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22054966A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4966A1
WO2022054966A1 PCT/KR2020/012077 KR2020012077W WO2022054966A1 WO 2022054966 A1 WO2022054966 A1 WO 2022054966A1 KR 2020012077 W KR2020012077 W KR 2020012077W WO 2022054966 A1 WO2022054966 A1 WO 20220549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t
shoe
doorway
link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0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효만
Original Assignee
배효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만 filed Critical 배효만
Priority to PCT/KR2020/0120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54966A1/ko
Publication of WO20220549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4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that a user can use to walk conveniently.
  • an elastic band wa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hoe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elastic band in the process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 shoe.
  • the elastic band is given the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in order to expand the entrance of the shoe, you have to hold the heel with your hand and keep pulling it. There is discomfo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that a user can easily put on and take off.
  •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member includ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oot enters and exit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t, and a floor on which the foot is seated; a footrest memb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body member, and that when one side is pressed by a part of the foot, the other side is raised; And one sid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caffold member,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oorway,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the expansion unit is rotated by the scaffold member to open the doorway; includes; .
  •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el support that can be installed in a shape of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connected to surround and support the heel and can be installed in the shoe by rotating the corner part about the axis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aintained in the rotated state, and the doorway is It is formed to be expandabl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way is expanded by rotating the heel support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doorway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pushing the foot into the doorway and pressing the horizontal bar with the sole of the foot to return the heel support to its original position. Shoes are worn by making them shrink to size.
  •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member and an expansion unit. 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on and takes of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of the shoe can be naturally expanded by the expansion unit. Accordingly, the user can put on the shoes without touching them, and as a result, it can be very convenient to put on and take off the sho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hoe of FIG. 1 .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the shoe of FIG. 1 .
  • FIG. 4 to 6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hoe of FIG. 1 .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does not enter the shoe.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unit is rotated by pressing the front part of the footrest member by the heel of the foot.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t are all in the shoe.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hoe of FIG. 7 .
  •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e of Fig. 7;
  • 10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hoe of FIG. 7 .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unit is rotated by pressing the front part of the footrest member by the heel of the foot.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t are all in the shoe.
  •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let and then separated.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eel support and the sole i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horizontal bar of the heel support is fixed to the floor by the fixing means while the user puts on the shoes.
  • 1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horizontal bar i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view showing a sho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a sho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member includ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oot enters and exit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t, and a floor on which the foot is seated; a footrest memb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body member, and that when one side is pressed by a part of the foot, the other side is raised; And one sid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caffold member,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oorway,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the expansion unit is rotated by the scaffold member to open the doorway; includes; .
  •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ember 110 , a footrest member 120 , and an expansion unit 130 .
  • the body member 110 is a part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shoe 100 .
  • the body member 110 includes an entrance (T) through which the foot enters and exits, an accommodating space (G) for accommodating the foot, and a bottom part 111 on which the foot is seated. Since the external shape or material of the body member 110 may b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sho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ody membe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trusion 111a protruding from the bottom part 111 toward the footrest member 120 .
  • the protrusion 111a may support a middle portion of the footrest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one end of the footrest member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wered, the other end may perform a seesaw mo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11a as a reference.
  • the footrest member 12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111 of the body member 110, and when one side is pressed by a part of the foot, the other side may be raised.
  • the footrest member 12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ser's sole.
  • the footrest member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for exampl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11 , and the free end is adjacent to the bottom part 111 rather than the expansion unit 130 . can be located.
  • the footrest member 120 is position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 111a so that when one side is pressed from above to the bottom, the other side may be raised.
  • the footrest member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 the scaffold member 120 may be manufactured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bottom part 111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140 .
  •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be embedded in the scaffold member 120 .
  •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be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than the scaffold member 120 .
  •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allow the seesaw movement of the footrest member 120 to be performed more smoothly.
  •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embedded is, for example, one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111a is located, and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extended from the footrest member 120 . It may be located at an end adjacent to the unit 130 . Accordingly, when the scaffold member 120 is seesawed by an external force, the reinforcing plate 140 prevents the scaffold member 120 from being excessively bent, so that the scaffold member 120 stably supports the expansion unit 130 . can be made to rotate.
  • the expansion unit 130 expands the entrance (T) of the body member (110).
  • one side of the expansion unit 130 is located adjacent to the scaffold member 120 ,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T).
  • the expansion unit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110 and is rotated by the footrest member 120 to expand the entrance (T).
  • the expansion unit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e member 131 , a rotation member 132 , and a hinge member 133 .
  • the base member 131 wraps around a part of the foot.
  • the base member 131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heel of the foot.
  •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base member 131 may be an alphabetic 'U' shape.
  • the rotating member 132 is rotated by the footrest member 120 so that the entrance (T) can be expanded.
  • the rotation member 132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act portion 132a and an extension portion 132b.
  • the contact portion 132a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a portion of the scaffold member 12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bottom 111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caffold member 120 .
  • the extended part 132b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132a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T.
  • the extension 132b may be positioned to be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ase member 131 to the outside.
