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21215838A1 -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838A1
WO2021215838A1 PCT/KR2021/005079 KR2021005079W WO2021215838A1 WO 2021215838 A1 WO2021215838 A1 WO 2021215838A1 KR 2021005079 W KR2021005079 W KR 2021005079W WO 2021215838 A1 WO2021215838 A1 WO 20212158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formula
group
polycarbonate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0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윤주
신경무
강기태
김미란
정승필
최진식
허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CN202180030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443299B/zh
Priority to JP2022564682A priority patent/JP7532546B2/ja
Priority to US17/917,278 priority patent/US20230295381A1/en
Priority to EP21793643.4A priority patent/EP4141046B1/en
Publication of WO20212158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838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08G77/44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containing polycarbonat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08G64/0225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0233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08G64/0225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0241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08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081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6Aliphatic-aromatic or araliph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6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 C08G64/2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alkoxy or aryl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ureth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by carb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4Nitrogen-containing linka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using a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mixtur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including the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as repeating units in a specific weight ratio, these hydroxy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hich exhibits superior transmittance an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each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is included alone, and is excellent in economical aspect by improving the overall production yield of the raw polysiloxan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Polycarbonate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and h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heat resistance, and optical transparency, so it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 polycarbonate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but has a weakness in that impact resistance is rapidly reduced at low temperatures.
  •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s are known to have relatively good impact resistance at low temperatures.
  • the conventional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requires a high content of siloxane for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expression, and increasing the content of siloxane has a problem of inhibiting the transparency of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thus limiting commercial use. is acting as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exhibiting excellent transmittance an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can be prepared, and at the same time, the overall production yield of the raw material polysiloxane is improved, and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technology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a repeating unit, a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a polycarbonate block, wherein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consists of 1 to 3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61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Polysiloxane-poly Provided is a carbonate copolymer:
  • R 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or an aryl group,
  •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or a hydrox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 A represent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divalent hydrocarbon group comprising at least one bond selected from an ester bond, an ether bond, a thioether bond, a ketone bond, or a urethane bond,
  • l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4
  • n and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integer of 2 to 1,000.
  • (1)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are reacted under interfacial reaction conditions to form a polysiloxane-polycarbonate intermediate; and (2) polymerizing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intermediate using a first polymerization catalyst, wherein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is 1 to 3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 a method for preparing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is provided, consisting of parts and 61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 a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siloxane-polycarbonate that exhibits excellent transmittance an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so that it can be suitably used in molded articles requiring both transparency and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eg, housings of office equipment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film and sheet products, etc.)
  • a copolymer can be provided, and the overall production yield of the raw material polysiloxane is also improved, which is excellent in economical aspect.
  •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peating unit, a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a polycarbonate block, wherein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consists of 1 to 3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61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as a repeating unit, has a hydroxyphenyl group at the terminal, and is formed from an ester bond, an ether bond, a thioether bond, a ketone bond or a urethane bond. hydroxy terminated polysiloxane compounds comprising one or more selected linkages.
  • R 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or an aryl group,
  •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or a hydrox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 A represent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divalent hydrocarbon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bond selected from an ester bond, an ether bond, a thioether bond, a ketone bond, or a urethane bond,
  • l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4
  •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1,000.
  • R 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or a hydrox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 A is , wherein Y is X or NH-X-NH, wherein X is a linear or branched aliphatic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or a mononuclear or polynuclear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which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 halogen atom,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 aryl group, or a carboxyl group,
  • l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4
  •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1,000.
  • the halogen atom may be Cl or Br;
  •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such as methyl, ethyl or propyl;
  • the alkoxy group may be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such as methoxy, ethoxy or propoxy;
  • the aryl group may be an aryl group having 6 to 10 carbon atoms, such as phenyl, chlorophenyl or tolyl;
  • the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13 carbon atoms, an alkenyloxy group having 2 to 13 carbon atoms, 3 to carbon atoms.
  • a in formula 1 wherein when Y is X or NH-X-NH, where X is, for example, an aliphatic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 halogen atom, and an oxygen, nitrogen or sulfur atom in the main chain may be an aliphatic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or an arylene group that may be derived from bisphenol A, resorcinol, hydroquinone or diphenylphenol, for example, X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Aa to It may be represented by any one of Ah.
  •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may be a reaction product of a hydroxy-terminated siloxane of Formula 1a with an acyl compound (ie, a hydroxyl-terminated siloxane having an ester bond).
  • R 1 , R 2 , R 3 , 1 , and n are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the hydroxy-terminated siloxane of Formula 1a is synthesized in a molar ratio of 2: 1 by using a platinum-based catalyst, for example, a compound of Formula 1b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 double bond and a compound of Formula 1c containing silicon can be manufactured.
  • R 1 and 1 are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and k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7.
  • R 2 and n are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 the acyl compound used for preparing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may have, for example, an aromatic, aliphatic, or mixed structure including both aromatic and aliphatic.
