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50019A1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1150019A1 WO2021150019A1 PCT/KR2021/000799 KR2021000799W WO2021150019A1 WO 2021150019 A1 WO2021150019 A1 WO 2021150019A1 KR 2021000799 W KR2021000799 W KR 2021000799W WO 2021150019 A1 WO2021150019 A1 WO 202115001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olynucleotide
- amino acid
- fructose
- seq
- mutant
- Prior art date
Links
- BJHIKXHVCXFQLS-PQLUHFTBSA-N keto-D-tagat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PQLUHFTB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08091033319 polynucleotide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8
- 102000040430 polynucleotide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8
- 239000002157 polynucleot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8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8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41000186216 Coryne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6345 epi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FWMNVWWHGCHHJJ-SKKKGAJSSA-N 4-amino-1-[(2r)-6-amino-2-[[(2r)-2-[[(2r)-2-[[(2r)-2-amino-3-phenylprop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4-methylpentanoyl]amino]hexanoyl]pipe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CN)C(=O)N1CCC(N)(CC1)C(O)=O)NC(=O)[C@H](N)CC=1C=CC=CC=1)C1=CC=CC=C1 FWMNVWWHGCHHJJ-SKKKGAJS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AYFVYJQAPQTCCC-UHFFFAOYSA-N Threonine Natural products CC(O)C(N)C(O)=O AYFVYJQAPQTCC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Natural products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AGPKZVBTJJNPAG-WHFBIAKZSA-N L-isoleucin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O AGPKZVBTJJNPAG-WHFBIAKZ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AGPKZVBTJJNPAG-UHFFFAOYSA-N iso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AGPKZVBTJJNPA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60000310 isoleuc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0430 tryptophan group Chemical group [H]N([H])C(C(=O)O*)C([H])([H])C1=C([H])N([H])C2=C([H])C([H])=C([H])C([H])=C12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1493 tyrosinyl group Chemical group [H]OC1=C([H])C([H])=C(C([H])=C1[H])C([H])([H])C([H])(N([H])[H])C(*)=O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2987 valine group Chemical group [H]N([H])C([H])(C(*)=O)C([H])(C([H])([H])[H])C([H])([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86249 Corynebacterium sp.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7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2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2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0349 chrom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8521 threo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3612 plas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2374 tyro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4554 glut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4400 se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1000186226 Corynebacterium glutam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7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Natural products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204664 Thermotoga neapolitan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OPTASPLRGRRNAP-UHFFFAOYSA-N cytosine Chemical compound NC=1C=CNC(=O)N=1 OPTASPLRGRRN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5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4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705 Codo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3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3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108090001066 Racemases and epim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539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104302 cytos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2 decol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109 methio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LXJXRIRHZLFYRP-VKHMYHEASA-L (R)-2-Hydroxy-3-(phosphonooxy)-propanal Natural products O=C[C@H](O)COP([O-])([O-])=O LXJXRIRHZLFYRP-VKHMYHEASA-L 0.000 description 2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710157736 ATP-dependent 6-phosphofructok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200244 ATP-dependent 6-phosphofructokinase isozym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a chloride Chemical compound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145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05246 Corynebacterium crudilac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46654 Corynebacterium desert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44925 Corynebacterium effic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4763 Corynebacterium flav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91063 Corynebacterium halotoler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8247 Corynebacterium pollutis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34675 Corynebacterium singula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308 Corynebacterium statio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960580 Corynebacterium testudino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XJXRIRHZLFYRP-VKHMYHEASA-N D-glyceraldehyde 3-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C@H](O)COP(O)(O)=O LXJXRIRHZLFYRP-VKHMYHEASA-N 0.000 description 2
- RNBGYGVWRKECFJ-OEXCPVAWSA-N D-tagatofuranose 1,6-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H]1[C@H](O)C(O)(COP(O)(O)=O)O[C@@H]1COP(O)(O)=O RNBGYGVWRKECFJ-OEXCPVAW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68561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1390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2
- ZDXPYRJPNDTMRX-VKHMYHEASA-N L-glutam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O ZDXPYRJPNDTMRX-VKHMYHEASA-N 0.000 description 2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1000080590 Nis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CTONWCANYUPML-UHFFFAOYSA-N Pyruv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LCTONWCANYUP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79 Racemases and epim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8997 Retroviral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IRDTQYFTABQOQ-KQYNXXCUSA-N adenosine Chemical compound C1=NC=2C(N)=NC=NC=2N1[C@@H]1O[C@H](CO)[C@@H](O)[C@H]1O OIRDTQYFTABQOQ-KQYNXXCU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GWGXPAPYGQALX-VANKVMQKSA-N alpha-D-tagatofuranose 6-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C@]1(O)O[C@H](COP(O)(O)=O)[C@H](O)[C@@H]1O BGWGXPAPYGQALX-VANKVMQK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621 bhi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75 co-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1023290 ct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7 degrada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NGACRATGGDKBX-UHFFFAOYSA-N dihydroxyacetone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C(=O)COP(O)(O)=O GNGACRATGGDK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77 di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20 electro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830 ga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UYTPUPDQBNUYGX-UHFFFAOYSA-N guanine Chemical compound O=C1NC(N)=NC2=C1N=CN2 UYTPUPDQBNUY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01 homologous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44 homologous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XPYBSIWDXQFNMH-PQLUHFTBSA-N keto-D-tagatose 1,6-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C[C@@H](O)[C@H](O)[C@H](O)C(=O)COP(O)(O)=O XPYBSIWDXQFNMH-PQLUHFTBSA-N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43 magne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41 magnes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QQMAOCOWKFBNP-UHFFFAOYSA-L manganese(II) sulfate Chemical compound [Mn+2].[O-]S([O-])(=O)=O SQQMAOCOWKFBN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20 micro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5573 modified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5118 modified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60 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09 potas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8071 tagatose 1,6-diphosphate aldo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RWQNBRDOKXIBIV-UHFFFAOYSA-N thymine Chemical compound CC1=CNC(=O)NC1=O RWQNBRDOKXIB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IAJILQKETJEXLJ-KLVWXMOXSA-N (2s,3r,4r,5r)-2,3,4,5-tetrahydroxy-6-ox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IAJILQKETJEXLJ-KLVWXMOX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AWQVTBBRAZDMG-UHFFFAOYSA-N 2-(3-bromo-2-fluorophenyl)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1=CC=CC(Br)=C1F PAWQVTBBRAZD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KAUICCNAWQPAU-UHFFFAOYSA-N 2-(4-chloro-2-methylphenoxy)acetic acid;n-meth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C(Cl)=CC=C1OCC(O)=O PKAUICCNAWQP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24421 Ade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GFFGJBXGBJISGV-UHFFFAOYSA-N Adenine Chemical compound NC1=NC=NC2=C1N=CN2 GFFGJBXGBJIS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SFZMSVCRYTOJT-UHFFFAOYSA-N Ammon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CC(O)=O USFZMSVCRYTO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95 Ammon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54 Ammon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00533902 Arabidopsis thaliana SPL13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533904 Arabidopsis thaliana SPL13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55080 Bacillus subtilis (strain 168) lmr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146 Brevi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6 C01EB10 - Adeno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5586 Cory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248 Corynebacterium callu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5655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24402 Corynebacterium imi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58523 Corynebacterium stri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VRPWFDPXSA-N D-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VRPWFDPX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OEXCPVAWSA-N D-tagat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OEXCPVAW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9866 Drug