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0515B1 -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15B1
KR0130515B1 KR1019950007721A KR19950007721A KR0130515B1 KR 0130515 B1 KR0130515 B1 KR 0130515B1 KR 1019950007721 A KR1019950007721 A KR 1019950007721A KR 19950007721 A KR19950007721 A KR 19950007721A KR 0130515 B1 KR0130515 B1 KR 013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atalyst
hydrogen
oxygen
producing hydroge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001A (ko
Inventor
박대철
정경환
Original Assignee
강박광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박광,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강박광
Publication of KR96000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065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from a hyd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07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반응에 의하여 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신규한 광촉매 및 그 광촉매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 광촉매와 촉진제를 사용하여 수소의 생성을 증진시키는 신규한 수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촉매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Cs(a)/K4Nb6O17………………………………………………일반식 I
(위 일반식 I에서 a는 K4Nb6O17담체에 대한 Cs의 담지량을 나타내는 중량백분율로서 0.05 내지 5.0의 값을 가진다)
광촉매의 제조방법은 K2CO3와 Nb2O5를 혼합한 다음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합성한 K4Nb6O17담체에 무기체 활성성분으로 Cs를 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소제조방법은 상기 광촉매의 존재하에 15 내지 80℃의 온도,0.1 내지 3기압의 압력 조건에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를 첨가한 후 자외광을 조사하여 물의 광분해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반응에 의하여 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신규한 광촉매 및 그 광촉매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 광촉매와 촉진제를 사용하여 산소의 생성을 조절하면서 수소의 생성을 증진시키는 신규한 수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소는 암모니아의 합성, 염화수소의 제조 등에서 원료로 사용되며 불포화화합물로부터 포화화합물을 생성시키는 수소화반응의 필수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석유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소첨가 탈황, 탈질소, 탈금속 등의 수소처리공정(hydrotreating process)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구 온실화를 초래하는 이산화탄소를 회수, 고정화하여 재이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접촉수소화반응에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수소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미래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수소를 얻기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화석연료로부터 수소를 얻는 방법과 천연가스의 변성, 찰과 수증기의 반응, 물과 금속의 반응, 전기분해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막대한 열 또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다량의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부생하므로 폭발위험성이 클 뿐만 아니라 환경을 파괴시키며, 수율과 순도가 낮고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소의 제조는 비교적 고온에서 행하여지므로 이에 따른 가스로 및 정제 설비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고액의 설비비가 소요되어, 산업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소는 대부분 물과 무기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수소기체는 낮은 밀도를 갖기 때문에 지구의 중력으로부터 쉽게 벗어나므로 대기중에 존재하는 양은 매우 적다. 따라서 물로부터 효율적인 방법으로 고순도의 수소를 제조하는 기술의 개발은 당면한 대체 에너지원의 해결과 화학공업의 원료확보라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물로부터 효과적으로 수소를 제조하는 기술로는 최근에 개발이 시작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물로부터 수소를 분해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수소제조용 광촉매에 관한 선행기술은 그 수가 매우 적은 편으로, 일본 공개특허 소 62-191045, 소 63-107815, 평 1-208301 등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소 62-191045호는 희토류 원소 화합물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Na2S 수용액의 광분해 반응으로부터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가시광선에서 광촉매 활성을 보이는 장점이 있다. 소 63-107815호는 니오비움과 알칼리토류 금속의 복합산화물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의 광분해 반응으로부터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 역시 가시광선에서 광촉매 활성을 보이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수소발생량이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평 1-208301호는 물과 알루미늄을 열반응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수소의 발생효율이 높은 장점은 있으나 600℃ 이상의 고온에서만 반응이 일어나므로 막대한 열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에 무해하며 다량의 수소를 저온에서 발생시키는 수소제조용 광촉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광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K4Nb6O17를 담체로 사용하고 여기에 무기체 활성성분으로 Cs를 담지시키게 되면 목적하는 광촉매가 얻어지며, 이 광촉매의 존재하에 15 내지 80℃의 온도, 0.1 내지 3기압의 조건에서 함산소 유기를 촉진제를 첨가하게 되면 물로부터 수소가 높은 효율로 얻어짐을 밝혀 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광촉매는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Cs(a)/K4Nb6O17……………………………………………………일반식 I
(위 일반식 I에서 a는 K4Nb6O17담체에 대한 Cs의 담지량을 나타내는 중량백분율로서 0.05 내지 5.0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광촉매의 제조방법은 K2CO3와 Nb2O5를 혼합한 다음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합성한 K4Nb6O17담체에 무기체 활성성분으로 Cs를 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수소제조방법은 상기 광촉매의 존재하에 15 내지 80℃의 온도, 0.1 내지 3기압의 압력 조건에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를 첨가한 후 자외광을 조사하여 물의 광분해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촉매의 담체(K4Nb6O17)는 알칼리 금속화합물인 탄산칼륨(K2CO3)와 금속산화물인 산화니오브(Nb2O5)를 2 : 3mol 비로 혼합한 다음 분쇄 및 펠릿화하여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약 20분간 소성하게 되면 얻어진다.
