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단계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단계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앞', '뒤'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x축을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y축을 기준으로, '위', '아래'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z축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사용자에 부착되어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에 코팅층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베이스(110), 마이크로니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이 지지되는 것으로, 일면(도 2 기준 하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니들(120)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일면은 피부에 접촉하고, 반대의 타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이식되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피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베이스(110)와 마이크로니들(120)이 연결되는 부분이 먼저 용해되어, 부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베이스(110)를 제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장시간 부착 시에 베이스(110)가 용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베이스(110)는 용해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필요 시 사용자가 용해를 위한 물질을 도포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에 포함된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과 같이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의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110)는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를 피부에 부착한 이후에, 베이스(110)에서 나오는 생리 활성 물질에 의해서 유효 약물이 효과적으로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에서 나오는 생리 활성 물질에 의해서 베이스(110)와 마이크로니들(120)이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에서 가장 인접한 레이어, 즉 마이크로니들(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팁, 구체적으로 첨단팁(ST)에서 가장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이어보다 늦은 용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에서 베이스(110)와 인접한 부분은 가장 빨리 용해되므로, 베이스(110)가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110)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이외의 첨가물(예를 들면, 이당류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110)는 약물 또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뒤에 설명할 마이크로니들(120)의 베이스 물질로 선택되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기본 물질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유효 성분(EM)을 함유하며 베이스(110)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길이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형성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생체적합성 물질과 첨가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물질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히아루로닉 산 Hyaluronic acid: HA),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키토산(Chitosan),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fibrin), 아가로스(Agarose), 풀루란(pullulan),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 뷰티릭 산(Poly butyric acid), 폴리 발레릭 산(Poly valeric acid),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olyvinyl Fluoride), 폴리비닐 이미다졸(polyvinyl),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말토스(Maltose), 락토스(Lactose), 트레할로스(Trehal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이소말토스(Isomaltose) 투라노스(Turanose) 및 락툴로스(Lact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고분자이다.
첨가제는 트레알로스(trehalose),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 수크로스(sucrose), 말토스(maltose), 락토스(lact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키토산(Chitosan),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fibrin), 아가로스(Agaros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젠티오비오스(gentiobiose), 세트리마이드(alkyltrimethylammonium bromide (Cetrimide)),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bromide (CTAB)), 겐티안 바이올렛(Gentian Violet),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도큐세이트소듐솔트(docusate sodium salt), 스팬형 계면활성제(a SPAN-type surfactant),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Tween)),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및 글리세릴 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염(예컨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및 히알루론산 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가교 히알루론산 및/또는 비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00 kDa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100-4500, 150-3500, 200-2500 kDa, 220-1500 kDa, 240-1000 kDa 또는 240-490 kDa 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는 공지된 다양한 분자량의 CMC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MC의 평균 분자량은 90,000 kDa, 250,000 kDa 또는 700,000kDa 이다.
이당류는 수크로스, 락툴로스, 락토스, 말토스, 트레할로스 또는 셀로비오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수크로스, 말토스, 트레할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히알루론산, 물리적 접착제(게코), 폴리 아크릴,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 이소 부틸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점착제이다.
선택적인 실시예로, 마이크로니들(120)은 금속, 고분자 폴리머 또는 점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유효 성분(EM)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적어도 어느 일부에 약학적, 의학적 또는 화장학적 유효 성분(E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제한적 예로서 유효성분은 단백질/펩타이드 의약을 포함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르몬, 호르몬 유사체, 효소, 효소저해제, 신호전달단백질 또는 그 일부분, 항체 또는 그 일부분, 단쇄항체, 결합단백질 또는 그 결합 도메인, 항원, 부착단백질, 구조단백질, 조절단백질, 독소단백질, 사이토카인, 전사조절 인자, 혈액 응고 인자 및 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백질/펩타이드 의약은 인슐린, IGF- 1(insulinlikegrowth factor 1), 성장호르몬, 에리쓰로포이에틴, G-CSFs(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s), GM-CSFs(granulocyte/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s),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 터페론 감마, 인터루킨-1 알파 및 베타, 인터루킨-3, 인터루킨-4, 인터루킨-6, 인터루킨-2, EGFs(epidermal growth factors), 칼시토닌(calcitonin), ACTH(adrenocorticotropic hormone), TNF(tumor necrosis factor), 아토비스반(atobisban), 부세레린(buserelin), 세트로렉릭스(cetrorelix), 데스로레린(deslorelin),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디노르핀 A(dynorphin A)(1-13), 엘카토닌(elcatonin), 엘레이도신(eleidosin), 엡티피바타이드(eptifibatide), GHRHII(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II), 고나도레린(gonadorelin), 고세레린(goserelin), 히스트레린(histrelin), 류프로레린(leuprorelin), 라이프레신(lypressin),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옥시토신(oxytocin), 피트레신(pitressin), 세크레틴(secretin), 신칼라이드(sincalide), 테르리프레신(terlipressin), 티모펜틴(thymopentin), 티모신(thymosine), 트리프토레 린(triptorelin), 바이발리루딘(bivalirudin), 카르베토신(carbetocin), 사이클로스포린, 엑세딘(exedine), 란 레오타이드(lanreotide), LHRH(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나파레린(nafarelin), 부갑상선 호르몬, 프람린타이드(pramlintide), T-20(enfuvirtide), 타이말파신(thymalfasin) 및 지코노타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EM)은 미백, 필러, 주름제거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미용 성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성분(EM)은 미립자의 형태로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용매 내에 분산된 콜로이드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그 자체로 유효 성분(EM)이거나, 유효 성분(EM)을 담지하고 있는 코팅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성분(EM)은 마이크로니들(120)의 일부층에 집중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즉, 유효 성분(EM)은 마이크로니들(120)에서 특정 높이에 배치되므로,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EM)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효 성분(EM)이 마이크로니들(120) 내에 용해될 수 있다. 전술한 생분해성 물질들과 같은 마이크로니들(120)의 베이스 물질 내에 유효 성분(EM)이 용해되어 마이크로니들(120)을 구성할 수 있다.