  •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32b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t from interfering with the extension portion 132b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entrance (T).
  •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rotation member 132 including the extension portion 132b and the contact portion 132a may be, for example, an alphabetical 'L' shape.
  • the hinge member 13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13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31 .
  • the hinge member 133 allows the rotation member 132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footrest member 120 so that the extension part 132b expands the doorway T.
  • the hinge member 133 may include, for example, a shaft 133a.
  • the shaft 133a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rotation member 132 , and both ends may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131 .
  • the hinge member 133 is not limited to including the shaft 133a, and any one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132 may be used.
  • the forefoo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trest member 120 .
  • the heel presses the front part of the scaffold member 120 , and the back part of the scaffold member 120 rises while the scaffold member 120 performs a seesaw motion with the protrusion 111a as an axis.
  • the contact portion 132a of the rotation member 132 included in the expansion unit 13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111 and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111 . can rise as it becomes.
  • the extension 132b included in the rotating member 132 rotates clockwise when viewed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with the hinge member 133 as the center, and rotates a portion of the entrance (T) of the shoe 100. By pressing, the entrance (T) of the shoe 100 can be expanded.
  • the user may be easier to put the foot into the entrance (T) of the shoe (100).
  • the heel of the foot presses the contact portion 132a of the footrest member 120, and the footrest member 12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rotation member 132 also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ill return to position.
  • the rotation member 132 and the base member 131 surround the heel, and the shoe 100 may provide a stable fit to the user.
  •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member 210 , a footrest member 220 , and an expansion unit 230 .
  • the body member 210 may be similar to the body member 210 included in the shoe 100 (refer to FIG. 1 )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protrusion 210 is not included. However, in a portion of the bottom 111 of the body member 210 included in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in which the footrest memb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s drawn in by a predetermined depth to provide a footrest. The member 220 may freely perform a seesaw motion.
  • the footrest member 220 may have a plate shape,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111 of the body member 210 .
  • the other end of the footres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expansion unit 230 in a link manner. When one end of the footrest member 22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other end may be raised.
  • the middle part of the footrest member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111 like the shoe 100 (see FIG. 1 )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11 differently. can When one side of the footrest member 220 goes down like a seesaw, the other side can go up.
  • the expansion unit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rotation member 232 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
  • the rotating member 232 is a portion rotated by the footrest member 220 .
  • the rotation member 232 may include, for example, a link part 232a, an extension part 232b, and a connection part 232c.
  • the link part 232a may be coupled to the footrest member 220 in a link manner, and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part 111 .
  • a middle portion of the link portion 232a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footrest member 220 .
  • a portion of the footrest member 220 may be formed to extend to a middle portion of the link portion 232a.
  • the rotation pin P may pass through the footrest member 220 and be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232 .
  • the link part 232a may have a flat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111 .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1 may be on one side of the link part 232a.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12 corresponds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1 in the scaffold member 220 .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member 232 and the scaffold member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member 23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downward than the scaffold member 220 .
  • the extension part 232b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part 232a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T.
  • the connection part 232c may allow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link part 232a and the extension part 232b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11 .
  •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rotation member 232 may be, for example, an alphabetic 'L' shape.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may be installed below the link part 232a of the rotation member 232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let part 210a of the body member 210 .
  • the body member 210 may include an inlet portion 210a introduced from the bottom portion 111 .
  • the lead-in portion 210a may be introduc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may have a slightly larger size than the inlet portion 210a.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may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restored to its initi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may be, for example, a partially bent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easy to insert or separate into the inlet portion 210a. there is.
  • a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210a in contact with the fre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may include a catching portion 210b that slightly protrudes towar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
  • the locking portion 210b may prevent the fre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ion 210a.
  • the separation A portion of the prevention member 233 may be slightly deformed and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210a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ccordingly, the rotation member 232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210 .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33 is accommodated in the inlet part 210a so that the link part 232a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111 . it can be prevented
  • the forefoo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trest member 220 .
  • the heel presses the front part of the scaffold member 220, and the scaffold member 220 performs a seesaw motion based o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111 of the body member 210.
  • the rear part of the footrest member 220 rises.
  • the link part 232a and the expansion part 232b of the rotation member 23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32c as the center. Since a portion of the entrance (T) of the shoe 200 is pressed while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the entrance (T) of the shoe 200 can be expanded.
  •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1 ), the footrest member 220 and the expansion unit 230 are coupled in a link manner. Accordingly, the expansion unit 230 is more stably operated by the seesaw operation of the footrest member 220 to reliably expand the entrance (T) of the shoe 200 .
  •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beautiful appearance because the expansion unit 2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compared to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1 ). can be done
  •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member 220 and an expansion unit 230 . 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on and takes off the sho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T of the shoe 200 may be naturally expanded by the expansion unit 230 . Accordingly, the user can put on the shoes 200 without touching them, and as a result, the process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can be very convenient.
  • the sho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el support 330 in the form of wrapping the heel to be installed inside the shoe 300, and the doorway (T) is formed to be expandable.
