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259B1 -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59B1
KR0132259B1 KR1019940700748A KR19940700748A KR0132259B1 KR 0132259 B1 KR0132259 B1 KR 0132259B1 KR 1019940700748 A KR1019940700748 A KR 1019940700748A KR 19940700748 A KR19940700748 A KR 19940700748A KR 0132259 B1 KR0132259 B1 KR 013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ed article
laminate
laminated
laminated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사카이
코오지로오 모타이
사토루 키시
카쓰유키 모리타
노부유키 호소야마
히로시 타나베
Original Assignee
사또오 아키오
미쓰이도오아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오 아키오, 미쓰이도오아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또오 아키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tubes or blown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53/3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 B29C53/385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using several sheets to form the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53/3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 B29C53/40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53/42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4/00Articles with hollow walls
    • B29L2024/006Articles with hollow walls multi-channe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1Spiral pee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10T428/1321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적 함유율로 30%이상 85%이하의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보강열가소성소지판을 층상으로 적층하여되는 적어도 1장의 긴 적층체의 긴쪽 방향의 가장자리를 서로 중첩되게 결합시킨 중공 통상의 적층성형품 및 간단한 성형구를 사용하여 상기의 적층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섬유보강 열가소성 수지로 된 중공(中空) 적층 성형품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수지제(樹脂製) 성형품을 주로 섬유보강된 저분자량의 열경화성수지판을 적층하고, 가열성형하여 된 것이다. 그러나 열경화수지는 저분자량이기 때문에 제조작업시에 그 수지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에 스틸렌모노머 냄새, 에폭시수지의 경우에 아민 냄새라고 하는 악취가 발생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층시에 있어서도 수지와 보강섬유가 일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형 도중에 이것들이 어긋나기 쉽고 주름지기 쉽다. 그 때문에 성형에는 상당한 기술을 요하며 또 성형품의 경화에도 상당한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이 성형장치는 매우 고가이며, 제조비용도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취급이 비교적 용이한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섬유보강수지판을 사용한 성형품의 제조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섬유보강수지 성형체의 연속 부형 방법 및 그 장치」라 하는 제목으로 일본국 특개평 1-2868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이외에 일반적으로 섬유공업수지판을 가열연화 한 후 프레스기로 금형내에서 고압으로 가압성형하는 방법, 즉 웅형(雄型 ; male mord)또는 자형(雌型 ; female mold)의 표면에 소정 매수의 섬유보강수지판을 적층하여 금형을 덮고 수지의 유동 가능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가압한 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탈형(脫型)하는 프레스 성형법이나 적층된 섬유보강수지판을 금형내에 투입하고 그것을 진공하에서 유동가능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부형(賦形)과 탈포(脫泡)한 후 금형내의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탈형하는 오토클레이브 성형법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성형품의 단면형상이 개곡선(開曲線)으로 된 예를 들면 상자모양이나 접시모양등과 같은 조개껍질 모양의 성형품은 제조할 수 있으나 단면이 폐곡선(閉曲線)으로 된 중공통상(中空筒狀)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중공통상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심형(心型 ; core mold)에 수지가 용융되어 있는 섬유보강 수지판의 적층체를 감아서 성형하고, 그것을 심형마다 금형에 투입하여 프레스기 또는 진공하에서 가열하면서 가압한 후, 냉각하고 성형품을 꺼내어 심형을 빼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주름이 지거나 늘어지지 않도록 적층체를 심형에 감는 것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또 가압하면서 가열한 후, 냉각하는 공정에는 장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중공통상의 성형품은 복수로 분할하여 성형하며 이들을 중공통상체가 되도록 조립하여 그들의 가장자리끼리를 볼트, 넛트나 접착제로 접합하든지 또는 그 접합면을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복수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성형하여 조립하고, 그 가장자리 끼리를 접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 너트등의 기계적인 접합방법에 있어서는 접합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서는 보강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제등의 화학적인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계면박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적합한 