유효 성분(EM)은 상기 베이스 물질에 고른 농도로 용해될 수 있고, 전술한 미립자와 같이 마이크로니들(120)의 특정 높이에 집중적으로 분포할 수도 있다.
유효 성분(EM)은 뒤에 설명할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용해시키며 형성될 때 연결레이어(123)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첨단팁(ST)이 형성되는 부분으로부터 베이스(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분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효 성분(EM)이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122)에 함유되는 경우,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키면서, 제2 레이어(122)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이 연결레이어(123)에 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레이어(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110)에 근접한 영역에서 제1 레이어(121) 측에 근접하는 영역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성분(EM)이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에 각각 분포할 수 있는데,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를 용해시키며 연결시키는 경우에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에 분포하는 유효 성분(EM)이 연결레이어(123)에 분포할 수 있고, 제1 레이어(121)는 하단(도 4 기준)에 형성되는 첨단팁(ST)으로부터 제2 레이어(122) 측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122)는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4 기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4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서로 다르게 분포할 수 있고, 농도 구배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구역에 따라 복수 개의 유효 성분(EM)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120) 중 제1 그룹의 마이크로니들(120)은 상기 복수의 유효 성분 중 제1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과 다른 제2 그룹의 마이크로니들(120)은 상기 복수의 유효 성분들 중 제2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120) 상에 약학적, 의학적 또는 화장학적 유효 성분이 코팅될 수 있다. 유효 성분들은 마이크로니들(120) 전체에 코팅되거나, 마이크로니들(120)의 일부분만 코팅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코팅레이어의 일부는 제1 유효 성분이 코팅되고, 다른 일부는 제2 유효 성분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다양한 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콘(co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120)은 원뿔 형상, 삼각뿔 형상, 사각뿔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레이어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레이어(121)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에 첨단팁(sharpened tip, ST)이 배치되는 것으로, 타측에는 베이스(110)를 마주보는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단팁(ST)이 형성되는 제1 레이어(121)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일면은 연결레이어(123)와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를 마주보는 제1 레이어(121)의 일면(도 3 기준 상면)에는 외부의 노즐로부터 유체가 분사될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제1 레이어(121)의 일면(도 3 기준 상면)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이웃하는 레이어가 접촉하는 영역에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와 연결레이어(123)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곡률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레이어(122)와 연결레이어(123)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의 레이어 상에는 팁을 향하여 아래로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의 상측(도 3 기준)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와 제2 레이어(122)가 접촉하는 영역에서, 팁에 인접한 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레이어(122)를 용해시키며 제2 레이어(122)의 하측(도 3 기준)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와 제1 레이어(121)가 접촉하는 영역에서, 팁에 인접한 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률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121)에 유효 성분(EM)이 배치될 수 있다. 피부 표면에서 다소 깊은 위치에 약물을 타겟팅하기 위해서, 유효 성분(EM)은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성분(EM)을 진피(DEM), 피하 지방층 또는 근육에 전달하기 위해서, 유효 성분(EM)은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121)에서 첨단팁(ST)에 대향되는 일측(도 3 기준 상측)에는 연결레이어(123)가 연결되며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의 일측에 유체가 분사되며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1 곡면(CS1)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는 몰드에서 제조되는 제1 레이어(121)의 일면 상에 유체가 분사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유체는 수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1 레이어(121)의 일면 상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상면을 용해시키고,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며 일체로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첨단팁(ST)에서 연결레이어(123) 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1)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첨단팁(ST)에서 이격될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122)는 베이스(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베이스(110)와 제1 레이어(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와 연결되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3 기준 상면)에 대향하는 타면(도 3 기준 하면)은 연결레이어(1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는 몰드에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122)는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레이어(123)와 접촉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레이어(122)와 마주보는 연결레이어(123)의 일면은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1 곡면(CS1)이 형성되는데, 제1 곡면(CS1)이 형성되는 제1 레이어(121)를 마주보는 연결레이어(123)의 일면은 제1 레이어(121)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2 곡면(C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면(CS1)과 제2 곡면(CS2)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의 일면이 제2 곡면(CS2)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의 상측과 접촉되며 연결 시 가장자리에서는 연결 영역이 길이 방향 중심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3)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 상에 연결레이어(123)가 배치되고,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레이어(121)의 상면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가 배치되고, 이와 마주보는 제2 레이어(122)의 하면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는 몰드에서 제조되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 상에 유체가 분사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유체는 수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 상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121) 및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레이어(121)에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4와 같이 제2 레이어(122) 및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유효 성분(EM)을 표피(EPM)나 표피(EPM)에 가까운 진피(DEM)에 전달하기 위해서 유효 성분(EM)이 제2 레이어(122)에 탑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에 각각 같은 유효 성분(EM)이 탑재될 수 있다. 