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278B1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278B1 KR101816278B1 KR1020170083871A KR20170083871A KR101816278B1 KR 101816278 B1 KR101816278 B1 KR 101816278B1 KR 1020170083871 A KR1020170083871 A KR 1020170083871A KR 20170083871 A KR20170083871 A KR 20170083871A KR 101816278 B1 KR101816278 B1 KR 1018162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foreign matter
- wind
- falling
- foreig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4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6—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 B03B4/065—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having inclined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 투입구(11)와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측이 상기 혼합물 투입구의 투입단과 대응하는 한편 타측에 상기 골재 배출구와 대응하면서 하향 경사지는 낙하단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와 이물질을 분산시키는 제1낙하판(20)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면서 일측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쪽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 하부에 일정 높이차를 두고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는 제2낙하판(30)과; 상기 제1,2낙하판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을 송풍하여 송풍력에 의해 골재 이외의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비산시키는 송풍기(40)와; 상기 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이물질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이물질로부터 미분을 털어 제거하는 진동스크린(5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 적용된 제1,2낙하판의 사시도.
40 : 송풍기, 41 : 송풍관
50 : 진동스크린, 51 : 스크린
52 : 덮개, 53 : 비산방지막
54 : 선별유도막, 55 : 살수관
60 : 제품 컨베이어, 70 : 미분 운반수단
Claims (13)
-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 투입구(11)와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측이 상기 혼합물 투입구의 투입단과 대응하는 한편 타측에 상기 골재 배출구와 대응하면서 하향 경사지는 낙하단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와 이물질을 분산시키는 제1낙하판(20)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면서 일측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쪽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 하부에 일정 높이차를 두고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는 제2낙하판(30)과;
상기 제1,2낙하판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을 송풍하여 송풍력에 의해 골재 이외의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비산시키는 송풍기(40)와;
상기 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이물질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이물질로부터 미분을 털어 제거하는 미분 선별수단과;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보다 길게 돌출 형성되어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선별하는 분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멍이 없는 판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와 상기 미분 선별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 배출구에서 공급되는 이물질과 미분을 상기 미분 선별수단으로 유도하는 무공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공의 바닥부 위에 밀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바람을 상기 미분 선별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천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선별수단은 진동스크린으로서 투입부와 배출부를 제외한 둘레부가 덮개를 통해 밀폐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며 이물질과 미분을 바닥의 스크린으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선별유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선별수단은 진동스크린으로서 투입부와 배출부를 제외한 둘레부가 덮개를 통해 밀폐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과 미분을 바닥의 스크린으로 유도하는 살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송풍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바람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의 개도 조절을 통해 풍량과 풍속을 조절하는 개도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낙하판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물질을 상기 제2낙하판의 표면과 떨어뜨리는 부착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분 선별수단과 상기 송풍기를 연결하여 상기 미분 선별수단으로 송풍된 바람이 상기 송풍기와 케이스 및 미분 선별수단을 순환하도록 유도하는 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분 선별수단을 통해 선별된 미분을 상기 골재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미분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낙하판 중 일측 이상에 형성되며 바람을 상기 제1,2낙하판의 상부로 유도하여 골재와 이물질을 부상시키는 부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방법으로서,
청구항 1에 의한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송풍기를 가동함과 아울러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을 상기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제1낙하판에 투입하여 충격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보다 길게 돌출 형성된 분산봉을 통해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선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낙하판에서 상기 제1낙하판의 하부에 배치된 제2낙하판으로 골재와 이물질의 낙하를 유도하여 충격에 의해 2차로 이물질을 분리하고 상기 제1,2낙하판 사이로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로 비산시켜 분리하고 골재는 저부의 골재 배출구를 통해 이물질과 다른 곳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골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공급받으며 이물질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이물질에 포함된 미분을 털어 제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871A KR101816278B1 (ko) | 2017-06-30 | 2017-06-30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871A KR101816278B1 (ko) | 2017-06-30 | 2017-06-30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6278B1 true KR101816278B1 (ko) | 2018-01-30 |
Family
ID=6107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3871A Active KR101816278B1 (ko) | 2017-06-30 | 2017-06-30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278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99862A (zh) * | 2018-04-27 | 2018-09-07 | 昆明理工大学 | 一种用于三七种子分选的脚踏式曲柄摇杆风筛 |
