 보간된 중간 라인이 표시되고, 영상 변화가 검출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필드-지연 보간 라인이 표시된다.
또 다른 예는, 상대적으로 고노이즈를 갖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이득 계수로 처리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노이즈를 갖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득 계수로 처리되는 적응 피킹(peaking) 회로를 들 수 있다.
상기 위의 모든 예에서, 텔레비젼 신호의 처리는 평가된 영상 파라미터의 값에 응답하여 변화된다. 파라미터는 색도/휘도 분리 및 이중 주사 비-비월된 변환 경우의 동작이며, 피팅의 경우, 노이즈의 상대적인 레벨이 된다. 다르게 처리된 영역 및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영역과 존재하지 않는 영역 사이에서 눈에 띄는 경계는, 상기 형태의 적응 처리에 의하여 유도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인공물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이 인공물의 눈에 보이는 정도를 감소시켜 지각된 영상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디오 신호의 파라미터는 영상내의 점에 대해 평가된다. 제어 신호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이 제어 신호는 처리모드의 선택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신호의 값은 제어 신호가 시간축상으로 및/또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발생된 영역 주위에서 확장된다. 이것은 한 형태의 처리가 수행되는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다른 형태의 처리가 수행되는 영역으로 처리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하나의 영역을 발생한다.
이하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는 동작 적응 색도/휘도 분리기의 관점에서 논의될 것이다. 유사한 장치가 이중 주사된 비-비월된 적응 주사변환, 또는 적응 피킹과 같은 다른 적응 처리 회로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에서 입력단자(5)는 표준 텔레비젼 수상기의 비디오 검출기의 출력과 같은 합성 비디오 신호의 소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입력 단자(5)는 화소 동작 검출기(30)의 입력단자에 결합되고, 등가지연(55,65)을 각각 통하여 프레임 콤 필터(10) 및 라인 콤 필터(20)의 각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프레임 콤 필터(10)로부터의 휘도 출력 단자는 신호(Yf)을 공급하며, 라인 콤 필터(20)로 부터의 휘도 출력 단자는 신호(Y1)을 공급하고, 이들은 신호 결합기(60)의 입력 단자(A 및 B)에 각각 결합된다. 신호 결합기(60)의 출력 단자(15)는 휘도 신호 처리 채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프레임 콤 필터(10)로부터의 색도 출력 단자는 신호(Cf)를 공급하며 라인 콤 필터(20)로 부터의 색도 출력 단자는 신호 결합기(70)의 입력 단자(A 및 B)에 각각 연결된다. 신호 결합기(70)의 출력 단자(25)는 색도 신호 처리 채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영상 동작 검출기(30)의 출력 단자는 소프트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40)의 입력 단자에 신호(m)를 공급한다. 제어 신호(Km)는 제어 신호 발생기(40)의 출력 단자에서 발생되며, 상기 색도 및 휘도 신호 처리 채널에 공급될 프레임 콤 필터링되고 라인 콤 필터링된 신호의 상대적인 양을 표시한다.
제어 신호 발생기(40)의 출력 단자는 신호 확장기(5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신호 확장기(50)는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 현재 처리되는 화소를 인접하여 둘러싸는 영역에서 대칭의 제어 신호(Km)의 확장을 제어하는 신호(K)를 발생하며, 제어 신호를 연속적인 필드에서 점차적으로 감쇠되도록 한다. 신호 확장기(50)의 출력 단자는 신호 결합기(60,70)의 제어 입력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제1도에 도시된 휘도/색도 확장기의 동작에서,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Y1) 및 색도(Cf) 신호는 상기 휘도 및 색도 신호 처리 채널에 각각 전달될 양호한 신호이다. 그러나, 동작이 검출될 때, 영상 동작으로 인한 인공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Y1) 및 색도 신호 (C1)가 상기 휘도 및 색도 신호처리 채널에 각각 공급된다. 영상 동작 검출기(30)는 입력 단자(5)로부터 입력 합성 비디오 신호를 평가하며 전송될 영상 내의 동작의 부재 또는 존재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파라미터(m)은 선행 영상 시간 간격에 대한 특정 화소 위치에서 동작의 상대적인 양을추정한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영상 동작 검출기(30)를 도시한다. 제2도에서, 입력 단자는 입력 단자(5)(제1도의)에 연결된다. 이 입력 단자는 감산기(34)의 한 입력 단자와 프레임 시간 간격 지연소자(32)의 한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프레임 지연 소자(32)의 출력 단자는 감산기(34)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감산기(34)의 출력 단자는 저역 필터(36)와 임계 검출기(38)의 직렬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발생기(40)(제1도의)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임계 검출기(38)는 필터(36)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값(즉 임계값)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발생ㅎ나다.
