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8034497A1 - 혀 이격 장치 - Google Patents

혀 이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4497A1
WO2018034497A1 PCT/KR2017/008926 KR2017008926W WO2018034497A1 WO 2018034497 A1 WO2018034497 A1 WO 2018034497A1 KR 2017008926 W KR2017008926 W KR 2017008926W WO 2018034497 A1 WO2018034497 A1 WO 20180344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ngue
body portion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convex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9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상규
홍채선
오동렬
안용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ublication of WO20180344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44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ongue spacing devices.
  • Radiotherapy is one of the three major methods of cancer treatment, along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as a method of clinical medicine to treat patients with radiation with a very short wavelength and high energy. It treats malignant tumors, mainly cancer, but also benign tumors and some benign diseases. Radiotherapy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radiation therapy and proximal therap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adiation.
  • External radiotherapy can be divided into the treatment of photon beam therapy, electron beam therapy, particle beam therapy such as neutron treatment and proton therapy depending on the type of radiation used as a treatment method for irradiating the radiation using various equipments from outside the body.
  • the brachytherapy is a method of irradiating the radiation on a limited area by positioning the radiation generating device or isotope on the inside of the body or on the surface. Depending on the space or method to be inserted, intracavitary treatment, in-vivo treatment, .
  • the radiation when performing the radiation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only the target site with radiation, but actually, the radiation may be irradiated to the site adjacent to the target site.
  • the healthy tissue such as the tongue or oral mucosa
  • the healthy tissue may be irradiated, possibly damaging the tongue or oral mucosa.
  • the radiation when the radiation is irradiated farther than planned, it may cause damage due to unnecessary radiation to the tongue or surrounding normal orga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ongue separa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tongue tissues and oral mucous membranes during treatment by fixing the tongue apart in one direc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brush comprising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to fix the tongue in a state in which the tongue is held in one direction, a support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can be confirmed outside the tongue position determining portion.
  •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may be inserted into the mouth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tongue i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a safe distance from the treatment site where the radiation is irradiated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thereby minimizing the radiation adverse effect.
  • the tongue spacing device also acts as a radiation shield to prevent unnecessary radiation damage to the tongue or surrounding normal organs when the undulations of the planned radiation, such as proton rays, are increased by various uncertainti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of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gue-spacing device of Figure 1;
  • FIG. 4 (a) is a photograph to which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4 (b) is a photograph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brush comprising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to fix the tongue in a state in which the tongue is held in one direction, a support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can be confirmed outside the tongue position determining portion.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onvex surface convex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cave surface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and the tongue position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adjacent to the concave surface have.
  • the concav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have a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 the body portion has a second inclination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inclination portion being extended from the concav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pposed to the one e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As shown in Fig.
  •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curved shape toward the body portion.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other end to the one end.
  • the tongue position determi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extends in relation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using one or more supports defining the opening.
  •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vent portion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region of the convex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one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 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tooth seat part for seating the tooth in a state where the convexity is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adjacent to the body part and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xing member positioned on the support portion facing the body portion and fixing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 a film, an area, a component, or the like when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not only the case where the film, the region, and th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other films, regions, And indirectly connected.
  • a film, an area, a component, and the like when a film, an area, a component, and the like are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a case where a film, an area, a component, etc. ar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but also another film, And indirectly connected electrical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of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200
  • a tongue separation apparatus 10 includes a body part 100, a support part 200, a tongue position confirmation part 300, and a vent part 400 . Further,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500.
  • the body par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fix the tongue while holding the tongue in one direction.
  • the body 100 may include a convex surface 110 that is convex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and a concave surface 120 that is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110.
  • the concave surface 120 may have a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 the concave surface 120 may be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ngue. Accordingly, the tongue can be fixed by separating the tongue in one direction by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00 while covering the tongue through the concave surface 120 of the concave body part 100.
  • the convex surface 110 may have a first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and the concave surface 120 may have a second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 the first curvature and the second curvature may have different curvatures.
  • the first curvature of the convex surface 110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of the concave surface 120.
  • the concave surface 120 is the contact surface that surrounds the tongue, the second curvature of the concave surface 120 can be design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 the convex surface 110 is not a contact surface that directly separates the tongue,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vex surface 110 can als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the user.
  • the body 1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cave surface 120 has a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00 increases along one direction.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come larg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at is, the body part 100 does not push the tongue with a certain thickness but gradually spreads the distance from the tongue to the tip of the tongue, thereby minimizing the user's discomfort.