  • the acyl compound may have 6 to 30 carbon atoms, and when aliphatic, it may have 1 to 20 carbon atoms.
  • the acyl compound may further include a halogen, oxygen, nitrogen or sulfur atom.
  • the hydroxy-terminated siloxane of Formula 1 may be a reaction product of the hydroxy-terminated siloxane of Formula 1a with a polyisocyanate compound (ie, a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having a urethane bond).
  •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s, for example, 1,4-phenylenediisocyanate, 1,3-phenylenediisocyanate, or 4,4'-methylenediphenyl di It may be isocyanate (4,4'-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 n may be an integer of 2 to 1,000, preferably an integer of 2 to 500, more preferably an integer of 5 to 100, more preferably an integer of 11 to 40, Even more preferably, it may be an integer of 15 to 35.
  • n when the value of n is too low, the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of the copolymer may be reduced, and when the value of n is too high, the transparency of the copolymer may be reduced.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may be 500 to 15,000, preferably 3,000 to 6,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cluded as a repeating unit in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compound having a hydroxyphenyl group at the terminal.
  • R 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or an aryl group,
  •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or a hydrox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 l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4
  •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1,000.
  • R 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or a hydrox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 l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4
  •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1,000.
  • the halogen atom may be Cl or Br;
  •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such as methyl, ethyl or propyl;
  • the alkoxy group may be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such as methoxy, ethoxy or propoxy;
  • the aryl group may be an aryl group having 6 to 10 carbon atoms, such as phenyl, chlorophenyl or tolyl;
  • the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13 carbon atoms, an alkenyloxy group having 2 to 13 carbon atoms, 3 to carbon atoms.
  •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a compound of Formula 2a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 double bond and a compound of Formula 2b containing silicone 2 using a platinum-based catalyst. : It can be prepared by synthesizing in a molar ratio of 1.
  • R 1 and 1 are as defined in Formula 2 above, and k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7.
  • R 2 and m are as defined in Formula 2 above.
  • m may be an integer of 2 to 1,000, preferably an integer of 2 to 500, more preferably an integer of 5 to 100, more preferably an integer of 20 to 80, Even more preferably, it may be an integer of 30 to 75.
  •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when the value of m is too low, the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of the copolymer may decrease, and when the value of m is too high, the transparency of the copolymer may decrease.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may be 500 to 15,000, preferably 2,500 to 6,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carbonate block as a repeating unit together with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bove.
  • the polycarbonate block may have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 R 4 is an alkyl group (e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a cycloalkyl group (eg,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3 to 6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eg,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13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eg, an alkoxy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1 to 13 carbon atoms), a halogen atom (eg Cl or Br) or nitro represents an arom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 group.
  • an alkyl group e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13 carbon atoms
  • the aromatic hydrocarbon group of R 4 of Formula 3 may be, for example, derived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4 below.
  • L is a straight,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straight,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fide group, an ether group, a sulfoxide group, a sulfone group, a ketone group, a naphthyl group, or an isobutylphenyl group (eg, 1 to 10 carbon atoms) of a linear alkylene group, a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or a cyclic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atom (eg, Cl or Br, etc.); or a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eg, a linear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or a cyclic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 a halogen atom eg, Cl or Br, etc.
  • a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eg, a linear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or a cyclic alkylene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 p and q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0-4.
  • the compound of Formula 4 is, for example, bis(4-hydroxyphenyl)methane, bis(4-hydroxyphenyl)phenylmethane, bis(4-hydroxyphenyl)naphthylmethane, bis(4- Hydroxyphenyl)-(4-isobutylphenyl)methane, 1,1-bis(4-hydroxyphenyl)ethane, 1-ethyl-1,1-bis(4-hydroxyphenyl)propane, 1-phenyl- 1,1-bis(4-hydroxyphenyl)ethane, 1-naphthyl-1,1-bis(4-hydroxyphenyl)ethane, 1,2-bis(4-hydroxyphenyl)ethane, 1,10 -Bis(4-hydroxyphenyl)decane, 2-methyl-1,1-bis(4-hydroxyphenyl)propane, 2,2-bis(4-hydroxyphenyl)propane, 2,2-bis(4 -Hydroxyphenyl
  • dihydric phenol may refer to US Pat. Nos. 2,999,835, US 3,028,365, US 3,153,008, and US 3,334,154, and the like, and the dihydric phenols are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be used
  • a carbonate precursor for example, carbonyl chloride (phosgene), carbonyl bromide, bis halo formate, diphenyl carbonate, or dimethyl carbonate may be used.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s repeating units, a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a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a polycarbonate block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s 1 and 2
  •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s consists of 1 to 3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the formula (1) and 61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the formula (2).