접착제는 없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열용융하여 압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법, 접합면에 진동을 줌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열을 사용하는 방법, 열판을 사용하는 방법등이 있으나,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법은 접합부의 두께가 0.5㎜ 이상이면 접합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가 없으며, 또한 마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은 접합면의 보강섬유가 손상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강도를 저하시키며, 또한 열판을 사용하는 방법은, 접합면이외의 수지도 용융되고, 강도가 균일하지 않아 전체적인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낮은 비용으로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중공통상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의 섬유보강 열가소성수지 성형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볼트, 너트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합면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섬유보강열가소성수지판의 적층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용적함유율로 30%이상 85%이하의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열가소성수지판을 층상으로 적층하여서 된 적어도 한 장의 긴 적층체의 긴쪽 방향의 가장자리를 서로 중첩되게 결합시킨 중공통상의 적층성형품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이 적층성형품은 용적함유율로 30%이상 85%이하의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열가소성수지판을 층상으로 적층시킨 적어도 1장의 적층체를 가열하고, 그 열가소성수지를 용융상태로 하여 층간에 함유되어 있는 공기를 탈기(脫氣)시키는 단계와, 상기 열가소성수지가 용융상태에 있는 적층체를 원하는 단면형상을 가진 성형주위 주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체를 각 적층체의 가장자리 영역이 인접하는 다른 적층체의 가장자리 영역과 서로 겹치게 접합시켜 루프상으로 닫힌 상태에서 성형구를 감싸는 것과 같이 성형구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일체이상의 적층체를 서로 접합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체화된 적층체를 냉각하는 단계로 된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구로서 주변 벽에 통기구멍을 가진 중공의 성형구를 사용하여, 상기 가열된 적층체를 성형구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의 완료후, 이것을 냉각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온도가 그 열가소성수지의 융점이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성형구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통기구멍에서 압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성형구의 외주면과 적층체의 내주면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상기 일체화 된 적층체를 성형구의 외주면에서 이형시키고 나서 성형구를 빼내는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추천 장려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각형(角型) 성형품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2장의 적층체를 성형구의 바깥쪽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윗쪽의 적층체를 성형구의 측면에 맞닿게 하고 또한 그위에 밑쪽의 적층체를 겹치는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4도는 윗쪽 적층체와 밑쪽 적층체가 용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5도는 통기구멍을 가진 성형구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통기구멍을 가진 성형구를 사용하여 2개의 적층체를 용착 일체화 한 후, 성형구에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성형구의 외주면과 적층체의 내주면간에 공기층을 형성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7도는 내부에 대각선형 지주를 갖는 4각통상(4角 筒狀)의 성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성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9도는 제8도의 성형구에 적층체를 감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제8도의 성형구에 적층체를 감는 것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성형구의 정면도이고,
제12도는 그 측면도이고,
제13도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성형구에 적층체를 감아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14도는 그 성형구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성형품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태양]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형품 재료로서는 연속섬유를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정열시킨 섬유시트를 골재로 하여, 이것에 저압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수지를 함침시킨 한 방향 섬유보강 열가소성 수지판(이하 프리플레그라 한다)이나 평직(平織), 주자직(朱子織), 능직(綾織)등의 직포에 상기 수지를 함침시킨 다방향 섬유 보강 열가소성수지판(이하 프리플레그라 한다)이 사용된다. 