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21060779A1 -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0779A1
WO2021060779A1 PCT/KR2020/012675 KR2020012675W WO2021060779A1 WO 2021060779 A1 WO2021060779 A1 WO 2021060779A1 KR 2020012675 W KR2020012675 W KR 2020012675W WO 2021060779 A1 WO2021060779 A1 WO 20210607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less
polarizing plate
retardatio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6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제
유제혁
조우용
박윤기
이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251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39238B2/ja
Priority to CN202080060849.1A priority patent/CN114341680B/zh
Priority to US17/635,657 priority patent/US12235484B2/en
Priority to EP20868984.4A priority patent/EP4036618B1/en
Publication of WO20210607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07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n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thin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anti-reflection performance including front as well as side surfaces, and excellent folding durability and durability against short wavelength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reference wavelength of optical properties such as retardation and refractive index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pproximately 550 nm unless otherwise specified.
  • in-plane retardation is an optical characteristic defined by Equation 1 below
  •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is an optical characteristic defined by Equation 2 below.
  • R in is the in-plane retardation
  • R th is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 d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or second retardation layer
  • n x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r second retardation layer in the slow axis direction
  • n y is a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r second retardation layer in the fast axis direction
  • n z is a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r second retardation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term layer is a layer to be measured for an in-plane retardation or a retardation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thus, for example, the layer in the equation for obtaining an in-plane retardation or a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is the retardation layer.
  • angles in this specification are vertical, horizontal, orthogonal, parallel, and the above values in a practical sense, and are within approximately ⁇ 10 degrees, within ⁇ 9 degrees, and ⁇ 8 degrees. Within, within ⁇ 7 degrees, within ⁇ 6 degrees, within ⁇ 5 degrees, within ⁇ 4 degrees, within ⁇ 3 degrees, within ⁇ 2 degrees, or within ⁇ 1 degrees.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olarizing film,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a retardation layer formed under the polarizing film.
  • the retardation layer may be a single 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stack.
  • the term “lower”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polarizing film toward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upper part refers to the opposite direction.
  • the lower por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lower portion may coincide with a direction from the polarizing plate towa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portion may coincide with a direction toward the viewer. .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directly on the polarizing film without interposing another layer.
  • a protective film may be applied to protect the polarizing film so that scratches and the like do not occur on the polarizing film.
  • the protective film may typically be a glass substrate and/or a polymer film.
  • a hard coating layer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without applying another layer such as the protective film, and without intervening other layers.
  • the hard coating layer having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directly on the polarizing film without intervening other layers, thereby protecting the polarizing film when handling and/or u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le reducing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I can make 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in polarizing plate not only excellent in durability against a short wavelength, but also excellent in folding durability.
  •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a layer having a pencil hardness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 the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by drawing a pencil lead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at an angle of 45 degrees and a load of 500 g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using a general pencil hardness measuring equipment.
  •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by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pencil lead step by step until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indentations, scratches, or ruptures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confirmed.
  • the pencil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bout 0.5H or more in one example, and in another example, about 0.6H or more, 0.7H or more, 0.8H or more, 0.9H or more, 1H or more, or 2H or more, or 10H or less, 9H or less , 8H or less, 7H or less, 6H or less, 5H or less, 4H or less, 3H or less, or 2H or less.
  • the hard coa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 ⁇ m to 10 ⁇ m. In another example, it may be 1.5 ⁇ m or more, 2.0 ⁇ m or more, 2.5 ⁇ m or more, 3 ⁇ m or more, 9 ⁇ m or less, 8 ⁇ m or less, 7 ⁇ m or less, 6 ⁇ m or less, 5 ⁇ m or less, 4 ⁇ m or less, or 3 ⁇ m or less.
  • the thickness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and/or by applying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f a material to be described later, external impact and/or external impact and/or
  • the polarizing plate can be protected against short wavelength light, and folding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can also be secur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 a known material applied to forming the hard coating layer o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used.
  •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a polarizing plate generally,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a protective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or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 hard coa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o-called single-sided polarizing plate and the material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above hard coating layer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a hard coating layer including a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or an oxetane compound may be applied.
  • a material known as a protective layer material formed on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7215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72168, 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72460. can be illustrated.
  • the hard coating lay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as not form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in consideration of, for example, tearing of the polarizing film. That is, the hard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is not formed directly on the polarizing film, bu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film, or is formed directly on the polarizing film under the polarizing film,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When applied to this display device, a polarizing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display devic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by applying the hard coating layer to a polarizing plate having a unique structur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folding durability and short wavelength durability along with other desired properties.
  • a change in a reflected color value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may be 10 or less.
  • ⁇ L * can be L * a -L * i
  • ⁇ a * may be a * a -a * i
  • ⁇ b * may be b * a -b * i
  • L * a , a * a and b * a are respectively 420 nm in the polarizing plate at a temperature of 25 °C
  • L * i , a * i and b * i denote the polarizing plate 25, respectively.
  • Color coordinates L* , a *, and b * after exposure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20nm at a temperature of °C for 50 hours at a light amount of 0.75 to 0.85W/m 2 may be used.
  • the L, a, and b values may mean L, a, and b of the CIE Lab color space described below.
  • the L value represents brightness
  • an L value of 0 indicates black
  • an L value of 100 indicates white.
  • the value of a is negative
  • the color is skewed toward green, and if it is positive, the color is skewed toward red or purple.
  • the b value is negative, the color is skewed to blue, and if the b value is positive, the color is skewed to yellow.
  • Each value in the CIE Lab color space can be measured by applying a general method of measuring each coordinate of the color space, for example, a spectrophotometer having a detector in the form of an integrating sphere at the measurement position.
  • a spectrophotometer having a detector in the form of an integrating sphere at the measurement position.
  • KONICA MINOLTA, CM-2600d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anual. Such a measurement may be performed in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C. to 30° C. and a humidity condition of 40 to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hange in the reflected color value ( ⁇ E * ab ) according to Equation 4 of the polarizing plate is 9 or less, 8 or less, 7 or less, 6 or less, 5 or less, 4 or less, 3 or less, 2.9 or less, 2.8 or less, 2.7 or less, 2.6 or less, 2.5 or less, 2.4 or less, 2.3 or less, 2.2 or less, 2.1 or less, 2.0 or less, 1.9 or less, 1.8 or less, 1.7 or less, 1.6 or less, 1.5 or less,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 1.0 or less, 0.9 or less, 0.8 or less, 0.7 or less, 0.6 or less, 0.5 or less, 0.4 or less, 0.3 or less, or 0.2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particular, by introducing the above-described hard coating layer on the polarizing film without the intervening of other layers, can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problem of reducing the lifespan of the polarizing plate is controlled even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formed thin and is exposed to a short wavelength for a long time have.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thickness of 45 ⁇ m or less.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is 44 ⁇ m or less, 43 ⁇ m or less, 42 ⁇ m or less, 41 ⁇ m or less, 40 ⁇ m or less, 39 ⁇ m or less, 38 ⁇ m or less, 37 ⁇ m or less, 36 ⁇ m or less, 35 ⁇ m or less, 5 ⁇ m or more, 10 ⁇ m or more, 15 ⁇ m or more, 20 ⁇ m or more , 25 ⁇ m or more, 30 ⁇ m or more, or 35 ⁇ 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that does not cause appearance defects such as cracks during folding, and by applying the polarizing plate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olding durability This excellent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include a retardation layer under the polarizing film.