  • the rear axle support 330 forms a shape in which the vertical bar 35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ne end of the plate-shaped horizontal bar 34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bar 340 and the vertical bar 350 are connected, that is, the corner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heel by forming a gentle curve.
  • the vertical bar 350 is embedded in the heel upper of the shoe 300 and the horizontal bar 340 is installed to be disposed under the insol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 the heel support 330 is rotated around the corner portion as an axis.
  • the corner part rotates while supported by the shoe sole, and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 340 is lifted.
  • side bars 380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vertical bar 350 , and a pivot bar 390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bars 380 .
  • the side band 38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efoot direction. The length does not reach the central point of the tongue 310 formed in the shoe 300 , which is a length formed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pivot table 390 .
  • the pivot 390 is pivotal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bar 380 so that it can rotate and is formed in a round shape surrounding the instep.
  • the portion located on the instep of the pivot table 390 is connected to the tongue 310 in the shoe 300,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ongue 310 and fixed with a separate tightening button.
  • the pivot 390 may be formed to be adjusted in size.
  • it is divided into a left member and a right member in a portion positioned on the instep to form a form overlapp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ole form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ot is perforated in any one of the left member and the right member is a structure that becomes Accordingly, when the button is penetrated through the hole and tightened, the size of the pivot table can be adjusted to fit the wearer's foot size, and the adjusted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angle formed with the side bar 380 forms an obtuse angle.
  • the tip of the side stand 380 is lifted and the pivot 390 is pushed up and the angle between the side stand 380 and the pivot 390 is As it grows, the tongue 310 can be pushed up.
  • the entrance (T) is formed to be expandable.
  • the bar is formed to be selectively expanded, and the wrinkle portion 320 is formed so that the wrinkle portion 320 is expanded while the doorway is expanded, and when the wrinkle portion 320 is retracted, it is form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ize.
  • the wrinkle portion 32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int where both ankle bones are positioned when the shoe 300 is worn. And additionally, the wrinkle portion 320 is also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tongue 310 is connected to the doorway T, so that the doorway T is expanded while the tongue 310 is pushed up when the tongue 310 is pushed up.
  • the wrinkle part 320 as an embodiment is different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trance (T) can be expanded as needed, such 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point of the entrance (T) is cut to form a band with elasticity at the incision point. can be carried out.
  • the sho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ally deformable part 380 .
  •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38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restored to an initi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part 311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bar 340 .
  •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380 elastically supports the horizontal bar 340 .
  • the horizontal bar 340 deforms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380 ,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380 may have a squished shape.
  •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380 is about to restore to its initial shape, so that the horizontal bar 340 can push the horizontal bar 340 away from the bottom part 311. there is.
  • Heel support 330 may be formed so as not to rotate when wearing shoes. It is achieved by the fixing means, the fixing means serves to selectively fix the horizontal bar 340 to the bottom.
  •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sliding plate 360 reciprocating along a locking protrusion 34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stand 340 and a sliding groove 311a formed on the bottom.
  • the sliding groove (311a)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shoe, and the sliding plate 360 is formed to a depth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out protruding. It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art 311 itself, but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and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bar 340 and other parts during operation of the sliding plate 360, a separate case is provided to be embedded in the bottom part. can
  • the sliding plate 360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forming a constant area, and a locking hole 361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4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340 passes is formed.
  • the locking protrusion 342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has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ortions, for example, a cross-section is formed to form an arrow shape.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360 is pushed toward the heel after passing through the locking hole 361, it is caught by the locking hole 361 and does not fall out.
  • the sliding plate 360 is connect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horizontal stand 340 by an operation link 371 .
  • the operating link 371 connects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plate 360 and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 340, and is formed to be pivotally fixed to the sliding plate 360 and the horizontal bar 340, respectively, and rotated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is inclined to a certain degree toward the
  • the operation link 37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ink 372, and the support link 372 has one end shaft-fixed to the sliding groove 311a bottom, and the other end is shaft-fixed near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371. .
  • the shaft is fix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rating link 371 .
  • 15 and 1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horizontal bar of the heel supporter is fixed to the floor by fixing means in the process of wearing shoes.
  • the rear axle support 330 is formed with a shaft projection 344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rod 340 at the corner where the horizontal rod 340 and the vertical rod 350 are connected, and the shaft projection 344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 a shaft groove 311b to be seated may be formed. Therefore, since the shaft projection 344 rotates while being fitted in the shaft groove 311b, the rear shaft support 330 rotates the shaft projection 344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as an axis. Accordingly, the heel support 330 is able to rotate without being pushed back and forth.
  •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selectively fixes the horizontal bar 340 to the bottom, which is achieved by interlocking the horizontal bar 340 and the sliding plate 360 . do.
  • the leveling bar 340 is pressed by the sole of the foot, and accordingly, the leveling board 340 that has been lift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operating link 371 supported by the support link ( ) rotates counterclockwise to push the tip of the sliding plate 360 toward the heel.
  • the locking protrusion 342 is stuck in the locking hole 361 again, and when completely embedded,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42 whose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361 .