넓은 범위의 깊이로 약물을 전달해야하는 경우에는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에 같은 유효 성분(EM)으로 이루어지는 약물을 탑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는 다른 유효 성분(EM)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되는 제1 유효 성분(EM)은 진피(DEM)를 타겟팅하는 약물이고, 제2 레이어(122)에 탑재되는 제2 유효 성분(EM)은 표피(EPM)를 타겟팅하는 약물일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제1 유효 성분(EM)과 제2 유효 성분(EM)의 전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는 피부에 삽입된 이후에 분해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생분해 속도가 빠를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의 분해 속도는 각층을 구성하는 생체적합성 물질의 종류, 함유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1)의 분해 속도가 제2 레이어(122)의 분해 속도보다 빠르면, 진피(DEM)에 빠르게 유효 성분(EM)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의 분해 속도가 제1 레이어(121)의 분해 속도보다 빠르면, 표피(EPM)에 빠르게 유효 성분(EM)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122)의 분해 속도가 제1 레이어(121)의 분해 속도보다 빠르면, 제2 레이어(122)가 빨리 분해되어, 베이스(110)를 빨리 제거할 수 있고,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된 유효 성분(EM)을 피부 내에 이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가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경우에 제2 레이어(123)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베이스(110)를 향하는 일측(도 4 기준 상측)에서 제1 레이어(121) 측을 향할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122)의 길이 방향(도 4 기준)을 따라 제2 레이어(122)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에서 이격될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의 각 레이어, 즉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는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1)가 제2 레이어(122)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면 제1 레이어(121)가 피부를 쉽게 뚫을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면, 피부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되는 영역에서 소정 곡률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레이어(123)와 제2 레이어(122)가 연결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할 때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제1 지점(PK1)을 가지며, 첨단팁(ST)에서 제1 지점(PK1) 사이에는 제1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연결레이어(123)와 제2 레이어(122)가 연결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할 때 반경 방향의 외측에는 제2 지점(PK2)을 가지고, 첨단팁(ST)에서 제2 지점(PK2) 사이에는 제2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첨단팁(ST)에서 이격되는 거리를 높이로 정의하면,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는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 중 적 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1))의 일면에 분사되는 유체가 상기 레이어의 일면을 용해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가 상기 레이어의 일면을 용해시키며 형성되고, 그 다음에 다른 하나의 레이어(예를 들어, 제2 레이어(122))가 접촉되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는 유체는 수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를 용해시키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물질로 형성되는 등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1)의 일면 상에 연결레이어(123)가 연결되는 경우,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은 접착성을 가지며 제2 레이어(122)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의 상면(도 3 기준)을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은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레이어(123)의 외주면(도 5 기준 상면)은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레이어(123)의 외주면은 제1 레이어(121)의 첨단팁(ST)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곡면(CS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에 형성되는 제1 곡면(CS1)과 마주보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5 기준 하면)은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1 곡면(CS1)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레이어(122)의 상기 일면은 제1 곡면(CS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결레이어(123)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곡면(CS2)이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의 제1 곡면(CS1)의 곡률과 제2 레이어(122)의 제2 곡면(CS2)의 곡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2 레이어(122)에 형성되는 제2 곡면(CS2)과 접촉되고, 제2 레이어(122)를 용해시켜 제2 레이어(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가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함으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은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와 제2 레이어(122)가 연결되는 영역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가장자리에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레이어(123)의 외측면과 제1 곡면(CS1)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삽입되면 외측면이 생분해되기 시작하는데,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는 제1 곡면(CS1)에 의해서 쉽게 박리되므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는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도 3,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고, 소정 영역에서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이 연결레이어(123) 상에도 분포될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제1 레이어(121)에서의 유효 성분(EM)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하 방향)에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이 삽입되고 타겟팅하는 위치에 원하는 농도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연결레이어(123)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 깊이에 따라 타겟팅하는 약물의 농도를 다르게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레이어(123)는 제2 레이어(122)와 접촉하는 영역을 따라 곡률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레이어(123)는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레이어(121)에 형성되는 첨단팁(ST)과 근접하는 영역인 제1 지점(PK1)에서는 제1 곡률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지점(PK2)에서는 제1 곡률과 다른 제2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률은 제2 곡률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레이어(123)는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곡률 반경이 크고, 외측에는 곡률 반경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베이스 물질로 점도는 높으며, 건조에 의해서 크게 수축되는 물질이 제공되면, 베이스 물질의 점도에 의해서 몰드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건조 공정에 의해 제1 레이어(121)가 크게 수축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소정 영역 상에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도 제1 레이어(121)의 곡률에 따라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의 중심축인 제1 지점(PK1)에서 곡률이 더 작으므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는 깊은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120)의 외측을 보면, 제2 지점(PK2)의 부근에서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므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가 쉽게 분리되어 약물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 도 5,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고,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에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와 비교하여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는 수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연결레이어(123)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제1 레이어(121)의 첨단팁(ST)에서 연결레이어(123) 측 방향(도 3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120)이 침투하는 사용자의 피부 깊이에 따라 전달되는 약물의 농도를 다르게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유효 성분(EM)은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에 각각 분포될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를 용해시키며 연결하는 경우,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에 분포하는 유효 성분(EM)이 연결레이어(123)에 분포할 수 있다.
이대 제1 레이어(121)는 하단(도 4 기준)에 형성되는 첨단팁(ST)으로부터 제2 레이어(122) 측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제2 레이어(122)는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4 기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4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서로 다르게 분포할 수 있고,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2의 마이크로니들 패치(100)가 부착되어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가 피부에 부착되고, 마이크로니들(120)의 레이어들이 생분해되면서 약물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유효 성분(EM)이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되어, 진피(DEM)에 전달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4와 같이 유효 성분(EM)이 제2 레이어(122)에 탑재되면 표피(EPM)에도 전달될 수 있다.
도 7 (a)를 보면,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피부에 부착된다.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에 삽입되고, 베이스(110)는 피부의 상부를 커버한다.