동작시, 감산기(34)는 한 프레임 시간 간격에 대한 영상에서의 동일한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위치한 화소 사이의 값의 차이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들 화소가 동일한 경우,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며, 감산기(34)의 출력은 0이다. 감산기(34)의 출력이 0이 아닌 경우에, 한 프레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그 위치에서 변화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그 임계값을 초과하는 변화만이 동작의 지시로서 취급되고, 보다 적은 값의 변화는 노이즈에 인한 것으로 가정한다. 영상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한 프레임의 시간 간격이 사용되었지만, 한 필드의 시간 간격과 같은 다른 영상 간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수신된 필드 내의 화소를 표시하는 신호가영상 동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다시 제1도를 참고로 하면, 영상 변화의 부재시, 상기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Yf) 및 색도(Cf) 신호는 신호 결합기(60,70)를 각각 통해 출력단자(15,25)에 각각 연결된다. 영상 변화가 존재하면, 라인 콤 필터(20)로부터 상기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Y1) 및 색도(C1)신호가 신호 결합기(60,70)를 통해 각각의 출력 단자(15,25)에 각각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계 검출기(38)는 필터 출력의 크기(m)를 제공하는 절대값 회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검출기(30)로부터의 출력신호(m)를 제공하는 절대값 회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검출기(30)로부터의 출력 신호(m)는 상기 신호(m)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출력 단자(15,25)에 공급된 프레임 콤 및 라인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의 상대적인 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작 검출기(30)로부터의 신호(m)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상 변화를 표시하는 경우, 신호 결합기(60,70)는 상대적으로 큰 비의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와 상대적으로 작은 비의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를 출력 단자(15,25)에 각각 결합시킨다. 동작 검출기(30)로부터 신호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영상 변화를 표시한다면, 신호 결합시(60,70)는 상대적으로 큰 비의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와 상대적으로 작은 비의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를 출력 단자(15,25)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장치의 하나가 1985년 7월 16일 Achiha등에 허여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 처리 회로로 명칭된 미합중국 특허 제4,530,004호의 제5도에 설명되어 있다.
검출기(30)로부터의 신호(m)는 출력신호(Km)는 출력 신호(Km)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기(40)에 연결된다. 발생기(40)는 소정의 최소 지속 시간 동안 발생하는 동작신호(Km)만을 통과시키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기(40)는 연속적인 시퀀스의 검출된 신호를 시험하고, 소정의 수의 신호가 동작을 표시하는 경우에만 검출된 신호를 통과시킨다. 특히, 발생기(40)는, 최소 예컨대 7개의 인접 화소 또는 8개의 인접 화소중 7개에서 동작이 검출되면,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모드에서 발생기(40)는 임펄스 노이즈와 동작을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검출기(30)가 크기 값을 제공하는 경우, 발생기(40)는 판독 전용 메모리와 같은 회로를 포함하여, 신호(m)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소정의 제한된 수의 출력값(Km)을 제공하는데, 이 범위는 신호(m)값 전체 범위의 비선형 또는 선형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일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의 제어 신호(Km)는, 동작 부재로부터 동작 존재 처리로의 천이의 결과로 발생하는 볼 수 있는 인공물을 감소시키는 신호 확장기(50)에 공급된다. 신호 확장기(50)는 휘도(Y) 및 색도(C)의 출력 신호에서 프레임 코모 필터링되고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 및 색도 신호의 상대적인 비를 제어하는 신호(K)를 발생시킨다. 신호 확장기(50)는 아래에 더욱 자세히 상술된다.
프레임 콤 필터(10)로부터의 휘도 성분(Y1) 및 라인 콤 필터(20)로부터의 휘도 성분(Y1)은 동작 신호 확장기(50)로부터의 신호(K)에 의해 제어된 비로 신호 결합기(60)에서 결합된다. 예를 들어, K는 0과 1사이의 비를 표시할 수 있고, 신호 결합기(60)는 입력 단자(A)에서 K배의 신호와 입력단자(B)에서 (1-K)배의 신호의 합을 출력 단자(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K=0일 때, 라인 콤 필터링된 휘도 신호(Yf) 만이 출력단자(15)에 결합되고, K=1일 때,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 신호(Yf)만이 출력 단자(15)에 결합된다. 0과 1사이의 K에 대하여, K에 기초한 비로 프레임 콤 필터링된 휘도 신호의 혼합 신호가 출력 단자(15)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신호 결합기(70)는 프레임 콤 필터(10)로부터의 프레임 콤 필터링된 색도 신호(Cf)와 라인 콤 필터(20)로부터의 라인 콤 필터링된 색도 신호(C1)의 혼합 신호를 출력 단자(25)에 결합시키도록 동작한다.