  • the pivot 39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and the wrinkle portion 320 is closed, and the entrance is closed again to its original size, so that the wearing of the shoes 300 is completed.
  • the sliding plate 360 does not operate again, and the position of the heel support 330 is stably maintain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heel support 330 can be stably maintained while the shoe 300 is being worn, and in particular, the doorway that has been expanded by the operation of the heel support 330 as described above is the operation of wearing the shoes 300 . As it shrinks back to its original size,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wear the shoes 300 .
  • FIG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horizonta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ing means for selectively fixing the horizontal bar 3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eel support 330 is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34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340 and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342 is fitted and caught.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locking hole 361 to be.
  • the locking protrusion 34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has a larger width than other parts, and the locking hole 361 has a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diameter is elastically expanded at the entrance of the groove. It is formed by installing a plate having a ball 361 .
  • the plate on which the locking hole 361 is forme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and the inlet is elastically expand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342 passes and is caught.
  •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42 is divided so that the diameter is elastically reduced, and the locking hole 361 may be formed on a plate made of a solid material. According to this, when the locking protrusion 342 passes through the locking hole 361 , the diameter decreases and then expands to its original size after passing completely,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342 is caught by the locking hole 361 .
  • FIG. 18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ho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structure capable of facilitating wearing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shoes 300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hoes 300 of the shape shown above.
  • the wrinkle part 320 formed in the heel support 330 entrance and the tongue 310 to the shoes 300 for special purposes, including sports shoes and shoes, as well as hiking boots. it can be don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신발은 발이 출입되는 출입구와, 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 몸체 부재의 바닥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의 일부분에 의해 일측이 눌리는 경우, 타측이 상승되는 발판 부재; 및 일측은 상기 발판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확장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견고하게 감싸야 하므로 입구가 발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신고 벗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데, 신발을 신을 때에는 구두 주걱을 이용하거나 허리를 숙여 손가락으로 뒤꿈치 부분을 잡고 신게 되고, 벗을 때는 뒤꿈치 부분을 손이나 발로 누른 상태에서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입구에 신축밴드를 형성하여 신발을 신고 벗는 과정에서 신축밴드가 늘었다 줄었다 하면서 입구가 확장되는 구조를 통해 좀 더 쉽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신축밴드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부여된 상태이므로, 신발의 입구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뒤꿈치를 손으로 잡고 계속 당기고 있어야 하고, 발을 신발에 넣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발에 쓸리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발이 출입되는 출입구와, 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 몸체 부재의 바닥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의 일부분에 의해 일측이 눌리는 경우, 타측이 상승되는 발판 부재; 및 일측은 상기 발판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확장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수평대와 수직대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를 구비하고, 출입구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출입구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출입구가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도록 하여 신발을 신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발판 부재와 확장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신발의 출입구가 확장 유닛에 의해 자연스럽게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대지 않고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고 벗기가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에서 Ⅲ-Ⅲ'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신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이 신발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의 앞꿈치가 발판 부재의 앞부분을 눌러서 확장 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발이 신발 안에 모두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신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의 신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발의 앞꿈치가 발판 부재의 앞부분을 눌러서 확장 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발이 신발 안에 모두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탈 방지 부재가 인입부에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신발에서 뒤축지지대와 바닥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5, 16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뒤축지지대의 수평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바닥부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신발에서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발은 발이 출입되는 출입구와, 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 몸체 부재의 바닥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의 일부분에 의해 일측이 눌리는 경우, 타측이 상승되는 발판 부재; 및 일측은 상기 발판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확장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몸체 부재(110), 발판 부재(120) 및 확장 유닛(130)을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는 신발(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 부재(110)는 발이 출입되는 출입구(T)와, 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G)과,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111)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의 외부 형상 또는 소재는 일반적인 신발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몸체 부재(110)는 일례로 바닥부(111)로부터 상기 발판 부재(12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1a)는 후술할 발판 부재(12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발판 부재(120)는 일단이 하강되면, 돌출부(111a)를 기준으로하여 타단이 상승하는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발판 부재(120)는 몸체 부재(110)의 바닥부(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의 일부분에 의해 일측이 눌리는 경우, 타측이 상승될 수 있다. 발판 부재(120)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발판 부재(120)는 일례로 판(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바닥부(111)에 연결되고, 자유단은 상기 확장 유닛(130)보다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판 부재(120)는 중간 부분이 상기 돌출부(111a)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일측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타측은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 부재(12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판 부재(120)는 제조 과정에서 바닥부(111)와 일체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보강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140)은 발판 부재(120)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다. 보강판(140)은 발판 부재(120)보다는 강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140)은 발판 부재(120)의 시소 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보강판(140)이 매설되는 위치는 일례로, 보강판(140)의 일단은 돌출부(111a)가 위치되는 부분에 위치되고, 보강판(140)의 타단은 발판 부재(120)에서 확장 유닛(130)과 인접한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 부재(120)가 외력에 의해 시소 운동되는 경우, 보강판(140)은 발판 부재(120)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판 부재(120)가 확장 유닛(130)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확장 유닛(130)은 몸체 부재(110)의 출입구(T)를 확장시킨다. 이를 위한 확장 유닛(130)의 일측은 상기 발판 부재(120)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출입구(T)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확장 유닛(130)은 상기 몸체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부재(12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T)를 확장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확장 유닛(130)은 일례로 베이스 부재(131), 회전 부재(132) 및 힌지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31)는 발의 일부를 감싼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 부재(131)는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베이스 부재(131)의 수평 단면의 형상은 알파벳 'U'형상일 수 있다.
