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4555Y1 -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555Y1
KR0134555Y1 KR2019960006082U KR19960006082U KR0134555Y1 KR 0134555 Y1 KR0134555 Y1 KR 0134555Y1 KR 2019960006082 U KR2019960006082 U KR 2019960006082U KR 19960006082 U KR19960006082 U KR 19960006082U KR 0134555 Y1 KR0134555 Y1 KR 0134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cement
outlet
cement
mixed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789U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삼풍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삼풍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201996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555Y1/ko
Publication of KR970053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4Supply means incorporated in, or mounted on, mix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수개의 지지각체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사이로도체의 배출구측에는, 그 사이로동체의 배출구측을 가리도록 된 방지판을 설치한 것에 의해, 혼합시멘트를 혼합기측으로 일정량씩 공급시 일기 변화에 의한 우천시 빗물이 배출구를 통해 나오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이로동체에 설치한 집진수단에 의해 혼합시멘트의 공급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깨끗하게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본 고안은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로동체의 배출구 주위에 빗물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배출구로 빗물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는 건설현장에 일시적으로 설비되어, 시멘트와 모래를 사전에 섞어서 상품화한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그 사이로의 하부의 배출구측에 결합되는 믹서기측으로 정량씩 공급하는 데에 이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에는 믹서기와 결합된 배출구측이 거의 외부로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천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빗물 등이 배출구측으로 유입되어 배출구와 결합된 믹서기로 흘러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빗물 등의 유입은 믹서기의 부식을 초래하여 수명 단축의 요인이 되고 또한, 기존의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는 그 사이로동체의 내부에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수용할 때 발생되어 비산하는 분진을 그대로 외부로 방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고, 사이로동체의 배출구측에 상기 배출구가 빗물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빗물유입차단수단을 설치하여, 우천시에도 빗물의 유입으로 인한 부색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로동체의 상부에 집진 수단을 설치하여, 혼합시멘트를 수용할 때 비산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 하도록 집진 처리할 수 있는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들은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을 구비하고, 그 수용실의 양측에 혼합시멘트의 공급구와 원추형의 배출구를 갖는 원통형상의 사이로동체와, 그 사이로동체의 배출구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어 그 사이로동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각체들로 이루어진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에 있어서, 사이로동체의 하단부위에서 상단부위까지 도달될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어느 일 부위만이 사이로동체의 저부에서 외부로 개구되게 연장되고, 나머지는 사이로동체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개구되어 혼합시멘트를 수용실의 내부로 도입되게하는 혼합시멘트 공급도관; 그 혼합시멘트공급도관이 장착된 사이로동체의 어느 일 측 주위에 배출구측을 가리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배출구를 통해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배출할 때에 배출구측으로 빗물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유입차단판; 및 빗물유입차단판이 가리고 있는 배출구의 내부에서 그 배출구와 일정 거리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며, 혼합시멘트공급도관을 통해 배출구측으로 낙하되는 혼합시멘트를 분산되게 안내하는 분산유도구를 포함하는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도시된 측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I-I선에 따른 방향에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이로장치 110 : 사이로동체
112 : 안내판 114 : 배출구
118 : 분산유도구 122 : 보강부재
130, 170 : 빗물유입차단판 140 : 집진기
150 : 혼합시멘트공급도관 160 : 믹서기
180 : 작업용발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이로장치(100)는 사이로동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그 사이로동체(110)의 몸체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사이로동체(110)의 하부는 깔대가 모양의 원추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1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이로동체(110)는 적어도 4개의 지지각체(120)들에 의해서 도면표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직립상태로 설치된다. 그 지지각체들(120)의 높이는 사이로동체(11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각체(120)들에는 보강부재(122)들이 상기 지지각체(120)들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각체(120)들의 지지력이 증가 되도록 X자 형태로 설치된다.