도 7 (b)를 보면,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의 내부에서 생분해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에 삽입되고, 베이스(110)는 피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 (c)를 보면,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유효 성분(EM)이 방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가 생분해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탑재된 유효 성분(EM)이 진피(DEM)에 전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를 구비하고, 마이크로니들(120)의 외측에 코팅층(124)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한 이후에, 코팅액에 침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피부에 삽입되고 난 후에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피부에 삽입되어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24)이 피부에 삽입되면, 유효 성분(EM)이 주입되기 전에, 코팅층(124)은 가장 먼저 활성화되면서, 유효 성분(EM)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1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121)의 생체 내 분해 속도나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1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을 삽입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약물이 전달되어, 목표하는 적절한 시간에 유효 성분(EM)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123)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삽입 시에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 복수 개의 레이어를 연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한 다음, 상기 마이크로니들(120)을 베이스(110)에 연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복수 개의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레이어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먼저 형성하고, 제1 레이어(121)와 제2레이어를 연결하여 연결레이어(123)를 형성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레이어가 구비되고,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에서 복수 개의 레이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는 서로 다른 몰드에 베이스 물질을 주입하고, 이를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는 몰드에 제1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고, 제2 레이어(122)는 몰드에 제2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일측에는 첨단팁(ST)이 형성될 수 있고, 첨단팁(ST)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몰드의 형상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한 횡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물질은 생체적합성 고분자나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물질에는 유효 성분(EM)이 함유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가 제조되고, 제1 레이어(121)에 외부에 설치되는 노즐(10)로부터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122)를 마주보는 제1 레이어(121)의 일면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일면은 부분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일면에 유체가 분사됨으로써 제1 레이어(121)의 소정 영역이 용해되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에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킴으로써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를 마주보는 연결레이어(123)의 일면은 제1 베이스 물질과 유체의 점도와 건조에 따른 수축성에 의해서, 제1 레이어(121)를 향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를 마주보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은 제2 베이스 물질의 점도와 건조에 따른 수축성에 의해서 연결레이어(123)를 향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는 유체는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 중 어느 하나에 분사되며,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킬 수 있고,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수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레이어(121)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됨에 따라 연결레이어(123)에서의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제1 레이어(121)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에 형성되는 첨단팁(ST)에서 연결레이어(123) 측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될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에서의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제2 레이어(122)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레이어(122) 상에서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베이스(110) 측에서 연결레이어(123) 측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이 형성되면, 마이크로니들(120)의 일측을 베이스(110)에 부착 연결시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를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외에 제3 레이어를 형성하고, 제2 레이어(122) 및 제3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여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고, 제2 레이어(122)와 제3 레이어를 연결시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제3 레이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120)을 제조할 수 있고, 베이스(110)에 연결시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를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른 몰드에 제3 베이스 물질을 주입하여 샤프트를 제조할 수 있고, 제2 레이어(122)와 샤프트를 정렬 및 부착하여 베이스(110) 일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니들(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사용자에 부착되어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에 코팅층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베이스(210), 마이크로니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220)은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연결레이어(223, 223A, 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이어(225)는 제3 베이스 물질을 몰드에 주입,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고, 제2 레이어(222) 및 제3 레이어(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여 연결레이어(223B)를 형성시켜 제2 레이어(222)와 제3 레이어(225)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레이어(221)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223A)와 연결되는 제2 레이어(222)의 일면(도 9 기준 하면)은 제1 곡률(RA)을 가질 수 있고, 제2 레이어(222)와 연결되는 연결레이어(223B)와 연결되는 제3 레이어(225)의 일면(도 9 기준 하면)은 소정 제2 곡률(RB)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RA) 및 제2 곡률(RB)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제1 레이어(221)와 제2 레이어(222)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221)에는 제1 유효 성분(EM1)이 함유될 수 있고, 제2 레이어(222)에는 제2 유효 성분(EM2)이 함유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레이어(221)와 제2 레이어(2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223A) 영역에서는 제1 유효 성분(EM1), 제2 유효 성분(EM2)이 함유될 수 있다. 연결레이어(223A)는 수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레이어(221) 또는 제2 레이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되므로,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효 성분(EM1)은 제1 레이어(221)의 첨단팁(ST)에서 제2 레이어(222) 측으로 갈수록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제2 유효 성분(EM2)은 상측에서 하측(도 9 기준)으로 갈수록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 레이어(225)에도 유효 성분(EM)이 함유될 수 있으며, 연결레이어(223)로 인하여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제3 레이어(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마이크로니들 패치(200)가 부착되어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유효 성분(EM1)이 제1 레이어(221)에 탑재되고, 제2 유효 성분(EM2)이 제2 레이어(222)에 탑재된 마이크로니들 패치(200)이며, 유효 성분(EM1, EM2)의 위치에 따라 유효 성분(EM1, EM2)의 전달 위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포함하며 제1 레이어(221) 또는 제2 레이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223)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220)의 길이 방향(도 9 기준 상하 방향)에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되며, 유효 성분(EM)의 전달 위치에 따라 전달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0 (a)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피부에 부착된다. 마이크로니들(220)은 피부에 삽입되고, 베이스(210)는 피부의 상부를 커버한다.
도 10 (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220)은 피부의 내부에서 생분해된다. 제3 레이어(225)가 먼저 분해되면, 베이스(2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0 (c)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220)에서 유효 성분(EM)들이 방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221)가 생분해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탑재되는 제1 유효 성분(EM1)이 진피(DEM)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레이어(222)가 생분해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탑재된 제2 유효 성분(EM2)이 진피(DEM)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효 성분(EM1)과 제2 유효 성분(EM2)이 상호 작용하여, 진피(DEM)에서 약리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효 성분(EM)들이 모두 진피(DEM)에 전달되는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효 성분(EM)들이 표피(EPM)에만 전달되거나, 표피(EPM)와 진피(DEM) 모두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연결레이어(223)를 구비하고, 마이크로니들(220)의 외측에 코팅층(224)이 배치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연결레이어(223)를 형성한 이후에, 코팅액에 침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피부에 삽입되고 난 후에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2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피부에 삽입되어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224)이 피부에 삽입되면, 유효 성분(EM)이 주입되기 전에, 코팅층(224)은 가장 먼저 활성화되면서, 유효 성분(EM)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2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연결레이어(223)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2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2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24)은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2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연결레이어(223)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220)을 삽입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약물이 전달되어, 목표하는 적절한 시간에 유효 성분(EM)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224)은 마이크로니들(2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코팅층(224)은 제1 레이어(221)와 제2 레이어(222) 또는 제2 레이어(222)와 제3 레이어(225)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223)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마이크로니들(220)이 피부에 삽입 시에 제1 레이어(221)와 제2 레이어(222) 또는 제2 레이어(222)와 제3 레이어(225)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다층 구조를 가지어, 타겟 지점에 정확하게 유효 성분(EM)을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220)은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가지므로, 각 레이어에 유효 성분(EM)을 탑재할 수 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유효 성분(EM)의 활성 위치에 따라 표피(EPM), 진피(DEM), 피하 지방, 근육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다층 구조를 가지어, 각 층의 생분해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220)은 각 레이어의 분해 속도에 의해서 유효 성분(EM)이 서로 다른 활성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서로 다른 레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223)가 연결되는 레이어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됨으로써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220)의 삽입 위치에 따라 전달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연결레이어(223) 또는 연결레이어(223)와 마주보며 연결되는 레이어에 곡률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레이어가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유효 성분(EM)의 전달 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와 비교하여, 제3 레이어(225) 및 제3 레이어(225)와 제2 레이어(2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223B)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와 구성, 작용 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300, 40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300)는 베이스(310), 마이크로니들(320), 샤프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320)은 제1 레이어(321), 제2 레이어(322), 연결레이어(323)를 포함할 수 있고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320)은 전술한 마이크로니들(120)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320)은 유효 성분을 목표 위치에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30)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320)은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샤프트(330)의 길이에 의해서 마이크로니들(320) 패치는 유효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깊게 전달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므로, 먼저 생체 내에서 용해될 수 있다.