얻어진 담체에 무기체 활성성분 Cs를 담지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촉매(Cs/K4Nb6O17)가 얻어진다. Cs를 담체에 담지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Cs를 탄산세슘(Cs2CO3) 수용액 상태로 만들고, 함침법에 의하여 담체에 담지시킨 후, 이 혼합액을 25℃에서 하루동안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고 건조된 시료는 다시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든 후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소성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Cs의 담지량은 0.05 내지 5.0중량%, 더욱 좋게로는 0.1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얻어진 광촉매를 알데히드기 또는 알코올기를 함유한 함산소 유기물 촉진제가 혼합된 수용액과 현탁시켜 폐쇄기체순환계 등과 같은 광반응장치에 넣고 반응현탁액을 교반시키면서 자외광(UV광)을 조사시키게 되면 수소가 생성된다. 위의 수소생성반응에서 반응조건은 온도 1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15 내지 20℃의 범위이며, 압력은 0.1 내지 3기압,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대기압이다.
사용되는 함산소 유기물촉진제는 예를들면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이 알데히드기가 함유된 물질이거나 예를들면 메탄올과 같이 알콜기가 함유된 물질이다. 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수소의 생성량은 증가하며 수용액 중의 촉진제의 부피비가 5% 부터 수소의 생성량은 급격히 증가한다. 바람직한 촉진제의 사용량은 5-30부피%이다.
촉진제로 알데히드류를 사용하게 되면 알데히드기는 광반응에 의해 산소와 반응하여 산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반응 중에 부생하는 산소를 소모하므로 산소가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코올기가 부생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알데히드, 저급알코올 등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산소가 생성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의 수소생성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소생성율=생성된 수소의 몰수/반응시간
제조실시예 1
* 담체의 제조
탄산칼륨 0.06mol(8.30g)과 산화니오브 0.09mol(23.92g)을 2 : 3mol 비로 각각 정량적으로 혼합한 후 Agate Mortar에서 분쇄하여 백금도가니에 넣고 전기로에서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20분간 소성하여 층상구조의 K4Nb6O17담체를 얻었다.
제조실시예 2-4
* 광촉매의 제조
세슘의 담지량이 각각 0.1 0.3, 1.0중량%가 되도록 탄산세슘의 양을 조절하여 2차 증류수 10ml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제조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담체 5.0g과 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25℃에서 하루동안 교반시킨 후 수분을 감압증류하여 진공건조시키고 200℃에서 3시간동안 소성하여 Cs(a)/K4Nb6O17광촉매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a는 담지된 Cs의 중량백분율을 나타내며 각각 0.1, 0.3, 10의 값을 가진다.
실시예 1-3
촉진제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각각 5부피%, 10부피%, 20부피%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한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켜 폐쇄기체 순환계 광반응장치에 넣은 후 400rpm으로 교반시킨 다음, 고압 수은램프로 자외광(UV쾅)을 조사하여 발생되는 수소와 산소의 양을 가스크로마트그래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과 같다.