입력단자(5)와 프레임 콤 필터(10)사이 및 입력 단자(5)와 라인 콤 필터(20)사이에 각각 연결된 지연 소자(55,65)는 화소 동작 검출기(30), 제어 신호 발생기(40) 및 신호 확장기(50)의 처리 지연 시간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확장기(50)를 도시한다. 제3도에서, 입려겨 단자는 제어 신호 발생기(40)(제1도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신호 결합시(60,70)(제1도의)의 제어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입력과 출력 단자 사이에는 수평 확장기 소자(52), 수직 확장기 소자(54) 및 일시 감쇠 소자(56)가 직렬 접속된다. 이들 각 소자의 동작은 다른 소자의 동작과 상관없기 때문에, 임의의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동작시, 신호 확장기(50)는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 제어 신호(Km)를 수신한다. 이 제어 신호는 현재 화소의 영역 내에서의 동작의 존재 여부를 표시한다. 비동작 영역으로부터 동작 영역으로 하드 스위칭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인공물 개량을 위해서, 신호 확장기(50)는 다음의 방법으로 신호 결합시(60,70)(제1도의)를 제어한다.
제4a도는 재생된 영상의 화소 위치에 대한 동자가 신호의 일부를 도시하고, 제1도 및 제4a도 내지 제4d도에서 다양한 신호의 십진 크기값을 표시한다. 아래의 논의에서, 실시예는 멀티비트 디지타라 회로로 실현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제4a도는 다양한 화소 위치에서 제어 신호(Km)의 값을 도시한다. 제4a도에서, 두 가정이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동작 표시 신호가 수평 라인(L)상에서 7개의 연속적인 화소 위치에 대해 발생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제어 신호 발생기(40)가 각각 비동작과 동작을 표시하기 위하여 0 및 7의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4a도에 도시된 화소 배열에서, 영상 변화는 도시된 영상 부분의 중간에서 사각형(102)내에서 검출된다.
제3도를 참고로 하면, 제어 신호 발생기(40)(제1도의)로부터의신호(Km)는 신호 확장기(50)에 공급되고, 수평 확장기 소자(52)에 의해 처리된다. 제4b도는 수평 확장의 결과를 도시한다.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라인(L)만이 제4b도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102)은 전과 다름없이 동작이 검출된 영역을 묘사하고, 사각형(102) 내의 화소들은 전과 다름없이 7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0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가 열(C-10 및 C+10)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 신호는 수평 방향에서 대칭적으로 1씩 감소한다.
수평 확장기 소자(52)로부터 수평 확장된 제어 신호는 수직 확장 소자(54)에 공급된다. 제4c도에서, 사각형(102)은 전과 다름없이 동작이 검출된 수신된 영상의 영역을 도시하고, 제어 신호는 그 영역에서 7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제어 신호는, 0값을 갖는 제어 신호가 라인(L+4 및 L-4)에 도달할 때 까지, 라인(L)의 위 및 아래에 인접한 라인에서 대칭적으로 2씩 감소된다. 이것은 열단위로 수행된다. 라인(104)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서, 동작(영역(102)에서)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는 수평 및 수직 영여겡서 대칭적으로 감소하는 방법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 신호는 동작이 검출된 영역(102)이 주사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그후 그 영역(102)에서 벗어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제4a, 4b 및 4c도는 모두 동작이 영역(102)에서 검출된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서의 제어 신호의 값을 도시한다. 수직 확장기 소자(54)의 출력은 일시감쇠 소자(56)에 공급된다. 일시 감쇠 소자(56)는 시간에 대해 점차적으로 감쇠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4d도에 도시된 영상의 부분은 한 프레임 만큼 지연된 제4c도에 도시된 영상이다. 제4c도에서 도시된 프레임내의 모든 화소 위치에서 제어 신호의 값은 최소값 0이 될 때까지 1씩 감소한다. 라인(106)에 의해 한정된 영역은, 제어 신호의 값이 검출된 영상 변화 영역 근방에서 감소하고, 0아닌 영역의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4a, 4b 및 4c도에서 사각형(10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108)은 영상 변화가 원래 검출된 영역을 규정한다. 연속되는 프레임들은, 제4a도에 도시된 프레임에 뒤따르는 8번째 프레임에서, 모든 화소 위치에 있는 제어 신호의 값이 0으로 감쇠되고, 영상 동작 정정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을 때까지, 감소된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될 수있는 신호 확장기(50)를 도시한다. 이 장치의 상부 부분은 수평 확장기 소자(52)를 도시하고, 중간 부분은 수직 확장기 소자(54)를 도시하고, 하부 부분은 일시 감쇠 소자(56)를 도시한다.