resist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698 Erw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2 Escherich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78012 Escherichia coli (strain K12) dnaG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1959 Escherichia virus Lamb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AJILQKETJEXLJ-UHFFFAOYSA-N Galacturonsaeure Natural products O=CC(O)C(O)C(O)C(O)C(O)=O IAJILQKETJEX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REOHCLBHSA-N L-Cysteine Chemical compound SC[C@H](N)C(O)=O XUJNEKJLAYXESH-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0 Manganese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LFNIEUTAYBVOC-UHFFFAOYSA-L Manganese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Mn]Cl GLFNIEUTAYBVO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183 Manihot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35 Manihot esculenta subsp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466 Mut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300 Mutant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86 Nickel(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00070556 Oryza sativa subsp. japonica HSFA4D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043227 Oryza sativa subsp. japonica SPL1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68 Providenc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99282 SPL7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00165173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LT2 / SGSC1412 / ATCC 700720) basS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720 Serra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05 Southern bl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00421924 Thermus thermophilus (strain ATCC BAA-163 / DSM 7039 / HB27) spo0C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643 ade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05 adeno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7 ammon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376 ammonium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70 ammon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8 ammon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8 ammo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89 ammon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FNBIHQBYMNNAN-UHFFFAOYSA-N ammon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N.OS(O)(=O)=O BFNBIHQBYMNN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21 ammon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30 ammon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71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aromatic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0 biolog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514 candida albicans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TVIXTQDYHMGHF-UHFFFAOYSA-L cobalt(2+) sulfate Chemical compound [Co+2].[O-]S([O-])(=O)=O KTVIXTQDYHMGH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KLPQNGYXWVELD-UHFFFAOYSA-M coomassie brilliant blue Chemical compound [Na+].C1=CC(OCC)=CC=C1NC1=CC=C(C(=C2C=CC(C=C2)=[N+](CC)CC=2C=C(C=CC=2)S([O-])(=O)=O)C=2C=CC(=CC=2)N(CC)CC=2C=C(C=CC=2)S([O-])(=O)=O)C=C1 NKLPQNGYXWVEL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01 cosmid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089 cytotox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4 cytotox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99 cyto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NNHAPBLZZVQHP-UHFFFAOYSA-N diammon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H4+].[NH4+].OP([O-])([O-])=O MNNHAPBLZZVQ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PPKVPWEQAFLFU-UHFFFAOYSA-J diphosphate(4-) Chemical compound [O-]P([O-])(=O)OP([O-])([O-])=O XPPKVPWEQAFLFU-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0 di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150004979 flm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0 fractional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group Chemical group OCC(=O)[C@@H](O)[C@H](O)[C@H](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53 genetic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4 genetic var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41 glyc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55 ion exchange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BAFATDZDUQKNH-UHFFFAOYSA-M iron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 FBAFATDZDUQKN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8 iron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89 isomeras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27917 kanamyc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SBUJHOSQTJFQJX-NOAMYHISSA-N kana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N)O[C@@H]1O[C@H]1[C@H](O)[C@@H](O[C@@H]2[C@@H]([C@@H](N)[C@H](O)[C@@H](CO)O2)O)[C@H](N)C[C@@H]1N SBUJHOSQTJFQJX-NOAMYH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18 kana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23 kanamycin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65 manganes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67 manganese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596 manganese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2 manganese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079 manganese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7 manganese(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69 molecular cl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2 mother liqu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MMRZOWCJAIUJA-UHFFFAOYSA-L nickel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i]Cl QMMRZOWCJAIUJ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LGQLOGILCSXPEA-UHFFFAOYSA-L nickel sulfate Chemical compound [Ni+2].[O-]S([O-])(=O)=O LGQLOGILCSXPE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3 nickel(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7 organic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01150048892 par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00 plasmid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22 polyglycol 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700 pyruv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7 re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23 sampl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2 silent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27 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2 staining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2 sugar substitu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3082 thy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30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5965 unidentified phag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26220 vif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2776 ycc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8 yeas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0—Isomerases (5.)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isomerase, e.g. fructo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1/00—Carbon-carbon lyases (4.1)
- C12Y401/02—Aldehyde-lyases (4.1.2)
- C12Y401/0204—Tagatose-bisphosphate aldolase (4.1.2.40)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501/00—Racemaces and epimerases (5.1)
- C12Y501/03—Racemaces and epimerases (5.1) acting on carbohydrates and derivatives (5.1.3)
Definitions
- the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enzyme and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tagatose is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into which the mutated nucleotide is not introduced, that is,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into which the unmutated nucleotide is introduced or a wild-type Corynebacterium. It may be an increase compared to th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Nebacterium.
- the mutated enzyme may have increased activity of the mutated protein compared to the natural wild-type or unmodified prot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Hybridization requires that two polynucleotides have complementary sequences, although mismatches between bas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stringency of hybridization.
- complementary i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otide bases capable of hybridizing to each other. For example, with respect to DNA, adenosine is complementary to thymine and cytosine is complementary to guanine.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include substantially similar polynucleotide sequences as well as isolated polynucleotide fragments complementary to the overall sequence.
- Default parameters for the GAP program are: (1) a binary comparison matrix (containing values of 1 for identity and 0 for non-identity) and Schwartz and Dayhoff, eds., Atlas Of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 pp. 353-358 (1979), Gribskov et al (1986) Nucl. Acids Res. 14: weighted comparison matrix of 6745 (or EDNAFULL (EMBOSS version of NCBI NUC4.4) substitution matrix); (2) a penalty of 3.0 for each gap and an additional 0.10 penalty for each symbol in each gap (or a gap opening penalty of 10, a gap extension penalty of 0.5); and (3) no penalty for end gaps.
- the term “homology” or “identity” refers to a relevance between sequences.
- the recombinant microorganism may include either a prokaryotic microorganism or a eukaryotic microorganism, as long as it is a microorganism capable of producing a fructose-4-epimerase or a mutant enzyme thereof, including the mutant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application or a vector including the same.
- Escherichia genus, Erwinia genus, Serratia genus, Providencia genus, Corynebacterium genus, and Brevibacterium genus It may include a microbial strain belonging to, specifically, Corynebacterium ( Corynebacterium ) It may be a genus, for example, Corynebacterium ( Corynebacterium ) The genus is Corynebacterium glutamicum ( Corynebacterium glutamicum ), Corynebacterium Ammonia Genes (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 Corynebacterium crudilactis ( Corynebacterium crudilactis ), Corynebacterium deserti ( Corynebacterium deserti ), Corynebacterium efficiens ( Corynebacterium efficiens ), Corynebacterium caluna ( Corynebacterium callunae ), Corynebacterium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variant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application; or a vector comprising the variant polynucleotide;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fructose-4-epimerase or a mutant enzyme thereof, comprising the step of culturing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comprising any one in a medium.