이들의 프리플레그는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원하는 섬유배향, 두께가 되도록 적층하며 이들의 적층체를 성형공정에 앞서 미리 가열압축함으로써 프리플레그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탈기가 가능하게 되며, 얻어지는 성형품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프리플레그의 두께는 통상 0.05㎜ 내지 1㎜정도이나 이것이 너무 얇으면 적층시에 프리플레그가 찢어지기 쉽게 됨에 동시에 적층 장수가 많게 되며, 작업 효율이 나빠지게 되며, 너무 두꺼우면 성형구에 따라 성형될 때 각층의 반발력이 크게 되어 구부리기 어렵게 되고, 양호한 부형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0.08㎜이상 0.6㎜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로 된 섬유로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등록상표『케플러』등) 등의 합성수지섬유, 탄화규소섬유등의 무기섬유, 티탄섬유, 붕소섬유, 스테인레스스틸섬유등의 금속섬유등을 들수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골재 섬유간에 함침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상표『ULTE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등을 들수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체의 부형공정전에 상술의 가열공정을 설치하나, 이것은 프리플레그간에 공기를 빼내어 제거함과 동시에 다음 공정에서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열을 충분히 적층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얻으려고 폐단면(閉斷面)형상의 섬유보강열가소성수지 적층체의 성형 방법은, 열가소성수지가 가열용융상태에 있고, 적층체가 스스로 보유하는 열을 가지고 다른 적층체와 용착일체화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강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수지판은 가열용융상태에서는 그 평판성을 유지할수 없으며, 더구나 부형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닫혀진 금형내에서 부형하든가, 혹은 열가소성수지의 융점이상으로 연화한 상태에서 부형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섬유보강수지 적층체는 층상으로 적층된 프리플레그로 구성되는 섬유의 입체구조중에 수지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열가소성수지가 용융되어 수지 단독으로는 유동상태가 되어도 적층체의 형상이 보지되며 그 때문에 다음 공정의 부형 공정에서 적층체에 외부 힘을 가하여 부형을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열가소성수지가 부형후에도 그 용융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같은 상태의 적층체를 압착하면 접합면의 열가소성수지는 서로 용착하며 그 후 냉각고화하면 2개의 적층체의 접합면은 완전히 일체화되어 접합면이외의 적층체의 부분과 동질의 또한 고강도의 접합면을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플레그의 적층체에 있어서, 섬유의 용적함유율이 30%보다 적은 경우에는 수지의 유동이 현저하고 적절한 부형을 할수없게 되며, 또 섬유의 용적함유율이 85%를 넘으면 수지 함유량이 너무 적게되어 바람직한 성형품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섬유보강 열가소성수지판은 용적함유율로 30%이상 85%이하의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섬유의 용적함유율이 40-80%이상의 것이 적절한 성형가공성을 가지므로 이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체의 열가소성수지가 용융되고 있는 동안에 부형 및 접합을 행하므로, 이 수지에는 적절한 수지점도가 필요하나, 이 점도가 너무 낮으면 수지가 보강섬유 사이에서 유출된다든지, 그 섬유의 배열이 흐트러진다든지 하며, 또 너무 높으면 성형하기 어렵게 되므로 그 점도는 100포이즈 이상 3000포이즈 이하로 하는 것을 추천장려한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중, 도면 부호 1 및 2는 열가소성수지가 용융상태에 있는 윗쪽 적층체 및 밑쪽 적층체이고, 3은 양단면이 닫혀진 중공의 옆으로 놓인 4각 통상의 성형구, 4 및 4'는 성형구(3)의 양측면의 윗쪽에 설치하여, 그 양측면에 윗쪽적층체(1)의 양가장자리를 밀착시키도록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성형용의 갈퀴 모양의 판, 5는 밑쪽 적층체(2)의 성형용의 들어 올리는 판, 6은 공기층, 1'는 열가소성수지가 연화상태에 있는 윗쪽 적층체, 2'는 열가소성수지가 연화상태에 있는 밑쪽 적층체이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구(3)의 상면(3C)에 접하여 배치되는 윗쪽 적층체(1) 및 성형구(3)의 하면(3d)에 접하여 배치되는 밑쪽 적층체(2)는 상기와 같이 배치하기전 단계의 가열공정에서 미리 프리플레그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제거되며, 또 적층체(1) 및 (2)가 부형된 후에 용착을 가능하게하는 열량이 부여된다. 적층체는 열가소성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때 성형구(3)에 상부에 배치된 윗쪽 적층체(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근방은 밑쪽으로 구부러져 성형구(3)의 양측면(3a) 및 (3b)에 약간 접근한다. 다음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갈퀴모양의 판(4) 및 (4')를 하강시켜 윗쪽 적층체(1)를 성형구(3)에 따라 구부려, 그 양 가장자리를 성형구(3)의 양측면(3a) 및 (3b)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갈퀴모양의 판(4) 및 (4')을 상승시킨후, 들어올리는 판(5)을 회전시켜 밑쪽 적층체(2)의 양 가장자리를 윗쪽 적층체(1)의 양 가장자리에 따라 접이 겹치게 하고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윗쪽 적층체(1)와 밑쪽 적층체(2)의 겹친 부분을 압착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층체(1) 및 (2)의 가장자리를 서로 용착하여 중공통상체를 형성한후, 냉각고하시킴으로써 섬유보상 열가소성수지 적층체의 중공통상 성형품을 얻을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품을 대량생산하는 경우에는 성형구(3)를 반복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구(3)에서 성형품(3)을 용이하게 빼낼수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성형구(3)의 주변벽에 다수의 통기구멍(3e)을 설치하여 한쪽의 단면에 성형구(3)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3f)를 설치해두고, 성형구(3)의 주위에 설치한 중공통상의 성형품의 온도가 용융점이하 연화점이상까지 내려갔을 때 공기주입구(3f)에서 성형구(3)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그럴때는 압축공기가 성형구(3)의 통기구(3e)에서 빠져 성형구(3)의 외주면과 성형품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침입하여, 제 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공기층(6)을 형성하므로 성형구(3)에서 성형품을 간단히 이형시킬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대비하여 나타낸다.