회전 부재(132)는 발판 부재(120)에 의해 회전되어 출입구(T)가 확장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 부재(132)는 일례로 접촉부(132a)와 확장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32a)는 상기 발판 부재(120)에서 바닥부(111)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발판 부재(120)와 접촉될 수 있다. 확장부(132b)는 상기 접촉부(132a)와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T)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확장부(132b)는 베이스 부재(131)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132b)의 자유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이 출입구(T)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확장부(132b)와 발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부(132b)와 접촉부(132a)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132)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일례로 알파벳 'L'형상일 수 있다.
힌지 부재(133)는 상기 회전 부재(132)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부재(133)는 상기 발판 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132)가 회전되게 하여 상기 확장부(132b)가 출입구(T)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힌지 부재(133)는 일례로 샤프트(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33a)는 회전 부재(13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양단은 베이스 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힌지 부재(133)가 샤프트(133a)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회전 부재(1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100)을 신기 위해 발을 몸체 부재(110)의 출입구(T) 진입시키면, 앞꿈치가 발판 부재(120)에 닿게 된다. 이때 앞꿈치가 발판 부재(120)의 앞부분을 누르게 되고, 돌출부(111a)를 축으로하여 발판 부재(120)가 시소 운동을 하면서 발판 부재(120) 뒷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 부재(120)의 뒷부분이 상승을 하면, 확장 유닛(130)에 포함된 회전 부재(132)의 접촉부(132a)가 바닥부(111)에 접촉되어 있다가 바닥부(111)로부터 분리되면서 상승할 수 있다. 회전 부재(132)에 포함된 확장부(132b)는 힌지 부재(133)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신발(100)의 출입구(T)의 일부분을 가압하므로, 신발(100)의 출입구(T)가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발을 신발(100)의 출입구(T)로 집어넣기가 쉬워질 수 있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발을 신발(100) 속으로 완전히 집어넣으면, 발의 뒷꿈치가 발판 부재(120)의 접촉부(132a)를 누르면서 발판 부재(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회전 부재(132) 또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32)와 베이스 부재(131)가 발뒤꿈치를 감싸게 되고, 신발(100)은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은 몸체 부재(210), 발판 부재(220) 및 확장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재(21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 도 1 참조)에 포함된 몸체 부재(210)와 유사할 수 있으나, 돌출부(210)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에 포함된 몸체 부재(210)의 바닥부(111)의 일부분은 후술할 발판 부재(220)가 위치되는 부분이 일정 깊이만큼 인입되어 발판 부재(220)가 자유롭게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발판 부재(220)는 판(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 부재(210)의 바닥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발판 부재(220)의 타단은 상기 확장 유닛(230)과 링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발판 부재(220)의 일단이 외력에 의해 눌리는 경우, 타단이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 부재(220)의 중간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 도 1 참조)와 같이 바닥부(111)와 분리된 것도 가능하고, 이와 다르게 바닥부(111)와 연결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 부재(220)는 시소와 같이 어느 한쪽이 내려가면 반대쪽은 올라갈 수 있다.
확장 유닛(230)은 일례로 회전 부재(232)와 이탈 방지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232)는 발판 부재(220)에 의해 회전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 부재(232)는 일례로 링크부(232a), 확장부(232b) 및 연결부(232c)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232a)는 상기 발판 부재(220)와 링크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부(232a)의 중간 부분이 발판 부재(220)의 끝부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 부재(220)의 일부분은 링크부(232a)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핀(P)이 발판 부재(220)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2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232a)는 바닥부(111)와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제1 경사면(1111)이 링크부(232a)의 일측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면(1112)이 발판 부재(220)에서 제1 경사면(1111)과 대응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32)와 발판 부재(220)가 서로 접촉되는 경우, 회전 부재(232)가 발판 부재(220)보다 아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부(232b)는 상기 링크부(232a)와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T)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232c)는 상기 링크부(232a)와 확장부(232b)의 경계 부분이 바닥부(111)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232)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일례로 알파벳 'L'형상일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233)는 상기 회전 부재(232)의 링크부(232a)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 부재(210)의 인입부(210a)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 부재(210)는 바닥부(111)로부터 인입된 인입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210a)는 이탈 방지 부재(233)와 대응되는 크기로 인입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이탈 방지 부재(233)는 인입부(210a)보다 다소 큰 크기인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이탈 방지 부재(233)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233)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일례로 일부분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인입부(210a)에 삽입 또는 분리가 용이한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무방할 수 있다.