-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is a fructose-4-epimerase derived from Cosmotoga Oelia; and mutant enzymes thereof; It may be to express any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may further include fruct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arative Example 1 Assay of expression rate and tagatose conversion rate of fructose-4-epimerase derived from Thermotoga neapolitana to which the same nucleotide mutation was appl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보다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의 발현양이 현저히 높은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한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타가토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가토스는 우유, 치즈 및 카카오 등의 식품, 그리고 사과와 귤과 같은 단맛이 나는 천연과일에 소량 존재하는 천연 감미료이다. 타가토스의 칼로리는 1.5 kcal/g으로 설탕의 1/3 수준이며, GI(Glycemic index, 혈당지수)는 3으로 설탕의 5% 수준인데 반해, 설탕과 물리적 성질이 유사하고, 유사한 단맛을 내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과 맛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설탕 대체 감미료로 여러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 공지되거나 공용된 타가토스의 제조방법은 갈락토스를 주원료로 한 화학적 방법(촉매 반응)과 생물학적 방법(이성화 효소반응)이 있다(PCT WO2006/058092).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조방법에서 주원료로 사용되는 갈락토스의 기초 원료가 되는 유당은 국제 시장에서의 원유(原乳) 및 유당의 생산량, 수요 및 공급량 등에 따라 가격이 불안정하여 안정적 수급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편화된 당(설탕, 포도당, 과당 등)을 원료로 하는 타가토스 생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현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기반의 세포 반응을 통해 과당을 원료로 타가토스를 생산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타가토스 전환효소를 생산하는 세포에 과당을 첨가하면 세포 반응을 통해 과당이 타가토스로 전환되어, 타가토스가 생산된다. 타가토스로의 전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세포내 타가토스 전환효소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세포내 타가토스 전환효소의 고발현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타가토스 전환효소인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발현이 현저히 증대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굴함으로써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은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과당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가토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타가토스 생산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비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보다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의 발현양이 현저히 높아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로부터 효소 생성 시 경제성이 높다.
도 1은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량이다. E; empty plasmid, WT; #7_H4_KO(KNF4E), variant; #7_H4_KO(KNF4E) variant.
도 2는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타가토스 전환율이다.
도 3은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의 발현량이다. 1; Empty, 2; #7_H4_KO(KNF4E), 3; #7_H4_KO(KNF4E)_variant, 4; #7_H4_KO(KNF4E)_variant_3aa mutation (N97Y, T124W, N367V), 5; #7_H4_KO(KNF4E)_variant_1aa mutation(T124W).
도 4는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의 타가토스 전환율이다.
도 5는 써모토가 네아폴리타나(Thermotoga neapolitana)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에 뉴클레오티드 변이를 적용한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량이다. Con; empty plasmid, WT; H4_TN_original, variant2; H4_TN_variant_2, CJ; mUxaE, variant1; H4_TN_ variant_1.
도 6은 써모토가 네아폴리타나(Thermotoga neapolitana)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에 뉴클레오티드 변이를 적용한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타가토스 전환율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출원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출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어느 하나 이상 변이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i)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i)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v)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변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i) 내지 v) 의 변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vi)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TA, GTC, GTG 및 G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TCA, TCT, TCC 및 AG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i)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CG, GCT, GCC 및 G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및 ix)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G 및 CA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i)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i)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v)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TA, GTC, GTG 및 G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TCA, TCT, TCC 및 AG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i)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CG, GCT, GCC 및 G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및 ix)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G 및 CA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변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변이형 뉴클레오티드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내에 도입되어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형 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미생물 내에서 발현되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량이 증가하거나 타가토스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 발현량의 증가 및 타가토스 생산량의 증가는 상기 변이형 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되지 않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즉, 변이되지 않은 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비해 증가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미생물마다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이 존재하며, 일 예로 코스모토가 속 미생물 유래 야생형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번역된다.
이에, 본 출원에서는 코스모토가 속 미생물 유래 야생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내에서 번역이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변이하였다. 상기 변이는, 예를 들면, 페닐알라닌(F)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TTT가 TTC로의 변이 또는 TTC가 TT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TTG가 CTC로의 변이, CTT가 CTC로의 변이, TTG가 CTG로의 변이, CTT가 CTG로의 변이, CTA가 CTG로의 변이, TTG가 CTT로의 변이, CTC가 CTT로의 변이, TTA가 CTT로의 변이, CTT가 TTG로의 변이, CTG가 TTG로의 변이, CTC가 TTG로의 변이, CCT가 TTG로의 변이 또는 TTA가 TTG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TT가 ATC로의 변이, ATA가 ATC로의 변이, ATC가 ATT로의 변이 또는 ATA가 AT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GTT가 GTA로의 변이, GTC가 GTA로의 변이, GTT가 GTC로의 변이, GTA가 GTC로의 변이, GTA가 GTG로의 변이, GTT가 GTG로의 변이 또는 GTA가 GT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GC가 TCA로의 변이, TCT가 TCA로의 변이, AGC가 TCT로의 변이, AGC가 TCC로의 변이, AGT가 TCC로의 변이, TCA가 TCC로의 변이, TCT가 TCC로의 변이, TCA가 AGC로의 변이 또는 TCG가 AGC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티로신(Y)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TAT가 TAC로의 변이 또는 TAC가 TA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히스티딘(H)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CAT가 CAC로의 변이 또는 CAC가 CA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CAA가 CAG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아스파라긴(N)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AT가 AAC로의 변이 또는 AAC가 AA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리신(K)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AG가 AAA로의 변이 또는 AAA가 AAG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아스파르트산(D)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GAT가 GAC로의 변이 또는 GAC가 GAT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글루탐산(E)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GAA가 GAG로의 변이 또는 GAG가 GAA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시스테인(C)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TGC가 TGT로의 변이 또는 TGT가 TGC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GA가 CGT로의 변이, AGG가 CGT로의 변이, CGA가 CGT로의 변이, AGA가 CGC로의 변이, CGA가 CGC로의 변이, CGG가 CGC로의 변이, CGT가 CGC로의 변이, AGA가 CGG로의 변이, CGA가 CGG로의 변이 또는 CGT가 CGG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GGA가 GGC로의 변이, GGG가 GGC로의 변이, GGT가 GGC로의 변이, GGA가 GGT로의 변이, GGC가 GGT로의 변이, GGG가 GGT로의 변이, GGC가 GGA로의 변이, GGG가 GGA로의 변이 또는 GGT가 GGA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프롤린(P)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CCA가 CCC로의 변이, CCG가 CCC로의 변이, CCT가 CCC로의 변이, CCA가 CCT로의 변이, CCC가 CCT로의 변이, CCG가 CCT로의 변이, CCC가 CCG로의 변이, CCG가 CCA로의 변이 또는 CCT가 CCA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ACA가 ACT로의 변이, ACA가 ACG로의 변이, ACT가 ACC로의 변이 또는 ACA가 ACC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GCA가 GCT로의 변이, GCC가 GCT로의 변이, GCG가 GCT로의 변이, GCG가 GCC로의 변이, GCA가 GCC로의 변이, GCT가 GCC로의 변이, GCC가 GCA로의 변이, GCG가 GCA로의 변이 또는 GCT가 GCA로의 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monomer)가 공유결합에 의해 길게 사슬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polymer)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가 다른 뉴클레오티드로 치환되어 변이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변이 폴리뉴클레오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변이 효소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과당-4-에피머화 효소"는 과당의 4번 탄소 위치를 에피머화하여 과당을 타가토스로 전환시키는 과당-4-에피머화 활성을 갖는 효소이다. 본 출원의 목적상 과당을 기질로 하여 타가토스를 생산할 수 있다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D-과당 C4-에피머화 효소'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인 KEGG(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에서 EC 4.1.2.40 인 타가토스 이인산 알돌레이즈 또는 타가토스-이인산 알돌레이즈 class II 악세서리 단백질(Tagatose-bisphosphate aldolase or tagatose- bisphosphate class II accessory protein)이 과당을 기질로 타가토스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진다면 과당-4-에피머화 효소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가토스-이인산 알돌레이즈는 기존에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D-타가토스 1,6-이인산(D-tagatose 1,6-bisphosphate)를 기질로 하여 글리세론 포스페이트(glycerone phosphate)와 D-글리세랄데하이드 3-포스페이트(D-glyceraldehyde 3-phosphate)를 생산하는 효소로 공지되어 있다.