  • the retardation layer may have a single 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 the retardation layer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or a second retardation layer.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is present under the polarizing film
  •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is present under the first retardation layer, so that the hard coating layer 500 and the polarizing film 100 are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01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02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each phase difference layer is designed as follows, and it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especially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so that it has excellent anti-reflection performance and/or color characteristics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front as well as the side, and has excellent short wavelength durability.
  • a display device especially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so that it has excellent anti-reflection performance and/or color characteristics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front as well as the side, and has excellent short wavelength durability.
  • an excellent polarizing plate can be provided.
  • the term retardation layer is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and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incident polarization by controlling birefringence.
  •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described,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x-axis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plan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y-axis is parallel to the in-plane fast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It means the direction, and the z-axis mean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 the x-axis and y-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a plane.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may have an in-plane retardation (based on a 550 nm wavelength) of Equation 1 in a range of about 100 to 150 nm.
  • the in-plane retardation is about 110 nm or more, 120 nm or more, 130 nm or more, 131 nm or more, 132 nm or more, 133 nm or more, 134 nm or more, 135 nm or more, 136 nm or more, 137 nm or more, 138 nm or more, 139 nm or more, 140 nm or more, or 149 nm or less, It may be 148nm or less, 147nm or less, 146nm or less, 145nm or less, 144nm or less, 143nm or less, 142nm or less, or 141nm or less.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may be arranged such that, for example, the slow axis may form an angle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35° to 55° with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 the angle is approximately 15 degrees or more, 20 degrees or more, 25 degrees or more, 30 degrees or more, 35 degrees or more, 40 degrees or more, or 45 degrees or more, or 65 degrees or less, 60 degrees or less, 55 degrees or less, 50 degrees. It may be less than or about 45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it may be arranged to achieve an angle with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40 degrees to 5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also have a dispersion coefficient of less than 1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 R in (450) is an in-plane retardation based on the 450 nm wavelength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 R in (550) is an in-plane retardation based on the 550 nm wavelength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may also be a quarter wave plate (QWP).
  • QWP refers to a wave plate having a quarter-wavelength phase retardation characteristic, and refers to a wave plate that serves to convert incident polarized light, which is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 the n-wavelength phase delay property refers to a property capable of retarding incident light by n time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within at least a part of the wavelength range.
  • the 1/4 wavelength phase delay characteristic may mean a characteristic capable of retarding the incident light by 1/4 time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within at least a part of the wavelength range.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25 ⁇ m or less in an example.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in which the slow axis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re disposed within the above range while showing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above range a combination with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described later i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hibit an appropriate level of compens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wavelength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thus, excellent omnidirectional anti-reflection performance, color characteristics, and/or short-wavelength durability can be secured.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retardation layer under the first retardation layer.
  •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retardation layer, or other elements such as an adhesive layer or a polymer film may be pres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have a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based on a 550 nm wavelength) of Equation 2 in a range of about 30 nm to 150 nm.
  •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about 35 nm or more, 40 nm or more, 45 nm or more, 50 nm or more, 55 nm or more, or 60 nm or more, or 140 nm or less, 130 nm or less, 120 nm or less, 110 nm or less, 100 nm or less, 90 nm or less, 80 nm or less, or 70 nm or less.
  • I can.
  •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in one example, be a layer that does not substantially have an in-plane retardation layer.
  •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based on a wavelength of 550 nm) is, for example, approximately 10 nm or less, 9 nm or less, 8 nm or less, 7 nm or less, 6 nm or less, 5 nm or less, 4 nm or less, 3 nm or less, 2 nm or less, or 1 nm or less, or It may be substantially 0 nm.
  • the arrangement of its slow axi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arrangement may be vertical or horizontal with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layer.
  •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0 ⁇ m or less in an example. In another example, 9 ⁇ m or less, 8 ⁇ m or less, 7 ⁇ m or less, 6 ⁇ m or less, 5 ⁇ m or less, 4 ⁇ m or less, 3 ⁇ m or less, or 2 ⁇ m or less, 0.1 ⁇ m or more, 0.2 ⁇ m or more, 0.3 ⁇ m or more, 0.4 It may be ⁇ m or more, 0.5 ⁇ m or more, 0.6 ⁇ m or more, 0.7 ⁇ m or more, 0.8 ⁇ m or more, or 0.9 ⁇ 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exhibit a desired phase difference.
  • the range of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etc.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and by combining with the first retardation layer described ab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 effec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chieved.
  •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various types of retardation layer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satisfied.
  • the retardation layer a polymer film that has optical anisotropy by stretching such as uniaxial or biaxial stretching, or a liquid crystal film or liquid crystal polymer film formed by aligning and polymeriz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so-called RM (Reactive Mesogen)) is applied.
  • RM Reactive Mesogen
  • the first and/or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film or a liquid crystal polymer film formed by aligning and polymeriz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in this case, the first and/or second retardation layer It may be referred to as 1 and/or the second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
  • RM Reactive Mesogen
  •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described above, a so-called polymerizable nematic liquid crystal compound, a polymerizable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like are known. Although it is effective to apply such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adjustment of the dispersion coefficient, it is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liquid crystal compounds as long as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atisfied.
  • the stretched polymer film examples include a polyolefin film such as a polyethylene film or a polypropylene film, a cyclic olefin polymer film such as a polynorbornene film, an acrylic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nd a polyacrylonitrile.
  • Cellulose ester polymer film such as film, polysulfone film, polyacrylate film, polyvinyl alcohol film or TAC (triacetyl cellulose) film, or polyester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r PC (polycarbonate) film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C polycarbonate
  • a cyclic olefin polymer film or an acrylic film may be used as the polymer film.
  • a cyclic olefin polymer a cyclic olefin ring-opening polymer such as norbornene or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an addition polymer of a cyclic olefin, a copolymer of another comonomer such as a cyclic olefin and an alpha-olefin, or the polymer or Graft polymers in which the copolymer is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derivative thereof may be exemplif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other elements above and/or below the polarizing film and the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only the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as retardation layers.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only a so-called isotropic layer except for the polarizing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 the isotropic lay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treated as an isotropic layer as long as it has a phase difference that does not damage the optical structure designed for the polarizing plate, even if the layer has a phase difference to some extent as a substantially isotropic layer.
  • the term isotropic lay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layer in which the in-plane retardation an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to or less than 20 nm.
  • the retardation is 19 nm or less, 18 nm or less, 17 nm or less, 16 nm or less, 15 nm or less, 14 nm or less, 13 nm or less, 12 nm or less, 11 nm or less, 10 nm or less, 9 nm or less, It may be 8 nm or less, 7 nm or less, 6 nm or less, 5 nm or less, 4 nm or less, 3 nm or less, 2 nm or less, 1 nm or less, or 0 nm. Therefore, on the contrary, a layer in which any one of the in-plane retardation an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exceed 20 nm may be treated as a retardation lay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further includes an isotropic layer, the retardation layer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isotropic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isotropic layer is attached to the polarizing film.
  • the isotropic layer is, for example, a triacetyl cellulose film, a cycloolefin polymer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carbonate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 polyacrylonitrile film, a polysulfone film, a polyacrylate film or a polyvinyl It may be an alcohol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ness of the isotropic layer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 ⁇ m to 35 ⁇ m.