[실시예1]
상기의 방법으로 아래의 제조 조건에 의거하여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열가소성수지................................................................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유리섬유
섬유함유율.....................................................................50%(용적 함유율)
프리플레그 두께...........................................................0.188㎜
프리플레그의 적층수...................................................16장
적층체의 두께................................................................3㎜
가열온도..........................................................................250˚C에서 5분간
가열온도에서의 수지점도...........................................1500포이즈
이 실시예에서의 양호한 폐단면 성형품을 얻었다.
[비교예1]
아래의 제조조건에 의거하여, 실시예1과 같이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열가소성수지..................................................................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유리섬유
섬유함유율......................................................................20%(용적함유율)
프리플레그 두께...........................................................0.25㎜
프리플레그 적층수.......................................................12장
적층체의 두께...............................................................3㎜
가열온도.........................................................................250°C에서 5분간
가열온도에서의 수지 점도.........................................1500포이즈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섬유함유율이 30%이하이였기 때문에 성형공정에 있어서 적층체가 일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으며 성형구의 외형에 대응하는 소기의 성형품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2]
아래의 제조 조건에 의거하여 실시예1과 같이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열가소성수지..................................................................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유리섬유
섬유함유율......................................................................50%(용적함유율)
프리플레그 두께............................................................1.5㎜
프리플레그 적층수........................................................2장
적층체의 두께.................................................................3㎜
가열온도...........................................................................250°C에서 5분간
가열온도에서의 수지 점도..........................................1500포이즈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프리플레그가 너무 두껍기 때문에, 잘 성형할 수가 없으며, 적층성형품의 표면이 凹凸로 되었다.
[비교예3]
아래의 제조 조건에 의거하여 실시예1과 같이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열가소성수지..................................................................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유리섬유
섬유함유율....................................................................50%(용적함유율)
프리플레그 두께..........................................................0.25㎜
프리플레그 적층수......................................................12장
적층체의 두께...............................................................3㎜
가열온도.........................................................................250°C에서 5분간
가열온도에서의 수지 점도.........................................650포이즈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수지점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는 보강섬유에서 흘러내려버려 성형구의 외형에 대응하는 적층성형품을 제조할수는 없었다.
[비교예4]
아래의 제조 조건에 의거하여 실시예1과 같이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열가소성수지..................................................................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유리섬유
섬유함유율......................................................................50%(용적함유율)
프리플레그 두께............................................................0.25㎜
프리플레그 적층수........................................................12장
적층체의 두께.................................................................3㎜
가열온도...........................................................................250°C에서 5분간
가열온도에서의 수지 점도..........................................5500포이즈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수지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수지가 용융된 적층체를 성형구에 추종(追從)시킬수가 없으며 성형구의 외형에 대응하는 절층성형품을 제조할 수는 없었다.
[실시예2]
얇은 철판(7a)제(製)의 중공 4각기둥을 철로 된 대각선형 지주(7b)로 보강하여 된 제 7도에 도시한 성형구를 사용하여 실시예1과 같은 조건에서 적층체를 성형하여 성형구를 빼지않고 그대로 냉각한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구조체는 적층성형품과 성형구가 조합된 것이기 때문에 이 방법에서는 전부를 철판으로 제조하는 것보다는 경량이고, 강성이 높은 구조체를 얻었다.
[실시예3]
이 실시예는 단면십(十)자형의 철판제인 대각선형 지주(8a)와 대각선형 지주(8a)의 어느 하나의 단면 3각형의 홈에 적당히 밀착하여 수납하며, 또 홈에 수납되었을 때 접하는 대각선형 지주(8a)의 가장자리의 어느 한쪽과의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단부(段部)를 가진 대략 3각기둥 모양의 임시로 고정하는 부재(8b)로 된 제8도에 도시한 성형구를 사용하는 것이며 예열된 실시예1과 같은 적층체(80)의 한 가장자리를 대각선형 지주(8a)의 한 가장자리에 걸어, 그 위에서 임시로 고정하는 부재(8b)를 그 적층체(80)의 한 가장자리가 임시로 고정되는 부재(8b)의 단부(段部)에 접하도록 끼워넣어 적층체(80)를 걸고 제9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층체(80)를 일정한 장력을 가하면서 대각선형 지주(8a) 주위에 그 자유단(自由端)이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중복될때까지 감아 그 중복부를 압착한후 냉각하고 임시로 고정되는 부재(8b)를 빼내어 대각선형 지주(8a)를 가진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구조체는 적층성형품과 단면십자(十)형의 대각선형 지주를 조합한 것이기 때문에 이 방법에서는 실시예2의 구조체보다 경량이고, 또한 그 구조체와 같은 강성을 가진 구조체를 얻었다.