이때 광반응을 시작하기 전에 폐쇄순환계 광반응시스템 내에 잔류하는 공기는 진공시스템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순환기체로 질소가스를 0.2atm 충진시켰다. 자외광에 의하어 빈응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기 주변을 냉각수로 순환시켜 온도가 15-20℃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표 1] 광촉매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 활성
실시예 4
촉진제인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를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10부피%의 아세트알데히드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한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광촉매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실시예 5
촉진제인 메탄올(methanol)을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10부피% 메탄올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얻어진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광촉매에 의한 메탄올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실시예 6
촉진제인 메탄올(ethanol)을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10부피%의 메탄올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얻어진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광촉매에 의한 메탄올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실시예 7
촉진제인 프로판올(propano1)을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10부피%의 프로판올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얻어진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표 5] 광촉매에 의한 프로판올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비교예 1-3
제조실시예 2-4에서 제조한 광촉매(금속담지량 0.1,0.3,10중량%)를 각각 1g씩 2차증류수에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광촉매에 의한 물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비교예 4
촉신제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2차증류수에 혼합한 10부피%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500ml를 반응물로 사용하되, 광촉매를 넣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7가 같다.
[표 7] 광촉매가 없는 조건에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비교예 5
촉진제인 포름산(formic acid)을 2차증류수에 혼합시킨 10부피% 포름산 수용액 500ml에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한 광촉매(금속담지량 0.1중량%) 1g을 현탁시킨 반응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표 8] 광촉매에 의한 포름산 수용액의 광분해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발생활성
실시예 5

Claims (9)

  1.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광촉매
    Cs(a)/K4Nb6O17……………………………………………………일반식 I
    (위 일반식 I에서 a는 K4Nb6O17담체에 대한 Cs의 담지량을 나타내는 중량백분율로서 0.05 내지 5.0의 값을 가진다)
  2. 제1항에 있어서, a가 0.1 내지 3.0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광촉매.
  3. K2CO3와 Nb2O5를 2 : 3의 mol비로 혼합한 다음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합성한 K4Nb6O17담체에 무기체 활성성분으로 Cs를 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광촉매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Cs를 담체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담체를 Cs2CO3수용액에 혼합시켜 25℃에서 약 하루동안 교반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진공건조시키고 100 내지 3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광촉매의 제조방법.
  5. 제1항 기재의 광촉매의 존재하에 15 내지 80℃의 반응온도, 0.1 내지 3기압의 반응압력에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첨가한 후 자외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반응압력이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는 알데히드기를 포함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에 의한 수소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는 알코올기를 포함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에 의한 수소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이서, 함산소유기물 촉진제의 첨가량은 5∼30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에 의한 수소의 제조방법.
KR1019950007721A 1994-08-30 1995-04-03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KR0130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21541 1994-08-30
KR19940021541 199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01A KR960007001A (ko) 1996-03-22
KR0130515B1 true KR0130515B1 (ko) 1998-04-03

Family

ID=1939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721A KR0130515B1 (ko) 1994-08-30 1995-04-03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65960A (ko)
EP (1) EP0778793B1 (ko)
JP (1) JP3005647B2 (ko)
KR (1) KR0130515B1 (ko)
CN (1) CN1080585C (ko)
AU (1) AU679868B2 (ko)
CA (1) CA2198777C (ko)
DE (1) DE69513186T2 (ko)
ES (1) ES2141376T3 (ko)
WO (1) WO19960066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42B1 (ko) * 2000-04-03 2003-05-22 (주)아이블포토닉스 신규의 복합 금속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6755B2 (en) * 2001-08-01 2005-03-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hotolytic artificial lung
KR0180606B1 (ko) * 1995-09-18 1999-03-20 강박광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DE10000716A1 (de) * 2000-01-11 2001-07-12 Stefan Haegel System zur photolytischen Wasserspaltung