  • the body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110 extending from the concave surface 120 located at the other end and has a second inclination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surface 130.
  • the guide surface 130 may guide the tongue to move to the concave surface 120 in the course of insertion of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into the mouth.
  • the guide surface 130 functions to gently form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oral tissues during insertion into the oral cavity.
  • the body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tooth seating part 140.
  • the tooth seating part 140 can seat the user's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mouth using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110 adjacent to the body part 100.
  • the tooth seating par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as shown in FIG.
  • the tooth seating part 14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 the tooth seating part 14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tooth is naturally laid when the mouth part is closed when the body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s formed by the irregularities so that the user's teeth are caught by the irregularities, ) Can be stably fixed.
  • the support part 2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00 and can support the body part 100 from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 the support portion 200 may have a curved shape toward the body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entire support portion 200 need not be curved. Since the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00 adjacent to the body part 100 directly contacts the lips of the user, the support part 200 may have a shape curved at least on one side toward the body part 100. [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 the support portion 200 may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10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200 can support the body part 100 from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to prevent the body part 10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ver a predetermined depth.
  • the tongue separation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tongue position confirmation unit 300.
  • the tongue position confirming unit 300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support 200 adjacent to the concave surface 120 of the body 100.
  • the tongue position confirming unit 300 may include an opening 305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unit 2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s tongue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of the mouth.
  •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can confirm whether the tongue of the user who is the patient is properly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through the tongue position confirmation part 300.
  • the tongue position confirmat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350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100 extends in relation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200 contacting the body 100.
  • the protrusion 35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305 using one or more supports 310 that define the openings 305. Although a cross-shaped support 31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ingle support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may be used.
  • the support 31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tongue from passing through the opening 305 at the same time.
  • the protrusion 350 may provide a stimulus to the tip of the tongue of the user to perform a function that informs the user that the tongue is properly positioned.
  • the tongue position confirming unit 300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tongue by the inspecto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305,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grasp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tongue, thereby ensuring the reproduci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tongue .
  •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350 can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ongue of the user.
  • the protrusion 350 also has the effect of pulling the tongue out by inducing the patient to close the tip of the tongue to the protrusion, thereby reducing the radiation dose to the tongue root as the patient's tongue is spaced out of the mouth.
  •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vent portion 400 and a fixing member 500.
  • the air vent 400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area of the convex surface 110 of the body 100 to one area of the supporter 200 so that air can flow in and out.
  • the vent portion 400 is an opening that connects the oral cavity with the oral cavity in a state where the tongue of the user is spaced apart, and can induce comfortable breathing even when the user wears the tongue separator 10.
  • the fixing member 500 is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00 facing the body part 100 of the support part 200 and can fix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to an external device have.
  • the tongue separation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xing member 500 and two fixing members 500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upporting unit 200 as shown in FIG. When two fixing members 500 are provided, protrusions having an inclina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00 not facing each other.
  • the fixing member 500 can also perform a grip function to hold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fixing member 500, and 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art 200 may be provided and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grooves.
  •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may be manufactured as a 3D printer.
  •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should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oral structure. It can be costly and time-consuming to manufacture them by injection molding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Therefore, by storing the standard data, measuring the oral structure of the user, and modifying it by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ard data, the 3D printer can be manufactured, and quick treatment is possib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It can be formed as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ardness in order to push the tongue in one direction accurately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 the inside of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and the surface thereof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ince the tongue-separating device 10 is a device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s body, the tongue-separating device 10 may be inconvenient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refore, the tongue-separating device 1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n the surface thereof.
  • the inside of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ardness such as plastic, metal, or ceramic, and the surface of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may be made of silicone rubber, Teflon resin A fluororesin such as a known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EP) or a 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PFA) or a fluoro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ester, polyimide, polyamide, polyuretha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flexible material.
  • the tongue-spacing device acts as a radiation shield to prevent unnecessary radiation damage to the tongue or surrounding normal organs when the intent of the planned radiation, such as a proton beam, is increased by various uncertainties, such as radiation being irradiated past the tumor.
  • FIG. 4 (a) is a photograph to which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4 (b) is a photograph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tongue fixing device C since the tongue fixing device C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unctions to fix the tongue of the user without being separated, the tongue can not be protected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 the tongue separation device 10 fixes the tongue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tongue i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tongue can be protected from radiation during radiation treatment.
  • the radiation beam can act as an absorber and / or masking agent when irradiated past the target due to uncertainty, thereby protecting the tongue and normal organs.
