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0840B1 -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40B1
KR0130840B1 KR1019950022727A KR19950022727A KR0130840B1 KR 0130840 B1 KR0130840 B1 KR 0130840B1 KR 1019950022727 A KR1019950022727 A KR 1019950022727A KR 19950022727 A KR19950022727 A KR 19950022727A KR 0130840 B1 KR0130840 B1 KR 013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escalation
push operation
hole
car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944A (ko
Inventor
허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40B1/ko
Publication of KR97000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n-siz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제버튼을 눌렀을 때 프론트 패널을 전방으로 밀어주면서도 스냅결합력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한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푸시작동구의 작용을 하면서도 프론트 패널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함으로써, 낙하로 인한 프론트 패널의 파손 및 유효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에스커션의 일측 소정위치에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공의 후방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에스커션에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직경을 갖는 작동공을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에스커션의 작동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프론트 패널에 공간의 입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걸림턱부에 탄지되는 구형의 전단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에 체결되는 걸림부가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사이에 후방을 향해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지지봉을 일체로 갖는 푸시작동부재와; 상기 푸시작동부재의 지지봉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푸시작동부재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제1도 (a) 및 (b)는 프론트 패널이 에스커션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푸시작동부재 21 : 스프링부재
22 : 작동공 23 : 걸림턱부
24 : 작동부
본 발명은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제버튼을 눌렀을 때 프론트 패널을 전방으로 밀어주면서도 스냅결합력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에스커션의 전면부로부터 프론트 패널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형 카오디오는 프론트 패널(11)을 착탈하능하게 로킹하는 로킹부재(12)에 의해서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 장착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리형 카오디오는 프론트 패널(11)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프론트 패널(11)의 일측 소정위치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해제버튼(13)을 누르면, 상기 로킹부재(12)는 해제되지만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장착된 위치상에 그대로 배치되어 있어 해제버튼(13)으로 놓았을 때 다시 로킹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서 제거하기가 불편하였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에스커션(10)의 일측 소정위치에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푸시작동구(14)를 전후 탄성지지되게 설치시켜 프론트 패널(11)의 분리시 해제버튼(13)을 누르게 되면, 상기 로킹부재(12)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푸시작동구(14)가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후면부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로킹해제와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해제버튼(13)을 놓았을 때 다시 로킹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종래의 분리형 카오디오는 해제버튼(13)을 눌렀을때 즉시 로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제거하기 편리하기는 하지만, 상기 푸시작동구(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11)이 사용자가 제거하기 전에 하방으로 떨어져 버리기 때문에 프론트 패널(11)이 파손되거나 유효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상기 푸시작동구의 작용을 하면서도 프론트 패널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함으로써, 낙하로 인한 프론트 패널의 파손 및 유효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에스커션에 프론트 패널이 착탈되는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에스커션의 일측 소정위치에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공의 후방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에스커션에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직경을 갖는 작동공을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에스커션의 작동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프론트 패널에 공간의 입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걸림턱부에 탄지되는 구형의 전단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에 체결되는 걸림부가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사이에 후방을 향해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지지봉을 일체로 갖는 푸시작동부재와; 상기 푸시작동부재의 지지봉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푸시작동부재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0 은 카오디오의 에스커션을 나타낸다.
상기 에스커션(10)은 카오디오의 본체(도시되지 않음)의 전면부에 고정설치되며, 작동공(22)과 작동부(24)를 일체로 갖고 로킹부재(12)가 로킹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재(12)는 상기 에스커션(10)의 후면부 일측에 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에스커션(10)에 소정 크기로 관통형성된 작동공(10-1)을 통하여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패널(11)의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에 일단부가 걸림작동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로킹한다.