입력 단자는 제어 신호 발생기(40)(제1도의)에 연결된다. 입력 단자는 지연 소자(52) 및 최소값 검출기(MIND)(525)의 제1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지연 소자(521)의 출력은 최대값 검출기(MAXD)(523)의 제1입력에 연결된다. 최대값 검출기(523)의 출력은 지연소자(529)의 입력 단자 및 최대값 검출기(527)의 제1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지연 소자(529)의 출력은 감소 함수 소자(531)의 입력에 연결되고, 이 감소 함수 소자는 최대값 검출기(523)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최소값 검출기(525)의 출력은 지연 소자(533)의 입력 단자 및 최대값 검출기(527)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지연소자(533)의 출력은 최소값 검출기(527)의 제2입력 단자에 차례로 연결되는 증가 함수 소자(535)의 입력에 연결된다. 최대값 검출기(527)의 출력은 수평 확장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5도에서, MIND로 표시된 소자는, 자신의 2개 입력 접속부에 인가된 신호중 더 작은 값의 입력 신호를 자신의 출력 접속부에 공급하는 소자이다. MAXD로 표시된 소자는 자신의 2개의 입력 접속부에 인가된 신호중 더 큰 값의 입력 신호를 자신의 출력 접속부에 공급하는 소자이다.
수평 확장기(52)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최소값 검출기(525), 지연 소자(533) 및 증가 함수 회로(535)로 구성되는 수평 확장기(52)의 하측부분은 동작 영역이 검출될 때 발생기(40)에 의하여 제공된 값과 동일한 최대값 값에 도달하는 천천히 증가하는 값을 발생한다. 지연소자(521), 최대값 검출기(523), 지연소자(529) 및 감소 함수 소자(531)로 구성되는 수평 확장기(52)의 상측 부분은, 최소값 0에 도달하는 천천히 감소하는 값을 발생한다.
동작이 상수(C1)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의 양 측에서 제어 신호는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증가 함수 발생기(535)는 함수(fi(X)=x+C1)를 발생하고, 감소 함수 발생기(531)은 함수(fd(x)=x+C1)을 발생한다. 제4a도 내지 제4d도에 도시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C1은 1이 되어야 한다. 상수(C1)은 또한 0과 최대값(K) 사이의 중간 화소의 수를 결정한다. 각각의 지연소자(529 및 533)는 한 화소 지연 시간을 제공하고, 지연소자(521)는, 신호가 0에서 7까지 증가하는 것에 대한 화소의 수와 동일한 다중 화소 지연 간격을 발생한다. 제4도에 도시된 신호의 경우, n1은 7과 동일하다.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 입력 신호가 0일 때(수평 신호 확장기(52)의 출력 신호가 0으로 감쇠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0이 될 때),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의 최소값 검출기(525)에 대한 입력 신호는 0이다. 최소값 검출기(525)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화소 지연 소자(523)와, 입력 신호에 대해 1을 가산하는 증가 함소 발생기(535)를 통해 공급되어, 1의 값을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최소값 검출기의 출력은 2개의 입력값 중 최소값이고, 따라서 0이 된다. 최소값 검출기(52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최대값 검출기(527)에 대한 하나의 입력 신호로서 공급된다.
제어 신호 발생기(40)가 동작의 존재를 검출할 때, 7의 값을 갖는 신호는 최소값 검출기(525)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이 값이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함수 발생기(535)의 출력은 1에서 8까지 증가하는 시퀀스가 된다. 최소값 검출기(525)는 그 출력이 7이 될 때까지 이들 증가하는 값을 통과시킨다. 다음의 화소 주기에서, 함수 발생기(535)의 출력은 8이 되지만,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 신호는 7이고, 최소값 검출기(525)의 출력은 7로 남아 있게 된다. 제4a도 내지 제4d도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0에서 7까지의 증가는 7클럭 주기를 필요로 한다.