샤프트(330)가 용해되면 마이크로니들(320)은 사용자의 피부 내에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베이스(310)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샤프트(330)를 구성하는 베이스 물질은 마이크로니들(320)보다 더 빠른 생체 내에서 잘 분해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니들 패치(3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면, 샤프트(330)가 신속하게 용해되어 베이스(310)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320)은 제1 레이어(321), 제2 레이어(322), 연결레이어(323)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3과 같이 제1 레이어(421), 제2 레이어(422), 제3 레이어(425), 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레이어(423A, 423B)를 구비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300, 400)는 베이스(310, 410)와 마이크로니들(320, 420) 사이에 샤프트(330, 430)가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베이스(310, 410), 마이크로니들(320, 420)의 구성, 작용원리 및 효과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 200)의 베이스(110, 210), 마이크로니들(120, 220)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연결레이어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100)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유효 성분(EM)을 함유하며, 복수 개의 레이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단계로,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 복수 개의 레이어를 연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에서 제조되는 마이크로니들(120)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은 생체적합성 물질과 첨가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물질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히아루로닉 산 Hyaluronic acid: HA),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키토산(Chitosan),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fibrin), 아가로스(Agarose), 풀루란(pullulan),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 뷰티릭 산(Poly butyric acid), 폴리 발레릭 산(Poly valeric acid),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olyvinyl Fluoride), 폴리비닐 이미다졸(polyvinyl),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말토스(Maltose), 락토스(Lactose), 트레할로스(Trehal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이소말토스(Isomaltose) 투라노스(Turanose) 및 락툴로스(Lact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고분자이다.
첨가제는 트레알로스(trehalose),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 수크로스(sucrose), 말토스(maltose), 락토스(lact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키토산(Chitosan),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fibrin), 아가로스(Agaros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젠티오비오스(gentiobiose), 세트리마이드(alkyltrimethylammonium bromide (Cetrimide)),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bromide (CTAB)), 겐티안 바이올렛(Gentian Violet),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도큐세이트소듐솔트(docusate sodium salt), 스팬형 계면활성제(a SPAN-type surfactant),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Tween)),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및 글리세릴 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염(예컨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및 히알루론산 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가교 히알루론산 및/또는 비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00 kDa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100-4500, 150-3500, 200-2500 kDa, 220-1500 kDa, 240-1000 kDa 또는 240-490 kDa 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는 공지된 다양한 분자량의 CMC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MC의 평균 분자량은 90,000 kDa, 250,000 kDa 또는 700,000kDa 이다.
이당류는 수크로스, 락툴로스, 락토스, 말토스, 트레할로스 또는 셀로비오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수크로스, 말토스, 트레할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120)은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히알루론산, 물리적 접착제(게코), 폴리 아크릴,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 이소 부틸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점착제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120)은 금속, 고분자 폴리머 또는 점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유효 성분(EM)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적어도 어느 일부에 약학적, 의학적 또는 화장학적 유효 성분(E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제한적 예로서 유효 성분(EM)은 단백질/펩타이드 의약을 포함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르몬, 호르몬 유사체, 효소, 효소저해제, 신호전달단백질 또는 그 일부분, 항체 또는 그 일부분, 단쇄항체, 결합단백질 또는 그 결합 도메인, 항원, 부착단백질, 구조단백질, 조절단백질, 독소단백질, 사이토카인, 전사조절 인자, 혈액 응고 인자 및 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백질/펩타이드 의약은 인슐린, IGF- 1(insulinlikegrowth factor 1), 성장호르몬, 에리쓰로포이에틴, G-CSFs(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s), GM-CSFs(granulocyte/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s),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 터페론 감마, 인터루킨-1 알파 및 베타, 인터루킨-3, 인터루킨-4, 인터루킨-6, 인터루킨-2, EGFs(epidermal growth factors), 칼시토닌(calcitonin), ACTH(adrenocorticotropic hormone), TNF(tumor necrosis factor), 아토비스반(atobisban), 부세레린(buserelin), 세트로렉릭스(cetrorelix), 데스로레린(deslorelin),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디노르핀 A(dynorphin A)(1-13), 엘카토닌(elcatonin), 엘레이도신(eleidosin), 엡티피바타이드(eptifibatide), GHRHII(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II), 고나도레린(gonadorelin), 고세레린(goserelin), 히스트레린(histrelin), 류프로레린(leuprorelin), 라이프레신(lypressin),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옥시토신(oxytocin), 피트레신(pitressin), 세크레틴(secretin), 신칼라이드(sincalide), 테르리프레신(terlipressin), 티모펜틴(thymopentin), 티모신(thymosine), 트리프토레 린(triptorelin), 바이발리루딘(bivalirudin), 카르베토신(carbetocin), 사이클로스포린, 엑세딘(exedine), 란 레오타이드(lanreotide), LHRH(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나파레린(nafarelin), 부갑상선 호르몬, 프람린타이드(pramlintide), T-20(enfuvirtide), 타이말파신(thymalfasin) 및 지코노타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EM)은 미백, 필러, 주름제거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미용 성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성분(EM)은 미립자의 형태로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용매 내에 분산된 콜로이드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그 자체로 유효 성분(EM)이거나, 유효 성분(EM)을 담지하고 있는 코팅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성분(EM)은 마이크로니들(120)의 일부층에 집중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즉, 유효 성분(EM)은 마이크로니들(120)에서 특정 높이에 배치되므로,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EM)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효 성분(EM)이 마이크로니들(120) 내에 용해될 수 있다. 전술한 생분해성 물질들과 같은 마이크로니들(120)의 베이스 물질 내에 유효 성분(EM)이 용해되어 마이크로니들(120)을 구성할 수 있다.
