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5277B1 - 필터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 Google Patents

필터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277B1
KR0125277B1 KR1019880008782A KR880008782A KR0125277B1 KR 0125277 B1 KR0125277 B1 KR 0125277B1 KR 1019880008782 A KR1019880008782 A KR 1019880008782A KR 880008782 A KR880008782 A KR 880008782A KR 0125277 B1 KR0125277 B1 KR 012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filter unit
passag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060A (ko
Inventor
무이시 밥
Original Assignee
제임즈 제이 플린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즈 제이 플린,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제임즈 제이 플린
Publication of KR89000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filters integral with or fitted onto contacts, e.g. tubula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planar filters with openings for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필터 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제1도는 종래 필터 유니트의 전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커넥터에 접속된 필터 유니트의 하나의 전극 배선의 확대 단면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4열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 유니트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및 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b도는 3열 커넥터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본 발명의 필터 유니트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및 단면도.
제5도는 호울더에 의해 표준형 커넥터에 본 발명의 필터 유니트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6a도 내지 제6b도는 호울더와 필터 유니트가 제5도처럼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의 2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유니트를 구비한 커넥터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필터 유니트를 구비한 어댑터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
제8b도는 제8a도에 따라 조립된 어댑터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6 : 필터 유니트 2 : 기판
5 : 제1전극 7 : 유전질층
9 : 전극배선 13 : 코팅층
15 : 커넥팅 핀 22 : 금속 피복
23 : 커넥터 24 : 호울더
25 : 하우징 31 : 정지요소
33, 34 : 체결 립(lip) 36 : 돌출부
43, 58 : 접촉소자 46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커넥터의 접촉 요소를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과, 하나 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에 배치되고,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 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커넥터의 접촉소자에 연결되는 도전성의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필터 유니트는 유럽 특허출원 EP A 제123457호에 공지되어 있다.
전송 기술에 있어서 테이퍼의 송신에 펄스형 신호의 이용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전기 공학에 공지된 바와 같이, 펄스형 신호들은 주파수가 증가하는 일련의 사인파 신호, 소위 고조파로 강하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일반적인, 펄스 주파수가 높은 신호에서는 메가헤르즈나 심지어는 기가헤르즈급의 고조파가 발생될 수 있다.
상승시간(rise time)이라 불리우는 펄스 가장자리의 경사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나노초의 일반적인 상승시간은 이미 펄스 주파수 자체에 상관없이 약 350㎒의 고조파 주파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고조파들은 간섭을 크게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펄스형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호접속 전자식 프로세스 유니트가 여러개 있는 공간에서는 고조파로 인하여 데이터 처리 간섭현상이 쉽게 발생된다. 이런 간섭 현상은 예컨대 컴퓨터 등이 더 이상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질 수 있다.
전체 간섭 수준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데이터 신호를 너무 많이 파손시키지 않고 불필요한 고조파 주파수를 감쇠할 수 있게 하는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목적으로는 커패시터가 적당한 소자인데, 그 이유는 그 리액턴스가 주파수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높은 주파수에서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리액턴스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래의 필터 유니트에서는 커넥터의 각각의 접촉소자가 커패시터에 의해 접지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유니트는 소위 후막(厚膜) 실크스크린 인쇄 기술에 의해 평평한 기판위에 제조되기 때문에, 고주파에서 신호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해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커패시턴스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평탄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은 마주보고 있는 전극의 표면적과 그들 사이의 유전체의 상대적 유전율에는 비례하지만 그 전극들 사이의 거리에는 반비례한다.
종래 필터 유니트의 단점은 필터 유니트와 함께 형성된 필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이 통로를 둘러싸는 전극 배선에 대한 기판의 한쪽 측면상의 가용공간에 의해 제한된다는데 있다. 전극 배선에 대한 가용 표면적은 기본적으로 통로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물론 이러한 거리는 커넥터의 접속 소자의 피치에 해당한다. 종래 필터 유니트의 화살형 전극 배선에서, 그 한쪽 첨단부는 통로를 둘러싸는 반면에, 다른쪽의 넓은 단부는 기판의 가장자리쪽으로 연장되며, 특히 당기술에서 요구되는 2㎜정도의 작은 피치와 2열 이상의 커넥터라면 양호한 필터링에 필요한 커패시턴스 값을 얻는데 대단히 작은 표면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필터 커패시터가 피치가 작으면서도 다열의 커넥터를 위해 제공될 수 있도록 종래의 필터 유니트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유사하게 구성된 커패시터가 하나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나머지 반대쪽 평탄 측면상에 설치되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 유니트의 기판의 양쪽에 위치되고 제1전극과 함께 필터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전극 배선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의 양쪽에 위치된 전극 배선은 커넥터의 한쪽 접촉소자 및 동일한 접촉소자에 접속될 수 있는 전극 배선에 의해 기판의 각 측면에 위치된 통로가 둘러싸이는 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 필터 유니트가 커넥터의 접촉소자에 접속되면, 각각의 접속 소자가 2개의 병렬 커패시터들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총 분리 커패시턴스 값은 기판의 양쪽에 있는 각각의 필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합계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피치가 작은 커넥터인 경우, 종래 필터 유니트의 전극 배선의 표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표면적을 갖는 전극 배선으로 동일한 분리 커패시턴스 값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종래 필터 유니트의 표면적과 동일한 표면적을 갖는 전극 배선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에 의해 2배의 분리 커패시턴스 값을 얻을 수 있다.