다중 화소 지연 소자(521)는 7클럭 주기 동안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의 동작 검출 신호를 지연시킨다. 이 시간 동안, 최대값 검출기(5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0의 값을 갖는ㄷ. 이 0의 신호는 2개의 입력 중 큰 것을 선택하는 최대 값 검출기(527)의 다른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따라서, 최대값 검출기(527)는 출력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7번째 화소 간격에서, 제어 신호 발생기(40)로부터의 동작 신호 발생이후, 7의 값을 갖는 신호는 다중 화소 지연 소자(521)의 출력 단자로부터 최대값 검출기(523)의 입력 단자에 제공된다. 이 신호는 화소 지연 소자(529)를 통해 감소 함수 발생기(531)에 공급된다. 6의 값을 갖는 신호는 함수 발생기(531)의 출력 단자에서 발생되고, 최대값 검출기(527)까지 7의 값을 통과시키는 최대값 검출기(523)의 다른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동작이 제어 신호 발생기(40)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 최대값 검출기(527)에 0값 신호를 전달하는 최소값 검출기(525)에 0이 제공된다. 그러나, 최대값 검출기(523)의 출력은 계속 7이 된다. 0의 값이 다중 화소 간격 지연 소자(521)를 통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클럭 주기 동안, 그 출력은 7로 남아있게 된다. 그러나, 0이 지연소자(521)를 통해 전달되었을 때, 최대값 검출기(523)의 출력은 0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 함수 발생기(531)에 의해 감소한다. 이 감소 함수는 최대값 검출기(527)를 통해 통과되고, 제어 신호 발생기(40)에 으해 동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후, 천천히 감소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4b도에서 도시된 신호는 제5도에서 도시된 수평 확장기(52)에 의해 이와 같이 발생된다.
수평 확장기(52)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최대값 검출기(527)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수직 확장기(5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수직 확장기의 입력 단자는 제2지연 장치(543)의 입력 접속부에 연결되고, 지연장치(543)의 출력 단자는 최대값 검출기(545)의 제1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최대값 검출기(545)의 출력단자는 최대값 검출기(549)의 제1입력 단자와, 감소 함수 발생기(553)를 통해 최대값 검출기(545)의 제2입력에 연결된 출력 단자를 갖는 하나의 수평 라인 간격 지연 소자(551)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지연 장치(543)는 그 입력과 출력 사이에서 정수 수평 주기만큼의 신호 지연을 제공한다. 덧붙이면, 지연장치(543)는 연속적인 정수 수평 주기만큼 지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탭을 갖는다. 지연 장치(543)에 대한 입력과 각각의 탭은 OR게이트(541)의 각 입력 접속부에 연결된다. OR게이트(5410는, 각각의 멀티비트 동작 신호 중 하나의 비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OR게이트가 실제적으로 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OR게이트(541)의 출력 단자는 최소한 검출기(547)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최소값 검출기(547)의 출력 단자는 최대값 검출기(549)의 제2입력 단자 및 하나의 수평 라인 간격 지연소자(555)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수평 라인 간격 지연 소자(555)의 출력 단자는 증가 함수 발생기(557)를 통해 최소값 검추ㅊㄹ기(547)의 제 2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최대값 검출기(549)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수직 확장기(54)로부터의 출력을 표시한다.
수직 확장기(54)는 한 가지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갖지만, 상술한 수평 확장기(52)와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최소값 검출기(525)에 연결된 동작 신호는 적어도 소정의 화소 수의 시간에 대해 연속적이다. 이 신호가 연속적으로 함수 발생기(535)에 의해 제공된 값보다 공칭적으로 크기 때문에, 최소값 검출기(525)는 축적 주기에 대해 함수 발생기에 의해 제공된 더 작은 값에 연속적으로 응답할 것이다. 수직적으로 연속적인 동작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제4a 및 제4b도의 예에 도시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호가 직접적으로 최소값 검출기(547)에 공급된다면, 7의 값이 하측 입력에 연결되는 라인 동안, 최소값 검출기(547)의 출력은 함수 발생기(557)에 의해 결정된다. 후속하는 라인에서, 최소값 검출기(547)는 0을 출력한다. 따라서, 아무것도 축적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대값 검출기(545)에 의해 제공된 감쇠 신호는 원하는 대로 되어야 한다.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2가지 해결책이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수직으로 인접한 동작 표시의 최소수를 갖는 동작 신호만이 인가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이 구별은 제어 신호 발생기(40), 또는 수평 및 수직 확장기 사이에 삽입된 소자에 의해 수행될 수있다. 이 경우, 상기 OR 게이트(541)는 필요하지 않고, 확장기(54)에 대한 입력 신호는 최소값 검출기(547)에 직접 연결된다.
두 번째 해결책은 탭 지연장치(543)에 연결된 OR게이트(541)에 의해 제공된다. 연속적인 탭에서 입력 동작 신호는 연속적인 수평 주기 동안에 복제된다. 동작 신호의 요구되는 증가 축적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주기에 대해 수직적으로 연속적인 동작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OR게이트(541)는 이들 신호를 결합한다.
증가 함수 발생기(557)는 함수(gi(x)=x+C2)를 발생하고, 감소 함수 발생기(553)는 값(gd(x)=x-C2)를 발생한다. 여기서 C2는 수직적인 확장 제어 신호가 변화하는 값만큼의 증가를 표시한다. 제4도에서 도시된 시스템에 대해 C2=2이다.