상기 작동공(22)은 상기 에스커션(10)의 타측 소정위치에 소정크기를 갖고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22)이 형성되어 있는 에스커션(10)의 후면부에는 소정 폭을 갖고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벽부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 형성되는 작동공(24-1; 제4도참조)을 갖는 작동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에스커션(10)의 작동공(22)에는 푸시작동부재(20)가 전후작동가능하게 끼움 조립되어 있다.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써 평면이 H 자 형상을 갖고 양측 전단부(20-1, 20-2)는 구형을 갖고 양측 후단부(20-3, 20-4)의 외측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형상을 갖고, 상기 후단부(20-3, 20-4) 사이에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고 후방으로 신장되는 지지봉(20-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20-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부재(21)가 끼움 조립되어 있어 상기 작동부(24)의 작동공(24-1)에 작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후단부(20-3, 20-4)는 상기 에스커션(10)의 작동공(22)에 끼움 조립되어 전후 소정거리 작동가능하게 스냅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20-5)에 끼움 조립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21)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 11 은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을 나타낸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후면부 일측 소정 위치에는 소정 크기와 깊이로 요부지고 입구쪽 양측단부가 소정 폭을 갖고 대향되게 내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부(23)를 일체로 갖는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다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지지봉(20-5)에 상기 스프링 부재(21)를 끼움 조립된 후 상기 푸시작동부재(20)를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작동공(22)에 끼움 조립하면, 상기 지지봉(20-5)의 후단부는 상기 작동부(24)의 작동공(24-1)에 전후 작동가능하게 끼움 조립되고,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양측 후단부(20-3, 20-4)는 상기 작동공(22)의 후단부에 스냅 결합됨으로써,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작동공(22)에 상기 스프링 부재(21)에 의해서 전후 작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 장착하면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양측 전단부(20-1, 20-2)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내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부(23)에 걸려지면서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상기 스프링부재(21)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로킹부재(12)에 의해 로킹됨으로써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에 장착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전면부에 누름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해제버튼(13)을 누른다면, 상기 해제버튼(13)의 작동력에 의해 상기 로킹부재(12)는 해제상태로 작동되면서 동시에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상기 스프링 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전방으로 밀게되므로,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되지만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양측 전단부(20-1, 20-2)가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부(23)에 스냅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11)을 잡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푸시작동부재(20)의 전단부(20-1, 20-2)에 의해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부터 일측이 돌출된 상태에서 떨어지지 않고 있는 프론트 패널(11)의 돌출되어 있는 일측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전단부(20-1, 20-2)가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상기 걸림턱부(23)와의 스냅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부터 떨림이 없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명료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11)의 후면부에 걸림턱부(23)를 형성시키고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전단부(20-1, 20-2)를 스냅결합 및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장착시 원활하게 스냅 결합되고, 프론트 패널(11)의 분리시 스냅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하여 프론트 패널(11)의 분리시 푸시작동부재(20)의 전방돌출력에 의해서 에스커션(10)의 전면부로서 상기 프론트 패널(11)이 떨림이 없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시작동부재(20)의 형상 및 프론트 패널(11)의 걸림턱부(23)는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단가의 상승이 없으면서도 프론트 패널(11)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시킴으로서, 낙하충격에 의한 프론트 패널(11)의 파손 및 유효수명의 단축을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본체의 에스커션(10)에 프론트 패널(11)이 착탈되는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에스커션(10)의 일측 소정위치에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공(22)과; 상기 작동공(22)의 후방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에스커션(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직경을 갖는 작동공(24-1)을 형성한 작동부(24)와; 상기 에스커션(10)의 작동공(22)과 대응되는 위치의 프론트 패널(11)에 공간의 입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23)와; 상기 걸림턱부(23)에 탄지되는 구형의 전단부(20-1,20-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22)에 체결되는 걸림부(20-3,20-4)가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0-3,20-4)의 사이에 후방을 향해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지지봉(20-5)을 일체로 갖는 푸시작동부재(20)와; 상기 푸시작동부재(20)의 지지봉(20-5)에 끼움 조립되어 상기 푸시작동부재(20)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자체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작동부재(20)는 평면이 H 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KR1019950022727A 1995-07-28 1995-07-28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KR013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27A KR0130840B1 (ko) 1995-07-28 1995-07-28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27A KR0130840B1 (ko) 1995-07-28 1995-07-28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44A KR970005944A (ko) 1997-02-19
KR0130840B1 true KR0130840B1 (ko) 1999-05-01

Family

ID=1942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727A KR0130840B1 (ko) 1995-07-28 1995-07-28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089B1 (ko) * 2005-08-19 200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장치
KR101043796B1 (ko) * 2008-12-26 2011-06-22 주식회사 포틱스 솔라 셀 웨이퍼 낱장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44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6167Y2 (ja) バックル
JP3240559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SK287062B6 (sk) Holiaci strojček zahŕňajúci rukoväť a výmennú hlavicu
US4837929A (en) Dry shaver with a readily replaceable outer shearing foil
KR0130840B1 (ko)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JP2856692B2 (ja) 電子機器のロック構造
JPH01232624A (ja) プッシュボタンスイッチ
JPH0747096Y2 (ja) 刃 物
KR200145145Y1 (ko) 캠코더의 배터리 팩 착탈장치
JPS5852980Y2 (ja) 押釦装置
JPH0541467Y2 (ko)
KR970000349Y1 (ko) 핸드폰 거치대
KR0129397Y1 (ko) 로드고정 클립구조
KR0139394Y1 (ko) 푸시버튼조립체의 스프링 장착구조
JPH07204363A (ja) カッターナイフ
KR200298379Y1 (ko)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KR0184171B1 (ko) 차량용 재털이의 재털이홀더 구조
JPS6026418Y2 (ja) 押釦装置
KR0139706Y1 (ko) 버튼
JPS6242558Y2 (ko)
KR0133182Y1 (ko) 원터치방식에 의한 전원공급 및 이젝트버튼 장치
JP2514850Y2 (ja) 消しゴムホルダー
KR910006138Y1 (ko) 포터블 VTR의 핸들 로크 (Lock)장치
JPH071095Y2 (ja) 外刃ケースが脱着できる電気カミソリ
KR200327772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