전극 배선을 기판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분산시키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의 양쪽에 위치한 전극 배선은 통로가 기판의 한쪽에만 있는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의 양쪽에 전극 배선을 교대로 배열하는 것은, 기판의 양쪽에 적당한 크기의 필터 커패시터에 의해 예컨대 3열이나 4열 커넥터의 접촉소자를 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필터 유니트는 접지 전극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극과 각각의 전극 배선이 납땜에 의해 적당한 커넥터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사실상, 이것은 상기 유럽 특허출원 EP A 123457에 서술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니트와 커넥터가 일체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가격면에 있어서, 필터 유니트가 있는 커넥터나 필터 유니트가 없는 커넥터 모두 생산 및 적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해결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울더에 의해 표준형 커넥터 위에 간단히 장착되고, 상기 호울더를 거쳐 필터 유니트의 접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독립 필터 유니트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의 양쪽에 위치한 제1전극이 그 기판의 적어도 한쪽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기판의 적어도 한쪽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이 코팅되지 않는 방식으로, 기판의 한쪽과 다른쪽의 커패시터를 코팅함으로써 각종 전극 배선들의 불필요한 전기접촉을 방지한다.
호울더가 4변으로 한정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이고 필터 유니트가 안착될 수 있는 정지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필터 유니트를 호울더에 붙잡아 두는 잠금 요소들과 호울더를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는 체결 수단들로, 표준형 커넥터에 별도의 유니트로서 장착될 수 있는 필터 유니트를 생산하기 때문에, 기존의 각각의 다열 커넥터를 필터 유니트로써 신속하고 저렴하게 간단한 방법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간섭 작용의 고조파 주파수를 억제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집적 필터 유니트를 구비한 커넥터와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필터 유니트(1)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평탄한 기판(2)은 필터 유니트가 2열 커넥터에 장착되기에 적당하도록 서로 이격된 통로(3)를 갖는다.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제1전극(5)은 기판 측면(4) 위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5)에는 기판(2)의 통로(3)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통로(6)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6)의 직경은 기판(2) 통로(3)의 직경보다 더 크다.
대응하여 위치된 통로(8)를 갖는 유전물질층(7)은 제1전극(5) 위에 배치된다. 상기 통로(8)의 직경은 기판(2)의 통로(3)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통로(10)를 갖는 도전성 전극 배선(9)은 유전물질층(7) 위에 배치되며, 제1전극(5) 및 유전체층(7)과 함께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상기 전극 배선(9)은 화살형이고, 그 첨단부(11)는 통로(10)를 둘러싸며, 넓은 단부(12)는 기판(2)의 가장자리쪽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전극 배선(9)의 위치라면, 2㎜정도 크기의 비교적 작은 피치의 2열 커넥터를 생산할 수 있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전극 배선(9)은 기판(2)의 통로(3)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극 배선(9) 위에 전기 전도재 코팅(13)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코팅의 구성(14)의 크기는 필터 유니트가 커넥터의 접촉소자 위로 배치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전극 배선(9)은 납땜에 의해 커넥터의 접촉소자 접속되며, 제1전극(5)은 커넥터 하우징에 신속하게 납땜된다.
제2도는 커넥터에 접속된 제1도의 필터 유니트(1)의 전극 배선(9)을 기판(32)의 세로변에서 투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전극 배선의 일부분(19)은 기판(2)의 통로(3)벽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에 접해 있는 통로(10)는 커넥터의 커넥팅 핀(15)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 핀(15)은 땜납(16)에 의해 전극 배선(9)에 연결된다. 제1전극(5)은 땜납(17)에 의해 커넥터의 하우징 벽(18)에 접속된다.