CN110255195A (zh) * | 2019-07-25 | 2019-09-20 |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 分离装置 |
KR102132932B1 (ko) * | 2020-02-11 | 2020-07-14 | (유)대한이앤이 | 풍력 토사 선별기 |
KR102168757B1 (ko) | 2020-08-03 | 2020-10-22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
CN112006294A (zh) * | 2020-09-17 | 2020-12-01 | 湖州维义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亚麻籽仁高效脱壳装置 |
KR20220086344A (ko) *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피알피 |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
CN115138575A (zh) * | 2022-06-28 | 2022-10-04 | 广州宏睿仪器设备有限公司 | 一种食品自动检测设备及工艺 |
CN115853451A (zh) * | 2022-12-31 | 2023-03-28 |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新型负压振动筛 |
KR20230042819A (ko) | 2021-09-23 | 2023-03-30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
CN117030971A (zh) * | 2023-07-05 | 2023-11-10 | 水电水利规划设计总院 | 一种砂样中游离片状云母含量测定方法及其测定装置 |
KR102716091B1 (ko) * | 2023-12-29 | 2024-10-11 | 김세중 | 순환골재 선별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1791A (ja) * | 1998-08-07 | 2000-02-22 | Shin Meiwa Ind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とラベルとの選別装置 |
KR200331312Y1 (ko) * | 2003-07-23 | 2003-10-23 | 삼표산업 주식회사 |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
KR100452857B1 (ko) * | 2003-07-09 | 2004-10-20 |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
JP3691756B2 (ja) * | 2000-12-15 | 2005-09-07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風力選別装置 |
KR100650509B1 (ko) * | 2006-04-17 | 2006-11-28 | 태성개발(주) |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
-
2017
- 2017-06-30 KR KR1020170083871A patent/KR10181627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1791A (ja) * | 1998-08-07 | 2000-02-22 | Shin Meiwa Ind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とラベルとの選別装置 |
JP3691756B2 (ja) * | 2000-12-15 | 2005-09-07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風力選別装置 |
KR100452857B1 (ko) * | 2003-07-09 | 2004-10-20 |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
KR200331312Y1 (ko) * | 2003-07-23 | 2003-10-23 | 삼표산업 주식회사 |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
KR100650509B1 (ko) * | 2006-04-17 | 2006-11-28 | 태성개발(주) |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99862A (zh) * | 2018-04-27 | 2018-09-07 | 昆明理工大学 | 一种用于三七种子分选的脚踏式曲柄摇杆风筛 |
CN110255195A (zh) * | 2019-07-25 | 2019-09-20 |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 分离装置 |
KR102132932B1 (ko) * | 2020-02-11 | 2020-07-14 | (유)대한이앤이 | 풍력 토사 선별기 |
KR102168757B1 (ko) | 2020-08-03 | 2020-10-22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
CN112006294A (zh) * | 2020-09-17 | 2020-12-01 | 湖州维义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亚麻籽仁高效脱壳装置 |
KR102546245B1 (ko) * | 2020-12-16 | 2023-06-21 | 동림개발 주식회사 |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
KR20220086344A (ko) *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피알피 |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
KR20230042819A (ko) | 2021-09-23 | 2023-03-30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
CN115138575A (zh) * | 2022-06-28 | 2022-10-04 | 广州宏睿仪器设备有限公司 | 一种食品自动检测设备及工艺 |
CN115138575B (zh) * | 2022-06-28 | 2024-05-31 | 广州宏睿仪器设备有限公司 | 一种食品自动检测设备及工艺 |
CN115853451A (zh) * | 2022-12-31 | 2023-03-28 |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新型负压振动筛 |
CN115853451B (zh) * | 2022-12-31 | 2024-06-11 |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新型负压振动筛 |
CN117030971A (zh) * | 2023-07-05 | 2023-11-10 | 水电水利规划设计总院 | 一种砂样中游离片状云母含量测定方法及其测定装置 |
CN117030971B (zh) * | 2023-07-05 | 2024-12-27 | 水电水利规划设计总院 | 一种砂样中游离片状云母含量测定方法及其测定装置 |
KR102716091B1 (ko) * | 2023-12-29 | 2024-10-11 | 김세중 | 순환골재 선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278B1 (ko) |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
KR102168757B1 (ko) |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 |
KR101806725B1 (ko) |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 |
KR101830648B1 (ko) |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 |
KR101616633B1 (ko) | 건식 모래용 분급기 | |
KR101846527B1 (ko) | 진동스크린 프레임 구조체를 활용하는 석분미립자 분리 및 포집수단 | |
FI126025B (fi) |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teeksi luokiteltavan aineen käsittelemiseksi, menetelmällä valmistettu tuote ja tuotteen käyttö | |
KR102601495B1 (ko) | 풍력 및 회전드럼을 이용한 건설폐토석 3종 분류 시스템 | |
KR101816909B1 (ko) |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
KR100937980B1 (ko) |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 |
KR200331312Y1 (ko) |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 |
KR100436545B1 (ko) |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 |
KR102190703B1 (ko) | 건설폐기물의 토사와 골재의 분리회수장치 | |
KR100761097B1 (ko) | 경이물질 선별을 위한 다단 에어공급장치 | |
KR102099122B1 (ko) | 타격에 의한 비산거리에 따른 순환토사 선별 장치 | |
KR102094862B1 (ko) |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 |
KR101744944B1 (ko) | 잔골재의 풍력 비중 선별장치 | |
KR200331311Y1 (ko) |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 |
KR200275784Y1 (ko) |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 |
KR20090041483A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 |
KR200351067Y1 (ko) |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 |
KR100638115B1 (ko) | 송풍수단을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생산 장치의와류제거방법 | |
KR100703954B1 (ko) | 가연성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 |
KR100554273B1 (ko) | 선별분리장치 | |
KR20050084718A (ko) |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