제1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122)를 X자 형태로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강력을 갖는다고 하면 X자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를 이루게 하여도 무방하다. 사이로동체(110)로부터 지지각체들(120)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계단상의 발판용받침대들(126)이 설치되어 있다. 그 발판용받침대들(126)에 의해서 작업자들이 사이로동체(110)의 상부로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다. 받침대들(126)의 설치를 도면에서는 어느 한쪽에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양측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10)의 하부, 지지각체들(120)의 상부 일 부위에는 사이로동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가리도록 설치된 빗물유입차단판(130)들이 스커트 형상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빗물유입차단판(130)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로돌체(1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사면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빗물유입차단판들(130)의 상, 하길이는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배출구(114)의 부위를 완전히 가리는 상태를 이루지 않게 함이 바람직한다. 그 이유는 제3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구(114)의 부위에 믹서기를 설치하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이로동체(110)의 상부에는 그 사이로동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등을 집진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14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사이로동체(110)에는 그 동체(110)의 내부로 혼합시멘트를 공급하는 데에 사용하는 공급도관(150)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공급도관(150)의 일 부위는 사이로동체(110)의 내부로 개구되게 관통되어 위치되는 반면, 다른 일 부위는 외부로 개구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I-I선에 따른 방향에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다.
사이로동체(110)의 내부에는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을 통해서 유입되는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사방이 폐쇄된 수용실(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의 어느 일 단 부위는 수용실(116)의 천정벽부와 거의 인접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 타 단 부위는 외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116)의 천정부와 인접되는 상기 공급도관(150)의 일단부 주위로는 그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시멘트가 사방으로 비산됨 없이 하방을 향해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판(1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로동체(110)의 배출구(114) 측에는 그 배출구(114) 측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124)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게이트(124)의 바로 윗 쪽으로 일정거리를 갖는 콘(CONE)형의 분산유도구(1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분산유도구(118)는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을 통하여 공급된 혼합시멘트가 상기 안내판(112)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지 않고 바로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구(114)위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낙하된 혼합시멘트는 배출구(114)에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출구(114)에 낙하된 혼합시맨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혼합시멘트가 배출구(114)의 상부에서 쌓여 서로 뭉쳐지게 됨으로(시멘트의 입자는 미세함으로 적은 하중에도 쉽게 뭉쳐고, 특히 습기가 있는 경우 더욱 잘 뭉쳐진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뭉쳐진 혼합시멘트의 위치는 믹서기(160)의 내부에 장착된 이송스크류(미도시)와 접할 수 없는 부위에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분산유도구(118)의 상부로 낙하하는 혼합시멘트는 분산유도구(118)의 형상에 의하여 낙하된 후 흩어져 상기 분산유도구(118)의 면을 타고 배출구(114)로 흘러들어가므로 서로 뭉쳐지지 않고 또한, 배출구(114)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배출구(114)의 하부에는 사이로동체(110)의 수용실(116)과 연결되는 상태를 이루는 믹서기(16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믹서기(160)는 사이로동체(110)의 배출구(114)를 통해 일정량씩 공급되는 혼합시멘트와 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잘 혼합되게 섞어 작업자들에게 공급 가능하게 한다. 믹서기(160)에 의한 혼합시멘트와 물과의 혼합 및 이송은 내부에 설치된 교반 날개(미도시)들에 의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효과를 다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사이로장치(100)는 건설현장에 간단하게 설비되며, 상품화 되어 시중에 나와 있는 시멘트와 모래가 섞인 혼합시멘트는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을 통해서 사이로동체(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혼합시멘트가 사이로동체(110)에 형성된 수용실(116)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은 도면상에서 생략하였으나, 미도시된 펌프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사이로동체(110) 수용실(116)의 내부로 투입되는 혼합시멘트는 분말상태이기 때문에, 그 혼합시멘트 공급도관(150)을 통해 수용실(116)의 내부로 공급되는 순간 사방으로 비산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급도관(150)을 통해 수용실(116)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시멘트는 그 수용실(116)의 천정벽면부의 일 부위에만 인접 설치된 안내판(112)에 부딪히게되므로 상기 안내판(112)에 의해서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고 배출구(114) 측을 향해 내려가도록 안내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112)이 공급되는 혼합시멘트를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혼합시멘트의 낙하에 의하여 수용실(116)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들은 혼합시멘트의 공급과 동시에 작동되는 집진기(14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진 처리된다.