최대값 검출기(549)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4c도에서 도시된 수평 및 수직 적인 확장 제어 신호를 표시한다. 이 신호는 동작이 제어 신호 발생기(40)에 의해 검출된 필드에서 발생된다. 이 신호는 일시 감쇠 소자(56)에 공급된다.
최대값 검출기(549)의 출력 단자는 최대값 검출기(561)의 제1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최대값 검출기(561)의 출력 단자는 신호 결합기(60,70)(제1도의)의 각 제어 입력 단자와 플레임 지연 소자(563)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프레임 지연소자(563)의 출력 단자는 감소 함수 발생기(565)를 통해 최대값 검출기(561)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일시 감쇠 소자(56)는 수평 확장기(52) 및 수직 확장기(54)의 상측 부분과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감소 함수 발생기(565)는 함수(h(x)=x-C3)를 발생한다. C3는 제어 신호의 지연 주기를 제어하는 상수이다. 제4d도에 도시된 시스템에 대하여, C3=1이다.
감소 함수 발생기(531,553,565)는 모두 입력 신호로부터 상수를 감산하는 선형 함수로 표시되었지만, 함수는 이 대신에, 출력 신호의 값이 감소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의 비선형 함수가 될 수 있다. 증가 함수 발생기(535,557)는 증가하는 임의의 함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함수 발생기(531,535,553,557,565)는 함수 소자로서 동작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S)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ROM은, 상기 소자가 증가 함수를 갖는지 또는 감소 함수를 갖는지에 따라서, 그들의 입력 어드레스 포트에 공급된 값보다 적절하게 크거나 작은 값을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제4c도의 임계 조사는, 감소 함수 발생기(545)와는 대칭적인 결과를 발생하기 위해, 증가함수 발생기(557)가 제1의 값은 1씩 증가시키고 후속하는 값은 2씩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과 같은, 하나의 ROM은 2의 값을 증가시키는 증가 함수 발생기(557)의 함수를 수행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바꿔말하면, 증가 함수 소자는 소정 수의 특정 상수값을 누적시키도록 되어 있는 간단한 누산기가 될 수 있고, 감소 함수 소자는 재순환된 값으로부터 소정의 상수를 감산하도록 되어있는 감산기가 될 수 있다.
일시 감쇠 부분에서, 지연 소자(563)는 프레임 지연 간격을 구비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 소자는 하드웨어를 절약하기 위하여 대략 반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연 소자(563)는 교번 필드 간격에서 263H 및 262H의 지연 간격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가 영상 변화 신호의 확장에 관계된다 할지라도, 제어 신호는 색도 진폭 또는 수신된 신호의 노이즈 레벨과 같은 수신된 영상의 임의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장치는 샘플 데이타 또는 연속적인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샘플 데이타 형태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영역에서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0)

  1. 수평 라인으로 배열된 화소의 매트릭스를 표시하는 필드/프레임으로 포맷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의 소정 상태를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소정 상태가 존재하는 화소의 지속 기간에 이르는 지속기간을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40)과,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적응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의 효과를 연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적응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수평 라인에 따른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제1수단(52)과,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소정의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수평 라인에서 발생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수평 라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제2수단(54)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수단(40)과 적응 처리하는 상기 수단(K 출력)의 입력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연속적인 필드/프레임으로 확장시키는 제3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수단과 적응 처리하는 상기 수단 사이에서 상기 제3수단을 제1 및 제2수단과 직렬로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의 발생에 앞선 방향과 상기 제어 신호의 발생에 뒤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확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는 라인 전후에 발생하는 수평 라인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확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의 진포 값이 제어 신호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진폭 값을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제어 신호 입려겨 및 출력 단자와, 제1 및 제2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가지며, 제1 및 제2 입력 단자에 공급된 2개의 입력 신호중 더 작은 값의 신호를 출력 단자로 통과시키는 최소값 검출기와, 상기 최소값 검출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최소값 검출기의 제1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며, 신호를 지연시키고 인가된 신호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과, 각각의 제1 및 제2입력단자 및 각각의 출력 단자를 가지며, 자신의 제1 및 제2입력 단자에 공급된 2개의 시호중 더 큰 값의 신호를 자신의 각 출력 단자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최대값 검출기와, 상기 제1최대값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제1최대값 검출기의 제1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어, 신호를 지연시키고 인가된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상기 제1최대값 검출기 및 상기 최소값 검출기의 각각의 제2입력 단자에 결합시키는 각각의 수단과, 상기 제1 최대값 검출기와 상기 최소값 검출기의 출력 단자를 상기 제2최대값 검출기의 제1 및 제2입력 단자에 각각 결합시키는 각각의 수단과, 상기 제2최대값 검출기의 상기 출력 단자를 상기 제어 신호 출력 단자를 상기 제어 신호 출력 단자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 입력 단자와, 제1 및 제2입력 단자 및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가지는 추가의 최소값 검출기와, 각각이 제1 및 제2입려겨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제3 및 제4최대값 검출기와, 상기 추가의 최소값 검출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추가의 최소값 검출기의 제1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어, 정수 수평 기간만큼 신호를 지연시키고 인가된 신호 크기를 증가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3 최대값 검출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3최대값 검출기의 제1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어, 정수 수평 기간만큼 신호를 지연시키고 