필터 유니트의 기판(2)은 산화 알루미늄(Al2O3)이고, 커패시터 전극들은 백금과 은의 합금이며, 유전체는 티탄산바리움(BaTiO3)이다. 물론, 하나의 유전체층(7) 대신에 여러개의 서로 다른 유전체 층이나 부분적인 층을 이용할 수도 있고, 여러개의 코팅층(13)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커패시터 전극(5, 9)의 위치는 제1도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서로에 대해 변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필터 구조에 기초하여, 제3도에는 4열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 일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커패시터는 필터 유니트의 기판의 양쪽 평탄 측면에 형성된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에 따른 종래의 필터 유니트에 대응하는 층과 소자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었다. 기판의 양쪽 평면에 위치한 대응의 층과 소자 역시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어 있지만 어포스트로피(apostrophe)가 첨부되어 있다. 제3b도는 제2도와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 중 한쪽 평면이 생략된 제3도의 나머지쪽 평면의 단면도이다.
기판(2)의 양쪽에 위치된 전극 배선(9, 9')은, 바깥쪽 2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9)이 기판의 한쪽 측면(4)에 배치되고 안쪽 2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9')이 다른쪽 측면(4')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2)의 각 통로는 전극 배선(9, 9')에 의해 기판의 한쪽에서만 둘러싸여 있다. 전극 배선(9, 9') 중 통로 벽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19, 19')의 길이는 기판의 양쪽에 위치한 커패시터의 전극과 전기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첫번째의 2개 전극(5, 5')은 부분적으로는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세로변(20, 21)을 따라 연장되며, 코팅층(13)으로 도포되지 않는다. 이것의 목적에 대해서는 하기에 제5도를 설명할 때 이해될 것이다.
전극 배선(9, 9')은 제3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열과 행에 인접한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예를 들어 항상 기판의 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2열의 통로를 갖는 기판의 경우에 한 열 또는 한 행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한쪽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열, 즉 인접 열이나 행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다른쪽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2열 필터 유니트에 비해서, 기판의 양쪽에는 적당한 크기의 필터 커패시터들을 생산하기 위해 전극 배선을 끼워맞추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음을 제3a, 3c도의 본 발명에 따른 4열 유니트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소형화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서 그리고 현재의 집적회로의 고밀도로 인하여, 접촉소자 밀도가 높은, 즉, 단위 체적당 접촉소자의 갯수가 대단히 많은 커넥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는 이런 형태의 커넥터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제3a도와 유사하고 3열 커넥터용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일실시예의 구조의 횡단면도로서, 각 통로(3)는 기판(2) 양쪽에서 전극 배선(9, 9')으로 둘러싸인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필터 유니트에 비해, 기판의 양쪽에 위치되고 특정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9, 9')은 적어도 종래의 필터 유니트의 필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을 얻을 정도의 표면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각각의 별도의 전극배선(9, 9')은 종래 필터 유니트의 전극 배선의 표면적의 절반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통로(3)는 비교적 작은 피치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직접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특정 통로에 속하면서 기판의 양쪽에 위치된 전극 배선(9, 9')은 상기 통로(3)의 벽을 따라 연장되는 연속적인 금속 피복(metallisation)(22)에 의해 서로 직접 전기 접속된다. 제4도에 도시된 필터 유니트는 구조적으로 제3도의 필터 유니트와 대응한다. 통로의 열(row)은 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실시예에서는 전극 배선이 장방향으로 서술되었지만, 기하학적 형상이 다른 전극들, 예컨대 원형, 정방형, 육각형 전극 배선이 이용될 수도 있다. 원형 통로외에, 커넥터의 접속소자의 형상에 상관없이 슬롯형, 정방형 기타 단면형도 이용될 수 있다.
제3, 4도의 제1전극(5, 5')은 단일 층으로서 기판 양쪽에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전극은 물론 기판측면(4, 4')에 걸쳐 기판(2)의 적어도 한쪽변까지 연장되는 여러개의 부분적인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된 것은 표준형 커넥터(23)로서, 커넥팅 핀(15)위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를 끼울 수 있다. 필터 유니트의 각각의 전극 배선(9, 9')은, 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지만, 납땜 등에 의해 컨넥터의 커넥팅 핀(15)에 접속될 수 있다. 기판(2)의 변(20, 21)을 따라 연장되는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5, 5')은 이제 도전성이 호울더(24)에 의해 커넥터의 하우징(25)에 접속된다.