사이로동체(110)의 수용실(116)의 아래쪽을 향해 하중을 갖고 자연낙하되는 혼합시멘트는 원추형의 분산유도구(118)와 충돌하게 되는 순간, 상시 설명한 현상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그 분산유도구(118)를 따라서 배출구(114) 측으로 흘러 내리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혼합시멘트의 낙하압력에 의해서 배출구(114)가 폐쇄되는 일은 없게 된다. 즉, 분산유도구(118)는 낙하되는 혼합시멘트에 의해 배출구(114)가 막히지 않고 낙하된 혼합시멘트가 골고루 분산되면서 그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 되도록 한다.
게이트(124)는 사이로동체(110)의 배출구(11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데에 이용된다. 게이트(124)의 개폐 작동은 수동으로 할 수가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미도시한 구동모터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미도시한 구동모터에 의한 게이트(124)의 개폐작동은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므로 본 실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게이트(124)가 개방되면 혼합시멘트는 배출구(114)를 통해서 그 하부에 위치된 믹서기(160)로 유입되어 진다. 믹서기(160)로 유입된 혼합시멘트는 믹서기(160)의 내부에 위치된 이송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앞쪽으로 이송되게 되고, 이송되는 혼합시멘트가 유입구(162)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과 만나게 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혼합되면서 이송되어 모르타르 상태로 배출된다. 믹서기(160)에 의하여 혼합시멘트가 물과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은 사이로동체(110)에서 혼합시멘트가 공급되는 한 계속해서 실행된다. 또한 믹서기(160)로 혼합시멘트의 공급을 중단시키려고 하면 게이크(124)로 하여금 사이로동체(110)의 배출구(114)를 폐쇄토록 하면 된다.
배출구(114)의 상부에는 빗물유입차단판(130)이 스커트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도 빗물이 사이로동체(110)를 따라 배출구(114)를 향해 빗물이 흘러들어 가게 되는 일은 없게 된다. 즉, 빗물은 빗물유입차단판(130)에 의해서 외측으로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믹서기(160)와 결합되는 배출구(114) 쪽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일은 없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 표시의 일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빗물유입차단판(170)을 사이로동체(110)의 하부에 배출구 부위와 인접된 위치에서 원추형형상을 갖는 스커트 형태로 설치한 것으로, 이 빗물유입차단판(170)에 의해서 우천시에도 믹서기와 결합되는 배출구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이로동체(110)에는 상기 동체(110)의 전 길이에 걸쳐서 작업용발판(180)이 설치되어 있다. 그 작업용발판(180)은 사이로동체(110)를 차량의 적재함에 옆으로 위치되게 높혀놓고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들이 그 발판(180)을 이용하여 사이로동체(110)의 위를 자유로이 통행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그 밖에 작용효과는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혼합시멘트가 수용되는 사이로동체의 배출구 주위에 빗물유입차단판을 설치함으로, 우천시에도 빗물이 혼합시멘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족으로 유입되는 일이 전혀 없게한 효과가 있다.
또, 시멘트공급도관을 사이로동체의 내부로 배치하여 그 공급도관이 외력으로부터 손상됨을 없게 한 효과가 있다.