한편, 인입부(210a)에서 이탈 방지 부재(233)의 자유단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이탈 방지 부재(233) 측으로 다소 돌출된 걸림부(210b)가 있을 수 있다. 걸림부(210b)는 이탈 방지 부재(233)의 자유단이 인입부(210a)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233)가 인입부(210a)보다 다소 큰 크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탈 방지 부재(233)가 인입부(210a)에 삽입되는 경우, 이탈 방지 부재(233)의 일부분이 다소 변형되면서 인입부(210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32)가 몸체 부재(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232a)가 바닥부(111)에 밀착되는 경우, 이탈 방지 부재(233)는 상기 인입부(210a)에 수용되어 상기 링크부(232a)가 바닥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32)가 몸체 부재(210)로부터 회전되는 경우, 이탈 방지 부재(233)가 인입부(210a)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면서 초기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을 신기 위해 발을 몸체 부재(210)의 출입구(T)로 진입시키면, 앞꿈치가 발판 부재(220)에 닿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앞꿈치가 발판 부재(220)의 앞부분을 누르게 되고, 몸체 부재(210)의 바닥부(111)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하여 발판 부재(220)가 시소 운동을 하면서 발판 부재(220) 뒷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발판 부재(220)와 확장 유닛(230)의 회전 부재(232)가 링크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 부재(232)의 링크부(232a)와 확장부(232b)가 연결부(232c)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신발(200)의 출입구(T)의 일부분을 가압하므로, 신발(200)의 출입구(T)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 도 1 참조)과 다르게, 발판 부재(220)와 확장 유닛(230)이 링크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 부재(220)의 시소 동작에 의하여 확장 유닛(230)이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되어 신발(200)의 출입구(T)를 확실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 도 1 참조)과 비교하여 확장 유닛(2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200)은 발판 부재(220)와 확장 유닛(2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200)을 신고 벗을 때 신발(200)의 출입구(T)가 확장 유닛(230)에 의해 자연스럽게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대지 않고 신발(200)을 신을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고 벗는 과정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300)은, 신발(3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발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되는 뒤축지지대(330)를 구비하고, 출입구(T)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된다.
뒤축지지대(330)는 일정 면적으로 되는 판 형상의 수평대(340) 일단에 수직대(350)가 세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이룬다. 수평대(340)와 수직대(350)가 이어지는 지점, 즉 모서리 부분은 완만한 곡선형을 이루어 뒤꿈치를 감싸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수직대(350)는 신발(300) 뒤꿈치 갑피에 매립되고 수평대(340)는 바닥부에 지지되면서 깔창 아래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뒤축지지대(330)는 상기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대(35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모서리 부분이 신발 바닥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을 하며 수평대(340) 선단이 들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대(350)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대(380)가 형성되고, 측면대(380) 선단에는 회동대(390)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대(380)는 앞꿈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그 길이는 신발(300)에 형성되는 설포(310)의 중심지점에 이르지 못하는 길이로 되는데, 이는 회동대(39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형성되는 길이이다.
회동대(390)는 측면대(380) 선단에 축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발등을 감싸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대(390)에서 발등에 위치되는 부분은 신발(300)에서 설포(310)에 연결되는데, 별도의 조임식 버튼으로 설포(31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회동대(390)는 크기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등에 위치되는 부분에서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로 분할되어 일정 길이만큼 포개지는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는 발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구멍이 천공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구멍에 버튼을 관통시켜 조이게 되면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딱 맞게 회동대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게 된다.
회동대(390)는 설포(310)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측면대(380)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을 이루게 된다. 그로 인해 뒤축지지대(3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되면 측면대(380)의 선단이 들리면서 회동대(390)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측면대(380)와 회동대(390)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설포(310)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출입구(T)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는 바, 주름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주름부(320)가 펼쳐지면서 출입구가 확장되고 반대로 주름부(320)가 오므라지면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게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부(320)는 신발(300)을 신었을 때 양쪽 복사뼈가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설포(310)가 출입구(T)에 연결되는 지점에도 주름부(320)가 형성되어 설포(310)가 밀려 올라갈 때 펼쳐지면서 출입구(T)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320)는 일 실시예로서, 출입구(T) 일 지점이 절개되어 절개지점에 탄성을 가진 밴드가 형성되는 구성과 같이 출입구(T)가 필요에 따라 확장될 수 있게 되는 구성으로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300)은 탄성 변형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8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311)에서 상기 수평대(340)와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80)는 상기 수평대(340)를 탄성 지지한다.