유효 성분(EM)은 상기 베이스 물질에 고른 농도로 용해될 수 있고, 전술한 미립자와 같이 마이크로니들(120)의 특정 높이에 집중적으로 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에서 제조되는 마이크로니들(120)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의 차이를 가지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 복수 개의 레이어를 연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에서는 다층 구조의 마이크로니들(120)을 형성하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에서 제조되는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의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9와 같이,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제3 레이어(225)의 3층 구조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및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123)가 구비되는 마이크로니들(120)의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는, 제1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1), 제2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1)는, 제1 몰드에 제1 베이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S112), 제1 베이스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121)는 제1 몰드(M1)에 제1 베이스 물질이 주입 및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 (a)를 참조하면, 제1 몰드에 제1 베이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S112)에서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1 몰드(M1)에 제1 레이어(121)를 형성하는 제1 베이스 물질이 주입할 수 있다.
제1 몰드(M1)에 형성되는 홈부는 하측(도 17 (a) 기준)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한 횡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레이어(121)의 첨단팁(ST)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단팁(ST)이 형성되는 제1 레이어(121)의 일측(도 17 (a) 기준 하측)에 대향되는 상면은 소정 곡률을 가지며 첨단팁(ST)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물질은 건조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 몰드(M1)에 주입된 제1 베이스(110)의 건조 과정이 이루어진다. 제1 레이어(121)는 제1 베이스 물질의 점도 및 건조에 따른 수축성에 의해 상면(도 17 (a) 기준)이 소정 곡률을 가지며 첨단팁(ST)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도 17 (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에서는 건조가 이루어진 제1 레이어(121) 또는 제2 레이어(122) 상에 유체(F)가 분사될 수 있다.
도 17 (a)에서는 유체(F)가 제1 레이어(121) 상에 분사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유체(F)는 제1 몰드(M1)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즐(10)로부터 분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체(F)는 수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 (a)와 같이 유체(F)를 분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체(F)가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킬 수 있다. 유체(F)가 제1 레이어(121)의 상부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레이어(121)에 분사되는 유체(F)는 수분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레이어(121) 상에 분사되며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 상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제1 레이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도록 농도 구배가 구비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7 (b)를 참조하면, 제1 레이어(121)의 상면을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며 일체로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되는 일측(도 17 (b) 기준 하측)에 대향하는 타측(도 17 (b) 기준 상측)이 제1 레이어(121)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상면이 첨단팁(ST)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와 마주보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3 기준 하면)은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2 곡면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곡면과 제2 레이어(122)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곡면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접촉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 상에서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하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앙에 제1 지점(PK1)이 위치하게 되고, 제1 지점(PK1)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제2 지점(PK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레이어(121)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에 형성되는 첨단팁(ST)으로부터 제1 지점(PK1)까지의 거리는 첨단팁(ST)으로부터 제2 지점(PK2)까지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의 상면(도 3 기준)이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제1 레이어(121)에 형성되는 첨단팁(ST)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레이어(123)와 제2 레이어(122)가 연결되는 영역이 가장 자리를 따라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7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는 농도가 변형되는 단계(S121)를 포함하며, 농도가 변형되는 단계(S121)에서는,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를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첨단팁(ST)에서 연결레이어(123) 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의 길이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첨단팁(ST)에서 이격될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레이어(123)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농도 구배를 가지는 마이크로니들(120)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가 형성된 다음에 제1 레이어(121)의 상부 영역을 용해시키면서 뒤에 설명할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의 상부 영역을 마주보는 제2 레이어(122)의 하부 영역과 접촉 시 상기 하부 영역을 용해시키면서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접착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가지는 마이크로니들(120)을 제조함에 있어, 단일의 몰드에 제1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1 레이어를 제조하고, 제조된 제1 레이어 상에 제2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2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이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은, 각각의 몰드에서 서로 다른 레이어를 형성한 후 마주보는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여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레이어를 연결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120)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120)을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8 (a)를 참조하면, 제2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2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5)에서는 제2 몰드에 제2 베이스 물질은 주입하는 단계(S116), 제2 베이스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S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a)를 참조하면, 제2 몰드(M2)에는 미리 설정되는 제2 레이어(1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는 길이 방향(도 18 (a)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몰드(M2)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는 제1 레이어(121) 또는 제1 레이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되는 연결레이어(123)와 접촉할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122)에는 유효 성분(EM)이 함유되지 않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레이어(121)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EM)과 상이한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8 (a)를 참조하면, 제2 몰드(M2)에 제2 베이스 물질을 주입 후 제2 베이스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S117)를 거치게 된다. 제2 베이스 물질의 건조가 완료되면 제2 레이어(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몰드(M2)에서 제2 레이어(122)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8 (b)를 참조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에서, 제2 몰드(M2)에서 건조 후 추출되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18 (b) 기준 하면)에는 유체(F)가 분사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에서 유체(F)는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7 (a)와 같이 제1 레이어(121)의 상면에 유체(F)를 분사한 다음에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고, 제2 몰드(M2)에서 제조 및 추출되는 제2 레이어(122)를 연결레이어(123)에 접촉 연결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8 (b)를 참조하면, 제2 몰드(M2)에서 건조 후 추출되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18 (b) 기준 하면)에 유체(F)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유체(F)는 제2 레이어(122)의 외측에 배치되는 노즐(10)로부터 분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체(F)는 수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c)를 참조하면, 제2 레이어(122)의 일면에 분사되는 유체(F)는 제2 레이어(122)의 일면(도 18 (c) 기준 하면을 용해시킬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에 분사되는 유체(F)가 제2 레이어(122)의 하면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고,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되며 일체로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는 제2 레이어(122)와 연결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제1 레이어(121)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제2 레이어(1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레이어(123)는 제1 레이어(121)의 상면을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F)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에 모두 분사되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고,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유체(F)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에 각각 분사되며,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의 