  • the polysiloxane content of Formula 1 in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is 1.5 parts by weight or more, 2 parts by weight or more, 2.5 parts by weight or more, 3 parts by weight or more, 3.5 parts by weight or more. parts by weight or more, 4 parts by weight or more, 4.5 parts by weight or more, or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also 38 parts by weight or less, 37 parts by weight or less, 36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less, 34 parts by weight or less, 33 parts by weight or less , 32 parts by weight or less, 31 parts by weight or less, or 30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polysiloxane content of Formula 2 in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s of Formulas 1 and 2 is 62 parts by weight or more, 63 parts by weight or more, 64 parts by weight or more, 65 parts by weight or more, 66 parts by weight or more. parts by weight or more, 67 parts by weight or more, 68 parts by weight or more, 69 parts by weight or more, or 7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also 98.5 parts by weight or less, 98 parts by weight or less, 97.5 parts by weight or less, 97 parts by weight or less, 96.5 parts by weight or less , 96 parts by weight or less, 95.5 parts by weight or less, or 95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included as a repeating unit in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3 to 3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4 to 3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4 to 25% by weight, and still more specifically 4 to 20% by weight.
  • the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of the copolymer may decrease, and when it exceeds 39% by weight, the copolymer is The fluidity may be reduced, making extrusion or injection processing difficult.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3,000 to 69,000, more specifically 14,000 to 65,000, even more specifically 15,000 to 60,000, even more specifically 16,000 to 55,00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6,000 to 50,000, and even more specifically, 16,000 to 45,000.
  •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too low,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may be reduced. can be difficult
  •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block in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61 to 97% by weight, more specifically 70 to 96% by weight, even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It may be 75 to 96% by weight, more specifically 80 to 96%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block is less than 61% by weight, transparency and processability of the copolymer may be reduced, and if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block exceeds 97% by weight, the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of the copolymer may be reduced.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1) reacting the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hydroxyl-terminated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under interfacial reaction conditions to form a polysiloxane-polycarbonate intermediate to do; and (2) polymerizing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intermediate using a first polymerization catalyst; 1 to 3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1 and 61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the formula (2).
  • the (1) polysiloxane-forming the polycarbonate intermediate comprises a mixture conten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an oligomeric polycarbonate content of 3:97 to 39:61,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mixing in a weight ratio of 4:96 to 30:70, more specifically 4:96 to 25:75, and even more specifically 4:96 to 20:80.
  • the polysilox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carbonate copolymer may be an oligomeric polycarbonate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800 to 20,000, more specifically, 1,000 to 15,000. If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is less than 800,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copolymer may be widened and phys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20,000, the reactivity may be reduced.
  •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is prepared by adding the above-mentioned dihydric phenol compound to an aqueous alkali solution to make a phenol salt state, and then reacting the phenols in the salt state into dichloromethane injected with phosgene gas to react. .
  • the molar ratio of phosgene to the dihydric phenol compound is less than 1, the reactivity may decrease, and if the molar ratio of phosgene to the dihydric phenol compound exceeds 1.5, there may be a problem in processability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 the polycarbonate oligomer formation reaction may be gener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about 15 to 60° C., and an alkali metal hydroxide (eg, sodium hydroxide) may be used to adjust the pH of the reaction mixture.
  • an alkali metal hydroxide eg, sodium hydroxide
  • the (1) polysiloxane-forming the polycarbonate intermediate comprises forming a mixture comprising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the mixture It may also include a silver phase transfer catalyst,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a second polymerization catalyst.
  • the (1) polysiloxane-forming the polycarbonate intermediate comprises: forming a mixture comprising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an oligomeric polycarbonate; and extracting the organic phase from the resulting mixture after the reaction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is completed, wherein (2) the polysiloxane-polymerizing the polycarbonate intermediate comprises: 1 may include providing a polymerization catalyst to the extracted organic phase.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dding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bove to an organic phase-aqueous mixture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dding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nd a catalyst step by step.
  • a monofunctional compound similar to a monomer used for preparing polycarbonate may be used.
  • Monofunctional substances include, for example, p-isopropylphenol, p-tert-butylphenol (PTBP), p-cumylphenol, p-isooctylphenol, and p-isononyl.
  • phenol-based derivatives such as phenol and the like; or aliphatic alcohols.
  • p-tert-butylphenol (PTBP) may be used.
  • a polymerization catalyst and/or a phase transfer catalyst may be used as the catalyst.
  • the polymerization catalyst for example, triethylamine (TEA) may be used, and as the phase transfer catalyst, for example, a compound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may be used.
  • TAA triethylamine
  • the phase transfer catalyst for example, a compound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may be used.
  • R 7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Q represents nitrogen or phosphorus
  • X represents a halogen atom or —OR 8 .
  • R 8 represents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 to 18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 the phase transfer catalyst is, for example, [CH 3 (CH 2 ) 3 ] 4 NX, [CH 3 (CH 2 ) 3 ] 4 PX, [CH 3 (CH 2 ) 5 ] 4 NX, [CH 3 ( CH 2 ) 6 ] 4 NX, [CH 3 (CH 2 ) 4 ] 4 NX, CH 3 [CH 3 (CH 2 ) 3 ] 3 NX or CH 3 [CH 3 (CH 2 ) 2 ] 3 NX .