이를 위하여, 호울더(24)는 4변(26-29)으로 한정된 장방형의 개방형 프레임으로 디자인되며,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일체형의 전기전도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30)의 세로변(28, 29)으로부터 2개의 입술형 정지 요소(31, 32)가 연장되며, 필터 유니트는 끼워졌을 때 상기 정지 요소와 결합된다. 또한 호울더(24)의 길이방향으로 세로변(28, 29)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은 2개의 체결 립(33, 34)으로서, 이러한 립의 각각은 커넥터(23)상에 호울더(24)를 체결하는 체결구멍(35)을 포함한다.
상기 호울더(24)에는 또한 프레임의 가로변(26, 27)상에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6)가 제공되며, 제5도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용기의 프레임의 가로변(26, 27)에 V형 립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의 가로변(26, 2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울더(24)와 필터 유니트 사이의 클램핑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절결부(37)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36)는 프레임의 개구부(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필터 유니트가 호울더(24)에서 정위치에 있을 때 필터 유니트는 잠금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돌출부(36)와 정지 요소로서 작용하는 립(31, 32)사이에 형성되어 호울더(24)와 제1전극(5, 5)의 양호한 전기 접촉을 보강하게 된다.
호울더(24)의 크기는, 필터 유니트와 함께 커넥터(23)의 접속변위로 미끄러져서 호울더와 커넥터의 체결구멍(35, 38)이 각각 일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는 커넥터 위에 장착된 본 발명의 호울더와 함께 제6a도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팅 핀(15)은 예컨대 인쇄회로판에 접속되거나 또는 소위 감아붙임 연결(wire-wrap connection)에 의해 전자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와 호울더(24)를 갖는 커넥터(23)를 도시하고 있으며, 유니트 전체는 나사(39)와 너트(40)에 의해 캐리어(41)상에 장착되고, 커넥터의 커넥팅 핀(15)이 상기 캐리어(41)를 관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판(도시않음)에 직각으로 장착하는데 적합하다.
제5도에 도시된 립(31, 32)과 돌출부(36) 대신에, 필터 유니트, 특히 기판의 1개 이상의 변을 따라 연장되는 전극(5, 5')은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5, 5')과 호울더(24)의 전기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호울더(2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울더 및 필터 유니트에 의해, 이른 바 필터 모듈이 생산되어 표준형 커넥터를 위해 별도의 유니트로서 장착될 수 있다. 실제로, 기존의 어떠한 다열 커넥터라도 이렇게 해서 신속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저렴하게 연장되어 소위 필터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7도는 소위 표준의 D-SUB형 커넥터의 전개 사시도로서, 커넥터는 다수의 접촉소자(43)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몸체(42)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접촉소자(43)는 다른 커넥터(도시안됨)와 접촉하기 위한 핀형 접촉단부(44)와 인쇄 배선과 같은 전기 배선의 연결을 위한 핀형 접속 단부(45)를 포함한다. 핀형 접촉 단부대신에, 상기 접촉소자(43)는 소켓형 접촉 단부(도시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칫수를 이유로, 커넥터는 접촉소자(43)의 배열과 일치하게 위치한 통로(47)을 갖는 전기 절연재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6)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46)는 커넥팅 핀(45)을 미끄럼 수용하며, 상기 스페이서(46)와 마주보는 지지체(42)의 정면에 있는 보스(49)에 대응하는 노치(48)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는, 제1쉘(50)과 장방향의 제2쉘(51)로 구성되며 접촉소자의 접촉단부와 접속단부를 수용하는 개구부(52, 53)를 갖는 도전성의 직사각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쉘은 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쉘을 리벳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 립(54, 55)을 포함한다. 스페이서(46)와 제2쉘(51)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56)가 장착된다.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5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5, 5')은 제2쉘(51)에 남땜된다. 상기 조립체는 스페이서(46)와 함께 접촉소자(43)의 커넥팅핀(45)위로 끼워맞춤되고, 상기 필터 유니트(56)의 전극 배선(9, 9')은 커넥팅 핀(45)에 납땜된다. 이런 방법에 의해, 접촉소자는 필터 유니트(56)와 제2쉘(51)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제1쉘(50)은 접촉 핀(44)상에 장착되어 제2쉘(51)에 리벳연결된다. 상기 제1, 제2쉘 및 필터 유니트에 의해, 광범위한 주파수를 차폐하는 커넥터를 얻게 된다.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를 구비한 어댑터의 확대도이다. 상기 어댑터는 필터식 접촉소자가 없는 커넥터를 위한 피터 조립체로서, 또느 이미 필터식 접촉소자가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의 필터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필터 조립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제5, 6, 7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D-SUB형 커넥터에 특히 적합하다.