[반응식 1]
D-타가토스 1,6-이인산 <=> 글리세론 포스페이트 + D-글리세랄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일 예로 타가토스-6-인산 키나아제 (Tagatose 6 phosphate kinase; EC 2.7.1.144)가 과당을 기질로 타가토스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진다면 과당-4-에피머화 효소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가토스-6-인산 키나아제는 기존에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ATP와 D-타가토스 6-인산(D-tagatose 6-phosphate)를 기질로 하여 ADP와 D-타가토스 1,6-이인산(D-tagatose 1,6-bisphosphate)를 생산하는 효소로 공지되어 있다.
[반응식 2]
ATP + D-타가토스 6-인산 <=> ADP + D-타가토스 1,6-이인산
상기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활성은 기질인 과당으로부터 타가토스로의 전환율(전환율=타가토스 중량/초기 과당 중량 *100)이 0.01% 이상, 구체적으로 0.1%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0.3%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율은 0.01% 내지 100%의 범위, 0.1% 내지 50%의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은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염기서열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이와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며 상기 서열번호 1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염기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도 본 출원의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즉, 본 출원에서 '특정 서열번호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 '특정 서열번호로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라고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서열번호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동일 혹은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경우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도 본 출원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와 동일 혹은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경우라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속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2은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로, 상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은 이와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며 상기 서열번호 2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도 본 출원의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되고, 과당-4-에피머화 효소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 치환은 구체적으로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5개, 1개 내지 12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9개, 또는 1개 내지 7개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티로신(Y)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발린(V)으로 치환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변이 효소"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보존적 치환(conservative substitution) 및/또는 변형(modification)에 있어서 상기 열거된 서열(the recited sequence)과 상이하나, 상기 단백질의 기능(functions) 또는 특성(properties)이 유지되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변이 효소는 수 개의 아미노산 치환, 결실 또는 부가에 의해 식별되는 서열(identified sequence)과 상이하다. 이러한 변이 효소는 일반적으로 상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변형하고, 상기 변형된 단백질의 특성을 평가하여 식별될 수 있다. 즉, 변이 효소의 능력은 본래 단백질(native protein)에 비하여 증가되거나, 변하지 않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변이 효소는 N-말단 리더 서열 또는 막전이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제거된 변이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이 효소는 성숙 단백질 (mature protein) 의 N- 및/또는 C-말단으로부터 일부분이 제거된 변이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변이 효소"는 변이형, 변형, 변이된 단백질, 변이형 폴리펩티드, 변이, 변이체 등의 용어(영문 표현으로는 modification, modified protein, modified polypeptide, mutant, mutein, divergent, variant 등)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변이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목적상, 상기 변이 효소는 천연의 야생형 또는 비변형 단백질 대비 변이된 단백질의 활성이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보존적 치환(conservative substitution)"은 한 아미노산을 유사한 구조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갖는 또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변이 효소는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여전히 보유하면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보존적 치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 치환은 일반적으로 잔기의 극성, 전하, 용해도, 소수성, 친수성 및/또는 양친매성(amphipathic nature)에서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하를 띠는 곁사슬(electrically charged amino acid)을 갖는 아미노산 중 양으로 하전된(염기성) 아미노산은 알지닌, 리신, 및 히스티딘을, 음으로 하전된(산성)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및 아르파르트산을 포함하고; 전하를 띠지 않는 곁사슬(uncharged amino acid)을 갖는 아미노산 중 비극성 아미노산(nonpolar amino acid)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프롤린을 포함하고, 극성(polar) 또는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은 세린, 쓰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을 포함하고, 상기 비극성 아미노산 중 방향족 아미노산은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을 포함한다.
또한, 변이 효소는 폴리펩티드의 특성과 2차 구조에 최소한의 영향을 갖는 아미노산들의 결실 또는 부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는 번역-동시에(co-translationally) 또는 번역-후에(post-translationally) 단백질의 이전(transfer)에 관여하는 단백질 N-말단의 시그널(또는 리더) 서열과 컨쥬게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펩티드는 폴리펩티드를 확인, 정제, 또는 합성할 수 있도록 다른 서열 또는 링커와 컨쥬게이트 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은 치환 전의 아미노산과 다른 아미노산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즉,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의 9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아스파라긴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인 쓰레오닌(T)이 쓰레오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또는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아스파라긴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출원에서 '특정 아미노산이 치환되었다'고 표현하는 경우,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었다고 별도로 표기하지 않더라도 치환 전의 아미노산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상기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97, 124 또는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전 아미노산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이 효소는 전하를 띠지 않는 곁사슬(uncharged amino acid)을 갖는, 치환 전 아미노산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변이 효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하는 변이 효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 효소는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티로신(Y)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발린(V)으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상기에서 설명한 과당-4-에피머화능을 갖는 단백질 중 특이적 위치의 아미노산이 치환되어, 과당-4-에피머화능을 갖거나 과당-4-에피머화능이 변이 전 단백질 대비 활성 및/또는 안정성이 증가된 변이 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2의 97, 124 또는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 100% 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과당-4-에피머화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97, 124 또는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고정되고, 이와 80%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며 상기 단백질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97, 124 또는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이외에,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도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또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에서, 단일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어느 하나 이상 변이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i)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i)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TA, GTC, GTG 및 G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v)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TCA, TCT, TCC 및 AG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CT, GCC 및 G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G로 선택; viii)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및 ix)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변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변이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아미노산의 서열에 변경 없이, 코돈(Codon)만이 변경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i) 6, 12, 36, 47, 82, 89, 94, 126, 128, 134, 145, 156, 157, 159, 172, 209, 219, 253, 278, 289, 295, 299, 306, 313, 320, 333, 352, 359, 362, 368, 378, 382, 389, 391, 407, 408, 415, 422 및 424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 9, 17, 32, 48, 76, 80, 87, 88, 112, 115, 150, 178, 195, 227, 242, 257, 263, 288, 309, 379, 387, 392, 403, 413, 416 및 420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i) 34, 35, 44, 45, 51, 62, 65, 154, 180, 198, 206, 210, 254, 270, 274, 296, 317, 373, 380, 384, 390, 421 및 431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v) 29, 70, 109, 116, 133, 153, 163, 173, 205, 225, 247, 249, 251, 300, 330, 348, 351, 354, 361, 363, 372, 404, 409 및 419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 16, 20, 43, 59, 60, 63, 81, 90, 91, 95, 101, 122, 139, 170, 179, 186, 187, 192, 218, 224, 234, 238, 267, 285, 292, 319, 345 및 406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 10, 21, 24, 31, 46, 55, 73, 149, 175, 177, 182, 197, 200, 207, 226, 229, 230, 231, 235, 264, 282, 286, 291, 325, 327, 328, 371, 375 및 423번째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TA, GTC, GTG 및 G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 11, 23, 26, 75, 104, 131, 168, 171, 194, 199, 269, 307, 308, 322, 357, 393 및 414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TCA, TCT, TCC 및 AG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i) 27, 39, 50, 67, 77, 107, 111, 119, 121, 130, 135, 151, 155, 161, 164, 169, 188, 213, 222, 228, 250, 256, 275, 277, 287, 294, 298, 302, 305, 331, 353, 374 및 430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CG, GCT, GCC 및 G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x) 7, 13, 15, 54, 57, 102, 106, 189, 201, 232 및 273번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G 및 CA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변이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를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쓰레오닌(T), 아스팔트산(D), 세린(S) 및 글루탐산(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두 개 연속으로 동일한 아미노산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동일한 아미노산 중 첫 번째 아미노산과 두 번째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를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프롤린(P), 및 발린(V)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세 개 이상 동일한 아미노산으로 연속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동일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각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티로신(Y)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발린(V)으로 치환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하는,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상기 97 번 위치의 티로신(Y)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TAC, 상기 124번 위치의 트립토판(W)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TGG, 상기 367번 위치의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GT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은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이루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고,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은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를 이루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며,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은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를 이루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티로신(Y)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발린(V)으로 치환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이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염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적절한 염기로의 치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97 번 위치의 티로신(Y)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TAC, 상기 124번 위치의 트립토판(W)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TGG, 상기 367번 위치의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GTT로 치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번역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비록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나,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앞뒤로의 무의미한 서열 추가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돌연변이, 혹은 이의 잠재성 돌연변이(silent mutation)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서로 동일 또는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경우라면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해당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또는 이와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며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염기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도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조제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브리드화하여, 과당 4-에피머화 효소의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문헌(예컨대, J.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989; F.M.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높은 유전자끼리, 70% 이상,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85%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 특히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인 60℃, 1Х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Х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Х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혼성화는 비록 혼성화의 엄격도에 따라 염기 간의 미스매치(mismatch)가 가능할지라도,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상보적 서열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용어, "상보적"은 서로 혼성화가 가능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NA에 관하여, 아데노신은 티민에 상보적이며 시토신은 구아닌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전체 서열에 상보적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5℃의 Tm 값에서 혼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혼성화 조건을 사용하고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m 값은 60℃, 63℃ 또는 6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혼성화하는 적절한 엄격도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동성(homology)" 또는 "동일성(identity)"은 두 개의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염기서열과 관련된 정도를 의미하며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다. 용어 상동성 및 동일성은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존된 (conserved)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서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표준 배열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확립된 디폴트 갭 페널티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동성을 갖거나 (homologous) 또는 동일한 (identical) 서열은 중간 또는 높은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s)에서 일반적으로 서열 전체 또는 전체-길이의 적어도 약 50%, 60%, 70%, 80% 또는 90% 이상으로 하이브리드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화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코돈 대신 축퇴 코돈을 함유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한 고려된다.