  • X represents Cl, Br or -OR 9 , where R 9 represents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 to 18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 the content of the phase transfer catalyst is preferably about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1, the polysiloxane of Formula 2, and the oligomeric polycarbonate.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by weight, the reactivity may be reduced, and if the content exceeds 10% by weight, it may precipitate as a precipitate or the transparency may be deteriorated.
  • the organic phase dispersed in methylene chloride may be separated after alkali washing. Subsequently, the organic phase may be washed with a 0.1N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2 to 3 times. When washing is complete, 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phase dispersed in methylene chloride is adjusted to be constant, and granul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certain amount of pure water in the range of 70 to 80°C.
  • the assembly speed is slowed, the assembly time may be very long,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pure water exceeds 80 °C,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 shape of the polycarbonate in a certain size.
  • the granulation is completed, it is preferably dried at 100 to 110° C. for 5 to 10 hours, and secondly at 110 to 120° C. for 5 to 10 hours.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transparency and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t the same time,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film and sheet products, such as housings for office equipment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 a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by molding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olded articl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hod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plastic molding.
  • n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n integer of 15 to 34.
  • m represents an integer of 30 to 70.
  • Bisphenol A and phosgene gas in an aqueous solution were subjected to an interfacial reaction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to prepare 1 L of an oligomeric polycarbonate mixture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 TBACl tetrabutylammonium chloride
  • PTBP p-tert-butylphenol
  • TEA Triethylamine
  • the reacted mixture was subjected to stationary separation, and after layer separation occurred, only the organic phase was collected, and 170 g of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370 g of methylene chloride and 23 ⁇ L of triethylamine were mixed thereto and reacted for 2 hours. After separation of the layers, water was added to the organic phase with increased viscosity and separated. Subsequently, the organic phase was washed with 0.1N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2 to 3 times. After washing was completed, the organic phase was solidified at a constant concentration of 76°C using a certain amount of pure water.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by first drying at 110° C. for 8 hours, and second drying at 120° C. for 10 hours.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2.24 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to prepare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1.86 g,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1.49 g.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 was changed to 3.36 g.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2.98 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Bisphenol A and phosgene gas in an aqueous solution were subjected to an interfacial reaction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to prepare 1 L of an oligomeric polycarbonate mixture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 TBACl tetrabutylammonium chloride
  • PTBP p-tert-butylphenol
  • TEA Triethylamine
  • the reacted mixture was subjected to stationary separation, and after layer separation occurred, only the organic phase was collected, and 170 g of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370 g of methylene chloride and 23 ⁇ L of triethylamine were mixed thereto and reacted for 2 hours. After separation of the layers, water was added to the organic phase with increased viscosity and separated. Subsequently, the organic phase was washed with 0.1N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2 to 3 times. After washing was completed, the organic phase was solidified at a constant concentration of 76°C using a certain amount of pure water.
  • th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by first drying at 110° C. for 8 hours, and second drying at 120° C. for 10 hours.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3.12 g.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the polysiloxane, and the mixture conten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2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1.49 g.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the polysiloxane, and the mixture conten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2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2.98 g.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the polysiloxane, and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2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2.95 g,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the polysiloxane, and the mixture content of the polysiloxane of formula B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polysiloxane of Formula C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2 below, and the content of p-tert-butylphenol was 2.61 Except for changing from g to 1.86 g,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Mv) The viscosity of the methylene chloride solution was measured at 20° C. using an Ubbelohde Viscometer, and the intrinsic viscosity [ ⁇ ] was calculated from thi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 Transmittance (%)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HAZE-GARD PLUS manufactured by BYK GARDNER).
  •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Based on ASTM D256, each specime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notched and evaluated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s of -40°C. Specifically, 10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specime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10 measurements was calculated.
  • the transmittance was 85% or more, which wa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the overall production yield of polysiloxane was 90% or more. Impact properties were also excell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복 단위로서 화학식 1 및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이들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투과율 및 저온 충격 강도를 나타내며, 또한 원료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도 향상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복 단위로서 화학식 1 및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이들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투과율 및 저온 충격 강도를 나타내며, 또한 원료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도 향상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인장 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치수 안전성, 내열성 및 광학적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온에서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지만, 저온에서는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취약점이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공중합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그 결과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제안된 바 있다(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105226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저온에서 비교적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저온 내충격성 발현을 위해 높은 함량의 실록산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데, 실록산의 함량 증가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어 상업적 이용에 제한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투과율 및 저온 충격 강도를 모두 우수하게 발휘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원료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도 향상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투과율 및 저온 충격 강도를 나타내며, 또한 원료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도 향상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반복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 또는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 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투명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함께 요구되는 성형품(예컨대, 사무기기 및 전기 전자제품의 하우징, 필름 및 시트 제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우수한 투과율 및 저온 충격 강도를 나타내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원료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도 향상시켜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된다.