어댑터는 여러개의 접촉소자(58)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블록형 몸체(47)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접촉소자(58)는 제1커넥터(도시않음)에 연결되는 핀형 접촉단부(59)와 제2커넥터(도시안됨)에 연결되는 소켓형 접촉단부(60)를 갖는다. 핀형이나 소켓형 접촉단부 대신에, 상기 접촉소자(60)는 소켓형 접촉 단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핀형 접촉 단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않음).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접촉소자(58)와 함께 지지체(57)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개구부(62)를 갖는 도전성의 장방향 지지체(61)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62)는 상승연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부는 핀형 접촉 단부(59)위로 장착되는 필터 유니트(56)에 대한 정지구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 유니트(56)의 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5, 5')은 상기 지지체(61)의 상승 연부(63)에 납땜된다. 전극 배선(9, 9')은 각각의 접촉소자에 납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립체는 접촉소자(58)의 접촉 단위(59, 60)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개구부를 가지며 동일한 형태의 장방형의 제1 및 제2쉘(50)사이에 한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쉘(50)은 쉘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결 립(54)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립에는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61)의 세로변에는 중공 리벳(65)으로 지지체(61)에 쉘을 체결하기 위해 대응하여 위치된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어댑터의 조립에는 다른 적당한 체결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크기로 인하여 어댑터는 상기 접촉소자(58)에 대응하여 위치된 통로(67)를 구비한 전기절연재 스페이서(66)를 포함한다.
제8b도는 제8a도에 따라 조립된 어댑터의 개략적 확대 횡단면도이다.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5, 5')은 땜납 연결부(68)에 의해 지지체(62)에 접속되고, 어댑터의 접촉소자는 땜납 연결부(69)에 의해 필터 유니트(56)의 각 전극 배선(9, 9')에 접속된다. 도전성 쉘(50)과 함께 도전성 지지체(62)는 저주파에 대해 접촉소자의 효과적인 차폐 작용을 제공하고, 상기 필터 유니트(56)에 의해 광범위한 주파수에 대한 필터 어댑터를 얻을 수 있다.
필터 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는 상술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기(R)와 커패시터(C)의 조합체, 즉 RC필터를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층 및 또는 전극 배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터 커패시터를 조금이라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지 전극으로 작용하는 중간 전극을 구성하고 그 양쪽에 1개 이상의 유전체층에 의해 분리된 전극 배선을 갖는 구조물이 기판 양쪽에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복수개의 도전성 접촉소자를 갖는 커넥터와 필터 유니트의 조합체에 있어서, 필터 유니트는,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커넥터의 접촉 요소가 통과하는 연결 벽을 갖는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과, 하나 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커넥터의 접촉소자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성 몸체를 둘러싸는 도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 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커넥터의 접촉소자에 연결되는 도전성이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통로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기판의 대향의 평탄한 가로변상에 배치된 커패시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대향의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한쪽 가로변에 위치된 상기 커패시터의 대응의 제1 및 제2전극과 유사하게 구성된 제1 및 제2전극을 가지며, 기판의 양쪽 가로변상에 배치된 전극 배선은 어떤 특수한 통로가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의 한쪽에만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접촉소자는 다른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단부와 전기배선의 접속을 위한 접속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접촉소자의 접속 단부가 위치된 가로변에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상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접촉소자의 접속 단부와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필터 유니트의 조합체.