사용자가 신발(300)을 신는 경우, 수평대(340)가 탄성 변형부(380)를 변형시키고, 탄성 변형부(380)는 찌끄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신발(300)을 벗는 경우, 탄성 변형부(380)는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기 때문에 수평대(340)가 바닥부(311)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대(340)를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뒤축지지대(330)는 신발을 신었을 때 회동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에 의해 달성되는바,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340)를 바닥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34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42)와 바닥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11a)을 따라 왕복되는 슬라이딩판(36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311a)은 신발 앞뒤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슬라이딩판(360)이 돌출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바닥부(311) 자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형태의 유지 및 슬라이딩판(360)의 작동시 수평대(340) 및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케이스를 구비하여 바닥부에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판(360)은 일정한 면적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대(34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42)가 관통하는 걸림공(361)이 형성된다. 걸림돌기(342)는 하단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구조, 예를 들면 단면이 화살표 형상을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공(361)을 통과한 다음 슬라이딩판(360)이 뒤꿈치 쪽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공(361)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슬라이딩판(360)은 작동링크(371)에 의해 수평대(340)와 연동되게 연결된다. 작동링크(371)는 슬라이딩판(360) 선단과 수평대(340) 선단을 이어주는 것으로, 슬라이딩판(360) 선단과 수평대(340)에 각각 축 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게 형성되고, 뒤꿈치에서 앞꿈치 쪽으로 일정한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작동링크(371)는 지지링크(372)에 의해 지지되는바, 지지링크(372)는 일단은 슬라이딩홈(311a) 바닥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은 작동링크(371) 중심부근에 축 고정된다. 도면상 작동링크(371) 우측에서 축 고정되는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뒤축지지대의 수평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바닥부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뒤축지지대(330)는 수평대(340)와 수직대(350)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수평대(340) 저면에 축돌기(34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바닥부에는 축돌기(344)가 안착되는 축홈(31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돌기(344)가 축홈(3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을 하게 되므로, 뒤축지지대(330)가 상기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축돌기(344)를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뒤축지지대(330)가 앞뒤로 밀리지 않고 회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뒤축지지대(33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고정수단은 수평대(340)를 바닥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수평대(340)와 슬라이딩판(360)의 연동에 의해 달성된다.
즉, 뒤축지지대(3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평대(340) 선단이 들리면 지지링크(37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링크(37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판(360) 선단을 앞꿈치 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판(360)이 앞꿈치 쪽으로 당겨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평대(340)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42)는 걸림공(361)에서 빠져나와 상승을 하게 되고, 회동대(39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설포(310)를 위쪽으로 밀어주면서 주름부(320)가 늘어나 출입구가 확장된다. 따라서 출입구가 충분히 확장된 상태이므로 발을 신발() 내부로 밀어넣기가 용이하다.
이후 출입구로 발을 밀어넣어 신발(300)을 착용하게 되면 수평대(340)가 발바닥에 의해 눌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들려 있던 수평대(34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지지링크()에 지지되고 있는 작동링크(37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판(360)의 선단을 뒤꿈치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342)가 다시 걸림공(361)에 박히게 되고, 완전히 박히면 단면이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42) 끝단이 걸림공(361)에 걸리게 된다. 이때 회동대(39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주름부(320)가 오므라지며 출입구는 다시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진 상태가 되어 신발(300)의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충분한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슬라이딩판(360)이 다시 작동되지 않게 되는바, 뒤축지지대(33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즉, 신발(300)을 신고 있는 동안 뒤축지지대(3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와 같은 뒤축지지대(330)의 작동에 의해 확장되어 있던 출입구가 신발(300)을 신는 동작만으로 다시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게 되므로 신발(300)을 편하게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뒤축지지대(330)의 회동에 따라 수평대(34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수평대(340)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42)와 바닥부에 형성되어 걸림돌기(342)가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공(36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42)는 하단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걸림공(361)은 바닥부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입구에 탄성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걸림공(361)을 구비하고 있는 판을 설치하여서 형성된다. 걸림공(361)이 형성되는 판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입구가 탄성적으로 확장됨으로써 걸림돌기(342)가 통과하여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걸림돌기(342)가 끝단이 분할되어 탄성적으로 지름이 줄어들게 형성되고 걸림공(361)은 견고한 재질의 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걸림돌기(342)가 걸림공(361)을 통과할 때 지름이 줄어들었다가 완전히 통과한 이후 원래 대로 확장됨으로써 걸림돌기(342)가 걸림공(361)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는 앞서 도시한 형상의 신발(300)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신발(30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운동화, 구두뿐만 아니라 등산화를 포함한 특수 목적에 의한 신발(300)에도 뒤축지지대(330) 출입구 및 설포(310)에 형성되는 주름부(320)를 능히 적용함으로써 신발(300)을 쉽고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발이 출입되는 출입구와, 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
    몸체 부재의 바닥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의 일부분에 의해 일측이 눌리는 경우, 타측이 상승되는 발판 부재; 및
    일측은 상기 발판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확장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바닥부로부터 상기 발판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 부재는,
    판(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자유단은 상기 확장 유닛보다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중간 부분이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일측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타측은 상승하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유닛은,
    발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
    상기 발판 부재에서 바닥부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발판 부재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게하여 상기 확장부가 출입구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부재는,
    판(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몸체 부재의 바닥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확장 유닛과 링크 방식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눌리는 경우, 타단이 상승되는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바닥부로부터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유닛은,
    상기 발판 부재와 링크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확장부, 상기 링크부와 확장부의 경계 부분이 바닥부와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링크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 부재의 인입부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가 바닥부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인입부에 수용되어 상기 링크부가 바닥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6. 수평대와 수직대가 이어져 뒤꿈치를 감싸며 받치는 형상을 이루어 신발 내부에 설치되되 모서리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뒤축지지대를 구비하고, 출입구는 확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지지대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출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출입구로 발을 밀어 넣어 상기 수평대를 발바닥으로 눌러 뒤축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출입구가 원래의 크기로 오므라지도록 하여 신발을 신게 되는 신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주름부가 펼쳐지면서 출입구가 확장되는 신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뒤축지지대는 수평대를 바닥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발바닥에 의해 눌리면 회동되지 않게 위치가 고정되는 신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대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바닥부에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공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걸림으로써 뒤축지지대가 회동되지 않게 위치가 고정되는 신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평대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바닥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따라 왕복되되 걸림공이 천공되고 선단이 수평대 선단 내측에 이르는 위치의 범위에서 왕복되는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판 선단과 수평대 선단을 이어주는 작동링크 및 슬라이딩홈 바닥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링크 중심부근에 축 고정되는 지지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뒤축지지대가 회동하여 수평대 선단이 들리면 슬라이딩판이 앞꿈치 쪽으로 이동하고, 뒤축지지대가 발바닥에 의해 눌리면 걸림돌기가 걸림공을 통과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이 뒤꿈치 쪽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가 걸림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신발.