(A)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하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말단에 히드록시페닐기를 가지며,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 또는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 또는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4
를 나타내며, 여기서 Y는 X 또는 NH-X-NH이며,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R1에서, 상기 할로겐 원자는 Cl 또는 Br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콕시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일 수 있고; 상기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예컨대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일 수 있으며;
화학식 1의 R2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3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콕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고;
화학식 1의 A가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5
를 나타내며, 여기서 Y가 X 또는 NH-X-NH일 경우, 여기서 X는,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주쇄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비스페놀 A, 레소시놀, 히드로퀴논 또는 디페닐페놀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아릴렌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X는 하기 화학식 Aa 내지 Ah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Aa]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6
[화학식 Ab]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7
[화학식 Ac]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8
[화학식 Ad]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09
[화학식 Ae]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0
[화학식 Af]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1
[화학식 Ag]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2
[화학식 Ah]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3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a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아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즉,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4
상기 화학식 1a에서, R1, R2, R3, l, 및 n은 앞서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1a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및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하기 화학식 1b의 화합물과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는 하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백금계 촉매를 이용하여 2 : 1의 몰비로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b]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5
상기 화학식 1b에서, R1 및 l은 앞서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k는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c]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6
상기 화학식 1c에서, R2 및 n은 앞서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제조에 사용되는 아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방향족, 지방족 또는 방향족과 지방족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실 화합물이 방향족 또는 혼합형일 경우, 6 내지 30의 탄소수를 가질 수 있고, 지방족일 경우 1 내지 20의 탄소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실 화합물은 할로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상기 화학식 1a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즉,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4-phenylenediisocyanate),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3-phenylenediisocyanate) 또는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0의 정수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n의 값이 너무 낮을 경우, 공중합체의 저온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n의 값이 너무 높을 경우, 공중합체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15,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6,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B)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말단에 히드록시페닐기를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7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의 R1에서, 상기 할로겐 원자는 Cl 또는 Br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콕시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일 수 있고; 상기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예컨대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일 수 있으며;
화학식 2의 R2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3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콕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및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과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는 하기 화학식 2b의 화합물을 백금계 촉매를 이용하여 2 : 1의 몰비로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8
상기 화학식 2a에서, R1 및 l은 앞서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k는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b]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19
상기 화학식 2b에서, R2 및 m은 앞서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m이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정수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5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에서, m의 값이 너무 낮을 경우, 공중합체의 저온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m의 값이 너무 높을 경우, 공중합체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15,000,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6,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 폴리카보네이트 블록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함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0
상기 화학식 3에서,
R4는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예컨대, 탄소수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예컨대, 탄소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알콕시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예컨대, Cl 또는 Br)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의 R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1
상기 화학식 4에서,
L은 작용기를 갖지 않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 또는 설파이드기, 에테르기, 설폭사이드기, 설폰기, 케톤기, 나프틸기 또는 이소부틸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선형 알킬렌기,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형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컨대, Cl 또는 Br 등); 또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선형 알킬렌기,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형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메틸-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4,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디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레소시놀(Resorci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4,4'-디히드록시페닐 에테르[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2,5-디클로로벤젠, 1,4-디히드록시-3-메틸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놀[p,p'-디히드록시페닐], 3,3'-디클로로-4,4'-디히드록시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 클로헥산, 1,1-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4-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4,4'-티오디페놀[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히드록시 디페닐, 메틸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또는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을 들 수 있다. 