  2. 복수개의 도전성 접촉소자를 갖는 어댑터와 조합되는 필터 유니트에 있어서, 필터 유니트는,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어댑터의 접촉 요소가 통과하는 연결 벽을 갖는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과, 하나 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어댑터는 접촉소자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성 몸체와 도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 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어댑터의 접촉소자에 연결되는 도전성의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통로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기판의 대향의 평탄한 가로변상에 배치된 커패시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대향의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한쪽 가로변에 위치된 상기 커패시터의 대응의 제1 및 제2전극과 유사하게 구성된 제1 및 제2전극을 가지며, 기판의 양쪽 가로변상에 배치된 전극 배선은 어떤 특수한 통로가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의 한쪽에만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접촉소자는 제1 및 제2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제1 및 제2접촉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유니트를 둘러싸며, 상기 필터 유니트의 제1 및 제2전극은 하우징과 접촉소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하우징은 접촉소자를 갖는 전기 절연성 지지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부가적으로 몸체를 지지하는 장방형의 도전성 제1 및 제2쉘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는 제1쉘과 제2쉘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과 연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은 지지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4. 하나 이상의 접촉 소자를 갖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에 있어서,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커넥터의 접촉 요소를 위한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연결 벽을 갖는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과, 하나 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커넥터의 접촉소자에 연결될 수 있는 도전성의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통로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기판의 대향의 평탄한 가로변상에 배치된 커패시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대향의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한쪽 가로변에 위치된 상기 커패시터의 대응의 제1 및 제2전극과 유사하게 구성된 제1 및 제2전극을 가지며, 기판의 양쪽 가로변상에 배치된 전극 배선은 어떤 특수한 통로가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의 한쪽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평탄한 가로변상의 전극 배선은 통로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전극 배선은 기판의 대향의 가로변상에서 전극과 전기 접촉되지 않는 거리만큼 통로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을 따라 배치된 복수열의 통로를 부가로 포함하며, 하나의 열과 인접한 열에서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항상 기판의 대향의 가로변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2열의 통로를 가지며, 1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한쪽 가로변에 위치되며, 다른 열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다른쪽 가로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3열의 통로를 가지며, 이러한 열에서 중간 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한쪽 가로변에 위치되며, 최외측 열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다른쪽 가로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4열의 통로를 가지며, 이러한 열에서 2개의 최외측 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한쪽 가로변에 위치되며, 2개의 최내측열의 통로에 속하는 전극 배선은 기판의 다른쪽 가로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10. 제4항에 있어서, 기판의 양쪽 가로변에 위치된 제1전극은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기판의 한쪽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유전체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코팅으로 도포되며, 기판의 다른쪽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유전체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제2코팅으로 도포되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은 도포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2. 하나이상의 접촉 소자를 갖는 커넥터용 필터 유니트에 있어서,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커넥터의 접촉 요소를 위한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연결 벽을 갖는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도된 기판과, 하나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커넥터의 접촉소자에 연결될 수 있는 도전성의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통로의 하나이상의 영역에서 기판의 대향의 평탄한 가로변상에 배치된 커패시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대향의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한쪽 가로변 위에 위치된 상기 커패시터의 대응의 제1 및 제2전극과 유사하게 구성된 제1 및 제2전극을 가지며, 기판의 양쪽 가로변상에 배치된 전극 배선은 내부에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에 연결된 도전성 재료의 호울더와 연합하여 어떤 특수한 통로가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의 한쪽에만 배치되며, 기판의 양 가로변상에 위치된 제1전극은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호울더는 커넥터의 접촉 소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기판의 통로가 자유이고,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은 호울더와 전기접촉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고 필터 유니트가 안착되는 정지 소자를 갖는 2개의 세로변과 2개의 가로변으로 경계짓는 직사각형 프레임이며, 필터 유니트를 호울더에 지지하기 위한 잠금수단(locking means)과 호울더를 커넥터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 수단(fastening mean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소자는 프레임의 세로변으로부터 프레임 개구내로 돌출되는 2개의 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호울더 내에 배치된 필터 유니트가 정지 소자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프레임의 가로변에 형성된 V형 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가로변은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과 호울더 사이에 양호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호울더의 클램핑 동작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지소자와 대향하는 단부에 프레임 개구부로부터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변들은 호울더가 표준 크기를 갖는 커넥터의 연결측 위로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의 세로변에는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호울더를 커넥터에 연결시키는 체결 구멍을 갖는 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9. 필터 유니트, 호울더, 커넥터의 조합체에 있어서, 필터 유니트는, 세로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향으로 놓인 2개의 평탄한 가로변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가로변 사이에서 커넥터의 접촉 요소가 통과하는 연결 벽을 갖는 통로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과, 하나 이상의 통로 영역에서 기판의 평탄한 한쪽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기판의 통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전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커넥터는 도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도전성 재료의 지지몸체를 둘러싸고 복수개의 도전성 접촉소자를 가지며, 각각의 접촉소자는 또 다른 커넥터를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단부와 전기배선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필터 유니트와 상기 호울더는 접촉소자의 연결단부가 위치된 변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상에 장착되며, 호울더는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니트의 제1전극에 연결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기판의 평탄한 한쪽 가로변위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통로보다 큰 대응위치된 전극 통로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한층에 의해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기판의 통로를 덮고 커넥터의 접촉 소자에 연결되는 도전성의 이격된 전극 배선으로 형성된 제2전극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통로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기판의 대향의 평탄한 가로변상에 배치된 커패시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대향의 가로변에 위치된 커패시터는 한쪽 가로변에 위치된 상기 커패시터의 대응의 제1 및 제2전극과 유사하게 구성된 제1 및 제1전극을 가지며, 기판의 양쪽 가로변상에 배치된 전극 배선은 어떤 특수한 통로가 전극 배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기판의 평탄한 가로변의 한쪽에만 배치되며, 기판의 양 가로변상에 위치된 제1전극은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호울더는 커넥터의 접촉 소자가 상기 기판의 통로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전극은 호울더와 전기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와 호울더와 커넥터의 조합체.