  • the tongue-separating apparatus 10 can be inserted into the mouth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tongue i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a safe distance from the treatment site where the radiation is irradiated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thereby minimizing the radiation adverse effect.
  • a tongue separation device is provided.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industrial radiation therapy and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에 삽입되어 일 방향으로 혀를 민 상태에서 상기 혀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혀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혀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혀 이격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혀 이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치료란, 파장이 매우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의학의 한 방법으로 수술, 항암 화학 요법과 더불어 3대 암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주로 암이라고 불리는 악성 종양을 치료하지만, 양성 종양이나 일부 양성질환도 치료한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에 따라서 외부 방사선 치료와 근접치료로 나눌 수 있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몸 외부에서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광자선 치료, 전자선 치료 및 중성자 치료와 양성자 치료와 같은 입자선 치료로 구분하기도 한다. 한편, 근접 치료는 방사선 발생 장치나 동위 원소를 몸 안이나 표면에 위치시켜서 방사선을 한정된 부위에 조사하는 방법으로, 삽입되는 공간이나 방법에 따라서, 강내 치료, 관내 치료, 조직내 치료, 접촉 치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방사선 치료를 진행할 때, 표적 부위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방사선이 표적 부위에 인접한 부위로 조사될 수도 있다. 특히, 구강 내의 표적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건강한 조직인 혀나 구강 점막에도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어 혀나 구강 점막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환자 체형 변동이나 치료기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의해 계획된 비정보다 더 멀리 방사선이 조사될 경우 혀나 주변 정상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로 인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혀를 일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치료 도중 혀 조직 및 구강 점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혀 이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에 삽입되어 일 방향으로 혀를 민 상태에서 상기 혀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혀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혀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혀 이격 장치는 구강에 삽입되어 혀를 일 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선 치료 시 방사선이 조사되는 치료 부위로부터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방사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혀 이격 장치는 방사선 차폐체로 작용하여, 양성자선과 같은 계획된 방사선의 비정이 여러가지 불확실성에 의해 증가될 때 혀나 주변 정상장기에 가는 불필요한 방사선 장해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이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혀 이격 장치를 지지부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혀 이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를 적용한 사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에 삽입되어 일 방향으로 혀를 민 상태에서 상기 혀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혀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혀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볼록한 볼록면 및 상기 볼록면과 연결된 오목면을 포함하며, 상기 혀 위치 확인부는 상기 오목면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오목면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의 상기 오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볼록면과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만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일단부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위치 확인부는 상기 바디부와 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볼록면의 일영역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일영역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에 인접한 상기 볼록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아를 안착시키는 치아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하며, 외부 장치에 상기 혀 이격 장치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이격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혀 이격 장치(10)를 지지부(200)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혀 이격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혀 이격 장치(10)는 바디부(100), 지지부(200), 혀 위치 확인부(300) 및 통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혀 이격 장치(10)는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구강에 삽입되어 일 방향으로 혀를 민 상태에서 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디부(100)는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볼록한 볼록면(110) 및 상기 볼록면(110)과 연결된 오목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목면(120)은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오목면(120)은 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100)의 오목면(120)을 통해 혀를 감싸면서 바디부(100)의 두께만큼 일 방향으로 혀를 이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볼록면(110)은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곡률을 갖고, 오목면(120)은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서로 다른 곡률(curvatur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록면(110)의 제1 곡률이 오목면(120)의 제2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오목면(120)은 혀를 감싸는 접촉면이므로, 오목면(120)의 제2 곡률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볼록면(110)은 직접적으로 혀를 이격시키는 접촉면은 아니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볼록면(110) 또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00)는 오목면(120)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갖고 있어, 일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울기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10°의 각도를 갖는 기울기로 제조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 대하여 10°를 기준으로 ±10°의 범위에서 선택된 각도를 갖는 기울기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일단부에는 지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00)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즉, 바디부(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혀를 미는 것이 아니라, 혀의 설근부부터 첨단부까지 점차 이격 거리가 벌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타단부에 위치하는 오목면(120)으로부터 연장되어 볼록면(110)과 연결되며,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면(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30)은 혀 이격 장치(10)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혀가 오목면(1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130)은 바디부(100)의 타단부를 완만하게 형성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구강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0)는 치아 안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안착부(140)는 바디부(100)에 인접한 볼록면(110)에 형성된 요철을 이용하여 바디부(100)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치아를 안착시킬 수 있다. 