임의의 두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이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Pearson et al (1988)[Proc. Natl. Acad. Sci. USA 85]: 2444에서와 같은 디폴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FASTA" 프로그램과 같은 공지의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EMBOSS 패키지의 니들만 프로그램(EMBOSS: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pen Software Suite, Rice et al., 2000, Trends Genet. 16: 276-277)(버전 5.0.0 또는 이후 버전)에서 수행되는 바와 같은, 니들만-운치(Needleman-Wunsch) 알고리즘(Needleman and Wunsch, 1970, J. Mol. Biol. 48: 443-453) 이 사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GCG 프로그램 패키지 (Devereux, J.,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12: 387 (1984)), BLASTP, BLASTN, FASTA (Atschul, [S.] [F.,] [ET AL, J MOLEC BIOL 215]: 403 (1990); Guide to Huge Computers, Martin J. Bishop, [ED.,] Academic Press, San Diego,1994, 및 [CARILLO ETA/.](1988) SIAM J Applied Math 48: 107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립 생물공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센터의 BLAST, 또는 ClustalW를 이용하여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결정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은, 예를 들면,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1981) 2:482 에 공지된 대로, 예를 들면, Needleman et al. (1970), J Mol Biol.48 : 443과 같은 GAP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GAP 프로그램은 두 서열 중 더 짧은 것에서의 기호의 전체 수로, 유사한 배열된 기호(즉,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의 수를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GAP 프로그램을 위한 디폴트 파라미터는 (1) 이진법 비교 매트릭스(동일성을 위해 1 그리고 비-동일성을 위해 0의 값을 함유함) 및 Schwartz and Dayhoff, eds., Atlas Of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pp. 353-358 (1979)에 의해 개시된 대로, Gribskov et al(1986) Nucl. Acids Res. 14: 6745의 가중된 비교 매트릭스 (또는 EDNAFULL(NCBI NUC4.4의 EMBOSS 버전) 치환 매트릭스); (2) 각 갭을 위한 3.0의 페널티 및 각 갭에서 각 기호를 위한 추가의 0.10 페널티 (또는 갭 개방 패널티 10, 갭 연장 패널티 0.5); 및 (3) 말단 갭을 위한 무 페널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서열들간의 관련성(relevance)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에서 용어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서열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이란 일반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염기 발현 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코딩하는 염기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벡터와의 작동 가능한 연결은 당업계의 공지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업계의 절단 및 연결 효소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HCP(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2110호),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DZ, pACYC177, pACYC184, pCL, pECCG117, pUC19, pBR322, pMW118, pCC1BAC 벡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세포 내 염색체 삽입용 벡터를 통해 염색체 내에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염색체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색체 내로의 삽입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상동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염색체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별 마커(selection mark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별 마커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 즉 목적 핵산 분자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내성, 영양 요구성, 세포 독성제에 대한 내성 또는 표면 폴리펩티드의 발현과 같은 선택가능 표현형을 부여하는 마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제(selective agent)가 처리된 환경에서는 선별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하거나 다른 표현 형질을 나타내므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에서, 용어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미생물"이란, 자연적으로 약한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 생산능을 가지고 있는 미생물, 혹은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 생산능이 없는 모균주에 상기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 생산능이 부여된 미생물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상,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은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발현하는 미생물로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i)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ii)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iv)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 발린(V)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TA, GTC, GTG 및 G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 세린(S)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TCA, TCT, TCC 및 AG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viii) 알라닌(A)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CG, GCT, GCC 및 G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및 ix) 글루타민(Q)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G 및 CA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변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은,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재조합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벡터를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어떤 방법도 포함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칼슘 포스페이트 공동-침전(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DEAE-덱스트란(DEAEdextran), 양이온 리포좀(cationic liposome) 법 및 열 충격법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 내에 도입하여 숙주세포 내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코딩하는 단백질이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질전환된 유전자는 숙주세포 내에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삽입된 형태 및 염색체 외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써 DNA 및 RNA를 포함하며, 숙주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자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유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재조합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그 자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발현되도록/되는"은 목적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미생물 내에 도입되거나, 미생물 내에서 발현되도록 변형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미생물 내 존재하는 단백질인 경우 내재적 또는 변형 전에 비하여 그 활성이 강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의 도입"은, 목적 폴리펩티드의 내재적 활성 또는 변형 전 활성에 비하여 향상된 활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 또는 미생물이 본래 가지고 있지 않았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미생물 내 염색체로 도입되거나, 특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가 미생물 내로 도입되어 이의 활성이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활성의 강화"는 미생물이 가진 특정 폴리펩티드의 내재적 활성 또는 변형 전 활성에 비하여 활성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내재적 활성"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한 유전적 변이로 미생물의 형질이 변화하는 경우, 형질 변화 전 모균주가 본래 가지고 있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활성 강화는
1)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세포 내 카피수 증가;
2)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조절 서열에 변이 도입;
3)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을 활성이 강력한 서열로 교체;
4) 염색체상의 자연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 대체;
5)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의 활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변이를 추가적으로 도입;
6) 미생물에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도입; 또는
7) 상기 1) 내지 6) 중 선택된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유전자의 카피수 증가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벡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로 수행되거나, 숙주세포 내의 염색체 내로 삽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숙주와 무관하게 복제되고 기능할 수 있는 벡터가 숙주세포 내에 도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숙주세포 내의 염색체 내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삽입시킬 수 있는 벡터가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도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색체 내로의 삽입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상동재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이 증가하도록 발현 조절서열을 변형하는 것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발현 조절서열의 활성을 더욱 강화하도록 핵산 서열을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서열상의 변이를 유도하여 수행하거나, 더욱 강한 활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교체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조절서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서열, 리보좀 결합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발현 단위의 상부에는 본래의 프로모터 대신 강력한 프로모터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지된 강력한 프로모터의 예에는 cj1 내지 cj7 프로모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0092호), lac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tr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람다 파아지 PR 프로모터, PL 프로모터, tet 프로모터, gapA 프로모터, SPL7 프로모터, SPL13(sm3) 프로모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3170호), O2 프로모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2642), tkt 프로모터 및 yccA 프로모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염색체상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을 더욱 강화하도록 핵산 서열을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발현 조절 서열상의 변이를 유도하여 수행하거나, 더욱 강한 활성을 갖도록 개량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교체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의 도입 및 활성의 강화는, 상응하는 폴리펩티드의 발현, 활성 또는 농도가 야생형이나 비변형 미생물 균주에서의 폴리펩티드의 발현, 활성 또는 농도를 기준으로 그보다 증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비변형 미생물"은 미생물에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균주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천연형 균주 자체이거나,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는 