  • the thickness of the isotropic layer is 6 ⁇ m or more, 7 ⁇ m or more, 8 ⁇ m or more, 9 ⁇ m or more, 10 ⁇ m or more, 11 ⁇ m or more, 12 ⁇ m or more, 13 ⁇ m or more, 14 ⁇ m or more, 15 ⁇ m or more, 16 ⁇ m or more, 17 ⁇ m or more, 18 ⁇ m or more, 19 ⁇ m or more or 34 ⁇ m or less, 33 ⁇ m or less, 32 ⁇ m or less, 31 ⁇ m or less, 30 ⁇ m or less, 29 ⁇ m or less, 28 ⁇ m or less, 27 ⁇ m or less, 26 ⁇ m
  • it may be 25 ⁇ m or less, 24 ⁇ m or less, 23 ⁇ m or less, 22 ⁇ m or less, or 21 ⁇ m or less.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example, the ratio (H/P)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H) and the thickness of the isotropic layer (P),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H) and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T)
  • the ratio (H/P) and/or the ratio (H/S)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S) of the polarizing film By controlling the ratio (H/T) and/or the ratio (H/S)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S) of the polarizing film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desired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 the ratio (H/P)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P) of the isotropic layer may be in the range of 0.01 to 1.5, in one example.
  • the ratio (H/P)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P) of the isotropic layer is in another example, 0.02 or more, 0.03 or more, 0.04 or more, 0.05 or more, 0.06 or more, 0.07 or more, 0.08 or more, 0.09 or more, 0.10 or more, 0.11 or more, 0.12 or more, 0.13 or more, 0.14 or more,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1.0 or less, 0.9 or less, 0.8 or less, 0.7 or less, 0.6 or less, 0.5 or less, 0.4 or less , 0.3 or less, 0.2 or less, 0.19 or less, 0.18 or less, 0.17 or less, or 0.16 or less.
  • the ratio (H/T)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T) of the retardation layer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5 in one example.
  •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may mean the thickness of a single layer structure when the retardation layer has a single layer structure, and when the retardation layer is a stack of two or more layers, it may mean the total thickness of each layer.
  • the thickness 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a thickness T1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when the retardation layer has a two-layer structure of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It may me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T2) of.
  • the ratio (H/T)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T) of the retardation layer is 0.2 or more, 0.3 or more, 0.4 or more, 0.5 or more, 0.6 or more, 0.7 or more, 0.8 or more, or It may be 0.9 or more, 4.5 or less, 4.0 or less, 3.5 or less, 3.0 or less, 2.5 or less, 2.0 or less, or 1.5 or less.
  • the ratio (H/S)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S)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in the range of 0.01 to 1.5 in one example.
  • the ratio (H/S) of the thickness (H)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S) of the polarizing film is 0.05 or more, 0.1 or more, 0.15 or more, 0.20 or more, 0.25 or more, 0.30 or more, 0.35 or more, or 0.40 or more, or 1.4 It may be less than,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1.0 or less, 0.9 or less, 0.8 or less, 0.7 or less, 0.6 or less, or 0.5 or less.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included in order to attach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nder the retardation layer. Accordingly,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a polarizing film, a retard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above order. In one example, in the polarizing pl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ly under the retardation layer. Therefore, in the polarizing plate structure, an adhesive layer may not be formed on the hard coating layer.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pplied to a known polarizing plate may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the polarizing film may be,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 the terms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refer to objec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 the polarizing film refers to a film, sheet, or element itself exhibiting a polarizing function, and the polarizing film is a functional element capable of extracting light vibrating in one direction from incident light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 the polarizing plate refers to an optical element including other elements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film. Other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element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polarizing film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lay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olarizing film may be an absorption type or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film,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olarizing film may be,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 the term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may mean,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ontaining an anisotropic absorbing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 Such a film can be produced by including an anisotropic absorbing substance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oriented by stretching or the like.
  •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or saponified product of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bout 100 to 5,000 or 1,400 to 4,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depending on the purpose.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 ⁇ m to 100 ⁇ m. In another example, 2 ⁇ m or more, 3 ⁇ m or more, 4 ⁇ m or more, 5 ⁇ m or more, 6 ⁇ m or more, 7 ⁇ m or more, 8 ⁇ m or more, 9 ⁇ m or more, 10 ⁇ m or more, 11 ⁇ m or more, 12 ⁇ m or more, or 90 ⁇ m Or less, 80 ⁇ m or less, 70 ⁇ m or less, 60 ⁇ m or less, 50 ⁇ m or less, 40 ⁇ m or less, 30 ⁇ m or less, 20 ⁇ m or less, 19 ⁇ m or less, 18 ⁇ m or less, 17 ⁇ m or less, 16 ⁇ m or less, 15 ⁇ m or less, 14 ⁇ m or less, 13 ⁇ m or less, 12 ⁇ m or less, 11
  • Such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performing at least a dye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nd a stretching process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a dyeing process for example, by performing at least a dye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nd a stretching process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each treatment bath of a dyeing bath, a crosslinking bath, and a stretching bath is used, and each of these treatment baths may use a treatment liquid according to each process.
  • the anisotropic absorbing material may be adsorbed and/or orientated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This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tretching process.
  • Dyeing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n anisotropic absorbent material, for example, an iodine solution.
  • an iodine solution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ions by iodine and an iodide compound serving as a dissolution aid can be used.
  • the iodide compound for exampl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or titanium iodide may be used.
  • the concentration of iodine and/or iodide ions in the iodine solution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a desired polarizing film, and such a control method is known.
  • the temperature of the iodine solution is typically about 20°C to 50°C, 25°C to 40°C, and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about 10 seconds to 300 seconds or 20 seconds to 24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rosslinking proces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 boron compound.
  •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 boron compound.
  • the order of the crosslinking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yeing and/or stretching process, or may be performed separately.
  • the crosslin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several times.
  • the boron compound boric acid or borax may be used.
  • the boron compound may be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r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and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s usually used.
  • the bo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may be selected in an appropriate range in consideration of crosslinking degree and thus heat resistance.
  • 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can also be contained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or the like.
  • the crosslin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or the like.
  •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typically 25°C or higher, 30°C to 85°C, or 30°C to 60°C, and the treatment time is typically 5 seconds to 800 seconds or 8 seconds to 500 seconds.
  • the stretching process is generally performed by uniaxial stretching. Such stretching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yeing and/or crosslinking process.
  •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wet stretching method may be applied. In such a wet stretching method, for example, it is common to perform stretching after dyeing, but stretching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crosslinking,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or in multiple stages.
  • 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can be contained in the treatment liquid applied to the wet stretching method.
  •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usually 25°C or higher, 30°C to 85°C, or 50°C to 70°C
  • the treatment time is usually 10 seconds to 800 seconds or 30 seconds to 50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total draw ratio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orientation characteristics, etc., and the total draw ratio is about 3 to 10 times, 4 to 8 times, or 5 to 7 times based on the original l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the total draw ratio may mean a cumulative draw ratio including the draw in each step when the drawing is accompanied by a swelling process other than the drawing process. This total draw ratio may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in consideration of orientation, processa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or possibility of stretching and cutting.
  • a swe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in addition to the dyeing, crosslinking and stretching. It is possible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y swelling and to clean the anti-blocking agent, and thereb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unevenness such as dyeing deviation.
  • water distilled water, pure water,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main component of the treatment liquid is water, and if necessary, an additive such as 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or a surfactant, or a small amount of alcohol may be contained.
  • the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swelling process is usually about 20°C to 45°C or 20°C to 40°C, bu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swelling deviations can cause dyeing deviations, the process parameter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ccurrence of such swelling deviations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 suitable stretching can also be carried out in the swelling process.