또, 분산유도구를 장착함으로 낙하하는 혼합시멘트에 의하여 배출구가 막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혼합시멘트가 수용 저장되는 사이로동체의 수용실 상부에는 집진기를 설치함으로, 그 사이로동체의 수용실 내부로 혼합시멘트를 공급할 때 발생되는 분진들을 그 집진기에 의해서 깨끗이 집진 처리할 수 있게 한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9)

  1.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을 구비하고, 그 수용실의 양측에 혼합시멘트의 공급구와 원추형의 배출구를 갖는 원통형상의 사이로동체와, 그 사이로동체의 배출구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어 그 사이로동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각체들로 이루어진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에 있어서, 사이로동체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도달될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어느 일 부위만이 사이로동체의 저부에서 외부로 개구되게 연장되고, 나머지는 사이로동체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개구되어 혼합시멘트를 수용실의 내부로 도입되게하는 혼합시멘트 공급도관; 그 혼합시멘트공급도관이 장착된 사이로동체의 어느 일 측 주위에 배출구측을 가리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배출구를 통해 분말상의 혼합시멘트를 배출할 때에 배출구측으로 빗물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유입차단판; 및 상기 빗물유입차단판이 가리고 있는 배출구의 내부에서 그 배출구와 일정 거리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며, 혼합시멘트공급도관을 통해 배출구 측으로 낙하되는 혼합시멘트를 분산되게 안내하는 분산유도구를 포함하는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차단판은 소정 넓이의 판체를 이루며 사이로동체로부터 지지각체들을 연결하는 스커트 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방지판은 사이로동체의 배출구 주위만을 감싸는 원추형의 스커트 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로동체의 상부에서 수용실과 연락되는 상태로서 설치되어, 혼합시멘트의 공급시 그 수용실의 내부에서 비산(飛散)되는 분진은 집진하기 위한 집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로동체의 배출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구를 통해 정략씩 공급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배출하는 믹서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체로부터 사이로동체의 전 높이에 걸쳐서 계단상으로 설치된 발받침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체에는 고정용 보강부재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로동체의 수용실내로 위치된 혼합시멘트공급도관의 어느 일 측단의 주위로는 혼합시멘트의 비산됨을 차단하여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이로동체의 어느 일 측에는 작업용 발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멘트용 사이로장치.
KR2019960006082U 1996-03-27 1996-03-27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KR0134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082U KR0134555Y1 (ko) 1996-03-27 1996-03-27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082U KR0134555Y1 (ko) 1996-03-27 1996-03-27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789U KR970053789U (ko) 1997-10-13
KR0134555Y1 true KR0134555Y1 (ko) 1999-01-15

Family

ID=194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082U KR0134555Y1 (ko) 1996-03-27 1996-03-27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5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08B1 (ko) * 2007-10-31 2009-05-22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99B1 (ko) 2022-02-14 2022-08-04 형제기초건설 (주) 시멘트 사일로 및 믹서 플랜트의 시멘트 비산 억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08B1 (ko) * 2007-10-31 2009-05-22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789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872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окрасочная кабина, использующая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прощенная покрасочная кабина, использующая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AU625695B2 (en) Improved apparatus for cleaning air in coal mines
US20160250657A1 (en) Paint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inting installation
KR101816278B1 (ko)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0134555Y1 (ko)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KR101884134B1 (ko)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CN118438545B (zh) 混搅组件和具有其的喷浆机
KR20220000685A (ko) 공사현장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US320748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mixture
KR20180072610A (ko) 입상체 이송장치
KR101816909B1 (ko)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US4872598A (en) Dusting apparatus
KR19980072067A (ko) 진공 흡입적재 및 압송하역 차량
KR102466919B1 (ko)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CN108422560A (zh) 混凝土搅拌站大棚
CN211594334U (zh) 应用于混凝土料仓降尘系统
CN215213586U (zh) 箕斗井井底粉矿回收系统
CN210795092U (zh) 一种储存式装车料仓
US9115557B1 (en) Dust collection system
CN209317592U (zh) 一种沥青拌和生产线
CN222248611U (zh) 一种垃圾收容池及高层建筑垃圾转运装置
US6158627A (en) Device for feeding liquid-containing material to a separator
CN218464990U (zh) 一种火力发电厂石灰石输送系统
CN222446412U (zh) 一种轻质粉料投料的气体内循环装置
CN220547041U (zh) 带有上料防尘装置的球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3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6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