[실시예4]
이 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성형구를 사용한다. 이 성형구는 대향하는 2장의 직사각형의 4모퉁이의 원형구멍(9a)이 설치되고 대향하는 1쌍의 변에 도려낸 부위(9b)가 설치된 지지틀(9)과 양단을 지지틀(9)의 4모퉁이의 원형구멍(9a)으로 탈착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스테인레스스틸제로된 4개의 지지환봉(90)과 지지틀(9)에 지지된 지지환봉(90)과 평행하게 또 지지틀(9)의 도려낸 부위(9b)에 삽입되는 이동환봉(91)으로 되어있다. 지지틀(9)에 지지된 4개의 지지환봉(90)에 예열된 실시예1과 같은 적층체(92)를 제1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가장자리 끼리가 중복될때까지 일정한 장력을 가하면서 감아 이동환봉(91)을 지지틀(9)의 도려낸 부위(9b)에 끼워넣은후, 냉각하여 지지환봉(90)을 빼냄과 동시에 이동환봉(91)을 후퇴시켜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형단면을 가진 적층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양호한 적층성형품을 얻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 관한 적층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할 때는 섬유보강 열가소성수지판으로 된 중공의 적층성형품을 볼트, 너트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합면의 강도를 손상하는 일 없이 또 간략화된 가공공정에 의해 제조할수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저압성형 가능한 용적함유율로 30%이상 85%의 이하의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두께 0.05㎜이상 1㎜이하인 섬유보상 열가소성수지판을 층상으로 적층하여 된 적어도 1장의 긴 적층체(1,2)의 긴쪽 방향의 가장자리를 서로 중첩되게 결합시킨 중공통상의 적층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섬유는 직포인 적층성형품.
  3. 제1항에 있어서, 보강섬유는 한방향으로 잡아 당겨 정열시킨 것인 적층성형품.
  4. 저압성형 가능한 용적함유율로 30%이상 85%의 이하의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열가소성 수지판을 층상으로 적층시킨 적어도 1장의 적층체(1,2)를 가열하고, 그 열가소성수지을 용융상태로 하여 층간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탈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열가소성수지가 용융상태에 있는 적층체(1,2)를 원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성형구(3)의 주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체(1,2)를 각 적층체의 가장자리 영역이 인접하는 다른 적층체의 가장자리 영역과 서로 겹치게 접합시켜 루프상으로 닫힌 상태에서 성형구(3)를 감싸는 것 같이 성형구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일체 이상의 적층체(1,2)를 서로 접합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체화된 적층체를 냉각하는 단계로 된 적층 성형품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부가하여 냉각후 성형구(3)를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성형구가 봉상체(棒狀體)인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성형구가 중공 통상체인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성형구(3)로서 주변 벽에 통기구멍(3e)을 가진 중공 통상체의 성형구를 사용하고 가열한 일체이상의 적층체(1,2)를 상기 성형구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단계의 완료후, 이것을 냉각하는 과정에 있어서 적층체의 온도가 그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하 연화점 이상에 있는 동안에 상기 성형구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통기구멍(3e)에서 압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성형구의 외주면과 적층체의 내주면사이에 공기층(6)을 형성시켜 일체화한 적층체를 상기 성형구외 외주면에서 이형시키고 나서 상기 성형구를 빼내는 단계를 실행하는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성형구가 중공통상적인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성형구가 봉상체인 적층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940700748A 1992-08-07 1993-08-06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3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78792 1992-08-07
JP92-211787 1992-08-07
PCT/JP1993/001108 WO1994003322A1 (en) 1992-08-07 1993-08-06 Molded lamin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259B1 true KR0132259B1 (ko) 1998-04-13

Family

ID=1661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748A KR0132259B1 (ko) 1992-08-07 1993-08-06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51619A (ko)
EP (1) EP0610518A4 (ko)
JP (1) JPH0699506A (ko)
KR (1) KR0132259B1 (ko)
WO (1) WO199400332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262A (ko) * 2016-04-29 2019-01-23 바스프 이스트 아시아 레지날 헤드쿼터스 엘티디. 차량 보강 부재의 형성 방법
US11400673B2 (en) 2015-11-11 2022-08-02 Nike, Inc. Articles of 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11590686B2 (en) 2018-04-25 2023-02-28 Nik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US11826945B2 (en) 2018-04-25 2023-11-28 Nik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727A (ja) * 1999-09-01 2001-03-21 Kao Corp 成形材料組成物
JP4576024B2 (ja) 2000-05-31 2010-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表皮一体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7153124B2 (en) * 2002-08-09 2006-12-26 The Boeing Company Preforming thermoplastic ducts
US8293051B2 (en) 2008-12-10 2012-10-23 The Boeing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laminates using a collapsible mandrel