상측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고, 제2 레이어(122)의 하측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레이어를 연결하는 단계(S130)에서, 연결레이어(123)를 통해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고,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접착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에 유체(F)가 분사되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되면서 농도가 변형되는 단계(S121)를 거치게 되며,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농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경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첨단팁(ST)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17 (b)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EM)이 함유되는 경우, 연결레이어(123)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레이어(121)에 근접할수록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다르게 형성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내에 침투하는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달될 수 있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특정 구간에 형성되는 연결레이어(123)로 인해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의 체내에 전달되는 유효 성분(EM)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일의 몰드에 제1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1 레이어(121)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제1 레이어(121) 상에 제2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2 레이어(122)를 형성하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서로 다른 몰드에서 각각 제조하고, 제1 레이어(121) 및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 연결레이어(123)를 형성시킨 다음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시킬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200)에서는 마이크로니들(120)의 일면에 베이스(11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이 지지되는 것으로, 베이스(110)의 일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고, 반대의 타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이식되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피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베이스(110)와 마이크로니들(120)이 연결되는 부분이 먼저 용해되어, 부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베이스(110)를 제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장시간 부착 시에 베이스(110)가 용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베이스(110)는 용해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필요 시 사용자가 용해를 위한 물질을 베이스(110)상에 도포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에 포함된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과 같이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의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110)는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한 이후에 베이스(110)에서 나오는 생리 활성 물질에 의해서 유효 약물이 효과적으로 환자 등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에서 나오는 생리 활성 물질에 의해서 베이스(110)와 마이크로니들(120)이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에서 가장 인접한 레이어, 즉, 마이크로니들(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팁, 구체적으로 첨단팁(ST)에서 가장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이어보다 늦은 용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에서 베이스(110)와 인접한 부분은 가장 빨리 용해되므로, 베이스(110)가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110)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이외의 첨가물(예를 들면, 이당류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110)는 약물 또는 유효 성분(EM)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마이크로니들(120)의 베이스 물질로 선택되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기본 물질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가 사용자에 부착되어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마이크로니들 패치(100)가 피부에 부착되고, 마이크로니들(120)의 레이어들이 생분해되면서 약물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효 성분(EM)이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되어, 진피(DEM)에 전달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유효 성분(EM)이 제2 레이어(122)에 탑재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유효 성분(EM)은 표피(EPM)에도 전달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7 (a)를 보면,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는 피부에 부착된다.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에 삽입되고, 베이스(110)는 피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 (b)를 보면,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의 내부에서 생분해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피부에 삽입되고, 베이스(110)는 피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 (c)를 보면, 마이크로니들(120)에서 유효 성분(EM)이 방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21)가 생분해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탑재된 유효 성분(EM)이 진피(DEM)에 전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할 수 있고,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접착 연결시킴으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의 길이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유효 성분(EM)의 농도가 감소하는 구간, 구체적으로 연결레이어(123)에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에 탑재되는 유효 성분(EM)의 농도는 첨단팁(ST)이 형성되는 일측(도 7 기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120)이 사용자의 체내에 삽입되며, 깊이에 따라 유효 성분(EM)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레이어(122)에 유효 성분이 탑재될 수 있으며, 연결레이어(123)가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2 레이어(1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제1 레이어(121)에 연결되는 경우 제2 레이어(122)에 탑재되는 유효 성분의 농도는 베이스(110) 측에서 제1 레이어(121) 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은 코팅층(124)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120)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를 구비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120)의 외측에 코팅층(124)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고, 연결레이어(123)를 형성하여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접착 연결시키며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 이후에, 제조된 마이크로니들(120)을 코팅액에 침지하여 코팅층(124)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피부에 삽입되고 난 후에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24)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피부에 삽입되어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24)이 피부에 삽입되면, 유효 성분(EM)이 주입되기 전에, 코팅층(124)은 가장 먼저 활성화되면서, 유효 성분(EM)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빠른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1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보다 생체 분해 속도가 느린 물질로 형성되어, 코팅층(124)의 생체 내 분해 속도는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 연결레이어(123)의 생체 내 분해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을 삽입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약물이 전달되어, 목표하는 적절한 시간에 유효 성분(EM)을 체내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123)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삽입 시에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24)을 형성하는 단계는,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200) 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마이크로니들(120)에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200) 이후에 코팅층(124)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120)을 삽입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약물이 전달되어, 목표하는 적절한 시간에 유효 성분(EM)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팅층(124)은 마이크로니들(1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코팅층(124)은 제1 레이어(121), 제2 레이어(122)를 연결하는 연결레이어(123)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마이크로니들(120)이 피부에 삽입 시에 제1 레이어(121)와 제2 레이어(1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S110)에서 3개의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레이어는 서로 다른 몰드에 각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연결레이어를 형성하고, 연결레이어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유효 성분의 농도가 변형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단계(S120)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여 연결레이어(223A)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레이어(222), 제3 레이어(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여 연결레이어(223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의 상면에 유체(F)를 분사하며, 제1 레이어(221), 제2 레이어(222)의 상부 소정 영역을 용해시켜 연결레이어(223A, 223B)를 형성할 수 있는데, 제2 레이어(222)와 마주보는 연결레이어(223A)의 상면은 제1 곡률(RA)을 가지며 제1 레이어(221)를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레이어(225)와 마주보는 연결레이어(223B)의 상면은 제2 곡률(RB)을 가지며 제2 레이어(222)를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률(RA), 제2 곡률(RB)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레이어(223A, 223B)의 곡률은 마이크로니들(22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레이어(221)에는 제1 유효 성분(EM1)이 탑재될 수 있고, 제2 레이어(222)에는 제2 유효 성분(EM2)이 탑재될 수 있다.