치아 안착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치아 안착부(140)는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안착부(140)는 바디부(100)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을 다물었을 때 치아가 자연스럽게 놓여지는 위치에 배치되며, 요철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가 요철에 걸리는 것에 의해 바디부(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구강의 외부에서 바디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바디부(100)를 향하여 만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부(200) 전체가 만곡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바디부(100)에 인접한 지지부(200)의 일면은 사용자의 입술과 직접 접촉하므로, 지지부(200)는 적어도 일면이 바디부(100)를 향하여 만곡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200)의 일면은 사용자에 따라 만곡한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의 폭방향에 대하여 바디부(10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200)는 바디부(100)가 일정 깊이 이상 구강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구강의 외부에서 바디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혀 이격 장치(10)는 혀 위치 확인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혀 위치 확인부(300)는 바디부(100)의 오목면(120)에 인접한 지지부(2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혀 위치 확인부(300)는 구강의 외부에서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확인 가능할 수 있도록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개구(305)를 포함할 수 있다. 혀 이격 장치(10)는 혀 위치 확인부(300)를 통해 방사선 치료 시에 검사자가 외부에서도 환자인 사용자의 혀가 제대로 이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혀 위치 확인부(300)는 바디부(100)와 접하는 지지부(200)의 일면을 기준으로 바디부(100)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50)는 개구(305)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310)를 이용하여 개구(305)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십자 형태의 지지체(31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자 형태의 하나의 지지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지지체(310)는 혀가 개구(305)를 통과하는 것을 막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돌출부(350)는 사용자의 혀의 첨단부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혀가 제대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혀 위치 확인부(300)는 개구(305)를 통해 외부에서 검사자가 혀의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사용자도 혀의 지정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혀의 위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돌출부(350)의 돌출 길이는 사용자의 혀의 길이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50)는 환자로 하여금 혀끝을 돌출부에 닫도록 유도함으로써 혀를 밖으로 빼는 효과를 가져오며, 이때 환자의 혀가 구강 바깥으로 이격되면서 혀 뿌리에 가는 방사선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혀 이격 장치(10)는 통기부(400) 및 고정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부(400)는 바디부(100)의 볼록면(110)의 일영역으로부터 지지부(200)의 일 영역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기부(400)는 사용자의 혀가 이격된 상태에서 구강 내 이격 공간과 구강의 외부를 연결하는 구멍으로서, 사용자가 혀 이격 장치(10) 착용 시에도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지지부(200) 중 바디부(100)에 대향되는 지지부(200)의 타면에 위치하며, 마스크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미도시)에 혀 이격 장치(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혀 이격 장치(10)는 고정 부재(500)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로부터 돌출된 구조의 고정 부재(500)를 2개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가 2개 구비되는 경우, 마주보지 않는 고정부재(500)의 외면에 경사를 갖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혀 이격 장치(1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 부재(500)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홈(미도시)을 복수 개 구비하여 홈을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혀 이격 장치(10)는 3D 프린터로 제조될 수 있다. 혀 이격 장치(10)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서 사출 성형으로 이를 제작하는 것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계측한 후 표준 데이터와의 차이만큼 변형하여 3D 프린터로 제조함으로써, 빠른 치료가 가능하며 제작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혀 이격 장치(10)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방사선 치료시 혀를 일 방향으로 정확히 밀어내기 위해서 소정의 경도를 갖는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 이격 장치(10)의 내부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표면에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혀 이격 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장치이므로, 재질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혀 이격 장치(10)의 내부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과 같은 소정의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혀 이격 장치(10)의 표면은 실리콘, 고무, 테프론(Teflon) 수지로 알려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EE, poly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페르플루오르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등의 불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혀 이격 장치는 방사선 차폐체로 작용하여, 양성자선과 같은 계획된 방사선의 비정이 종양을 지나서 방사선이 조사되는 것과 같이 여러가지 불확실성에 의해 증가될 때 혀나 주변 정상장기에 가는 불필요한 방사선 장해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를 적용한 사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혀 고정 장치(C)는 사용자의 혀를 이격시키지 못하고, 고정 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방사선 치료 시 혀를 보호할 수 없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이격 장치(10)는 사용자의 혀를 일 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므로, 방사선 치료시 혀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빔이 불확실성 때문에 표적을 지나서 조사될 때 흡수체 및/또는 차폐제로 작용해서 혀 및 정상장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이격 장치(10)는 구강에 삽입되어 혀를 일 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선 치료 시 방사선이 조사되는 치료 부위로부터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방사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혀 이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업상 이용하는 방사선 치료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구강에 삽입되어 일 방향으로 혀를 민 상태에서 상기 혀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강의 외부에서 상기 혀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혀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볼록한 볼록면 및 상기 볼록면과 연결된 오목면을 포함하며,
    상기 혀 위치 확인부는 상기 오목면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혀 이격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오목면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갖는, 혀 이격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의 상기 오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볼록면과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일단부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커지는, 혀 이격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만곡한 형상을 갖는, 혀 이격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위치 확인부는 상기 바디부와 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혀 이격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볼록면의 일영역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일영역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를 더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에 인접한 상기 볼록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아를 안착시키는 치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하며, 외부 장치에 상기 혀 이격 장치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혀 이격 장치.