미생물,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되지 않은 미생물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상, 상기 목적 폴리펩티드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벡터를 포함하여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원핵 미생물 및 진핵 미생물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어위니아(Erwin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코리네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Corynebacterium crudilactis), 코리네박테리움 데세르티(Corynebacterium deserti), 코리네박테리움 이피시엔스(Corynebacterium efficiens), 코리네박테리움 칼루내(Corynebacterium callunae), 코리네박테리움 스테셔니스(Corynebacterium stationis), 코리네박테리움 싱굴라레(Corynebacterium singulare), 코리네박테리움 할로톨레란스(Corynebacterium halotolerans), 코리네박테리움 스트리아툼(Corynebacterium striatum), 코리네박테리움 폴루티솔리(Corynebacterium pollutisoli), 코리네박테리움 이미탄스Cxorynebacterium imitans), 코리네박테리움 테스투디노리스(Corynebacterium testudinoris)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플라베스센스(Corynebacterium flavescens)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목적상,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 생산이 야생형이나 비변형 미생물 균주보다 증대된 미생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미생물은 상기 핵산 또는 벡터 도입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본 출원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발현할 수 있는 미생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과당-4-에피머화 효소, 이의 변이 효소 및 미생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배양"은 상기 미생물을 적당히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배양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은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배지"는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혼합한 물질을 의미하며, 생존 및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 및 발육인자 등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및 기타 배양 조건은 통상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의 미생물을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인원, 무기화합물, 아미노산 및/또는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호기성 조건 하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등과 같은 탄수화물; 만니톨, 소르비톨 등과 같은 당 알코올, 피루브산, 락트산, 시트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분 가수분해물, 당밀, 블랙스트랩 당밀, 쌀겨울, 카사버, 사탕수수 찌꺼기 및 옥수수 침지액 같은 천연의 유기 영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및 살균된 전처리 당밀(즉, 환원당으로 전환된 당밀)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적정량의 탄소원을 제한 없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초산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안모늄, 질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질소원;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등과 같은 아미노산,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 등과 같은 유기 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원으로는 인산 제1칼륨, 인산 제2칼륨, 또는 이에 대응되는 소디움-함유 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기화합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철,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또는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구성성분 또는 전구체는 배지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미생물의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황산 등과 같은 화합물을 배지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지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지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지 내로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주입하거나 혐기 및 미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체의 주입 없이 혹은 질소,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지의 온도는 20℃ 내지 50℃,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37℃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양 기간은 유용 물질의 원하는 생성량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시간 내지 100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배지 중으로 배출되거나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세포 내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방법은 배양된 배지 또는 미생물에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회수(recover)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배양 단계에서 생산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회수하는 방법은 배양방법에 따라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목적하는 효소를 수집(collect)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지 또는 미생물로부터 목적하는 효소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단계는 정제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회수되는 효소는 정제된 형태 또는 효소를 함유한 미생물 발효액일 수 있다(Introduction to Bio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A. J. Nair., 2008).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타가토스 생산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과당-4-에피머화 효소, 이의 변이 효소 및 미생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은 과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은 당해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화제, 완충제, 안정화제 또는 등장화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은 금속이온 또는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이온 또는 금속염의 금속은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금속은 니켈(Ni), 철(Fe), 코발트(Co), 마그네슘(Mg) 또는 망간(Mn)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염은 MgSO4, FeSO4, NiSO4, NiCl2, MgCl2, CoSO4, MnCl2 또는 MnSO4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과당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가토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과당-4-에피머화 효소, 이의 변이 효소 및 미생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과당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과당과 접촉시켜, 과당을 타가토스로 전환시키는 단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로 사용되어 과당으로부터 타가토스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출원의 접촉은 pH 5.0 내지 pH 9.0 조건에서, 30℃ 내지 80℃ 온도 조건에서, 및/또는 0.5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접촉은 pH 6.0 내지 pH 9.0 조건 또는 pH 7.0 내지 pH 9.0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접촉은 35℃ 내지 80℃, 40℃ 내지 80℃, 45℃ 내지 80℃, 50℃ 내지 80℃, 55℃ 내지 80℃, 60℃ 내지 80℃, 30℃ 내지 70℃, 35℃ 내지 70℃, 40℃ 내지 70℃, 45℃ 내지 70℃, 50℃ 내지 70℃, 55℃ 내지 70℃, 60℃ 내지 70℃, 30℃ 내지 65℃, 35℃ 내지 65℃, 40℃ 내지 65℃, 45℃ 내지 65℃, 50℃ 내지 65℃, 55℃ 내지 65℃, 30℃ 내지 60℃, 35℃ 내지 60℃, 40℃ 내지 60℃, 45℃ 내지 60℃, 50℃ 내지 60℃ 또는 55℃ 내지 60℃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출원의 접촉은 0.5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0.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0.5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0.5시간 내지 6시간 동안,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1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3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3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3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3시간 내지 6시간 동안,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6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6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2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12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18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18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또는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접촉은 금속이온 또는 금속염 존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이온 또는 금속염은 전술한 양태에서와 같다.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타가토스를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및/또는 정제는 본 출원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투석, 침전, 흡착, 전기영동,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분별 결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하나의 방법만 실시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탈색 및/또는 탈염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색 및/또는 탈염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품질이 우수한 타가토스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타가토스로 전환하는 단계,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 또는 탈색 및/또는 탈염하는 단계 이후 타가토스를 결정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결정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결정화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상기 결정화하는 단계 이전에 타가토스를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결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 이후 미반응된 과당을 본 출원의 효소, 상기 효소를 발현하는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본 출원의 결정화하는 단계 이후 결정이 분리된 모액을 상기 분리 및/또는 정제 단계에 재사용하는 단계, 또는 이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출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발현량 검정
한국 공개 10-2018-0111678A에서 공지된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리네박테리움 균주(C. glutamicum)에서 유전자 발현 효율 증대시키기 위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 (서열번호 3)을 제작하였다.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 제작 시 분리를 위해서 6X His-tag의 서열을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플라스미드는 고복제수를 위해 orfA2(parB)의 21번째 위치를 아데닌(A)으로 변이한 pHCP 플라스미드(한국 공개 10-2018-0092110A)를 이용하였다. 본 출원에서는 기존 pHCP보다 높은 복제수의 플라스미드를 얻고자 하였고, 이를 위하여 pHCP의 ctRNA 부분인 98bp의 서열을 무작위로 변경하여 스크리닝한 결과, 최종적으로 ctRNA 부분의 22번째 뉴클레오티드가 C(시토신)으로 치환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9번째 뉴클레오티드가 C(시토신)으로 치환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확인하였고 이를 포함하는 높은 복제수의 플라스미드를 pHCP7 벡터로 명명하였고(서열번호 8), 해당 벡터를 이용하여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 서열이 포함된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였다.