인가된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수단과, 상기 추가의 최소값 검출기와 상기 제3의 최대값 검출기의 출력 단자를, 상기 제2수단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제4의 최대값 검출기의 제1 및 제2입력 단자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상기 추가의 최소값 검출기의 제2입력 단자에 결합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3최대값 검출기의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신호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제1수단은, 제어 신호 입력 단자와,상기 제어 신호 입력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1방향에서의 천이에 응답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제1방향으로 증가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증가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중 더 작은 값의 신호를 제공하는 제1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인가된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상기 지연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해 지연된 제어 신호의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에서의 천이에 응답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반대 방향으로 증가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증가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중 더 큰 값의 신호를 제공하는 제2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중 더 큰 크기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에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9. 영상 정보의 순차적인 수평 라인에서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응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5)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동작의 발생을 표시하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 검출기(30)와, 상기 동작 검출기에 결합되어,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동작 신호를 통과 시키는 식별시 수단(40)과, 상기 식별기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동작 신호를 확장시키는 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 수단은, 소정수의 연속적인 화소동안 상기 동작 검출기에 의해 동작 신호가 판별될 경우에만 동작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처리 장치.
KR1019890002608A 1988-03-07 1989-03-03 적응 처리 장치 KR0135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66 1988-03-07
US07/164,766 US4868650A (en) 1988-03-07 1988-03-07 Circuitry for expanding the effect of a video control signal in multiple dimen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615A KR890015615A (ko) 1989-10-30
KR0135761B1 true KR0135761B1 (ko) 1998-04-22

Family

ID=2259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608A KR0135761B1 (ko) 1988-03-07 1989-03-03 적응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68650A (ko)
JP (1) JPH01268293A (ko)
KR (1) KR0135761B1 (ko)
CA (1) CA1329651C (ko)
DE (1) DE3907118C2 (ko)
FI (1) FI92273C (ko)
FR (1) FR2628280B1 (ko)
GB (1) GB2216748B (ko)
HK (1) HK1000197A1 (ko)
IT (1) IT12314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757A (en) * 1988-08-20 1990-06-12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endoscope apparatus provided with a movement detecting means
JP2828105B2 (ja) * 1988-10-27 1998-11-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動き検出回路
JP2884590B2 (ja) * 1989-04-12 1999-04-1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送受信システム、映像信号受信装置及び映像信号送受信方法
US5045929A (en) * 1989-05-13 1991-09-0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luma/chroma separation and vertical detail generation
US5043807A (en) * 1989-05-23 1991-08-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composite video motion detection
DE69033646T2 (de) * 1989-07-18 2001-02-22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der Belichtungsänderungen einer Videokamera
US5095354A (en) * 1989-09-01 1992-03-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 format converter with motion compensation
US5027201A (en) * 1989-12-21 1991-06-25 Rca Licensing Corporation Motion detection apparatus as for an interlace to non-interlace scan converter
KR930009881B1 (ko) * 1989-12-22 199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턴검출 및 운동량 검출에 의한 칼라텔레비젼 신호의 엔코딩회로
US5541669A (en) * 1990-03-29 1996-07-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Denki Motion adaptive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on filter
JP2776954B2 (ja) * 1990-04-09 199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動き検出回路
US6134373A (en) * 1990-08-17 2000-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wide bandwidth video signal via a narrow bandwidth medium
US5083203A (en) * 1990-05-31 1992-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ignal spreader
US5113262A (en) * 1990-08-17 199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enabling limited bandwidth recording and playback
US5166788A (en) * 1990-06-29 1992-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signal processor
KR930010928B1 (ko) * 1990-08-17 1993-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US6104863A (en) 1990-08-17 2000-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signal encoded with additional detail information
KR930009880B1 (ko) * 1990-11-19 199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신호 검출회로
KR930008182B1 (ko) * 1990-11-27 1993-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신호 검출회로