KR1019880008782A 1987-07-14 1988-07-13 필터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KR012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1661A NL8701661A (nl) 1987-07-14 1987-07-14 Filtereenheid voor connectoren.
NL8701661 1987-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060A KR890003060A (ko) 1989-04-12
KR0125277B1 true KR0125277B1 (ko) 1997-12-15

Family

ID=1985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82A KR0125277B1 (ko) 1987-07-14 1988-07-13 필터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31754A (ko)
EP (1) EP0299563B1 (ko)
JP (1) JP2801915B2 (ko)
KR (1) KR0125277B1 (ko)
AT (1) ATE97768T1 (ko)
AU (1) AU607238B2 (ko)
BR (1) BR8803517A (ko)
CA (1) CA1290413C (ko)
DE (2) DE8715632U1 (ko)
HK (1) HK1000390A1 (ko)
NL (1) NL8701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18B1 (ko) * 2012-01-19 2013-08-09 신영철 전자파 차폐용 필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0609A (nl) * 1988-03-11 1989-10-02 Du Pont Nederland Connector.
NL8802249A (nl) * 1988-09-13 1990-04-02 Du Pont Nederland Bevestigingsframe en filtereenheid voor connectoren.
NL8902429A (nl) * 1989-09-29 1991-04-16 Du Pont Nederland Filterconnector met vergrendelbaar montageframe.
US5175928A (en) * 1990-06-11 1993-01-05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H0479507A (ja) * 1990-07-20 1992-03-12 Amp Japan Ltd 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付電気コネクタ
FR2670054B1 (fr) * 1990-11-29 1994-07-29 Radiall Sa Connecteur filtre multicontacts.
US5153540A (en) * 1991-04-01 1992-10-06 Amphenol Corporation Capacitor array utilizing a substrate and discoidal capacitors
DE9107385U1 (de) * 1991-06-14 1992-07-16 Filtec Filtertechnologie für die Elektronikindustrie GmbH, 59557 Lippstadt Mehrpoliger Steckverbinder für elektronische Signalleitungen
US5257950A (en) * 1991-07-17 1993-11-02 The Whitaker Corporation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NL9201753A (nl) * 1992-10-09 1994-05-02 Du Pont Nederland Afdeklaag in filtereenheid voor konnektoren.
US5269705A (en) * 1992-11-03 1993-12-14 The Whitaker Corporation Tape filter and method of applying same to an electrical connector
US5277625A (en) * 1992-11-03 1994-01-1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ape filter
US5409401A (en) * 1992-11-03 1995-04-25 The Whitaker Corporation Filtered connector
US5295869A (en) * 1992-12-18 1994-03-22 The Siemon Company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US6758698B1 (en) 1992-12-23 2004-07-06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capacitor label
TW218060B (en) * 1992-12-23 1993-12-21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capacitor label
US5382928A (en) * 1993-01-22 1995-01-17 The Whitaker Corporation RF filter having composite dielectric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e
DE4310860A1 (de) * 1993-04-02 1994-10-06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er Verträglichkeits(EMV)-Filter in Hybridtechnologie
DE4327850C2 (de) * 1993-08-19 1997-04-03 Filtec Gmbh Planarfilter insbesondere für mehrpolige Steckverbinder mit Stecker und Gegenstecker
JPH07176336A (ja) * 1993-09-30 1995-07-14 Siemon Co:The ブレーク・テスト機能を含む電気的に拡張された配線ブロック
DE9400491U1 (de) * 1994-01-13 1995-02-09 Filtec Filtertechnologie für die Elektronikindustrie GmbH, 59557 Lippstadt Vielpoliger Steckverbinder mit Filteranordnung
EP0707324A4 (en) * 1994-03-24 1997-09-03 Nippon Carbide Kogyo Kk FILTER ARRANGEMENT FOR CONNECTOR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US5599208A (en) * 1994-12-14 1997-02-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programmable filter
US5554050A (en) * 1995-03-09 1996-09-10 The Whitaker Corporation Filtering inser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635775A (en) * 1995-04-14 1997-06-03 Colburn; Richard H. Printed circuit board mou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or
US5887324A (en) * 1996-08-30 1999-03-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with integral capacitive filter
US6033263A (en) * 1996-10-15 2000-03-0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ly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US6385315B1 (en) * 1998-06-05 2002-05-07 Mphase Corporation Video voice separation system