pHCP7 벡터에 상기 변이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를 각각 삽입하고 이를 코리네박테리움 균주(C. glutamicum ATCC13032)에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균주는 카나마이신(kanamycin, Km) 25 μg/mL를 포함하는 BHI 배지 10mL에서 30℃, 200 rpm 교반 하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배지를 Km 25 μg/mL를 포함하는 새 BHI 배지 50mL에 대하여 1/100 부피 비율로 넣고 30℃, 200 rpm 교반 하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주의 O.D600nm를 4로 맞추어 회수하고 300 μL PBS에 풀어 얼음이 담긴 통 안에서 초음파분쇄(sonication; 총 7min at 50% pulse, 20% amplitude)하였다. 파쇄된 균주를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5x 샘플 버퍼(sample buffer)와 혼합하고 100℃에서 5분 동안 가열하였다. 12% SDS-PAGE에 로딩하고 후 쿠마씨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를 이용한 염색 용액(staining solution)과 탈염색 용액(destaining solution)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양 분석을 위하여 겔 분석 프로그램(gel analyzer program)을 이용하여 총 단백질 중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양이 과당-4-에피머화 효소 야생형(변이 전) 폴리뉴클레오티드(wild type, WT)에 비하여 약 6%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타가토스 전환율 검정
실시예 1에서 배양한 코리네박테리움 균주 배양액 45ml을 4℃에서 10분 동안 3,500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10mL Tris-HCl pH8.0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회수된 균주의 최종 반응 부피의 20% 무게에 해당하는 양을 2mL 튜브에 분주하고, 60℃에서 30분 동안 열 전처리하였다. 타가토스 전환 반응을 위해 첨가할 CoSO4 또는 NiSO4도 함께 열 전처리하였다. 균주와 기질(30% 과당) 및 3mM의 CoSO4 또는 NiSO4를 포함한 50mM tris-HCl(pH 8.0)을 혼합하고 60℃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시료를 4℃에서 10분 동안 13,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고 HPLC로 분석하였다. HPLC는 5mM H2SO4 용매를 이용한 Aminex HPX-87H 컬럼을 이용하였으며, 생성된 타가토스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타가토스 전환율이 약 22%로 WT(#7_KO(KNF4E))에 비해 7%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의 발현량 검정
실시예 1의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에서 일부 아미노산 서열이 변이된 경우에도 발현량이 상승하는지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서열번호 3)에서 아미노산을 변이시킨 변이 효소 2종(N97Y, T124W, N367V 변이: 서열번호 4, T124W 변이: 서열번호 6)의 유전자 서열을 각각 제작하였다. 변이 효소(서열번호 4)를 포함하는 균주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 CF01-0014으로 명명하고, 부다페스트조약 하의 수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9년 10월 18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CCM12610P 를 부여받았다.
pHCP7 벡터에 상기 변이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 유전자를 각각 삽입하고 이를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에 도입한 후, 실시예 1의 방법으로 균주 내에서 변이 효소 2종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N97Y, T124W, N367V 변이 효소(lane 4)의 발현양이 WT(lane 2)에 비하여 약 8%, T124W 변이 효소(lane 5)의 발현양이 과당-4-에피머화 효소 야생형(변이 전) 폴리뉴클레오티드(wild type, WT)에 비하여 약 12%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효소(lane 3)에 비해서는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의 타가토스 전환율 검정
실시예 3의 변이 효소 2종에 대하여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타가토스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N97Y, T124W, N367V 변이 효소(3 aa mutation)의 전환율이 약 32%로 WT과 비교하여 19%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T124W 변이 효소의 전환율도 27.8%로 우수하였다.
비교예 1: 동일한 뉴클레오티드 변이를 적용한 써모토가 네아폴리타나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발현율 및 타가토스 전환율 검정
한국 공개 10-2017-0015250 A에서 공지된 써모토가 네아폴리타나(Thermotoga neapolitana)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헥수론산 C4-에피머화 효소, 서열번호 9)의 변이 효소(서열번호 10)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서열번호 9)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뉴클레오티드 변이를 적용한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variant2 및 variant1(서열번호 12 및 13)을 제작하고, 이를 pHCP 벡터에 삽입하고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에 도입한 후 발현율 및 타가토스 전환율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variant1/TN_variant_1, variant2/TN_variant_2, CJ)는 WT에 비해 발현양이 낮았으며, 타가토스 전환율 또한 WT에 비해 낮았다(도 6).
특히, 한국 공개 10-2017-0015250 A에서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야생형(변이전) 과당-4-에피머화 효소에 비해 활성이 높으나, 상기 변이 효소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변이하는 경우 야생형(변이 전) 과당-4-에피머화 효소에 비해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여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출원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변이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효소에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를 코딩하는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로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기 i) 내지 v)의 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i) 류신(L)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TC, CTG, CTT 및 TT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ii) 이소류신(I)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TC 및 A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iii) 쓰레오닌(T)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CT, ACG 및 AC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iv) 아르기닌(R)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GT, CGC 및 CG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및v) 글리신(G)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GC, GGT 및 GG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를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쓰레오닌(T), 아스팔트산(D), 세린(S) 및 글루탐산(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두 개 연속으로 동일한 아미노산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동일한 아미노산 중 첫 번째 아미노산과 두 번째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하지 않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를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프롤린(P), 및 발린(V)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세 개 이상 동일한 아미노산으로 연속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동일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각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한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되고, 과당-4-에피머화 효소 활성을 갖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a) 97 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티로신(Y)으로 치환, b) 124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으로 치환 및 c) 367번 위치에 상응하는 아미노산이 발린(V)으로 치환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코딩되고,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인,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스모토가 오엘리아 유래의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변이 효소;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당-4-에피머화 효소 또는 이의 변이 효소의 생산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변이형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을 과당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가토스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793,927 US20230041854A1 (en) | 2020-01-20 | 2021-01-20 | Composition for tagatose produc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sam |
EP21743844.9A EP4074822A4 (en) | 2020-01-20 | 2021-01-20 | TAGATOSE PRODUCTION COMPOSITION AND TAGATOS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202180010689.4A CN115485376A (zh) | 2020-01-20 | 2021-01-20 | 用于制备塔格糖的组合物和利用其制备塔格糖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490A KR102399441B1 (ko) | 2020-01-20 | 2020-01-20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 |
KR10-2020-0007490 | 2020-0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50019A1 true WO2021150019A1 (ko) | 2021-07-29 |
Family
ID=7699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1/000799 WO2021150019A1 (ko) | 2020-01-20 | 2021-01-20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41854A1 (ko) |
EP (1) | EP4074822A4 (ko) |
KR (1) | KR102399441B1 (ko) |
CN (1) | CN115485376A (ko) |
WO (1) | WO20211500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195B1 (ko) * | 2019-08-14 | 2021-02-24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신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CN118272362B (zh) * | 2024-06-03 | 2025-02-11 | 嘉兴欣贝莱生物科技有限公司 | 用于合成d-塔格糖的差向异构酶及应用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58092A2 (en) | 2004-11-22 | 2006-06-01 | Cargill, Incorporated | Monosaccharide production system |
KR100620092B1 (ko) | 2004-12-16 | 2006-09-08 | 씨제이 주식회사 |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프로모터서열, 그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및 벡터, 상기 벡터를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방법 |