  • the draw ratio may be about 6.5 times or less, 1.2 to 6.5 times, 2 times to 4 times, or 2 times to 3 times based on the original l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the stretching in the swelling process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tretching in the stretch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swelling process can be controlled to be small, and the stretching breakage of the film does not occur.
  • metal 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Such treatment is performed, for example,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metal sal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ain metal ions in the speculum.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lor ton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arizing film by adjusting the type or ratio of the metal ions.
  • metal ions that can be applied include metal ions of transition metals such as cobalt, nickel, zinc, chromium, aluminum, copper, manganese, or iron. have.
  • a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crosslinking, and stretching.
  • Such a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 water or a solution of an iodin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 washing with water and washing with an iodine compound solution may be combined, and a solution in which a liquid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or propanol is mixed may also be used.
  • a liquid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or propanol is mixed
  • a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 it may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n appropriat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the polarizing film, and such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zinc component such as zinc ions to secure high temperatur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content of the zinc component may be further adjusted.
  • the polarizing film may contain a zinc component (Zn) in the range of 0.1 to 10% by weight.
  • Zn zinc component
  • the content is about 0.2% by weight or more, about 0.3% by weight or more, about 0.4% by weight or more, or about 0.5% by weight or more, about 9% by weight or less, about 8% by weight or less, about 7% by weight or less, About 6 wt% or less, 5 wt% or less, 4 wt% or less, 3 wt% or less, 2 wt% or less, 1 wt% or less, 0.9 wt% or less, 0.8 wt% or less, 0.7 weight % Or less, 0.6 wt% or less, 0.5 wt% or less, 0.4 wt% or less, or 0.3 wt% or less.
  • the zinc component in the polarizing film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durability, which can maintain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even when maintained and/or driven at a high temperature.
  •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ing plate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example,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60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600 and a polarizing plate 10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600.
  •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01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02 of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600 compared to the polarizing film 100.
  •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a lower electrode, an organic emission layer, an upper electrod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 One of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other may be a cathode.
  • the anode is an electrode into which holes are injected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 work function
  • the cathode is an electrode into which electrons are injected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 At least one of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rough which emitted ligh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 example, ITO or IZO.
  • the organic emission layer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light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 An auxiliary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organic emission layer an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organic emission layer.
  • the auxiliary layer may inclu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 hole injecting layer, an electron injec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for balancing electrons and holes.
  • the encapsulation substrate may be made of glass, metal, and/or polymer, and the lower electrode, the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may be encapsulated to prevent moisture and/or oxygen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from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6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ottom emission structure emitting light toward the base substrate, 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ase substrate, and in the case of a top emission structure emitting light toward the encapsulation substrate, 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encapsulation substrate. .
  • the polarizing plate 10 prevents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by a reflective layer made of metal such as electrodes and wiring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600 and coming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600 to improv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 can.
  •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xhibit an anti-reflection effect not only from the front side but also from the side as described above, side visibility may be improved.
  •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the display device may be a flexible display device.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vice or the like or a method of configuring the devic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s long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used, the corresponding field Any material or method known to be used may be employed.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having excellent omnidirectional antireflection performance, folding durability, and durability against a short wavelength.
  • 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a thin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anti-reflection performance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front side as well as the side surface, and excellent in folding durability and durability against a short wavelength.
  • 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FIG. 3 shows a state after a folding test on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 FIG. 4 shows a state after a folding test on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 the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n ion-exchanged water at 25° C. for 60 seconds, and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 C. containing about 3% by weight of zinc nitrate for 30 seconds. Thereafter, the polyvinyl alcohol film was dried at 80° C. for 60 seconds to prepare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aminate of a hard coating layer, a polarizing film, and a retardation layer was prepared in sequence.
  • the polariz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was applied as the polarizing film.
  • the final thickness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as about 7 ⁇ m, and the zinc component contained about 0.2 to 0.3% by weight.
  • the laminate of the retardation layer was prepared as follows.
  • QWP quarter wave plate
  • a vertical alignment layer By coating a vertical alignment layer on the first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 of the film in a bar coating method, coat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erck) on the vertical alignment layer, and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vertically aligned state.
  • a positive C film (the second liquid crystal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bout 62 nm with respect to a wavelength of 550 nm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 ⁇ m to prepare a multi-layered retardation layer.
  • the multilayered retardation layer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ing an optical UV adhesive ((thickness: 2 ⁇ m).
  • the laminate of the retardation layer was first on the triacetylcellulose film.
  •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 is not formed was attached to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mall angle of the angle formed by the slow axis of the first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45 degrees.
  • a UV adhesive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and an oxetane compound which has a function of a hard coating layer,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release-treated side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release treatment on one side is applied.
  • a UV lamp was passed through, and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 m and a pencil hardness of about 2H was formed.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finally peeled off.
  •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ard coating layer/polarizing film/UV adhesive layer/triacetylcellulose film/first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second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was prepared.
  • the fin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was about 35 ⁇ m.
  •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aminate of a cycloolefin film, a polarizing film, a hard coating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in sequence was prepared.
  • the polariz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was applied as the polarizing film.
  • the final thickness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as about 7 ⁇ m, and the zinc component contained about 0.2 to 0.3% by weight.
  • a hard-coated cycloolefin polymer film (Zeon company, about 29 ⁇ m in thickness)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ing an optical UV adhesive (thickness: 2 ⁇ m), and a hard coating layer is bar-co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It was coated so that the thickness was about 3 ⁇ m.
  • the laminate of the retardation layer has an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a QWP (Quarter wave plate) liquid crystal (Fuji)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of 141 nm with respect to a 550 nm wavelength, and a positive C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62 nm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a 550 nm wavelength ( Merck company, thickness of about 1 ⁇ m) was prepared by coating with a thickness of about 2 ⁇ m.
  • QWP Quadrater wave plate liquid crystal
  •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 of a cycloolefin polymer film/UV adhesive layer/polarizing film/hard coating layer/UV adhesive layer/phase difference layer (reverse dispersion QWP/positive C film) was sequentially stacked was prepared.
  • the final thickness was about 46 ⁇ m.
  • the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ttached to an OLED panel (a reflectance of 55% for a wavelength of 550 nm)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tardation layers were closer to the OLED panel compared to the polarizing film. Thereafter, the color coordinates L, a, and b were measured for the polarizing plate before/after the short wavelength test using the CM-2600d equipment of KONICA MINOLTA.
  • the short wavelength test is a test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placed in a chamber at a temperature of 25° C. (Atlas),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20 nm is exposed at an amount of 0.75 to 0.85 W/m 2 for 50 hours.
  • Table 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reflected color value change ( ⁇ E * ab)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 the reflection color change value ( ⁇ E * ab) through which the embodiment 1 is small compared to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by having a short wavelength is superior durability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본 출원은, 편광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별도의 백라이트(Backlight)가 필요 없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플렉서블(flexible)한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
하지만,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형성된 금속 전극 및 금속 배선에 의한 외부광 반사로 인해, 시인성과 대비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 단파장 영역대의 광에 장시간 노출 시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 등이 있다. 또한,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및 박형화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더욱 더 가볍고 얇게 구현하는 것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으며, 플렉서블한 표시장치에 적용했을 때의 폴딩에 따른 크랙 발생 등의 품질 저하도 문제된다.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위상차나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의 기준 파장은,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대략 550 nm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내 위상차는 하기 수식 1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특성이고, 용어 두께 방향 위상차는 하기 수식 2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특성이다.