  11. 제6 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수평대와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변형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12. 제6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 양측 가장자리에서 앞꿈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면대 및 상기 측면대 선단에 축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발등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어 설포에 연결되는 회동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뒤축지지대가 원래의 위치에서 회동하여 수직대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측면대의 선단이 회동대를 위로 밀어올려 설포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출입구를 확장하게 되는 신발.
PCT/KR2020/012077 2020-09-08 2020-09-08 신발 WO20220549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077 WO2022054966A1 (ko) 2020-09-08 2020-09-08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077 WO2022054966A1 (ko) 2020-09-08 2020-09-08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4966A1 true WO2022054966A1 (ko) 2022-03-17

Family

ID=8063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077 WO2022054966A1 (ko) 2020-09-08 2020-09-08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5496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50A (ko) * 2000-05-16 2001-11-29 백린석 착화가 간편한 신발
JP2006334359A (ja) * 2005-06-01 2006-12-14 Ogura Tekko Kk 着脱の介添えが容易な靴
JP2011234840A (ja) * 2010-05-08 2011-11-24 Fukio Seki 靴の踵部分開閉機構
US20130185959A1 (en) * 2012-01-23 2013-07-25 Edward Albert Coleman Step-In Apparatus, Counter And Shoe
KR200483720Y1 (ko) * 2016-01-05 2017-06-15 정운용 구두 주걱을 구비하는 신발 깔창
JP3212460U (ja) * 2017-05-31 2017-09-14 直道 高橋
JP2019092988A (ja) * 2017-11-27 2019-06-20 アイキ産業株式会社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50A (ko) * 2000-05-16 2001-11-29 백린석 착화가 간편한 신발
JP2006334359A (ja) * 2005-06-01 2006-12-14 Ogura Tekko Kk 着脱の介添えが容易な靴
JP2011234840A (ja) * 2010-05-08 2011-11-24 Fukio Seki 靴の踵部分開閉機構
US20130185959A1 (en) * 2012-01-23 2013-07-25 Edward Albert Coleman Step-In Apparatus, Counter And Shoe
KR200483720Y1 (ko) * 2016-01-05 2017-06-15 정운용 구두 주걱을 구비하는 신발 깔창
JP3212460U (ja) * 2017-05-31 2017-09-14 直道 高橋
JP2019092988A (ja) * 2017-11-27 2019-06-20 アイキ産業株式会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8828A1 (ko)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WO2019177434A1 (en) Leg be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WO2018230961A1 (ko) 신기 편한 신발구조
WO2015034233A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WO2019164320A1 (en) Leg be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CA2451805A1 (en) Side entry footwear
KR20190108386A (ko)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신발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로봇
US11497271B2 (en) Shoes
WO2020230974A1 (ko) 착용식 다리 지지장치
JPH07194402A (ja) スポーツ靴用の内靴
WO2012067286A1 (ko) 조립 슬리퍼
WO2022054966A1 (ko) 신발
WO2010087602A4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WO2012067319A1 (ko) 조립 슬리퍼
WO2016159733A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WO2010087534A1 (ko) 신발끈 조임장치
WO2020055130A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WO2018012647A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JPH0438401B2 (ko)
WO2023136413A1 (ko)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WO2020004816A1 (ko) 족하수 지지구
WO2018159903A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EP1136008B1 (en) Shell, particularly for a ski boot
ITTV990099A1 (it) Calzatura sportiva, particolarmente per la pratica dello sci
WO2019004528A1 (ko) 신발, 사용자 단말 및 이들의 페어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33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33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