이외의 작용성 2가 페놀류들(dihydric phenol)은 미국특허 US 2,999,835호, US 3,028,365호, US 3,153,008호 및 US 3,334,154호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2가 페놀류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의 다른 모노머로서, 카보네이트 전구체, 예를 들어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상기 설명한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 내의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혹은,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함량이 99 중량부를 초과하면) 결과 공중합체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함량이 39 중량부를 초과하면(혹은,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함량이 61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 내의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함량은 1.5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상 또는 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8 중량부 이하, 37 중량부 이하, 36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4 중량부 이하, 33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하, 31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 내의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함량은 62 중량부 이상, 63 중량부 이상, 64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상, 66 중량부 이상, 67 중량부 이상, 68 중량부 이상, 69 중량부 이상 또는 7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8.5 중량부 이하, 98 중량부 이하, 97.5 중량부 이하, 97 중량부 이하, 96.5 중량부 이하, 96 중량부 이하, 95.5 중량부 이하 또는 9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중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의 전체 합계 함량은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으로 3 내지 39 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4 내지 30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4 내지 25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4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의 전체 합계 함량이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으로 3 중량% 미만일 경우, 공중합체의 저온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39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공중합체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압출 또는 사출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은 13,000 내지 69,000, 보다 구체적으로는 14,000 내지 65,00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5,000 내지 60,00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6,000 내지 55,00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6,000 내지 50,00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6,000 내지 45,000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너무 낮을 경우, 저온 내충격성 등을 포함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너무 높을 경우, 공중합체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압출 또는 사출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중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의 함량은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으로, 61 내지 97 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96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75 내지 96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96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의 함량이 61 중량% 미만이면 공중합체의 투명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의 함량이 97 중량%를 초과하면 공중합체의 저온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1)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 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함량을 3:97 내지 39:61, 보다 구체적으로는 4:96 내지 30:7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4:96 내지 25:75,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4:96 내지 20:80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점도평균분자량이 800 내지 20,000,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0 내지 15,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이 800 미만이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넓어지고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000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전술한 2가 페놀류 화합물을 알칼리 수용액에 첨가하여 페놀염 상태로 만든 다음, 염 상태의 페놀류를 포스겐 가스를 주입한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제조를 위해서는 포스겐 대 2가 페놀류 화합물(예를 들어, 비스페놀 A)의 몰비를 약 1:1 내지 1.5: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1.2:1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가 페놀류 화합물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가 페놀류 화합물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5를 초과하면 과도한 분자량 상승으로 인해 가공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형성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60℃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 2 중합 촉매를 또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술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결과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제 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유기상-수상 혼합물에 전술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을 첨가하고, 단계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를 투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 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작용성 물질은, 예를 들어 p-이소프로필페놀,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p-큐밀(cumyl)페놀, p-이소옥틸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 등과 같은 페놀을 기본으로 하는 유도체; 또는 지방족 알콜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tert-부틸페놀(PTB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중합 촉매 및/또는 상전이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 촉매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전이 촉매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5]
(R7)4Q+X-
상기 화학식 5에서, R7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질소 또는 인을 나타내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8을 나타낸다. 여기서, R8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전이 촉매는, 예를 들어 [CH3(CH2)3]4NX, [CH3(CH2)3]4PX, [CH3(CH2)5]4NX, [CH3(CH2)6]4NX, [CH3(CH2)4]4NX, CH3[CH3(CH2)3]3NX 또는 CH3[CH3(CH2)2]3NX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들에서, X는 Cl, Br 또는 -OR9를 나타내며, 여기서 R9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전이 촉매의 함량은 전술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침전물로 석출되거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0.1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증류수로 2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되면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70 내지 80℃범위에서 일정량의 순수를 이용하여 조립화(Granulation)할 수 있다. 순수의 온도가 70℃미만이면 조립속도가 늦어져 조립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으며, 순수의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일정한 크기로 폴리카보네이트의 형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조립화가 완결되면 1차로 100 내지 110℃에서 5 내지 10시간, 2차로 11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투명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동시에 우수하여 사무기기 및 전기 전자제품의 하우징 등, 필름 및 시트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성형하여 성형품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플라스틱 성형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제조>
제조예 1: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제조
콘덴서가 장착된 100mL 3구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2-알릴페놀(2-allylphenol) 0.03 mol과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hydride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0.015 mol을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50mL에 완전히 녹인 다음, 백금계 촉매(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0.00364 mmol을 넣고 2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A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을 조절을 통해 다양한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A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콘덴서가 장착된 500mL 3구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수득된 하기 화학식 A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0.04 mol을 클로로포름 300mL 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67m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erephthaloyl chloride) 0.020 mol을 클로로포름 100mL에 녹인 후, 상기 용액에 1 시간 동안 천천히 첨가하고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에 녹이고,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B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2
[화학식 B]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3
상기 화학식 A 및 B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5 내지 34의 정수를 나타낸다.
제조예 2: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제조
콘덴서가 장착된 100mL 3구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2-알릴페놀(2-allylphenol) 0.03 mol과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hydride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0.015 mol을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50mL에 완전히 녹인 다음, 백금계 촉매(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0.00364 mmol을 넣고 2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C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을 조절을 통해 다양한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C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C]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4
상기 화학식 C에서, m은 30 내지 70의 정수를 나타낸다.