KR940001441B1 (ko) * 1991-07-19 1994-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운동 적응형 y/c분리기
JPH09506482A (ja) * 1991-11-15 1997-06-24 スネル アンド ウィルコックス リミテッド カラー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
US5386249A (en) * 1992-01-22 1995-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motion detector with full-band response except for diagonal spatial frequencies
US5428398A (en) * 1992-04-10 1995-06-27 Faroudja; Yves 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rom a standard-bandwidth television signal a signal which when reproduced provides a high-definition-like video image relatively free of artifacts
US5365281A (en) * 1992-06-26 1994-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signal detecting circuit
DE19525804A1 (de) * 1995-07-15 1997-01-16 Philips Patentverwaltung Kammfilteranordnung
US7046306B2 (en) * 2003-03-31 2006-05-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ing a video signal using motion estimation to separate luminance information from chrominance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925A (en) * 1975-03-10 1976-03-02 Sarkes Tarzian, Inc. Digital soft edge video transition system
US4240109A (en) * 1976-10-14 1980-12-16 Micro Consultants, Limited Video movement detection
GB1594341A (en) * 1976-10-14 1981-07-30 Micro Consultants Ltd Pictur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television
US4064530A (en) * 1976-11-10 1977-12-20 Cbs Inc. Noise reduction system for color television
GB1547812A (en) * 1977-04-27 1979-06-27 British Broadcasting Corp Telecine machines
US4141035A (en) * 1977-10-20 1979-02-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chnique for separating composite video signals
DE3307687C3 (de) * 1983-03-04 1994-04-28 Broadcast Television Syst System zur Verminderung des Rauschens in einem Fernsehsignal
DE3309715A1 (de) * 1983-03-18 1984-09-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ystem zur verminderung des rauschens in einem fernsehsignal
DE3313050A1 (de) * 1983-04-12 1984-10-1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nordnung zur trennung von leuchtdichte- und farbinformation eines farbfernsehsignals
GB8328362D0 (en) * 1983-10-24 1983-11-23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Movement detector
GB2163023B (en) * 1984-08-10 1987-12-23 Sony Corp Decoding digital pal video signals
US4639784A (en) * 1985-02-19 1987-01-27 Rca Corporation Video signal recursive filter adaptively controlled responsive to the history of image motion
US4661853A (en) * 1985-11-01 1987-04-28 Rca Corporation Interfield image motion detector for video signals
US4679086A (en) * 1986-02-24 1987-07-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Motion sensitive frame integration
EP0236519B1 (en) * 1986-03-08 1989-06-07 ANT Nachrichtentechnik GmbH Motion compensating field interpolation method using a hierarchically structured displacement estimator
JP2537792B2 (ja) * 1986-03-20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2605013B2 (ja) * 1986-04-09 1997-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き適応映像信号処理回路
JPS6386990A (ja) * 1986-09-30 1988-04-18 Nippon Hoso Kyokai <Nhk> 動き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16748B (en) 1992-10-14
DE3907118A1 (de) 1989-09-21
FR2628280B1 (fr) 1996-07-19
IT1231490B (it) 1991-12-07
FI92273C (fi) 1994-10-10
FR2628280A1 (fr) 1989-09-08
JPH01268293A (ja) 1989-10-25
GB8905076D0 (en) 1989-04-19
KR890015615A (ko) 1989-10-30
HK1000197A1 (en) 1998-10-27
FI890944A0 (fi) 1989-02-28
CA1329651C (en) 1994-05-17
IT8919440A0 (it) 1989-02-15
GB2216748A (en) 1989-10-11
US4868650A (en) 1989-09-19
FI890944A (fi) 1989-09-08
DE3907118C2 (de) 1999-03-11
FI92273B (fi) 199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761B1 (ko) 적응 처리 장치
JP2947186B2 (ja) フリッカ軽減回路
US6181382B1 (en) HDTV up converter
US4754322A (en) YC-signal separation circuit responsive to magnitude of vertical correlation
EP0241854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motion adaptive type
EP0731601B1 (en) Video signal noise reduction apparatus
CA1310401C (en) Circuit for detecting motion of television signal
KR100367512B1 (ko) 움직임적응비디오잡음감소시스템
JP3271143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US5083203A (en) Control signal spreader
US6259480B1 (en) Sequential scanning converter
EP0772351B1 (en) Motion detection for interlaced video signals
US5491521A (en) Scan velocity modulation system with auxiliary vertical deflection towards bright side of video signal transitions
US200502203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polating a pixel of an interline of a field
EP0488498B1 (en) Motion signal detecting circuit
JP2580891B2 (ja) 走査線補間回路
JPH0330586A (ja) 動き検出回路
CA1229160A (en) Field comb for luminance separation of ntsc signals
WO2000010326A9 (en) Two-dimensional adjustable flicker filter
JP2614475B2 (ja) 走査変換装置
JPH05115057A (ja) 映像信号変換回路
JPH05207430A (ja) 走査変換方式
JPH04347984A (ja) フィールド変換装置
JPH01231487A (ja) 動き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3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03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