KR101632642B1 (ko) | 2015-01-29 | 2016-06-22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신규한 프로모터 및 그의 용도 |
KR20170015250A (ko) | 2015-07-29 | 2017-02-0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전환 활성이 향상된 헥수론산 c4-에피머화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d-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CN106399427A (zh) * | 2016-11-01 | 2017-02-15 |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 塔格糖的制备方法 |
KR101783170B1 (ko) | 2016-08-31 | 2017-09-2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신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
WO2018021894A1 (ko) * | 2016-07-29 | 2018-02-01 | 씨제이제일제당(주) | D-타가토스 전환 활성이 향상된 헥수론산 c4-에피머화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d-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KR20180027962A (ko) * | 2016-09-07 | 2018-03-15 | 주식회사 삼양사 | 프럭토스 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
KR20180092110A (ko) | 2017-02-08 | 2018-08-17 | 한국과학기술원 | 증가된 카피 수를 가지는 변형 플라스미드 및 이의 용도 |
KR20180111678A (ko) | 2017-03-31 | 2018-10-1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HUE028873T2 (en) * | 2006-10-24 | 2017-01-30 | Basf Se | A method for increasing gene expression using modified codon usage |
KR20180111667A (ko) * | 2017-03-31 | 2018-10-1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방법 |
CN109750024B (zh) * | 2017-11-02 | 2021-12-14 |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 一种6磷酸塔格糖4位差向异构酶及其应用 |
US11060119B2 (en) * | 2018-07-03 | 2021-07-13 | Arzeda Corp.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paring tagatose from fructose |
WO2020067781A1 (ko) * | 2018-09-28 | 2020-04-02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신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
2020
- 2020-01-20 KR KR1020200007490A patent/KR102399441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1-20 US US17/793,927 patent/US20230041854A1/en active Pending
- 2021-01-20 CN CN202180010689.4A patent/CN115485376A/zh active Pending
- 2021-01-20 EP EP21743844.9A patent/EP4074822A4/en active Pending
- 2021-01-20 WO PCT/KR2021/000799 patent/WO20211500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58092A2 (en) | 2004-11-22 | 2006-06-01 | Cargill, Incorporated | Monosaccharide production system |
KR100620092B1 (ko) | 2004-12-16 | 2006-09-08 | 씨제이 주식회사 |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프로모터서열, 그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및 벡터, 상기 벡터를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방법 |
KR101632642B1 (ko) | 2015-01-29 | 2016-06-22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신규한 프로모터 및 그의 용도 |
KR20170015250A (ko) | 2015-07-29 | 2017-02-0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전환 활성이 향상된 헥수론산 c4-에피머화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d-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WO2018021894A1 (ko) * | 2016-07-29 | 2018-02-01 | 씨제이제일제당(주) | D-타가토스 전환 활성이 향상된 헥수론산 c4-에피머화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d-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KR101783170B1 (ko) | 2016-08-31 | 2017-09-2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신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
KR20180027962A (ko) * | 2016-09-07 | 2018-03-15 | 주식회사 삼양사 | 프럭토스 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
CN106399427A (zh) * | 2016-11-01 | 2017-02-15 |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 塔格糖的制备方法 |
KR20180092110A (ko) | 2017-02-08 | 2018-08-17 | 한국과학기술원 | 증가된 카피 수를 가지는 변형 플라스미드 및 이의 용도 |
KR20180111678A (ko) | 2017-03-31 | 2018-10-1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4)
Title |
---|
"Atlas Of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1979,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pages: 353 - 358 |
"Guide to Huge Computers", 1994, ACADEMIC PRESS |
A. J. NAIR, INTRODUCTION TO BIO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2008 |
ATSCHUL, S. F. ET AL., J MOLEC BIOL, vol. 215, 1990, pages 403 |
CARILLO ET AL., SIAM J APPLIED MATH, vol. 48, 1988, pages 1073 |
DEVEREUX, J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vol. 12, 1984, pages 387 |
GRIBSKOV ET AL., NUCL. ACIDS RES., vol. 14, 1986, pages 6745 |
J.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
JO, S.J. MATSUMOTO, K. LEONG, C.R. OOI, T. TAGUCHI, S.: "Improvement of Poly(3-Hydroxybutyrate) [P(3HB)] Production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by Codon Optimization, Point Mutation and Gene Dosage of P(3HB) Biosynthetic Genes",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ELSEVIER, AMSTERDAM, NL, vol. 104, no. 6, 1 December 2007 (2007-12-01), NL, pages 457 - 463, XP022428326, ISSN: 1389-1723, DOI: 10.1263/jbb.104.457 * |
NEEDLEMAN ET AL., J MOL BIOL., vol. 48, 1970, pages 443 |
NEEDLEMANWUNSCH, J. MOL. BIOL., vol. 48, 1970, pages 443 - 453 |
PEAR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85, 1988, pages 2444 |
RICE ET AL.: "EMBOSS: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pen Software Suite", TRENDS GENET, vol. 16, 2000, pages 276 - 277, XP004200114, DOI: 10.1016/S0168-9525(00)02024-2 |
SMITHWATERMAN, ADV. APPL. MATH, vol. 2, 1981, pages 4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74822A1 (en) | 2022-10-19 |
KR102399441B1 (ko) | 2022-05-18 |
CN115485376A (zh) | 2022-12-16 |
EP4074822A4 (en) | 2023-05-31 |
KR20210093639A (ko) | 2021-07-28 |
US20230041854A1 (en) | 2023-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182354A1 (ko)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방법 | |
WO2019160301A1 (ko) | 시트레이트 신타아제의 활성이 약화된 변이형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 생산방법 | |
WO2019117671A1 (ko) |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생산 방법 | |
WO2019004778A2 (ko) | 신규한 아스파토키나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 | |
WO2022163939A1 (ko) | 신규한 mfs 트랜스포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2163933A1 (ko) | 신규한 abc 트랜스포터 atp-결합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1150019A1 (ko) | 타가토스 생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 제조 방법 | |
WO2022163935A1 (ko) | 신규한 글루코사민-6-포스페이트 디아미나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3287256A1 (ko) | 신규한 베타-카로틴 15,15 -옥시게네이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레티노이드 생산방법 | |
WO2019004779A2 (ko) | 신규한 o-숙시닐 호모세린 트랜스퍼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o-숙시닐 호모세린의 제조방법 | |
WO2019004780A2 (ko) | 신규한 o-숙시닐 호모세린 트랜스퍼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o-숙시닐 호모세린의 제조방법 | |
WO2020067786A1 (ko) | 신규 과당-4-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 |
WO2022191633A1 (ko) | 신규한 시트레이트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o-아세틸-l-호모세린 또는 l-메티오닌 생산 방법 | |
WO2022149865A2 (ko) | GlxR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이용한 쓰레오닌 생산방법 | |
WO2021101000A1 (ko) |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 |
WO2022154188A1 (ko) | 신규한 폴리케타이드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 |
WO2022163929A1 (ko) | 신규한 펩티딜-디펩티다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 |
WO2022154189A1 (ko) | 신규한 피토엔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 |
WO2022163937A1 (ko) | 신규한 abc 트랜스포터 atp-결합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2163930A1 (ko) | 신규한 2-숙시닐-5-엔도피루빌-6-하이드록시-3-사이클로헥센-1-카복실레이트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 |
WO2022163938A1 (ko) | 신규한 리보뉴클레아제 p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2163940A1 (ko) | 신규한 갈락토사이드 o-아세틸트랜스퍼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
WO2022154179A1 (ko) | 신규한 d-알라닌--d-알라닌 리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 |
WO2022154180A1 (ko) | 신규한 포름아미도피리미딘-dna 글리코실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 |
WO2022163941A1 (ko) | 신규한 스퍼미딘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17438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WWE |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1 743 84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17438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15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