DE29902505U1 (de) * 1999-02-02 2000-03-23 Filtec Filtertechnologie für die Elektronikindustrie GmbH, 59557 Lippstadt Planarfilter
WO2001099237A1 (fr) * 2000-06-20 2001-12-27 Fujitsu Limited Tableau et borne d'alimentation
US7182644B2 (en) * 2003-04-30 2007-0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te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low frequency transmission lines at a device enclosure
US9240644B2 (en) * 2012-08-22 2016-01-19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5794715B2 (ja) * 2014-03-07 2015-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92A (en) * 1893-03-21 Edward a
US3538464A (en) * 1963-08-20 1970-11-03 Erie Technological Prod Inc Multiple pin connector having ferrite core stacked capacitor filter
US4144509A (en) * 1977-01-12 1979-03-13 Bunker Ramo Corporation Filter connector
US4215326A (en) * 1978-01-16 1980-07-29 Amp Incorporated Filtered adapter
US4407552A (en) * 1978-05-18 1983-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nector unit
US4494092A (en) * 1982-07-12 1985-01-15 The Deutsch Company Electronic Components Division Filter pin electrical connector
US4682129A (en) * 1983-03-30 1987-07-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ick film planar filter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 plane shield
BR8401386A (pt) * 1983-03-30 1984-11-06 Du Pont Conector de filtro
BR8401396A (pt) * 1983-03-30 1984-11-06 Du Pont Conector eletrico para filtrar ampla faixa de frequencias
US4726790A (en) * 1985-10-04 1988-02-23 Hadjis George C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ti-resonant planar capacitors
US4673237A (en) * 1985-10-28 1987-06-16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Connector filter adapter
US4853659A (en) * 1988-03-17 1989-08-01 Amp Incorporated Planar pi-network filter assembly having capacitors formed on opposing surfaces of an inductive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18B1 (ko) * 2012-01-19 2013-08-09 신영철 전자파 차폐용 필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9563B1 (en) 1993-11-24
AU607238B2 (en) 1991-02-28
US4931754A (en) 1990-06-05
BR8803517A (pt) 1989-02-08
DE8715632U1 (de) 1988-02-25
EP0299563A1 (en) 1989-01-18
HK1000390A1 (en) 1998-03-13
JP2801915B2 (ja) 1998-09-21
DE3885805T2 (de) 1994-06-16
JPS6424375A (en) 1989-01-26
KR890003060A (ko) 1989-04-12
DE3885805D1 (de) 1994-01-05
NL8701661A (nl) 1989-02-01
CA1290413C (en) 1991-10-08
ATE97768T1 (de) 1993-12-15
AU1902988A (en) 198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277B1 (ko) 필터유니트, 호울더, 커넥터, 및 어댑터
US5580257A (en) High performance card edge connector
KR970003365B1 (ko) 필터 및 필터 부착 전기 커넥터
KR100344866B1 (ko) 표면장착형전기커넥터
US4726790A (en)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ti-resonant planar capacitors
US4494172A (en) High-speed wire wrap board
US4959626A (en) Filter connector with low frequency screening
US4659155A (en) Backplane-daughter board connector
US5161986A (en) Low inductance circuit apparatus with controlled impedance cross-unders and connector for connecting to backpanels
DE69833445T2 (de) Verbindersystem
JPH04286885A (ja) 同軸コネクタモジュール
EP0614202B1 (en) Three-terminal capacitor and assembly
JPH0329274A (ja) 基体に固定するための手段を具備するコネクタ
JP3853375B2 (ja) 高周波を減衰する遮蔽ハウジングを有する電子回路
US6589061B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straddle moun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pasting the same
US6139368A (en) Filtered modular connector
US4589720A (en) Planar electronic filter element and a connector embodying such a filter
US4072380A (en) Dual inline integrated circuit socket
JP3624798B2 (ja) インバータ用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インバータ
EP0643448B1 (en) 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GB2161997A (en) Buss bar for surface mounting
KR100428038B1 (ko) 접지특성이향상된전기커넥터
US6015304A (en) Ground-enhanced electrical connector
US6933805B1 (en) High density capacitor filter bank with embedded faraday cage
US5528465A (en) Assembly for removing jamming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