[수식 1]
R in = d × (n x-n y)
[수식 2]
R th = d × (n z-n y)
수식 1 및 수식 2에서 R in은 면내 위상차이고, R 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이고, n x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굴절률이며, n y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 z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에서 용어 층은, 면내 위상차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의 측정 대상의 층이고, 따라서, 예를 들어,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를 구하는 상기 수식에서의 층은 상기 위상차층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는 용어 수직, 수평, 직교, 평행 및 각도의 수치는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수직, 수평, 직교, 평행 및 상기 수치로서, 대략 ±10도 이내, ±9도 이내, ±8도 이내, ±7도 이내, ±6도 이내, ±5도 이내, ±4도 이내, ±3도 이내, ±2도 이내 또는 ±1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의 적층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부는 상기 편광 필름에서 위상차층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부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하부는, 본 출원의 편광판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에 상기 편광판에서 후술할 유기발광표시패널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으며, 상부는 시인측으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일 예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사용 시 편광 필름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편광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 및/또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필름 등의 다른 층을 적용하지 않고, 또한 다른 층의 개재 없이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하드코팅층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술하는 특징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 취급 및/또는 사용 시 편광 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편광판의 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딩 내구성 또한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일정 수준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가지는 층일 수 있다. 상기 연필 경도는 일반적인 연필 경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약 25°C의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500 g의 하중 및 45도의 각도로 연필심을 하드코팅층 표면에 긋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표면에서 압흔, 긁힘 또는 파열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이 확인될 때까지 연필심의 경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연필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코팅층 연필 경도는, 일 예시에서 약 0.5H 이상일 수 있으며, 다른 예시에서 약 0.6H 이상, 0.7H 이상, 0.8H 이상, 0.9H 이상, 1H 이상 또는 2H 이상이거나 10H 이하, 9H 이하, 8H 이하, 7H 이하, 6H 이하, 5H 이하, 4H 이하, 3H 이하 또는 2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1㎛ 내지 10㎛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또는 3㎛ 이상이거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또는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연필 경도를 가지면서, 두께가 상기와 같이 제어되고 및/또는 후술하는 재료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적용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상부에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단독으로 형성되어도 외부 충격 및/또는 단파장 광에 대해 편광판을 보호할 수 있으며, 편광판의 두께 감소 등을 통해 편광판의 폴딩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편광판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되는 공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으로는,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 또는 편광 필름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고, 다른 면에는 하드코팅층과 점착제층이 순차 형성되는 소위 편면 편광판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이 있는데, 위와 같은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적용되는 재료가 본 출원의 편광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으로는, 중합성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15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168호 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460호 등에서 편광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재료로서 공지된 재료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하드코팅층은, 예를 들면, 편광 필름의 찢어짐 등을 고려하여, 편광 필름의 상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지는 않았다. 즉, 종래의 편광판에 적용되는 하드코팅층은, 편광 필름상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편광 필름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편광 필름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에도 편광 필름의 하부, 즉 편광판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에 편광 필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하드코팅층을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특유의 구조의 편광판에 적용함으로써, 목적하는 다른 물성과 함께 폴딩 내구성 및 단파장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공이 가능한 점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편광판은 하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가 10 이하일 수 있다.
[수식 4]
ΔE * ab=[(ΔL *) 2 + (Δa *) 2 + (Δb *) 2] 1/2
수식 4에서 ΔL *는 L * a-L * i일 수 있고, Δa *는 a * a-a * i일 수 있으며, Δb *는 b * a-b * i일 수 있고, L * a, a * a 및 b * a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기 전의 색좌표 L *, a * 및 b *일 수 있고, L * i, a * i 및 b * i 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킨 후의 색좌표 L *, a * 및 b *일 수 있다.
상기 L, a, b 값은 하기에 기재한 CIE Lab색공간의 L, a,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색공간에서 L값은 명도를 나타내고, L값이 0이면 검은색, L값이 100이면 흰색을 나타낸다. 또한, a값이 음수이면 초록에 치우친 색이 되고, 양수이면 빨강 또는 보라측에 치우친 색이 된다. 또한, b값이 음수이면 파랑에 치우친 색이 되며, b값이 양수이면 노랑에 치우친 색이 된다.
상기 CIE Lab 색공간에서의 각 수치는, 상기 색공간의 각 좌표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측정 위치에 적분구 형태의 검출기(detector)를 가지는 장비(spectrophotometer)(KONICA MINOLTA社, CM-2600d)를 위치시킨 후에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은 통상적으로 20℃ 내지 30℃의 온도 조건, 40 내지 50% 습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편광판의 상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ΔE * ab)는 다른 예시에서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또는 0.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특히 전술한 하드코팅층을 다른 층의 개재 없이 편광 필름 상에 도입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단파장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편광판의 수명 저하 등의 문제가 제어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45μ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44μm 이하, 43μm 이하, 42μm 이하, 41μm 이하, 40μm 이하, 39μm 이하, 38μm 이하, 37μm 이하, 36μm 이하 또는 35μm 이하이거나 5μm 이상, 10μm 이상, 15μm 이상, 20μm 이상, 25μm 이상, 30μm 이상 또는 35 μ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판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폴딩 시 크랙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여, 폴딩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또한, 편광 필름의 하부에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다층 구조인 경우에 위상차층은, 예를 들어, 제 1 위상차층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상기 제 1 위상차층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상기 제 2 위상차층이 존재하여, 도 1과 같이 하드코팅층(500), 편광 필름(100), 제 1 위상차층(201), 제 2 위상차층(20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서 각 위상차층의 광학 특성을 하기와 같이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어서 정면뿐 아니라 측면을 포함한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 및/또는 컬러 특성이 우수하고, 단파장 내구성 또한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위상차층은 광학 이방성층으로, 복굴절을 제어함으로써 입사 편광을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층의 x축, y축 및 z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x축은 위상차층의 면내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위상차층의 면내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x축과 y축은 면내에서 서로 직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상기 수식 1의 면내 위상차(550nm 파장 기준)가 대략 100 내지 150 n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면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110nm 이상, 120nm 이상, 130nm 이상, 131nm 이상, 132nm 이상, 133nm 이상, 134nm 이상, 135nm 이상, 136nm 이상, 137nm 이상, 138nm 이상, 139nm 이상 또는 140nm 이상이거나 149nm 이하, 148nm 이하, 147nm 이하, 146nm 이하, 145nm 이하, 144nm 이하, 143nm 이하, 142nm 이하 또는 141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상기와 같은 배치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예를 들어, 그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대략 35도 내지 55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다른 예시에서 대략 15도 이상, 20도 이상, 25도 이상, 30도 이상, 35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이거나, 65도 이하, 60도 이하, 55도 이하, 50도 이하 또는 45도 이하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또한, 하기 수식 3에 따른 분산 계수가 1 미만일 수 있다.