KR100352662B1 (ko) * 2000-08-12 2002-09-12 송삼원 난연, 방염성을 구비한 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
US7399717B2 (en) 2004-05-14 2008-07-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Oxygen generation in whole blood by photolytic activation
US7909788B2 (en) * 2001-08-01 2011-03-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arbon dioxide removal from whole blood by photolytic activation
US20040210289A1 (en) * 2002-03-04 2004-10-21 Xingwu Wang Novel nanomagnetic particles
US20050226808A1 (en) * 2004-04-12 2005-10-13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Laser photo-catalyt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CN1307416C (zh) * 2004-05-10 2007-03-28 西安交通大学 多通道光解制氢催化剂性能快速评测装置
CN100358626C (zh) * 2004-08-30 2008-01-02 南京大学 高比表面的钽酸盐或铌酸盐光催化剂的制备方法
US9593053B1 (en) 2011-11-14 2017-03-14 Hypersolar, Inc. Photoelectrosynthetically active heterostructures
CN103752312B (zh) * 2013-12-26 2016-01-20 深圳大学 一种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
US10100415B2 (en) 2014-03-21 2018-10-16 Hypersolar, Inc. Multi-junction artificial photosynthetic cell with enhanced photovoltages
US9902614B2 (en) * 2015-05-21 2018-02-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ight-switchable catalyst for the hydrogen production from para-formaldehyde
JP7355720B2 (ja) 2020-10-11 2023-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光触媒を用いた水素ガス製造装置
JP7643997B2 (ja) 2021-12-23 2025-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光触媒を用いた水素ガス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5216A (en) * 1968-03-26 1971-10-2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Water gas shift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a cesium compound catalyst
JPS61197033A (ja) * 1985-02-28 1986-09-01 Nippon Kogaku Kk <Nikon> 水の光分解用触媒
JPS6274452A (ja) * 1985-09-27 1987-04-06 Nippon Kogaku Kk <Nikon> 水の光分解触媒
JPS62191045A (ja) * 1986-02-17 1987-08-2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光触媒活性を有する稀土類元素化合物
JPS63107815A (ja) * 1986-10-25 1988-05-12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光触媒活性を有するニオビウム化合物
JPH01208301A (ja) * 1988-02-15 1989-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水素発生方法
JPH075281B2 (ja) * 1991-08-20 1995-01-25 工業技術院長 高濃度炭酸塩水溶液を用いた金属担持半導体光触媒による水からの水素及び酸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42B1 (ko) * 2000-04-03 2003-05-22 (주)아이블포토닉스 신규의 복합 금속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98777C (en) 2000-01-18
CA2198777A1 (en) 1996-03-07
AU3355595A (en) 1996-03-22
US5865960A (en) 1999-02-02
ES2141376T3 (es) 2000-03-16
DE69513186D1 (de) 1999-12-09
JPH09510657A (ja) 1997-10-28
CN1080585C (zh) 2002-03-13
WO1996006675A1 (en) 1996-03-07
AU679868B2 (en) 1997-07-10
JP3005647B2 (ja) 2000-01-31
DE69513186T2 (de) 2000-02-24
CN1156416A (zh) 1997-08-06
KR960007001A (ko) 1996-03-22
EP0778793A1 (en) 1997-06-18
EP0778793B1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515B1 (ko)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Barrows et al. Structure of a heteropoly blue. The four-electron reduced. beta.-12-molybdophosphate anion
RU25183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тиленгликоля из полиоксисоединений
US5262023A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and oxygen from water
US6077497A (en) ZnS photocatalyst, preparation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by use of the same
CN112209815B (zh) 一种以甲酸为主的液态含氧化合物的制备方法
KR0180606B1 (ko) 신규한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US4113590A (en) Photoreduction of nitrogen
CA2298907C (en) Zns photocatalyst for hydrogen production, preparation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by use of the same
JP4604476B2 (ja) 水素の貯蔵、輸送方法
EP0133778B1 (en) Methanol conversion process
Yang et al. The product-controllable aerobic oxidative cleavage of vicinal diols using vanadium-based photocatalysts
JP2764114B2 (ja) メタノールの製造方法
KR100327793B1 (ko)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US4938855A (en) Photopromoted catalytic method for making ammonia from molecular nitrogen using molecular hydrogen as a reducing agent
GB210840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version of solar energy into chemical energy
US4869795A (en) Method for gasification of aqueous acetone solution
KR20240118689A (ko) 암모니아 산화적 분해용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D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C12A7-O Catalyst and Mechanism of Phenol Formation by Hydroxylation of Benzene
JPS62114651A (ja) 希土類元素−コバルト合金脱水素触媒の活性化法
JP2002114508A (ja) 一酸化炭素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