제조예 3: 우레탄 결합을 갖는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제조
콘덴서가 장착된 100mL 3구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2-알릴페놀(2-allylphenol) 0.08 mol과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hydride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0.04 mol을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50mL에 완전히 녹인 다음, 백금계 촉매(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0.00364 mmol을 넣고 2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을 조절을 통해 다양한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D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콘덴서가 장착된 500mL 3구 플라스크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수득된 하기 화학식 D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0.04 mol을 클로로포름 200mL에 녹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트(1,4-phenylenediisocyanate) 0.02 mol을 클로로포름 50mL에 녹인 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액을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1 시간 동안 천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에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e, TEDA)을 소량 첨가한 후 24 시간 동안 환류 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E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D]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5
[화학식 E]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6
상기 화학식 D 및 E에서, o는 각각 독립적으로 15 내지 34의 정수를 나타낸다.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수용액 상의 비스페놀 A와 포스겐 가스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존재 하에서 계면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이 약 1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을 1L를 제조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n=30)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m=35)을 10:90의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실록산 혼합물(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혼합물 5 중량%),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butylammonium chloride, TBACl) 1.8mL,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2.61g 및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186 μL를, 상기 수득된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에 혼합한 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시킨 혼합물을 정치 분리시켜 층 분리가 일어난 후 유기 상만을 채취하여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0g, 메틸렌 클로라이드 370g 및 트리에틸아민 23μL를 혼합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층 분리 후 점도가 상승한 유기 상에 물을 넣고 분리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 상을 0.1N 염산 용액으로 세척한 후 증류수를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하였다. 세정이 완료되고 상기 유기 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76℃에서 일정 양의 순수를 이용하여 고체화하였다. 고체화가 완료된 후, 1차로 110℃에서 8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2차로 120℃에서 10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2.24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1.86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1.49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3.36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7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2.98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8
수용액 상의 비스페놀 A와 포스겐 가스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존재 하에서 계면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이 약 1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을 1L를 제조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화학식 E의 폴리실록산(o=30)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m=35)을 10:90의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실록산 혼합물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혼합물 5 중량%),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butylammonium chloride, TBACl) 1.8mL,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2.61g 및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186 μL를, 상기 수득된 올리고모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에 혼합한 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시킨 혼합물을 정치 분리시켜 층 분리가 일어난 후 유기 상만을 채취하여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0g, 메틸렌 클로라이드 370g 및 트리에틸아민 23μL를 혼합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층 분리 후 점도가 상승한 유기 상에 물을 넣고 분리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 상을 0.1N 염산 용액으로 세척한 후 증류수를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하였다. 세정이 완료되고 상기 유기 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76℃에서 일정 양의 순수를 이용하여 고체화하였다. 고체화가 완료된 후, 1차로 110℃에서 8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2차로 120℃에서 10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9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화학식 E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화학식 E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화학식 E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3.12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7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1.49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2.98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2.95 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중량비, 및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B의 폴리실록산과 제조예 2에서 수득된 화학식 C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였고, p-tert-부틸페놀의 함량을 2.61g에서 1.86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8
상기 표 1 및 2의 물성들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1)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되었다.
[실제 제조된 폴리실록산 총 무게(g)/이론적으로 수득되는 폴리실록산 총 무게(g)]x100(%)
2) 점도평균분자량(Mv): 우베로드 점도계 (Ubbelohde Viscometer)를 사용하여 20℃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 점도 [η]를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η]=1.23 x 10-5 Mv0.83
3) 투과율(%): 헤이즈 미터(Haze meter: BYK GARDNER사의 HAZE-GARD PLUS)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4) 저온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편에 노치(notch)를 낸 후 -40℃의 저온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시편에 대하여 10회의 저온 충격강도 측정을 실시하였고, 10회의 측정 결과치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 Ductile: 저온 충격강도 측정 시 시편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 Brittle: 저온 충격 강도 측정 시 시편의 분리가 일어남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공중합체의 경우, 투과율이 85% 이상으로 투명성이 우수하였고, 폴리실록산의 전체 제조 수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저온 내충격성 또한 우수하였다.
그러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으로서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공중합체의 경우, 투과율이 82%로 투명성이 열악하였고, 폴리실록산으로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공중합체의 경우, 폴리실록산 전체의 제조 수율이 81%로 열악하였다.
또한 폴리실록산으로서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라도, 비교예 3의 공중합체의 경우 투과율이 83 %로 투명성이 열악하였고, 비교예 4의 공중합체의 경우 폴리실록산 전체의 제조 수율 및 투명성이 열악하였으며, 특히 저온 내충격성이 매우 열악하였다.