[수식 3]
분산 계수 = R in(450)/R in(550)
수식 3에서 R in(450)은 제 1 위상차층의 4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고, R in(550)은 제 1 위상차층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또한, QWP(Quarter Wave Plat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QWP는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지는 파장판으로, 선편광인 입사 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파장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n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n배 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1/4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25㎛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또는 3㎛ 이하이거나,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일 수 있으나, 목적하는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범위의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면서, 제 1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상기와 같은 범위 내로 배치된 제 1 위상차층을 적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제 2 위상차층과의 조합을 통해 가시광 영역 내 파장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보상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 컬러 특성 및/또는 단파장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상기 제 1 위상차층과 접하고 있거나, 혹은 제 1 및 제 2 위상차층 사이에 다른 요소, 예를 들어 점착층 등이나 고분자 필름 등이 존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상기 수식 2의 두께 방향 위상차(550nm 파장 기준)가 대략 30nm 내지 15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대략 35nm 이상, 40nm 이상, 45nm 이상, 50nm 이상, 55nm 이상 또는 60nm 이상이거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110nm 이하, 100nm 이하, 90nm 이하, 80nm 이하 또는 7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실질적으로 면내 위상차층을 가지지 않는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550nm 파장 기준)는, 예를 들면, 대략 10nm 이하, 9nm 이하, 8nm 이하, 7nm 이하, 6nm 이하, 5nm 이하, 4nm 이하, 3nm 이하, 2nm 이하 또는 1nm 이하이거나 실질적으로 0nm 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층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면내 위상차를 가지지 않고, 따라서 그의 지상축의 배치는 편광판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제 2 위상차층에 지상축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배치는 편광층의 흡수축과 수직하거나 수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1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이거나,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일 수 있으나, 목적하는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 등의 범위가 상기와 같이 제어되고, 소정 위치에서 전술한 제 1 위상차층과 조합됨으로써 본 출원의 목적에 적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으로는 상기 언급된 특성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종류의 위상차층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위상차층으로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 등의 연신에 의해서 광학 이방성을 부여한 고분자 필름이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소위 RM(Reactive Mesogen))을 배향시키고 중합시켜서 형성되는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 등이 적용되고, 위에 기술한 특성이 만족되는 한 상기와 같은 공지의 위상차층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중합시켜서 형성되는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은 제 1 및/또는 제 2 액정 위상차층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소위 RM(Reactive Mesogen))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고, 이를 적용하여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위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소위 중합성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나, 중합성 스멕틱 액정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분산 계수의 조절의 용이성 관점에서 이러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다른 종류의 액정 화합물이라도 본 출원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연신 고분자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노르보넨 필름 등의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폴리머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나, PC(polycarbonate)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상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량체 중에서 2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필름으로는,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 필름 또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로는, 노르보넨 등의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알파-올레핀과 같은 다른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 등으로 변성시킨 그래프트 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층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층과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을 제외하면, 소위 등방성층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등방성층은, 실질적인 등방성층으로서 해당 층이 어느 정도의 위상차를 가진다고 해도 편광판에 대해서 설계된 광학 구조를 훼손하지 않을 정도의 위상차라면, 등방성층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용어 등방성층은, 상기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동시에 20 nm 이하인 층이다. 상기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19 nm 이하, 18 nm 이하, 17 nm 이하, 16 nm 이하, 15 nm 이하, 14 nm 이하, 13 nm 이하, 12 nm 이하, 11 nm 이하, 10 nm 이하, 9 nm 이하, 8 nm 이하, 7 nm 이하, 6 nm 이하, 5 nm 이하, 4 nm 이하, 3 nm 이하, 2 nm 이하 또는 1 nm 이하이거나, 0 nm 일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상기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20 nm를 초과하는 층은 본 출원에서 위상차층으로 취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등방성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1면에는 상기 위상차층이 순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2면이 상기 편광 필름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등방성층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3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등방성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편광판의 박형화에 따른 폴딩 내구성 등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이거나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또는 21㎛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전술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 및/또는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 등을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목적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하나의 예시에서,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다른 예시에서,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0 이상, 0.11 이상, 0.12 이상, 0.13 이상 또는 0.14 이상이거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0.2 이하, 0.19 이하, 0.18 이하, 0.17 이하 또는 0.16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하나의 예시에서, 0.1 내지 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는, 위상차층이 단층 구조인 경우 단층 구조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고, 위상차층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인 경우 각 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총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는 상기 위상차층이 제 1 위상차층 및 제 2 위상차층의 2층 구조인 경우,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두께(T1) 및 상기 제 2 위상차층의 두께(T2)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다른 예시에서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이거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하나의 예시에서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0.05 이상, 0.1 이상, 0.15 이상, 0.20 이상, 0.25 이상, 0.30 이상, 0.35 이상 또는 0.40 이상이거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드코팅층과 다른 층 간의 두께의 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연필 경도, 단파장 내구성 및/또는 폴딩 내구성 등의 효과가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또한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본 출원의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기 위해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위상차층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편광판은, 하드코팅층, 편광 필름, 위상차층 및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순서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위상차층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판 구조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상부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편광판에 적용되는 점착제층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 필름 및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편광 필름은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며, 상기 편광 필름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자이다.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 필름과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 필름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편광 필름은, 흡수형이거나, 반사형 편광 필름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편광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용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은, 예를 들면, 요오드나 이색성 색소와 같은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폴리비닐알코올로 호칭할 수 있다) 계열의 수지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시키고,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 내지 5,000 또는 1,400 내지 4,000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μm 내지 100μm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2 μm 이상, 3 μm 이상, 4 μm 이상, 5 μm 이상, 6 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10 μm 이상, 11 μm 이상 또는 12 μm 이상 이거나 90 μm 이하, 80μm 이하, 70μm 이하, 60μm 이하, 50μm 이하, 40μm 이하, 30μm 이하, 20μm 이하, 19μm 이하, 18μm 이하, 17μm 이하, 16μm 이하, 15μm 이하, 14μm 이하, 13μm이하, 12μm 이하, 11μm 이하, 10μm 이하, 9μm 이하, 8μm 이하 또는 7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적어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에는, 각각 염색욕, 가교욕 및 연신욕의 각 처리욕이 사용되고, 이들 각 처리욕은 각 공정에 따른 처리액이 사용될 수 있다.
염색 공정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흡착 및/또는 배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염색 공정은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염색은 상기 필름을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 예를 들면, 요오드 용액에 침지시켜서 수행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요오드 및 용해 보조제인 요오드화 화합물에 의해 요오드 이온을 함유시킨 수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또는 요오드화티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 중에서 요오드 및/또는 요오드화 이온의 농도는, 목적하는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조절 방식은 공지이다. 염색 공정에서 요오드 용액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내지 50℃, 25℃ 내지 40℃ 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적으로 10초 내지 300초 또는 20초 내지 240초 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는 가교 공정은, 예를 들면, 붕소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염색 및/또는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하거나, 별도로 진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은 여러 번 실시할 수도 있다. 붕소 화합물로는 붕산 또는 붕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수용액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이 사용된다. 붕산 수용액에서의 붕산 농도는, 가교도와 그에 따른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붕산 수용액 등에도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 공정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 이상, 30℃ 내지 85℃ 또는 30℃ 내지 60℃ 정도의 범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적으로 5초 내지 800초간 또는 8초 내지 500초간 정도이다.