US9296187B2 (en) 2008-12-10 2016-03-29 The Boeing Company Bagging process and mandrel for fabrication of elongated composite structure
DE102012202620B4 (de) * 2011-11-17 2015-02-26 Johnson Control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ukturbauteils,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38A (ja) * 1984-06-30 1986-01-23 Kubota Ltd 樹脂管成形時における脱芯方法
JPS6362713A (ja) * 1986-09-03 1988-03-19 Kouseinou Jushi Shinseizou Gijutsu Kenkyu Kumiai 繊維補強樹脂連続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4990207A (en) * 1987-04-02 1991-02-0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cess for prepar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ed articles
US5445701A (en) * 1987-05-08 1995-08-29 Research Association For New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Polymer Apparatus of manufacturing a sheet-prepreg reinforced with fibers
US5201979A (en) * 1987-05-08 1993-04-13 Research Association For New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Polymer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et-prepreg reinforced with fibers
DE3742852A1 (de) * 1987-12-17 1989-07-06 Basf Ag Verwendung flexibler halbzeuge aus faserverstaerkten kunststoffen zur herstellung von hohlkoerpern
JPH01289837A (ja) * 1988-05-17 1989-11-21 Mitsui Toatsu Chem Inc 切れ目を入れた連続繊維プリプレグを使用する繊維強化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製造法
EP0360430B1 (en) * 1988-09-20 1995-06-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olding material
JPH02188232A (ja) * 1989-01-17 1990-07-24 Ryobi Ltd 釣竿、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等の積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5294394A (en) * 1989-10-03 1994-03-1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cess for preparation of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ed articles including special reinforcement
JP2836213B2 (ja) * 1990-07-17 1998-12-14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の製法
US5514448A (en) * 1992-07-22 1996-05-07 Mitsui Toatsu Chemicals, Inc. Laminated mold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0673B2 (en) 2015-11-11 2022-08-02 Nike, Inc. Articles of 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12115747B2 (en) 2015-11-11 2024-10-15 Nike, Inc. Articles of 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KR20190008262A (ko) * 2016-04-29 2019-01-23 바스프 이스트 아시아 레지날 헤드쿼터스 엘티디. 차량 보강 부재의 형성 방법
US11590686B2 (en) 2018-04-25 2023-02-28 Nik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US11826945B2 (en) 2018-04-25 2023-11-28 Nik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US11890803B2 (en) 2018-04-25 2024-02-06 Nik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0518A4 (en) 1995-11-15
EP0610518A1 (en) 1994-08-17
JPH0699506A (ja) 1994-04-12
US5851619A (en) 1998-12-22
WO1994003322A1 (en)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67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welded honeycomb core
RU252423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KR0132259B1 (ko) 적층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6085798B2 (ja) 3次元形状成形用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111245B2 (ja) 繊維強化樹脂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コア
JP2021014125A (ja) 繊維強化樹脂構造物の製造方法、繊維強化樹脂構造物の製造システム及び繊維強化樹脂構造物
JP7151272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JP3289744B2 (ja) 積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165263B2 (ja) 積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671781B2 (ja) Frtp予備成形体の製造方法
JPH06190847A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H06198794A (ja) 複合構造体
JPH11192991A (ja) 自転車用frp製モノコックフレ−ム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9833A (ja) 熱可塑性樹脂系複合材料の成形方法
JP7606714B1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7176050A (ja) 発泡体コアを有するfrp製成形品の成形法
CN214056756U (zh) 电磁轨道用环氧玻璃布层压板
JPH07112501A (ja) 複合積層構造体
US10800070B2 (en) Mould tools
JPH0788988A (ja) 積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38508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4139872A (ja) 複合物品の製造方法。
US20030051434A1 (en)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JP2005297452A (ja) 片持ち梁の製造方法
JPH09314713A (ja) 複合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3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