Claims (13)

  1. 반복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29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0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 또는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1
    를 나타내며, 여기서 Y는 X 또는 NH-X-NH이며,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내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n은 11 내지 40의 정수이고, 화학식 2에서 m은 20 내지 80의 정수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이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2
    상기 화학식 3에서,
    R4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R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3
    상기 화학식 4에서,
    L은 작용기를 갖지 않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 또는 설파이드기, 에테르기, 설폭사이드기, 설폰기, 케톤기, 나프틸기 또는 이소부틸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또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내며,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합계 함량이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9 중량%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3,000 내지 69,000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8. (1) 하기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 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들의 합계 100 중량부가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1 내지 39 중량부 및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61 내지 99 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4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079-appb-I000035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 또는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l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혼합물 함량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함량을 3:97 내지 39:61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 2 중합 촉매를 또한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학식 1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결과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제 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이 800 내지 20,000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
PCT/KR2021/005079 2020-04-24 2021-04-22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12158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30772.8A CN115443299B (zh) 2020-04-24 2021-04-22 利用羟基末端聚硅氧烷混合物的聚硅氧烷-聚碳酸酯共聚物及其制备方法
JP2022564682A JP7532546B2 (ja) 2020-04-24 2021-04-22 ヒドロキシ末端ポリシロキサン混合物を用いたポリシロキサン-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7/917,278 US20230295381A1 (en) 2020-04-24 2021-04-22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using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1793643.4A EP4141046B1 (en) 2020-04-24 2021-04-22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using hydroxy-terminated polysiloxane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40 2020-04-24
KR1020200049940A KR102383997B1 (ko) 2020-04-24 2020-04-24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38A1 true WO2021215838A1 (ko) 2021-10-28

Family

ID=7826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079 WO2021215838A1 (ko) 2020-04-24 2021-04-22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95381A1 (ko)
EP (1) EP4141046B1 (ko)
JP (1) JP7532546B2 (ko)
KR (1) KR102383997B1 (ko)
CN (1) CN115443299B (ko)
TW (1) TWI790601B (ko)
WO (1) WO2021215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0647A (ko) * 2023-05-24 2024-12-04 주식회사 삼양사 불소-함유 폴리실록산, 이를 반복 단위로서 포함하는 내화학성, 난연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공중합체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US3028365A (en) 1953-10-16 1962-04-03 Bayer Ag Thermoplastic aromatic polycarbonates and their manufacture
US3153008A (en) 1955-07-05 1964-10-13 Gen Electric Aromatic carbonate resins and preparation thereof
US3334154A (en) 1963-02-21 1967-08-01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mixed polycarbonate resins prepared from tetrabromo bisphenol-a
US20030105226A1 (en) 2001-10-09 2003-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s
JP2011102364A (ja) * 2009-11-11 2011-05-26 Teijin Chem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30047332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삼양사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7612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2485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3365A (ko) * 2018-09-19 2020-03-30 주식회사 삼양사 내충격성, 난연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5221B2 (en) * 1999-05-18 2009-10-2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Weatherable, thermostable polymers having improved flow composition
KR101723699B1 (ko) * 2009-07-29 2017-04-05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JP5805927B2 (ja) 2009-07-29 2015-11-10 帝人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ジオルガノシロキサン共重合体、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89201B1 (ko) * 2010-03-29 2013-07-29 주식회사 삼양사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EP2620473B1 (en) * 2010-09-22 2016-05-18 Toray Industries, Inc. Flame-retardant styren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101663555B1 (ko) 2013-06-17 2016-10-10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5087595A1 (ja) 2013-12-10 2015-06-18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7613B1 (ko) * 2014-05-21 2018-03-13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48823B1 (ko) 2015-09-04 2019-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KR20170030127A (ko) * 2015-09-08 2017-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광성이 향상된 자동차 내장용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15799B1 (ko) * 2018-04-04 2020-05-28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8365A (en) 1953-10-16 1962-04-03 Bayer Ag Thermoplastic aromatic polycarbonates and their manufacture
US3153008A (en) 1955-07-05 1964-10-13 Gen Electric Aromatic carbonate resins and preparation thereof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US3334154A (en) 1963-02-21 1967-08-01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mixed polycarbonate resins prepared from tetrabromo bisphenol-a
US20030105226A1 (en) 2001-10-09 2003-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s
JP2011102364A (ja) * 2009-11-11 2011-05-26 Teijin Chem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30047332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삼양사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7612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2485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3365A (ko) * 2018-09-19 2020-03-30 주식회사 삼양사 내충격성, 난연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4104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43299A (zh) 2022-12-06
EP4141046B1 (en) 2025-07-16
EP4141046A4 (en) 2024-05-15
KR102383997B1 (ko) 2022-04-08
EP4141046A1 (en) 2023-03-01
JP7532546B2 (ja) 2024-08-13
US20230295381A1 (en) 2023-09-21
TW202146537A (zh) 2021-12-16
KR20210132270A (ko) 2021-11-04
JP2023524211A (ja) 2023-06-09
TWI790601B (zh) 2023-01-21
CN115443299B (zh)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2767A2 (ko)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EP2773689A1 (en)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66000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00494A1 (en) Method of preparing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O2015002427A1 (ko)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WO2013100606A1 (e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WO2018105907A1 (ko) 내열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0060148A1 (ko) 내충격성, 난연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2060516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0055178A1 (ko) 디올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26901A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204146A1 (ko) 난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5041441A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12091293A2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1126195A1 (en) Precise control of molecular weight and chain shape in carbon dioxide/epoxide alternating copolymerization and preparation of low-molecular-weight poly(alkylene carbonate) thereby
WO2016099185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5178676A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5002429A1 (ko) 히드록시 캡핑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13047955A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1215838A1 (ko)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3048A1 (ko) 무수당 알코올 및 무수당 알코올-알킬렌 글리콜로부터 유래된 단위들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3100288A1 (ko)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092243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6003132A1 (ko)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3176349A1 (ko) 신규 폴리실록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3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6468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93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24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G Wipo information: grant in national office

Ref document number: 2021793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