연신 공정은, 일반적으로 1 축 연신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연신은, 상기 염색 및/또는 가교 공정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습윤식 연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습윤식 연신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염색 후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연신은 가교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회 또는 다단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습윤식 연신 방법에 적용되는 처리액에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연신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 이상, 30℃ 내지 85℃ 또는 50℃ 내지 70℃의 범위 내 정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 10초 내지 800초 또는 30초 내지 500초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신 과정에서 총 연신 배율은 배향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총 연신 배율이 3배 내지 10배, 4배 내지 8배 또는 5배 내지 7배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총 연신 배율은 연신 공정 이외의 팽윤 공정 등에 있어서도 연신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을 포함한 누적 연신 배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총 연신 배율은, 배향성, 편광 필름의 가공성 내지는 연신 절단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는 상기 염색, 가교 및 연신에 추가로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팽윤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팽윤에 의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해 염색 편차 등의 불균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팽윤 공정에서는 통상적으로 물, 증류수 또는 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처리액의 주성분은 물이고, 필요하다면,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 또는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물이나, 알코올 등이 소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팽윤 과정에서의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내지 45℃ 또는 20℃ 내지 40℃ 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팽윤 편차는 염색 편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팽윤 편차의 발생이 가능한 억제되도록 공정 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팽윤 공정에서도 적절한 연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6.5배 이하, 1.2 내지 6.5배, 2배 내지 4배 또는 2배 내지 3배 정도일 수 있다. 팽윤 과정에서의 연신은, 팽윤 공정 후에 수행되는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을 작게 제어할 수 있고, 필름의 연신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금속 이온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를 들면,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이를 통해 평관자 내에 금속 이온을 함유시킬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 이온의 종류 내지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의 색조 조절이 가능하다. 적용될 수 있는 금속 이온으로는, 코발트, 니켈, 아연, 크롬, 알루미늄, 구리, 망간 또는 철 등의 전이 금속의 금속 이온이 예시될 수 있고, 이 중 적절한 종류의 선택에 의해 색조의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염색, 가교 및 연신 후에 세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공정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 화합물 용액 또는 물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물에 의한 세정과 요오드 화합물 용액에 의한 세정은 조합될 수도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등의 액체 알코올을 배합한 용액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후에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편광 필름에 요구되는 수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 필름은, 일 예시에서 편광판의 고온 내구성 확보를 위해 아연 이온과 같은 아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 성분의 함량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 필름은 아연 성분(Zn)을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0.2 중량% 이상 정도, 0.3 중량% 이상 정도, 0.4 중량% 이상 정도 또는 0.5 중량%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 이하 정도, 8 중량% 이하 정도, 7 중량% 이하 정도, 6 중량% 이하 정도, 5 중량% 이하 정도, 4 중량% 이하 정도, 3 중량% 이하 정도, 2 중량% 이하 정도, 1 중량% 이하 정도, 0.9 중량% 이하 정도, 0.8 중량% 이하 정도, 0.7 중량% 이하 정도, 0.6 중량% 이하 정도, 0.5 중량% 이하 정도, 0.4 중량% 이하 정도 또는 0.3 중량%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편광 필름에 아연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 고온에서 유지 및/또는 구동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편광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은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6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과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의 일면에 위치하는 편광판(10)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10)의 제 1 위상차층(201) 및 제 2 위상차층(202)이 편광 필름(100)에 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상부 전극 및 봉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캐소드는 전자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는 IZO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 및 상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부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 기판은 유리, 금속 및/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10)은 유기발광표시패널(600)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0)은 외광이 유기발광표시패널(600)의 전극 및 배선 등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 발광장치(600)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유기발광장치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편광판(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유기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출원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가 적용될 경우에, 상기 장치 등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이나 그 장치의 구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유기발광장치가 사용되는 한,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재료나 방식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됨으로서 전 방위 반사방지성능, 폴딩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편광판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편광판에 대해 폴딩 테스트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4는 비교예 1의 편광판에 대해 폴딩 테스트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0: 편광판
100: 편광필름
201: 제 1 위상차층
202: 제 2 위상차층
500: 하드코팅층
60: 유기발광표시장치
600: 유기 발광 표시 패널
70: 크랙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두께가 약 20㎛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필름(구라레이社, TS20)을 요오드(I 2) 0.3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0 중량%를 포함하는 28℃의 염색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염색 처리하였다. 이어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붕소 1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 중량%를 포함하는 35℃의 수용액(가교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였다. 이후,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롤간 연신 방법을 이용하여 5.4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약 3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켰다. 이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60초 동안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딩 내구성 및 고온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드코팅층, 편광 필름 및 위상차층의 적층체를 순차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은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적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 필름의 최종 두께는 약 7㎛ 정도였으며, 아연 성분은 약 0.2 내지 0.3 중량% 포함하였다.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역분산 특성을 가지고, 550nm 파장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141nm 정도로서, QWP(Quarter wave plate)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Fuji社)의 중합층(제 1 액정 위상차층)이 일면에 대략 2μ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등방성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두께 약 20μm)을 준비하였다. 상기 필름의 제 1 액정 위상차층 상에 바 코팅 방식으로 수직 배향막을 코팅하고, 상기 수직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Merck社)을 코팅하고, 그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직 배향시킨 상태에서 중합시켜서 550nm 파장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62nm 정도인 positive C 필름(제 2 액정 위상차층)을 1μm 의 두께로 형성하여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을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에 부착하였다. 이 때,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상에 제 1 및 제 2 액정 위상차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편광 필름에 부착하였으며, 상기 제 1 액정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동시에,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일면에 하드코팅층 기능을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접착제(LG CHEM社)를 도포하고 일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형 처리면을 상기 UV 접착제의 도포층에 부착한 후 UV lamp를 통과시켜서, 두께가 대략 3 μm 정도이고, 연필 경도 2H 정도인 하드코팅층이 형성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최종적으로 박리하였다.
그 결과, 하드코팅층/편광 필름/UV 접착제층/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 1 액정 위상차층/제 2 액정 위상차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최종 두께는 약 35μm였다.
비교예 1
폴딩 내구성 및 고온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클로올레핀 필름, 편광 필름, 하드코팅층 및 위상차층의 적층체를 순차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은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적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 필름의 최종 두께는 약 7㎛ 정도였으며, 아연 성분은 약 0.2 내지 0.3 중량% 포함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 처리된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Zeon社, 두께 약 29μm)을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바 코팅 방식으로 두께가 약 3μm이 되도록 코팅하였다.
한편,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역분산 특성을 가지고, 550nm 파장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141nm인 QWP(Quarter wave plate) 액정(Fuji社)을 550nm 파장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62nm인 positive C 필름(Merck社, 두께 약 1μm) 상에 약 2μm 의 두께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의 액정층 부분을 일반적인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코팅층에 부착하였다.
그 결과,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UV 접착제층/편광 필름/하드코팅층/UV 접착제층/위상차층의 적층체(역분산 QWP/positive C필름)가 순차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이 제조되었으며, 상기 편광판의 최종 두께는 약 46μm이었다.
평가예 1 폴딩(Folding) 내구성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폴딩 테스트 챔버(Y.M.RTC社, YM-THC 430S)에 투입한 후, 폴딩(Folding)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1) 25℃/20%에서 200,000회 폴딩, (2) 60℃/20%에서 20,000회 폴딩 (3) 60℃에서 20,000회 폴딩, (4) -20℃/0%에서 20,000회 폴딩되도록 조건을 설정하고, 각 조건별로 분당 60회의 속도로 폴딩시켜 내구성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테스트 종료 후 편광판의 크랙(crack), 찢어짐 등의 외관 불량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2 반사색상값 변화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편광 필름에 비해 제 1 위상차층 및 제 2 위상차층이 OLED 패널에 더 가깝도록, OLED 패널(550nm 파장에 대한 반사율이 55%)에 부착하였다. 그 후, KONICA MINOLTA社의 CM-2600d 장비를 이용하여 단파장 테스트 전/후의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색좌표 L, a, b를 측정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단파장 테스트는, 상기 편광판을 25℃ 온도의 챔버(Atlas社)에 넣고,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는 테스트이다.