PCT/KR2017/008926 2016-08-17 2017-08-17 혀 이격 장치 WO20180344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93 2016-08-17
KR1020160104493A KR101828053B1 (ko) 2016-08-17 2016-08-17 혀 이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497A1 true WO2018034497A1 (ko) 2018-02-22

Family

ID=6119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926 WO2018034497A1 (ko) 2016-08-17 2017-08-17 혀 이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053B1 (ko)
WO (1) WO2018034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7176A (zh) * 2022-07-21 2022-11-11 核工业总医院 一种拔牙用舌头定位防护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142B1 (ko) 2020-08-26 2023-03-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치료용 혀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417A (ja) * 1996-12-12 1998-06-23 Jiro Koike 舌保護具
CN201469917U (zh) * 2009-04-06 2010-05-19 宫海涛 放疗用压舌器
CN102029019A (zh) * 2009-09-29 2011-04-27 陈英棋 保护舌头的装置
KR20130015597A (ko) * 2011-08-04 2013-02-14 김기수 치과용 혀 보호기
CN205235195U (zh) * 2015-08-23 2016-05-18 毕苏艳 一种放疗用负压式压舌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417A (ja) * 1996-12-12 1998-06-23 Jiro Koike 舌保護具
CN201469917U (zh) * 2009-04-06 2010-05-19 宫海涛 放疗用压舌器
CN102029019A (zh) * 2009-09-29 2011-04-27 陈英棋 保护舌头的装置
KR20130015597A (ko) * 2011-08-04 2013-02-14 김기수 치과용 혀 보호기
CN205235195U (zh) * 2015-08-23 2016-05-18 毕苏艳 一种放疗用负压式压舌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7176A (zh) * 2022-07-21 2022-11-11 核工业总医院 一种拔牙用舌头定位防护结构
CN115317176B (zh) * 2022-07-21 2023-12-05 佛山市澎湃动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拔牙用舌头定位防护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53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130B2 (en) Split-ring brachy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cervical brachytherapy treatment using a split-ring brachytherapy device
US9642999B2 (en) Brachytherapy applicator
RU2565100C2 (ru) Брахи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апплика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в полость тела
US8834339B2 (en) Assembly for performing brachytherapy treatment of a tumour tissue in an animal body
CA2850621C (en) Internal body cavity therapeutic applicator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H09509339A (ja) 医用放射線療法のための装置
US9883919B2 (en) Brachytherap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US7726318B2 (en) Radiation blocking patch for radio-therapy
WO2018034497A1 (ko) 혀 이격 장치
US20200376297A1 (en) Apparatus for Combined Localization and Dosimetry in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of the Head and Neck
KR101983786B1 (ko) 혀 이격 장치
US12029917B2 (en) Endorectal probe device for effecting radiation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ous tissue in the rectum of a human or animal subject
WO2020235824A2 (ko) 뇌 이상 단백질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치료 방법
KR102177178B1 (ko) 카테터 장치 및 근접 방사선 치료 시스템
US11464598B2 (en) Or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ation therapy of lip cancer
KR101384700B1 (ko) 전립선암의 고정밀 방사선치료를 위한 3중 풍선 시스템
WO2017200298A1 (ko)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JP2022529756A (ja) 消化器系腫瘍を処置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illa Radium technique at the memorial hospital, New York
WO2020091118A1 (ko) 액상 표지자 입체 주입 주사 바늘 구조
KR102484281B1 (ko)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
CN208905911U (zh) 精准目标导向的耳道癌放疗施源器
US20240189620A1 (e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cision radiation treatment
BHALAVAT et al. Technique for Interstitial Brachytherapy of
Chtcheprov Optical geometry calibration method for computed tomography and applications of compact microbeam radiat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16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16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