제1 레이어(221)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레이어(223A)에는 제1 유효 성분(EM1)이 함유될 수 있고, 제1 레이어(221)의 첨단팁(ST)에서 제2 레이어(222) 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유효 성분(EM1)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도록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레이어(222)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레이어(223B)에는 제2 유효 성분(EM2)이 함유될 수 있고, 제1 레이어(221) 측에서 제3 레이어(225) 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 유효 성분(EM2)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도록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연결레이어(223A, 223B)에서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의 농도를 조절하여 탑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레이어를 제조하기 위해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키고, 그 위에 다른 레이어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을 주입 및 건조시킬 필요 없이, 서로 다른 몰드에서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각각 제조하고, 적층되는 한 쌍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상기 한 쌍의 레이어를 접착 연결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220) 및 마이크로니들(220)에 베이스(210)가 연결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300)는 베이스(310), 마이크로니들(320), 샤프트(333)를 포함할 수 잇다. 마이크로니들(320)은 제1 레이어(321), 제2 레이어(322), 연결레이어(323)를 포함할 수 있고,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200)와 같이 3개 이상의 레이어가 층상 구조로 가지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샤프트(330)는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은 샤프트(330)로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S100)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320)에 샤프트(330)를 연결한 다음 베이스(310)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310)에 샤프트(330)를 연결한 다음 마이크로니들(320)에 연결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샤프트(330)로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연결하는 단계는, 샤프트(330)와 마이크로니들(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F)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320)의 제2 레이어(322)를 마주보는 샤프트(330)의 일면(도 12 기준 하면)에 유체(F)가 분사되며, 샤프트(330)의 하측(도 12 기준) 소정 영역이 용해될 수 있다.
샤프트(330)의 하측(도 12 기준)에서 용해되는 소정 영역은 마이크로니들(320)에 구비되는 연결레이어(323)와 동일하게 연결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레이어와 마주보는 마이크로니들(3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322)에 접촉 시 샤프트(33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니들(320), 구체적으로 샤프트(330)를 마주보는 제2 레이어(322) 상에 외부에 위치하는 노즐(10) 등의 분사 장치로부터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되는 유체(F)는 제2 레이어(322)의 상측(도 12 기준) 소정 영역을 용해시킬 수 있고, 제1 레이어(321)와 제2 레이어(322)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레이어(323)와 동일하게 연결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레이어와 마주보는 샤프트(330)와 접촉 시 샤프트(33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레이어(322)의 상측(도 12 기준) 소정 영역이 용해되며 형성되는 연결레이어로 인하여 제2 레이어(322)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은 마이크로니들(3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322)의 길이 방향(도 12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농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322)의 상측(도 12 기준) 영역이 유체(F)에 의하여 용해됨으로 인하여 제2 레이어(322)의 하측(도 12 기준) 영역에 비하여 유효 성분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레이어(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의 농도가 다르게 형성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레이어(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농도 구배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320)이 대상체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제2 레이어(3220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의 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즐(10) 등의 분사 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는 서로 마주보는 샤프트(330)의 일면(도 12 기준 하면)과 마이크로니들(3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322)의 일면(도 12 기준 상면)에 각각 분사되며, 소정 영역을 용해시킬 수 있다.
소정 영역이 용해되며, 연결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샤프트(330)와 마이크로니들(320), 구체적으로 제2 레이어(322)가 접촉 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F)가 제2 레이어(322)의 상측(도 12 기준)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연결레이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레이어(322)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의 농도는 제2 레이어(322)의 길이 방향(도 12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레이어(322)는 제1 레이어(321) 측에서 샤프트(330) 측으로 갈수록 유효 성분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30)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320)은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샤프트(330)의 길이에 의해서 마이크로니들 패치(300)는 유효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깊게 전달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0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므로, 먼저 생체 내에서 용해될 수 있다.
샤프트(330)가 용해되면 마이크로니들(320)은 사용자의 피부 내에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베이스(310)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마이크로니들(320)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샤프트(330)를 구성하는 베이스 물질은 마이크로니들(320)보다 더 빠른 생체 내에서 잘 분해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니들 패치(3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면, 샤프트(330)가 신속하게 용해되어 베이스(310)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은, 샤프트(330)로 베이스(310)와 마이크로니들(320)을 연결하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의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를 연결하는 단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레이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함에 있어, 복수 개의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제조하여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각각 제조한 후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 연결레이어를 형성하여 복수 개의 레이어를 접착 연결시킬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 및 마이크로니들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레이어가 유효 성분이 탑재되는 레이어의 소정 영역을 용해시키며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레이어가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유효 성분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효 성분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되며 농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농도 구배가 형성됨에 따라 유효 성분의 활성 위치에 따라 표피, 진피, 피하 지방, 근육 중 어느 하나에 적정 농도로 유효 성분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