상기 측정 결과 및 하기 수식 4에 따라 계산된 반사색상값 변화(ΔE * ab)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폴딩 내구성 테스트
(1) (2) (3) (4)
실시예 1 X X X X
비교예 1 O X X X
O : 크랙 발생 X : 크랙 미발생(1) 25℃/20%에서 200,000회 폴딩 (2) 60℃/20%에서 20,000회 폴딩 (3) 60℃/90%에서 20,000회 폴딩 (4) -20℃/0%에서 20,000회 폴딩
구분 단파장 테스트 전 단파장 테스트 후 ΔE * ab
L a * a a * b a * L i * a i * b i *
실시예 1 27.05 2.44 -1.63 27.06 2.32 -1.7 0.14
비교예 1 27.85 -0.18 -3.53 30.43 -0.95 -14.63 11.42
[수식 4]ΔE * ab=[(ΔL *) 2 + (Δa *) 2 + (Δb *) 2] 1/2수식 4에서 ΔL *는 L * a-L * i이고, Δa *는 a * a-a * i이며, Δb *는 b * a-b * i이고, L * a, a * a 및 b * a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기 전의 색좌표 L *, a * 및 b *이고, L * i, a * i 및 b * i 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킨 후의 색좌표 L *, a * 및 b *이다.
상기 표 1 및 도 3과 같이, 실시예 1의 편광판은 25℃/20%에서 200,000회 폴딩(조건 (1))한 후에도 편광판에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표 1 및 도 4와 같이, 비교예 1의 편광판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폴딩 테스트 후에 크랙(crack)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와 같이, 반사색상값 변화(ΔE * ab)도 실시예 1의 편광판이 비교예 1의 편광판 대비 작은 것을 통해, 본 출원의 편광판이 우수한 단파장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은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연필 경도가 0.5H 이상인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1㎛ 내지 10㎛범위 내인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45μm 이하인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층은 편광 필름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기 수식 1에 따른 면내 위상차가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100 내지 150nm의 범위 내이며, 지상축이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35도 내지 55도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 1 위상차층; 및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기 수식 2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가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30 내지 150nm 범위 내인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수식 1]
    R in = d × (n x - n y)
    [수식 2]
    R th = d × (n z - n y)
    수식 1 및 수식 2에서 R in은 면내 위상차이고, R 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이고, n x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굴절률이며, n y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 z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위상차층은 하기 수식 3에 따른 분산 계수가 1 미만인 편광판.
    [수식 3]
    분산 계수 = R in(450)/R in(550)
    수식 3에서 R in(450)은 제 1 위상차층의 4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고, R in(550)은 제 1 위상차층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다.
  8. 제 1 항에 있어서, 등방성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1면에는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2면이 편광 필름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0.1 내지 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1. 제 8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ΔE * ab)가 10이하인 편광판.
    [수식 4]
    ΔE * ab=[(ΔL *) 2 + (Δa *) 2 + (Δb *) 2] 1/2
    수식 4에서 ΔL *는 L * a-L * i이고, Δa *는 a * a-a * i이며, Δb *는 b * a-b * i이고, L * a, a * a 및 b * a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기 전의 색좌표 L *, a * 및 b *이고, L * i, a * i 및 b * i 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 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킨 후의 색좌표 L *, a * 및 b *이다.
  13.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층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판.
  14. 제 1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5. 제 14 항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12675 2019-09-23 2020-09-21 편광판 WO20210607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10838A JP7439238B2 (ja) 2019-09-23 2020-09-21 偏光板
CN202080060849.1A CN114341680B (zh) 2019-09-23 2020-09-21 偏光板
US17/635,657 US12235484B2 (en) 2019-09-23 2020-09-21 Polarizing plate
EP20868984.4A EP4036618B1 (en) 2019-09-23 2020-09-21 Polariz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07 2019-09-23
KR20190116807 2019-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79A1 true WO2021060779A1 (ko) 2021-04-01

Family

ID=7516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675 WO2021060779A1 (ko) 2019-09-23 2020-09-21 편광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235484B2 (ko)
EP (1) EP4036618B1 (ko)
JP (1) JP7439238B2 (ko)
KR (1) KR102577330B1 (ko)
CN (1) CN114341680B (ko)
TW (1) TWI747518B (ko)
WO (1) WO2021060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439354A (zh) * 2019-09-30 2025-0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偏光板、图像显示装置以及光学膜的选定方法
KR102763783B1 (ko) * 2022-04-28 2025-02-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KR20240102686A (ko) * 2022-12-26 2024-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40102687A (ko) * 2022-12-26 2024-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305A (ko) * 2011-12-12 2013-06-20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KR20150011825A (ko) * 2012-06-21 2015-02-02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101841A (ko) * 2014-02-27 2015-09-0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70117961A (ko) * 2017-09-29 2017-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041610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20190072460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20190072151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KR20190072168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512A (ja) * 1998-07-17 2000-02-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フィルム
JP2005283872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能付き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279705A (ja) * 2006-03-13 2007-10-25 Fujifilm Corp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5112268B2 (ja) * 2007-12-06 2013-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0284840A (ja) * 2009-06-10 2010-12-24 Kaneka Corp コーティング層が付与された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JP5546933B2 (ja) * 2010-04-07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437139B1 (ko) * 2010-12-29 2014-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JP6321435B2 (ja) * 2012-06-21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5528606B2 (ja) * 2012-06-21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CN104662455B (zh) * 2012-08-27 2017-06-16 株式会社Lg化学 偏光板
KR101565321B1 (ko) * 2012-12-13 2015-11-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14206725A (ja) 2013-03-19 2014-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436441B1 (ko) 2013-07-23 2014-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9835780B2 (en) * 2014-06-27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1948742B (zh) 2015-11-2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使用了该光学层叠体的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458598B1 (ko) 2015-12-30 2022-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7044468B2 (ja) * 2016-02-05 2022-03-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8885372B (zh) 2016-03-18 2021-10-08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发光显示器的偏光板及含有其的发光显示器
JP6868343B2 (ja) * 2016-04-20 202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080138A1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JP6510113B2 (ja) * 2017-05-09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869827B (zh) * 2017-07-12 2023-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椭圆偏光板
JP2019053168A (ja) 2017-09-14 2019-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305A (ko) * 2011-12-12 2013-06-20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KR20150011825A (ko) * 2012-06-21 2015-02-02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101841A (ko) * 2014-02-27 2015-09-0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041610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20170117961A (ko) * 2017-09-29 2017-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72460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20190072151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KR20190072168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1680B (zh) 2025-04-08
EP4036618A4 (en) 2022-11-16
US20220291436A1 (en) 2022-09-15
JP2022544820A (ja) 2022-10-21
EP4036618A1 (en) 2022-08-03
JP7439238B2 (ja) 2024-02-27
US12235484B2 (en) 2025-02-25
TWI747518B (zh) 2021-11-21
KR102577330B1 (ko) 2023-09-12
EP4036618B1 (en) 2024-12-04
CN114341680A (zh) 2022-04-12
KR20210035055A (ko) 2021-03-31
TW202113404A (zh)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0779A1 (ko) 편광판
WO2004095091A1 (ja)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78171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200925675A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20090008452A (ko) 편광자, 그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그것들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04341503A (ja)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6105017A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WO2014030814A1 (ko) 광변색성 및 이색성을 갖는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WO2019235809A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8070849A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20190076792A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20171458A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42458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2002662A2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WO2020091552A1 (ko) 원편광판
WO2019245145A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070104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0184862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20441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052813A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2220445A1 (ko)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9112163A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22220443A1 (ko)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23001A (ko) 편광판
WO2004113973A1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8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083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68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425

WWG Wipo information: grant in national office

Ref document number: 17635657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